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2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부산광역시를 동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 1987년 건설이 제안되어 1999년 1단계 구간(호포역 ~ 서면역)이 개통되었고, 이후 여러 단계의 연장 공사를 거쳐 2016년 벡스코역까지 노선이 확장되었다. 현재는 양산시 양산역까지 운행하며, 향후 양산 도시철도 및 동부산 관광단지 방면으로의 연장 계획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광역시의 도시철도 노선으로, 1999년 개통하여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으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노선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 199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카타니아 지하철
카타니아 지하철은 이탈리아 시칠리아주 카타니아에서 운영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1895년 건설된 협궤 철도 일부를 활용하여 표준궤로 개량 후 1999년 개통되었으며, 현재 확장 공사 중이고 이탈리아 본선 철도와 동일한 가선 방식을 사용한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 북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수영역과 대저역을 잇고, 1, 2,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한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고, 현재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로 운영 중이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증산역 (양산)
증산역(양산)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으로, 2015년 9월 24일 영업을 개시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 고가역이며, 양산공영차고지, 아파트 단지, 상업시설이 인근에 위치하고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 호포역 사이에 있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호포역
호포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고가역으로, 1999년 개통 당시 종착역으로 시작하여 2008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으며, 2면 3선식 승강장을 갖추고 호포차량사업소 입고 열차가 종착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2호선 |
노선 이름 (원어) | 부산교통공사 2호선 2호선(2號線) I Hoseon |
로고 | image_file: South Korea subway logo.svg image_file: Busan Metro Line 2.svg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운영 기관 | 부산교통공사 |
노선 상태 | 운영 중 |
기점 | 장산역 전포역 |
종점 | 양산역 호포역 광안역 양산종합운동장역 |
역 수 | 59 |
노선 수 | 1 |
개통일 | 1999년 6월 30일 |
노선 길이 | 61.9 km |
선로 수 | 2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철화 방식 | 가공전차선 1,500 V DC (양산 - 민락) & (센텀시티 - 장산) 구간 가공강체전선(T-Bar) 1,500 V DC (민락 - 센텀시티) 구간 |
최고 속도 | 80 km/h |
차량 기지 | 호포 차량 사무소 |
사용 차량 | 한진중공업 BTC 2000호대 전동차 |
노선 정보 (한국어) | |
노선 이름 (한글)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노선 이름 (한자) | 釜山交通公社2號線 |
노선 이름 (가타카나) | プサンギョトンゴンサイホソン |
노선 이름 (로마자) | Busan Metro Line 2 |
개통일 (부분 개통 포함) | 1999년 6월 30일 (서면 ~ 호포) 2001년 8월 8일 (금련산 ~ 서면) 2002년 1월 16일 (광안 ~ 금련산) 2002년 8월 29일 (장산 ~ 광안) 2008년 1월 10일 (호포 ~ 양산) |
소유자 | 부산광역시 |
시설 연장 | 47.1 km |
신호 시스템 | ATC/ATP/ATO (수동운전, 자동운전) |
영업 최고 속도 | ATC/ATP/ATO 구간 80km/h |
노선도 | |
![]() |
2. 역사
1987년 12월, 노태우 대통령이 선거 공약으로 2호선 건설을 제시하였다. 1990년 2월 동서시내전철건설에 관한 타당성 조사가 완료되었고, 1991년 5월 건설 기본 계획 확정, 9월 기본 설계가 완료되었다.
1991년 11월 28일 1단계 호포 - 서면 구간이 착공되었고,[2] 1994년 10월 27일 2단계 서면 - 장산 구간이 착공되었다.[2] 1999년 6월 30일, 1단계 구간(호포 - 서면)이 개통되면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의 서면역 환승이 개통되었다.[2]
2001년 8월 8일 2단계 일부 구간(서면 - 금련산)이 개통되었고,[2] 같은 해 12월 21일 3단계 연장 호포 - 양산 구간이 착공되었다.[2] 2002년 1월 16일 광안역이 추가 개통되었으며,[2] 같은 해 8월 29일 2단계 잔여 구간(광안 - 장산)이 개통되었다.[2]
2005년 11월 28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덕천역과 수영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08년 1월 10일 3단계 연장 호포 - 양산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증산역과 부산대양산캠퍼스역은 제외되었다.[2] 2009년 10월 1일 부산대양산캠퍼스역이 개통되었다.[3]
2011년 9월 16일 부산-김해 경전철 개통으로 사상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14년 12월 5일 문전역이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고, 2015년 9월 24일 증산역이 개통되었다.[4] 2016년 6월 30일에는 43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2016년 11월 21일 시립미술관역이 벡스코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30일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으로 벡스코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양산역을 넘어 북정동까지 연장하려던 당초 계획은 양산 시민들의 요청으로 취소되었으며, 대안으로 새로운 경전철 노선(양산 도시철도)이 현재 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
장산역을 넘어 울산시와 연결하는 새로운 경전철 노선 건설 제안이 나오고 있다.
