야코뷔스 캅테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코뷔스 캅테인은 네덜란드의 천문학자이다. 1875년부터 1921년까지 흐로닝언 대학교의 천문학 및 역학 이론 교수로 재직하며, 별의 고유 운동 연구와 은하의 별 분포 연구에 기여했다. 캅테인은 케이프 사진 측량법을 통해 캅테인 별을 발견했으며, 별의 고유 운동에 대한 이항성류설을 주장했다. 또한, 은하의 크기를 약 4만 광년으로 추정하는 캅테인 우주 모델을 제시했으나, 성간 매질 흡수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해 수정되었다. 그는 영국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 제임스 크레이그 왓슨 메달, 브루스 메달을 수상했으며, 달의 크레이터, 소행성, 캅테인 별, 카프테인 천문 연구소 등이 그의 이름을 기려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네덜란드의 과학자로서 진자시계와 밸런스 스프링 시계를 발명하고 토성의 위성 타이탄을 발견했으며 빛의 파동설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다. -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 안톤 판네쿡
네덜란드 천문학자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인 안톤 판네쿡은 은하수 구조 및 항성 분포 연구에 기여하고 천문학사를 저술했으며, 평의회 공산주의 이론을 발전시켜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위트레흐트 대학교 동문 - 프란스 드 발
프란스 드 발은 네덜란드 출신의 영장류학자이자 동물행동학자로, 침팬지 연구와 영장류의 사회적 행동 연구를 통해 인간과 동물의 연속성을 강조하고 대중에게 과학적 성과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 위트레흐트 대학교 동문 - 베르나르도 아레발로
베르나르도 아레발로는 과테말라의 정치인이자 사회학자로, 2024년부터 과테말라 대통령으로 재임 중이며, 2023년 대선에서 세밀라당 대통령 후보로 당선되어 부패 척결과 사회 개혁을 추진하고 대외적으로는 대만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니카라과 및 베네수엘라 정부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 1851년 출생 - 더럼 스티븐스
더럼 스티븐스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주일 미국 공사관 서기관으로 외교관 생활을 시작하여 일본 외무성에서 일했으며, 대한제국 외부 고문으로 친일 행보를 보이다가 샌프란시스코에서 재미 한인에게 피격되어 사망, 한국 역사에서 비판받는 인물이다. - 1851년 출생 - 프란츠 폰 리스트
프란츠 폰 리스트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형법학자이자 국제법 학자로, 목적형주의를 주창하며 형벌의 목적을 범죄 예방 및 재활, 사회적 보호로 설정하여 20세기 형벌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개선 불가능한 범죄자에 대한 극단적인 처벌 주장은 비판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야코뷔스 캅테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야코뷔스 코르넬리스 카프테인 |
출생 | 1851년 1월 19일 |
출생지 | 바르네펠트 |
사망 | 1922년 6월 18일 |
사망지 | 암스테르담 |
국적 | 네덜란드 |
학문 분야 | |
분야 | 천문학 |
알려진 업적 | 은하 회전 증거 발견 |
경력 | |
근무 기관 | 레이던 천문대 흐로닝언 대학교 |
모교 | 위트레흐트 대학교 |
수상 | |
수상 내역 | 왕립천문학회 골드 메달 (1902년) 제임스 크레이그 왓슨 메달 (1913년) 브루스 메달 (1913년)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Hughes, Stefan (2006). Catchers of the Light: The Astrophers' Observatory, pp. 72-73. |
참고 자료 | Kapteyn, Jacobus C. (1902). "Star Strea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62: 478–485 |
2. 생애 및 학문적 경력
캅테인은 바르네벨트에서 태어나[2][3] 1868년 위트레흐트 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했다. 1875년 논문을 마치고 라이덴 천문대에서 3년 동안 근무한 후 흐로닝언 대학교의 천문학 및 이론 역학 교수가 되었으며, 1921년 은퇴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1888년에는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4]
1913년에 제임스 크레이그 왓슨 메달을 수상했으며, 1921년 은퇴했지만 빌렘 데 시터의 요청으로 라이덴 천문대를 현대 천문학적 표준에 맞게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도왔다.[2]
캅테인은 남반구의 별들을 관측하고 목록을 만들었으며, 별들의 운동을 연구하여 이항성류설을 주장했다. 이는 은하 회전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다. 또한, 은하의 구조에 대한 모델을 제시했으나, 이후 성간 흡수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는 점이 밝혀졌다.
