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안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안시는 두 개의 눈을 사용하여 얻는 시각적 정보의 통합을 의미한다. 이는 "두 배"를 뜻하는 "bini"와 "눈"을 뜻하는 "oculus"의 합성어에서 유래되었다. 일부 동물은 넓은 시야를 위해 머리 양쪽에 눈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동물은 양안 시야와 입체시를 위해 머리 앞쪽에 눈을 가지고 있다. 양안 시야는 깊이 지각 능력에 기여하며, 눈의 움직임, 시야, 그리고 양안 가중, 양안 상호작용, 단일 시야, 입체시 등의 요소를 포함한다. 양안 시력 이상은 사시, 복시, 안구 피로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가림-가리기 검사, 근점 수렴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테레오스코피 - 입체시
    입체시는 양안시차와 단안 단서를 이용해 깊이를 인지하는 능력으로, 조거리 및 미세 입체시로 나뉘며, 뇌는 다양한 단서를 결합하여 3차원 위치를 감지하고, 개인차가 존재하며 시각 훈련으로 개선될 수 있고 여러 동물에게서도 관찰된다.
  • 스테레오스코피 - 3차원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는 인간 시각 원리를 활용해 입체감을 제공하는 기술로, 양쪽 눈에 다른 이미지를 보여 뇌에서 3D 깊이를 인지하게 하는 방식이며, 안경식과 무안경식으로 나뉘어 영화, 게임, 증강 현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시각 - 영상
    영상은 이미지 제작의 역사, 종류, 기술적 측면, 사회문화적 의미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기록, 종교, 소통 등 다양한 역할을 해왔고, 양식, 기술, 사회문화적 맥락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된다.
  • 시각 - 시각 장애
    시각 장애는 시각 체계 손상으로 발생하는 시력 저하 또는 상실을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정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구분되며 개인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지만, 보조 수단과 재활 훈련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
양안시
개요
두 눈을 사용하여 시각 정보를 얻는 과정
두 눈을 사용하여 시각 정보를 얻는 과정
설명양안시는 두 눈을 사용하여 하나의 시각 이미지를 형성하는 시각의 한 형태이다.
관련 용어시각
단안시
입체 시각
양안 융합
주시안
사시
복시
특징
시야양안시는 단안시보다 더 넓은 시야를 제공하며, 시야의 사각지대를 줄여준다.
입체 시각두 눈의 시각 정보를 융합하여 깊이 지각을 가능하게 한다.
물체의 거리와 공간적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준다.
양안 시력 향상두 눈의 시각 정보를 통합하여 시력의 질을 향상시킨다.
흐릿한 이미지를 더 선명하게 만들고, 대비 감도를 높여준다.
눈의 피로 감소두 눈이 협력하여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특히 근거리 작업을 할 때 눈의 부담을 덜어준다.
작용 원리
시각 정보 획득각각의 눈은 물체로부터 약간 다른 이미지를 획득한다.
시각 정보 융합뇌는 두 눈에서 얻은 이미지를 융합하여 하나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한다.
깊이 지각두 이미지의 차이(양안 부등)를 이용하여 물체의 거리와 깊이를 지각한다.
이 과정을 통해 입체적인 시각 경험을 얻는다.
임상적 중요성
사시두 눈의 시선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양안시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복시하나의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현상으로, 양안 융합의 문제로 발생할 수 있다.
양안 부등시두 눈의 시력 차이가 큰 경우로, 입체 시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치료시력 교정, 시력 훈련, 수술 등을 통해 양안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기타
주시안두 눈 중 시각 정보를 더 많이 사용하는 눈을 의미한다.
중요성걷기, 물건 잡기 등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양안시의 어원

"양안시"라는 용어는 라틴어 어근 "bini"(두 배)와 "oculus"(눈)에서 유래되었다.[13]

3. 시야와 눈의 움직임

비둘기와 부엉이의 시야 비교


관두루미: 옆에 위치한 눈을 가지고 있고 앞을 향할 수도 있는 동물


동물의 시야와 눈의 움직임은 피식자와 포식자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인다. 피식자 동물들은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머리 양쪽에 눈이 위치하며, 토끼, 버팔로, 영양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눈을 독립적으로 움직여 넓은 시야를 확보하며, 일부 조류는 눈을 움직이지 않고도 360도 시야를 가진다.

반면, 포식자 동물들은 머리 앞쪽에 두 눈이 위치하여 양안시를 확보하고 입체시를 통해 깊이를 인식한다. 영장류, 식육류, 맹금류가 대표적이다. 향유고래나 범고래처럼 머리 양쪽에 눈이 있는 일부 포식 동물도 어느 정도 양안시를 가질 수 있다.[14] 과일박쥐나 영장류처럼 포식자가 아닌 동물들도 깊이 구별/지각을 위해 앞을 향한 눈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머리에 대한 지점의 방향은 시각 방향 또는 버전이라 하고, 두 눈의 시선 사이 각도는 절대 차이, 양안 시차 또는 수렴이라 한다. 이들의 관계는 헤링의 시각 방향 법칙으로 설명된다.