2. 1. 건설 과정
1991년 11월 28일 서면역에서 홉포역까지 1구간 공사가 완료되었고[2], 1994년 10월 27일 장산역에서 서면역(219)까지 2구간 공사가 완료되었다.[2] 1999년 6월 30일 서면역에서 홉포역 구간이 개통되었다.[2]2001년 8월 8일 금련산역에서 서면역 구간이 개통되었고[2], 12월 21일 호포역에서 양산역 구간이 착공되었다.[2] 2002년 1월 16일 광안역에서 금련산역 구간이[2], 8월 29일 장산역에서 광안역 구간이 개통되었다.[2]
2008년 1월 10일 호포역에서 양산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중간의 증산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은 개통되지 않았다.[2] 2009년 10월 1일 부산대양산캠퍼스역이 영업을 시작했고[3], 2015년 9월 24일 증산역이 개업했다.[4]
2. 2. 개통 및 운영
1987년 12월, 노태우 대통령이 선거 공약으로 2호선 건설을 제시하였다. 1990년 2월 동서시내전철건설에 관한 타당성 조사가 완료되었고, 1991년 5월 건설 기본 계획 확정, 9월 기본 설계가 완료되었다.1991년 11월 28일 1단계 호포 - 서면 구간이 착공되었고,[2] 1994년 10월 27일 2단계 서면 - 장산 구간이 착공되었다.[2] 1999년 6월 30일, 1단계 구간(호포 - 서면)이 개통되면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의 서면역 환승이 개통되었다.[2]
2001년 8월 8일 2단계 일부 구간(서면 - 금련산)이 개통되었고,[2] 같은 해 12월 21일 3단계 연장 호포 - 양산 구간이 착공되었다.[2] 2002년 1월 16일 광안역이 추가 개통되었으며,[2] 같은 해 8월 29일 2단계 잔여 구간(광안 - 장산)이 개통되었다.[2]
2005년 11월 28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덕천역과 수영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08년 1월 10일 3단계 연장 호포 - 양산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증산역과 부산대양산캠퍼스역은 제외되었다.[2] 2009년 10월 1일 부산대양산캠퍼스역이 개통되었다.[3]
2011년 9월 16일 부산-김해 경전철 개통으로 사상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14년 12월 5일 문전역이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고, 2015년 9월 24일 증산역이 개통되었다.[4] 2016년 6월 30일에는 43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2016년 11월 21일 시립미술관역이 벡스코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30일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으로 벡스코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양산역에서 북정동까지 3.3km 구간은 2012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2008년 9월 양산시가 양산 도시철도 건설로 계획을 변경하였다.[25] 이 구간은 2026년 상반기에 개통될 예정이며, 양산종합운동장역에서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도록 계획에 반영되었다.[26]
해운대구는 장산역에서 동부산관광단지까지 4.1km 구간 연장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국토해양부에 요청했다.[27] 이 구간에는 가칭 백병원역, 송정KT앞역, 송정역, 동부산관광단지역 등 4개 역이 신설될 예정이었다.[27] 그러나 빨라야 2017년 완공될 예정이었기 때문에,[28] 사업 추진 시기가 늦다는 지적도 있었다.[27]
3. 운영
3. 1. 노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수직으로 구성된 1호선과 대비하여 부산광역시를 수평으로 잇는 노선이다. 해운대구 신시가지에서부터 사상구를 거쳐 경상남도 양산시를 연결한다. 부암 - 호포 구간은 경부선 철도와 유사한 궤도로 이어진다.[7] 특히 동원역의 경우 한국철도공사 소유 부지에 건설되었다.[7]3. 2. 운행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열차는 장산행, 호포행, 양산행이 운행한다. 서면역에서 1호선으로, 덕천역 / 수영역에서 3호선으로, 사상역에서 부산-김해 경전철로, 벡스코역에서 동해선으로 환승이 가능하다.평상시에는 양산 / 호포발 장산행, 장산발 호포 / 양산행, 호포발 양산행 열차가 운행된다. 다만 첫차와 막차 시간에는 각 역의 첫차와 막차 시간을 맞추기 위해 중간 시·종착 열차가 운행된다. 첫차로는 구명발 장산행, 전포발 양산행 열차가 운행된다. 막차로는 양산발 전포행, 장산발 광안행 열차가 운행된다.
