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부산광역시를 동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 1987년 건설이 제안되어 1999년 1단계 구간(호포역 ~ 서면역)이 개통되었고, 이후 여러 단계의 연장 공사를 거쳐 2016년 벡스코역까지 노선이 확장되었다. 현재는 양산시 양산역까지 운행하며, 향후 양산 도시철도 및 동부산 관광단지 방면으로의 연장 계획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인천광역시의 도시철도 노선으로, 1999년 개통하여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으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노선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 199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카타니아 지하철
    카타니아 지하철은 이탈리아 시칠리아주 카타니아에서 운영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1895년 건설된 협궤 철도 일부를 활용하여 표준궤로 개량 후 1999년 개통되었으며, 현재 확장 공사 중이고 이탈리아 본선 철도와 동일한 가선 방식을 사용한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 북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수영역과 대저역을 잇고, 1, 2,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한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고, 현재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로 운영 중이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증산역 (양산)
    증산역(양산)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으로, 2015년 9월 24일 영업을 개시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 고가역이며, 양산공영차고지, 아파트 단지, 상업시설이 인근에 위치하고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 호포역 사이에 있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호포역
    호포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고가역으로, 1999년 개통 당시 종착역으로 시작하여 2008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으며, 2면 3선식 승강장을 갖추고 호포차량사업소 입고 열차가 종착한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이름2호선
노선 이름 (원어)부산교통공사 2호선
2호선(2號線)
I Hoseon
로고image_file: South Korea subway logo.svg
image_file: Busan Metro Line 2.svg
노선 종류도시 철도
운영 기관부산교통공사
노선 상태운영 중
기점장산역
전포역
종점양산역
호포역
광안역
양산종합운동장역
역 수59
노선 수1
개통일1999년 6월 30일
노선 길이61.9 km
선로 수2
궤간1,435 mm (표준궤)
전철화 방식가공전차선 1,500 V DC (양산 - 민락) & (센텀시티 - 장산) 구간
가공강체전선(T-Bar) 1,500 V DC (민락 - 센텀시티) 구간
최고 속도80 km/h
차량 기지호포 차량 사무소
사용 차량한진중공업 BTC 2000호대 전동차
노선 정보 (한국어)
노선 이름 (한글)부산 도시철도 2호선
노선 이름 (한자)釜山交通公社2號線
노선 이름 (가타카나)プサンギョトンゴンサイホソン
노선 이름 (로마자)Busan Metro Line 2
개통일 (부분 개통 포함)1999년 6월 30일 (서면 ~ 호포)
2001년 8월 8일 (금련산 ~ 서면)
2002년 1월 16일 (광안 ~ 금련산)
2002년 8월 29일 (장산 ~ 광안)
2008년 1월 10일 (호포 ~ 양산)
소유자부산광역시
시설 연장47.1 km
신호 시스템ATC/ATP/ATO (수동운전, 자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ATC/ATP/ATO 구간 80km/h
노선도
2호선에서 사용되는 2000호대 전동차
2009년 2월 23일 동원역에서 촬영된 2호선 전동차

2. 역사

1987년 12월, 노태우 대통령이 선거 공약으로 2호선 건설을 제시하였다. 1990년 2월 동서시내전철건설에 관한 타당성 조사가 완료되었고, 1991년 5월 건설 기본 계획 확정, 9월 기본 설계가 완료되었다.

1991년 11월 28일 1단계 호포 - 서면 구간이 착공되었고,[2] 1994년 10월 27일 2단계 서면 - 장산 구간이 착공되었다.[2] 1999년 6월 30일, 1단계 구간(호포 - 서면)이 개통되면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의 서면역 환승이 개통되었다.[2]

2001년 8월 8일 2단계 일부 구간(서면 - 금련산)이 개통되었고,[2] 같은 해 12월 21일 3단계 연장 호포 - 양산 구간이 착공되었다.[2] 2002년 1월 16일 광안역이 추가 개통되었으며,[2] 같은 해 8월 29일 2단계 잔여 구간(광안 - 장산)이 개통되었다.[2]