앞을 향한 눈을 가진 동물들은 일반적으로 눈을 함께 움직이며, 융합적(같은 방향) 또는 이탈적(반대 방향) 눈 움직임을 보인다. 인간(및 대부분의 동물)에서 이러한 눈 움직임의 관계는 헤링의 동일 신경 지배 법칙으로 설명된다.

찌르레기는 넓은 시야를 위해 옆에 눈이 위치하면서도, 앞을 향해 움직여 입체시를 얻을 수 있다. 카멜레온포탑처럼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눈을 가졌지만, 사냥 시에는 두 눈을 한 물체에 집중시켜 수렴과 입체시를 활용한다.

3. 1. 시야



일부 동물들(대개 피식자 동물들)은 가장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머리 양쪽에 눈이 위치해 있다. 예로는 토끼, 버팔로, 영양 등이 있다. 이러한 동물들의 눈은 시야를 넓히기 위해 종종 독립적으로 움직인다. 심지어 눈을 움직이지 않고도 일부 조류는 360도 시야를 가지고 있다.

다른 일부 동물들(대개 포식자 동물들)은 머리 앞쪽에 두 눈이 위치하여 양안 시야를 확보하고 입체시를 위해 시야를 줄인다. 그러나 앞을 향한 눈은 척추동물에서 고도로 진화된 특징이며, 진정으로 정면을 향한 눈을 가진 현존하는 척추동물 그룹은 영장류, 식육류, 맹금류 세 개뿐이다.

일부 포식 동물, 특히 향유고래나 범고래와 같이 큰 동물은 머리 양쪽에 두 눈이 위치해 있지만, 어느 정도 양안 시야를 가질 수 있다.[14] 과일박쥐와 다수의 영장류와 같이 반드시 포식자는 아닌 다른 동물들도 앞을 향한 눈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미세한 깊이 구별/지각이 필요한 동물들이다. 예를 들어, 양안 시야는 선택한 과일을 고르거나 특정 나뭇가지를 찾아 잡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머리에 대한 지점의 방향 (정면 위치와, 자아 중심에서 지점의 겉보기 위치 사이의 각도)을 시각 방향 또는 버전이라고 한다. 한 지점에 고정될 때 두 눈의 시선 사이의 각도를 절대 차이, 양안 시차 또는 수렴 요구(보통 단순히 수렴)라고 한다. 두 눈의 위치, 버전 및 수렴 사이의 관계는 헤링의 시각 방향 법칙에 의해 설명된다.

앞을 향한 눈을 가진 동물들은 일반적으로 눈이 함께 움직인다.

눈의 움직임은 융합적(같은 방향) 버전 눈의 움직임이거나, 일반적으로 안구 운동 또는 매끄러운 추적 (또한 안진 및 전정안 반사)으로 설명된다. 또는 이들은 이탈적(반대 방향) 수렴 눈의 움직임이다. 인간(및 대부분의 동물)에서 버전과 수렴 눈의 움직임 사이의 관계는 헤링의 동일 신경 지배 법칙에 의해 설명된다.

일부 동물은 위의 두 전략을 모두 사용한다. 예를 들어 찌르레기는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옆에 눈이 위치해 있지만, 또한 앞을 향하도록 함께 움직여 시야가 겹쳐 입체시를 제공할 수 있다. 놀라운 예는 카멜레온인데, 눈이 마치 포탑에 장착된 것처럼 보이며, 각 눈이 위아래, 좌우로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멜레온은 사냥할 때 두 눈을 모두 하나의 물체에 집중시켜 수렴과 입체시를 보여준다.

3. 2. 눈의 움직임



눈의 움직임은 융합적(같은 방향)인 버전 눈 움직임(일반적으로 안구 운동 또는 매끄러운 추적, 안진, 전정안 반사 등으로 설명됨)이거나, 이탈적(반대 방향)인 수렴 눈 움직임이다. 인간(및 대부분의 동물)에서 버전과 수렴 눈 움직임 사이의 관계는 헤링의 동일 신경 지배 법칙에 의해 설명된다.

일부 동물은 위에서 언급된 두 가지 전략을 모두 사용한다. 예를 들어 찌르레기는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옆에 눈이 위치해 있지만, 앞을 향하도록 함께 움직여 시야가 겹쳐 입체시를 제공할 수 있다. 놀라운 예는 카멜레온인데, 눈이 마치 포탑에 장착된 것처럼 보이며, 각 눈이 위아래, 좌우로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멜레온은 사냥할 때 두 눈을 모두 하나의 물체에 집중시켜 수렴과 입체시를 보여준다.