하행선은 광안역[8], 호포역이며, 상행선은 전포역[9]이 중간 시·종착역이다. 그러나 대부분 열차는 장산행과 양산행을 반복하여 운행한다.
열차 고장이나 정상 운행이 불가능한 비상시에는 양산발 호포 / 화명 / 사상 / 금련산 / 광안 / 동백행, 호포발 화명 / 사상 / 금련산 / 동백행, 장산발 동백 / 전포행 열차가 운행된다.
3. 3. 차량
부산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용되는 차량은 2000호대 전동차이다. 스테인리스 외장에 초록색 띠가 둘러진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양 끝 칸에는 113명, 중간 칸에는 124명이 정원이다. 현재 6량 1편성으로 운영 중이다.총 56개 편성(336량)이 있으며, 이 중 28개 편성(1편성 ~ 19편성, 21편성, 49편성 ~ 56편성)은 VVVF-IGBT 소자로 개조되었다. 이는 기존 VVVF-GTO 소자의 노후화 및 소음 문제, 핵심 부품 재고 소진에 대비하기 위함이다.[14][15]
2호선 전동차는 1998년~1999년(1단계 개통)과 2001년~2002년(2단계 개통)에 걸쳐 두 차례 반입되었으며, 모두 호포차량사업소에서 경검수 및 중검수를 담당한다.
2호선은 노선 수요에 비해 열차 편성이 많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장산 이후 동부산선과 양산 이후 북정선 연장이 완료된다는 전제 하에 투입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시에는 호포차량기지에 약 5개 편성이 운휴 중이다. 부산불꽃축제 등 수요가 급증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열차가 본선에 투입되지만,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운행되지 않는 편성이 많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승강장에 설치된 스크린도어는 승하차 구간 외의 곳을 통유리와 기계실로 막아놓았기 때문에, 8량으로 증결하려면 스크린도어를 교체해야 한다. 10량 증결은 불가능하다.
3. 4. 3호선 차량 투입 논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수요에 비해 열차가 지나치게 많이 투입되어 평시에는 호포차량기지에 5개 편성이 운휴 중이었다. 그러나 3호선은 수요에 비해 4량 편성에 배차 간격이 조밀하지 못해 전동차를 추가로 필요로 했다.[16][17][18] 부산교통공사는 3호선에 신차를 구입하는 대신 2호선에 남는 차량을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2014년 1월경 2호선에 남는 편성 6개를 3호선에 투입시키기 위해 251 ~ 256편성을 휴차시켰다. 하지만 부산지하철노동조합은 두 노선의 열차 높이 차이가 약 4mm 차이 나고 신호 체계가 달라 사고가 날 수 있다는 이유로 크게 반발했다.[16][17] 결국 부산교통공사는 계획을 철회하고 2014년 3월경에 251 ~ 256편성을 다시 본선에 투입하였다.[18]3. 5. 스크린도어
2016년 6월 30일, 장산역, 전포역, 가야역, 감전역, 덕포역 ~ 구명역, 율리역, 호포역에도 설치가 완료됨에 따라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완비되었다.4. 역 목록
(해운대백병원)
(해운대부민병원)
(시립미술관)
(벡스코·법무법인 대륜)
(박원욱병원)
(KBS·수영구청)
(동명대학교)
(부산고려병원)
(남구청)
(온 종합병원)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사상구청·한국건강관리협회)
(서부터미널)
경부선
(부산도서관)
(방송통신대)
(더퍼스트 피부과의원)
(범어)
(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