2005년 11월 28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덕천역수영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08년 1월 10일 3단계 연장 호포 - 양산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증산역부산대양산캠퍼스역은 제외되었다.[2] 2009년 10월 1일 부산대양산캠퍼스역이 개통되었다.[3]

2011년 9월 16일 부산-김해 경전철 개통으로 사상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14년 12월 5일 문전역이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고, 2015년 9월 24일 증산역이 개통되었다.[4] 2016년 6월 30일에는 43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2016년 11월 21일 시립미술관역이 벡스코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30일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으로 벡스코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양산역을 넘어 북정동까지 연장하려던 당초 계획은 양산 시민들의 요청으로 취소되었으며, 대안으로 새로운 경전철 노선(양산 도시철도)이 현재 승인 절차를 밟고 있다.

장산역을 넘어 울산시와 연결하는 새로운 경전철 노선 건설 제안이 나오고 있다.

2. 1. 건설 과정

1991년 11월 28일 서면역에서 홉포역까지 1구간 공사가 완료되었고[2], 1994년 10월 27일 장산역에서 서면역(219)까지 2구간 공사가 완료되었다.[2] 1999년 6월 30일 서면역에서 홉포역 구간이 개통되었다.[2]

2001년 8월 8일 금련산역에서 서면역 구간이 개통되었고[2], 12월 21일 호포역에서 양산역 구간이 착공되었다.[2] 2002년 1월 16일 광안역에서 금련산역 구간이[2], 8월 29일 장산역에서 광안역 구간이 개통되었다.[2]

2008년 1월 10일 호포역에서 양산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중간의 증산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은 개통되지 않았다.[2] 2009년 10월 1일 부산대양산캠퍼스역이 영업을 시작했고[3], 2015년 9월 24일 증산역이 개업했다.[4]

2. 2. 개통 및 운영

1987년 12월, 노태우 대통령이 선거 공약으로 2호선 건설을 제시하였다. 1990년 2월 동서시내전철건설에 관한 타당성 조사가 완료되었고, 1991년 5월 건설 기본 계획 확정, 9월 기본 설계가 완료되었다.

1991년 11월 28일 1단계 호포 - 서면 구간이 착공되었고,[2] 1994년 10월 27일 2단계 서면 - 장산 구간이 착공되었다.[2] 1999년 6월 30일, 1단계 구간(호포 - 서면)이 개통되면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의 서면역 환승이 개통되었다.[2]

2001년 8월 8일 2단계 일부 구간(서면 - 금련산)이 개통되었고,[2] 같은 해 12월 21일 3단계 연장 호포 - 양산 구간이 착공되었다.[2] 2002년 1월 16일 광안역이 추가 개통되었으며,[2] 같은 해 8월 29일 2단계 잔여 구간(광안 - 장산)이 개통되었다.[2]

2005년 11월 28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덕천역수영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08년 1월 10일 3단계 연장 호포 - 양산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증산역부산대양산캠퍼스역은 제외되었다.[2] 2009년 10월 1일 부산대양산캠퍼스역이 개통되었다.[3]

2011년 9월 16일 부산-김해 경전철 개통으로 사상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2014년 12월 5일 문전역이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고, 2015년 9월 24일 증산역이 개통되었다.[4] 2016년 6월 30일에는 43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2016년 11월 21일 시립미술관역이 벡스코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30일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으로 벡스코역에서 환승이 가능해졌다.