흐로닝언 대학교의 천문학 연구소, 흐로닝언 시의 거리, 라 팔마에 있는 야코뷔스 캅테인 망원경(JKT)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의 딸은 천문학자 에이나르 헤르츠스프룽과 결혼했다.
2. 1. 케이프 사진 성표와 캅테인 별 발견
1896년부터 1900년까지 캅테인은 케이프타운 왕립 천문대의 데이비드 길이 촬영한 사진 건판을 분석하여 남반구의 별 454,875개의 위치와 등급을 목록화한 《케이프 사진 측량법》을 출판했다. 1897년, 이 작업 도중 캅테인은 고유 운동이 가장 큰 캅테인 별을 발견했다. 이 별은 1916년 버나드 별이 발견되기 전까지 알려진 별들 중 고유 운동이 가장 큰 별이었다.2. 2. 이항성류설과 은하 회전 연구
1904년, 캅테인은 별들의 고유 운동을 연구하면서, 별들이 무작위가 아니라 거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두 개의 흐름으로 나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이항성류설이라고 한다. 캅테인의 연구 결과는 훗날 베르틸 린드블라드와 얀 오르트가 은하 회전을 발견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었으며, 은하수가 회전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최초의 증거가 되었다.2. 3. 캅테인 우주 모델
1906년, 캅테인은 여러 방향에서 별의 개수를 세어 은하의 별 분포를 연구하는 계획을 시작했다.[2] 206개 구역에서 별들의 겉보기 등급, 분광형, 시선 속도, 고유 운동을 측정하는 이 방대한 프로젝트는 천문학에서 최초의 조직적인 통계 분석이었으며, 40개 이상의 천문대가 협력했다.[2]1922년, 캅테인은 일생의 역작인 ''항성계의 배열과 운동에 대한 이론의 첫 번째 시도''를 출판했다.[2] 이 책에서 그는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밀도가 감소하는 렌즈 모양의 섬 우주를 묘사한 '캅테인 우주' 모델을 제시했다.[2] 캅테인 우주 모델에서 은하는 크기가 약 4만 광년이며, 태양은 은하 중심에서 약 2천 광년 떨어진 비교적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고 가정했다.[2] 이 모델은 높은 은하 위도에서는 유효했지만, 성간 매질 흡수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은하 평면에서는 실패했다.[2]
캅테인이 사망한 후, 로버트 트럼플러가 성간 적색화의 양이 예상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은하의 크기는 약 10만 광년, 태양의 위치는 은하 중심에서 약 3만 광년 떨어진 곳으로 수정되었다.[2]
3. 은퇴 이후 및 사망
캅테인은 1913년에 제임스 크레이그 왓슨 메달을 수상했다.[2] 1921년 70세의 나이로 은퇴했지만, 그의 전 제자이자 라이덴 천문대의 책임자인 빌렘 데 시터의 요청으로 라이덴으로 돌아가 천문대를 현대 천문학적 표준에 맞게 업그레이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2] 그의 일생의 작품인 《항성계의 배열과 운동에 대한 이론의 첫 번째 시도》는 1922년에 출판되었으며,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밀도가 감소하는 렌즈 모양의 섬 우주를 묘사했는데, 이는 현재 '캅테인 우주'로 알려져 있다.[2] 캅테인은 암스테르담에서 사망했다.[2]
4. 수상 경력 및 기념
'''수상 경력'''
- 영국 왕립 천문학회 금메달 (1902)
- 제임스 크레이그 왓슨 메달 (1913)
- 브루스 메달 (1913)
'''그의 이름을 딴 것'''
참조
[1]
논문
First attempt at a theory of the arrangement and motion of the sidereal system
1922
[2]
서적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www.springerr[...]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2-08-22
[3]
서적
Jacobus Cornelius Kapteyn, Born Investigator of the Heavens
https://dx.doi.org/1[...]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5
[4]
웹사이트
Jacob Cornelius Kapteyn (1851 - 1922)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22
[5]
서적
カラー天文百科
平凡社
1976-03-25
[6]
웹사이트
(818) Kapteynia = 1916YZ = 1929 JC
https://minorplanetc[...]
MPC
2021-08-13
[7]
문서
[8]
서적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http://www.springerr[...]
Springer Publishing
2012-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