양산역에서 북정동까지 3.3km 구간은 2012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2008년 9월 양산시양산 도시철도 건설로 계획을 변경하였다.[25] 이 구간은 2026년 상반기에 개통될 예정이며, 양산종합운동장역에서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도록 계획에 반영되었다.[26]

해운대구장산역에서 동부산관광단지까지 4.1km 구간 연장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국토해양부에 요청했다.[27] 이 구간에는 가칭 백병원역, 송정KT앞역, 송정역, 동부산관광단지역 등 4개 역이 신설될 예정이었다.[27] 그러나 빨라야 2017년 완공될 예정이었기 때문에,[28] 사업 추진 시기가 늦다는 지적도 있었다.[27]

3. 운영

3. 1. 노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수직으로 구성된 1호선과 대비하여 부산광역시를 수평으로 잇는 노선이다. 해운대구 신시가지에서부터 사상구를 거쳐 경상남도 양산시를 연결한다. 부암 - 호포 구간은 경부선 철도와 유사한 궤도로 이어진다.[7] 특히 동원역의 경우 한국철도공사 소유 부지에 건설되었다.[7]

3. 2. 운행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열차는 장산행, 호포행, 양산행이 운행한다. 서면역에서 1호선으로, 덕천역 / 수영역에서 3호선으로, 사상역에서 부산-김해 경전철로, 벡스코역에서 동해선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평상시에는 양산 / 호포장산행, 장산호포 / 양산행, 호포양산행 열차가 운행된다. 다만 첫차와 막차 시간에는 각 역의 첫차와 막차 시간을 맞추기 위해 중간 시·종착 열차가 운행된다. 첫차로는 구명장산행, 전포양산행 열차가 운행된다. 막차로는 양산전포행, 장산광안행 열차가 운행된다.

하행선은 광안역[8], 호포역이며, 상행선은 전포역[9]이 중간 시·종착역이다. 그러나 대부분 열차는 장산행과 양산행을 반복하여 운행한다.

열차 고장이나 정상 운행이 불가능한 비상시에는 양산호포 / 화명 / 사상 / 금련산 / 광안 / 동백행, 호포화명 / 사상 / 금련산 / 동백행, 장산동백 / 전포행 열차가 운행된다.

3. 3. 차량

부산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용되는 차량은 2000호대 전동차이다. 스테인리스 외장에 초록색 띠가 둘러진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양 끝 칸에는 113명, 중간 칸에는 124명이 정원이다. 현재 6량 1편성으로 운영 중이다.

총 56개 편성(336량)이 있으며, 이 중 28개 편성(1편성 ~ 19편성, 21편성, 49편성 ~ 56편성)은 VVVF-IGBT 소자로 개조되었다. 이는 기존 VVVF-GTO 소자의 노후화 및 소음 문제, 핵심 부품 재고 소진에 대비하기 위함이다.[14][15]

2호선 전동차는 1998년~1999년(1단계 개통)과 2001년~2002년(2단계 개통)에 걸쳐 두 차례 반입되었으며, 모두 호포차량사업소에서 경검수 및 중검수를 담당한다.

2호선은 노선 수요에 비해 열차 편성이 많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장산 이후 동부산선과 양산 이후 북정선 연장이 완료된다는 전제 하에 투입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시에는 호포차량기지에 약 5개 편성이 운휴 중이다. 부산불꽃축제 등 수요가 급증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열차가 본선에 투입되지만,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운행되지 않는 편성이 많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승강장에 설치된 스크린도어는 승하차 구간 외의 곳을 통유리와 기계실로 막아놓았기 때문에, 8량으로 증결하려면 스크린도어를 교체해야 한다. 10량 증결은 불가능하다.

3. 4. 3호선 차량 투입 논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수요에 비해 열차가 지나치게 많이 투입되어 평시에는 호포차량기지에 5개 편성이 운휴 중이었다. 그러나 3호선은 수요에 비해 4량 편성에 배차 간격이 조밀하지 못해 전동차를 추가로 필요로 했다.[16][17][18] 부산교통공사3호선에 신차를 구입하는 대신 2호선에 남는 차량을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2014년 1월경 2호선에 남는 편성 6개를 3호선에 투입시키기 위해 251 ~ 256편성을 휴차시켰다. 하지만 부산지하철노동조합은 두 노선의 열차 높이 차이가 약 4mm 차이 나고 신호 체계가 달라 사고가 날 수 있다는 이유로 크게 반발했다.[16][17] 결국 부산교통공사는 계획을 철회하고 2014년 3월경에 251 ~ 256편성을 다시 본선에 투입하였다.[18]

3. 5. 스크린도어

2016년 6월 30일, 장산역, 전포역, 가야역, 감전역, 덕포역 ~ 구명역, 율리역, 호포역에도 설치가 완료됨에 따라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완비되었다.

4. 역 목록

(해운대백병원)Jangsan萇山萇山-0.0부산광역시해운대구202중동Jung-dong中洞中洞0.90.9203해운대
(해운대부민병원)Haeundae海雲台海雲臺0.91.8204동백Dongbaek冬柏冬柏1.23.0205벡스코
(시립미술관)BEXCOペクスコ동해선()1.14.1206센텀시티
(벡스코·법무법인 대륜)Centum Cityセンタムシティ0.84.9207민락Millak民樂民樂1.05.9수영구208수영Suyeong水営水營0.96.8209광안
(박원욱병원)Gwangan広安廣安0.97.7210금련산Geumnyeonsan金蓮山金蓮山0.98.6211남천
(KBS·수영구청)Namcheon南川南川0.99.5212경성대·부경대
(동명대학교)Kyunsung Univ.·Pukyong Nat'l Univ.慶星大学·釜慶大学慶星大·釜慶大0.810.3남구213대연
(부산고려병원)Daeyeon大淵大淵0.911.2214못골
(남구청)Motgolモッコル池谷0.711.9215지게골Jigegolチゲゴル支架谷0.912.8216문현Munhyeon門峴門峴0.813.6217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19]Busan Int'l Finance Center·Busan Bank釜山国際金融センター·釜山銀行釜山國際金融센터·釜山銀行0.814.4218전포Jeonpo田浦田浦0.815.2부산진구219서면Seomyeon西面西面1.116.3220부암
(온 종합병원)Buam釜岩釜岩0.817.1221가야Gaya伽倻伽倻0.717.8222동의대Dong-eui Univ.東義大学東義大0.918.7223개금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Gaegeum開琴開琴1.119.8224냉정Naengjeong冷井冷井0.820.6사상구225주례Jurye周礼周禮0.921.5226감전
(사상구청·한국건강관리협회)Gamjeon甘田甘田1.222.7227사상
(서부터미널)Sasang沙上沙上
경부선1.123.8228덕포
(부산도서관)Deokpo徳浦德浦1.225.0229모덕Modeok毛徳毛德0.825.8230모라Mora毛羅毛羅1.026.8231구남Gunam亀南龜南1.127.9북구232구명Gumyeong亀明龜明0.728.6233덕천Deokcheon徳川德川1.229.8234수정
(방송통신대)Sujeong水亭水亭1.531.3235화명
(더퍼스트 피부과의원)Hwamyeong華明華明경부선1.532.8236율리Yulli栗里栗里1.234.0237동원Dongwon東院東院1.535.5238금곡Geumgok金谷金谷1.036.5239호포Hopo湖浦湖浦1.538.0경상남도양산시240증산Jeungsan甑山甑山3.541.5241부산대양산캠퍼스Pusan Nat'l Univ. Yangsan Campus釜山大学梁山キャンパス釜山大梁山分校1.042.5242남양산
(범어)Namyangsan南梁山南梁山1.143.6243양산
(시청)Yangsan梁山梁山1.645.2



2011년 1월 1일에 개정된 동해선 역명혼동 방지를 위한 역명심의위윈회에서 시립미술관역을 벡스코역으로 변경하였다.[20]

5. 양산선 (2호선 3단계)

양산선은 2호선 호포역에서 양산시 북정동까지 계획되었던 2호선 3단계 구간의 다른 이름이었다. 공식 명칭은 아니지만 건설 및 운영을 맡고 있는 부산교통공사에서도 이 명칭을 사용했었다.[15] 현재는 노포~북정 신설 구간을 양산선으로 부르고 있다.

2008년 1월 10일호포역에서 양산역 구간만 완공되어 운영하고 있다.[15] 양산신도시와 부산광역시의 상호간 연계와 주민들의 교통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노선으로, 역과 역 사이 소요시간은 2호선의 부산광역시 시내 구간과 비슷하며, 시내버스와 달리 별도의 시계외 요금은 수수하지 않는다.

양산선 8 km (영업연장 7.2 km) 구간은 1997년 2월에 착공하여 총 3,615억 원이 투입되었으며 연인원 54만 9천여 명, 107개의 업체가 참여했으며 레미콘이 194,000여 m3, 철근이 31,000여 톤이 사용되었다.

개통이 가까워지면서 양산선 계획 당시의 수요 예측과 개통을 앞둔 시기에서의 수요예측 결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개통 연기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양산선 건설 당시 수요를 예측했던(1995) 한국교통연구원(KOTI)에서는 2011년 일일 45,957명이 이용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2006년에 부산발전연구원(BDI)에서는 2010년 일일 4,645명이 이용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였기 때문이다.[21] 부산광역시양산시 간의 협약이 제대로 성사되지 않은 상황에서 양산선이 개통되어 당분간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협약에 의한 적자 보전이 예상된다.

부산 도시철도의 광역화 첫 단계인 양산선 1구간 개통 이후, 양산 시민들의 부산으로의 통근·통학이 훨씬 쉬워졌다. 그러나 역들이 건설 당시의 예측치에 크게 못미쳐 부산 도시철도의 누적 적자의 한 요인이 되고 있으나, 석산, 증산 등 물금신도시 개발이 완료되고 증산역이 영업을 시작한 후에는 상황이 호전될 전망이다.

배차 간격은 최대 15분에서 최소 4분 정도로 다양하다. 새벽 / 첫차/막차 시간에는 15분 간격이며 출퇴근 시간에는 4분에서 6분 간격, 낮 시간에는 7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출퇴근 시간대를 제외한 시간대의 경우 배차 간격이 20분일 때도 있어 일부 시민들이 큰 불편을 호소하자, 부산교통공사에서는 이러한 주민들의 민원을 수용하여 양산구간의 배차 간격을 14분 30초로 단축시켰다.[22] 2009년 8월에는 05시와 06시 사이와 22시와 23시 사이 시간을 제외 하고는 배차간격이 20분이 넘어가진 않는다.[23]2021년 8월 현재 양산구간은 출퇴근시 4~6분, 평시 7분, 코로나 4단계 격상으로 22시 이후 운행 대수 20% 감축으로 인해 10분~15분이다.

양산구간 개통 이후 호포역이나 부산 시내까지 운행하던 양산 시내버스의 이용객이 크게 감소하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 또한 일고 있다.[24] 2011년 5월 21일 부로 시행된 광역환승제로 인해 시내버스들의 상황이 다소 나아진 편이다.

6. 향후 계획

양산역에서 북정역(양산시 북정동)까지 3.3 km 구간은 2012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했으나, 2008년 9월 양산시양산 도시철도(노포-사송-북정) 건설이 경제적이라고 판단해 계획을 변경하였다.[25] 이 구간은 2026년 상반기에 개통될 예정이며, 양산역까지 운행 중인 2호선을 400m 연장해 양산종합운동장역에서 환승이 가능하도록 기본 계획에 반영하였다.[26] 북정동으로 직결하는 대신, 양산종합운동장역 1개만 신설하기로 했다.

장산역에서 송정동 및 동부산관광단지(오시리아)까지 5 ~ 6km 거리에 6개 역이 신설될 예정이며, 해운대구는 이에 대한 경제성 용역 평가를 마쳤다. 국토해양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요청한 사업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역에서 동부산관광단지까지 4.1㎞ 구간이다.[27]

가칭 백병원역, 송정KT앞역, 송정역, 동부산관광단지역 등 모두 4개 역 건설이 추진될 것이라는 소식에 해운대신도시와 송정동 주민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도시철도 2호선이 연장될 경우 동부산관광단지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27]

2호선 연장은 현재 계획대로라면 빨라야 2017년 완공될 예정이었지만[28], 세계적인 관광단지로 개발하겠다는 부산광역시의 계획을 고려하면 사업 추진 시기가 늦은감이 없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기장군 관계자는 "정관신도시의 인구가 급속히 늘어나고 기장군에 있는 각종 산업단지와 관광인프라시설이 구축될 경우 동부산지역의 대중교통망 건설에 대한 예산이 크게 늘어날 수 밖에 없다."라며 도시철도 연장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27]

7. 안전 및 시설 등급

2022년 2월 1일 부산지하철 2호선 광안 ~ 벡스코 구간 토목구조물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결과 광안 ~ 센텀시티 구간은 '''B등급'''(양호), 센텀시티 ~ 벡스코 구간은 '''A등급'''(우수)으로 지정되었다. 2006년 준공 후 두 번째 정밀안전진단이었다.

등급이 공개된 시설물은 경남 산청양수댐,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전남 장성3터널 등 3개로,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시설물안전법)에 따라 관리원의 정밀안전진단 전담시설물로 고시되어 있다.

8. 반대편 승강장 횡단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는 역이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 비하면 적지만, 비교적 많은 편이다.

2호선에서 개찰구가 승강장별로 분리되어 있어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는 역은 양산역, 증산역, 금곡역, 율리역, 화명역, 수정역, 구명역, 구남역, 모라역, 모덕역, 덕포역, 사상역, 감전역, 주례역, 냉정역, 민락역, 센텀시티역, 벡스코역, 동백역, 중동역까지 총 20개 역이다. 덕천역은 환승 통로를 이용해 횡단이 가능하다.

참조

[1] 뉴스 부산도시철도 양산선 노선 확정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2-08-30
[2] 웹사이트 沿革 http://www.humetro.b[...]
[3] 뉴스 호포~양산 도시철도 내달 개통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09-09-21
[4] 뉴스 부산도시철도 2호선 증산역 24일부터 운영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9-23
[5] 웹사이트 交通手段 > 市内交通 > 都市鉄道 http://japanese.busa[...]
[6] 기타
[7] 기타
[8] 기타
[9] 기타
[10] 기타
[11] 기타
[12] 뉴스인용 국토안전관리, 산청양수댐·부산지하철 2호선·전남 장성3터널 안전 등급 공개 https://www.onews.tv[...] 2022-02-01
[13] 뉴스인용 국토안전관리원, 산청양수댐·장성3터널 '양호' https://www.fnnews.c[...] 2022-02-01
[14] 기타
[15] 기타
[16] 기타
[17] 기타
[18] 뉴스인용 2호선 전동차 3호선 투입 논란 http://www.knn.co.kr[...] KNN 2013-12-29
[19] 기타
[20] 뉴스인용 부산지하철 '시립미술관역→벡스코(시립미술관역)' 변경 http://www.yonhapnew[...] 2016-10-19
[21] 기타
[22] 뉴스인용 지하철 2호선 양산선 배차간격 단축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09-04-15
[23] 웹사이트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 양산역 열차시간표 http://www.humetro.b[...]
[24] 뉴스인용 양산버스 "지하철 때문에…"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08-01-25
[25] 뉴스인용 "지하철 연장 대신 경전철"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08-09-26
[26] 뉴스인용 부산 노포동~양산 북정동 도시철도 내년 착공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15-03-09
[27] 뉴스인용 도시철도 연장 추진에 동부산 '들썩' https://www.yna.co.k[...] 2010-06-16
[28] 기타
[29] 저널인용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3-26
[30] 웹사이트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편〕 https://policy.nl.go[...]
[31] 웹사이트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32]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http://www.yooshin.c[...]
[33]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http://its.busan.go.[...]
[34]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35] 웹사이트 원효터널외 1개 구조물 비파괴검사(터널스캐너) 조사 - 과업내용서, 평산고가 (경부고속) https://www.kalis.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