4. 양안 가중

양안 가중은 한쪽 눈으로 자극을 감지하는 것보다 두 눈으로 자극을 감지하는 임계값이 더 낮은 과정이다.[15] 양안 시력과 단안 시력을 비교할 때 다양한 종류의 가능성이 있다.[15] 신경 양안 가중은 양안 반응이 확률 가중보다 클 때 발생한다. 확률 가중은 눈 사이의 완전한 독립성을 가정하며 9-25% 사이의 비율을 예측한다. 양안 억제는 양안 시력이 단안 시력보다 낮을 때 발생한다. 이것은 약한 눈이 좋은 눈에 영향을 미치고 전체적인 결합 시력을 유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15] 최대 양안 가중은 단안 민감도가 동일할 때 발생한다. 불균등한 단안 민감도는 양안 가중을 감소시킨다. 단안 백내장약시와 같은 시력 장애는 불균등한 민감도를 보인다.[15] 양안 가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으로는 공간 주파수, 자극된 망막 점, 시간 간격 등이 있다.[15]

5. 양안 상호작용

동공 크기는 한쪽 눈에 들어오는 빛이 양쪽 눈의 동공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친구가 다른 쪽 눈을 감은 상태에서 친구의 눈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는데, 다른 쪽 눈이 뜨여 있으면 첫 번째 눈의 동공은 작고, 다른 쪽 눈이 감겨 있으면 첫 번째 눈의 동공은 커진다.

조절 및 폭주에서 조절은 눈의 초점 상태를 말한다. 한쪽 눈이 뜨여 있고 다른 쪽 눈이 감겨 있을 때 가까운 곳에 초점을 맞추면 감긴 눈의 조절은 뜬 눈과 같아진다. 또한 감긴 눈은 물체를 향해 수렴하는 경향이 있다. 조절과 폭주는 반사 작용으로 연결되어 있어 하나가 다른 하나를 유발한다.

눈 간 전달은 한쪽 눈의 적응 상태가 다른 쪽 눈의 명순응 상태에 작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현상이다. 한쪽 눈을 통해 유도된 잔상은 다른 쪽 눈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6. 단일 시야

시야가 겹치면 동일한 물체에 대한 좌우 눈의 이미지 사이에 혼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두 가지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는데, 하나의 이미지를 억제하여 다른 이미지만 보이도록 하거나, 두 이미지를 융합하는 것이다. 단일 물체의 두 이미지가 보이면 이를 복시라고 한다. 이미지 융합(일반적으로 '양안 융합'이라고 함)은 눈이 고정되는 주변의 작은 시각 공간에서만 발생한다.

6. 1. 단일 시야의 원리

시야가 겹치면 동일한 물체에 대한 좌우 눈의 이미지 사이에 혼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두 가지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는데, 하나의 이미지를 억제하여 다른 이미지만 보이도록 하거나, 두 이미지를 융합하는 것이다. 단일 물체의 두 이미지가 보이면 이를 복시라고 한다.

이미지 융합(일반적으로 '양안 융합'이라고 함)은 눈이 고정되는 주변의 작은 시각 공간에서만 발생한다. 수평면에서 고정점을 통과하는 것은 두 눈의 해당 망막점에 물체가 떨어지는 곡선이다. 이 선을 경험적 수평 호롭터라고 한다. 또한 경험적 수직 호롭터가 있는데, 이는 고정점 위에서는 눈에서 멀어지고 고정점 아래에서는 눈을 향하여 기울어져 있다. 수평 및 수직 호롭터는 시야의 단일성 부피의 중심을 나타낸다. 이 얇고 곡선으로 된 부피 내에서 호롭터보다 가깝고 먼 물체는 단일로 보인다. 이 부피를 파눔 융합 영역이라고 한다(파눔이 수평면에서만 측정했기 때문에 영역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파눔 융합 영역(부피) 외부에서는 복시가 발생한다.

6. 2. 눈 지배 (우세안)

두 눈 각각이 사물의 자체적인 이미지를 가질 때, 파눔 융합 영역 밖의 이미지를 영역 안의 이미지와 정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16] 이는 손가락으로 먼 물체를 가리킬 때 발생한다. 손가락 끝을 볼 때는 하나로 보이지만, 먼 물체는 두 개의 이미지로 보인다. 먼 물체를 볼 때는 하나로 보이지만 손가락 끝은 두 개의 이미지로 보인다. 성공적으로 가리키려면, 이중 이미지 중 하나가 우선시되고 다른 하나는 무시되거나 억제되어야 한다(이를 "눈 지배"라고 한다). 물체로 더 빠르게 움직이고 그것을 주시할 수 있는 눈이 '''우세안'''으로 불릴 가능성이 더 높다.[16]

7. 입체시

양안시에서 시야가 겹치는 것은 머리에서 눈의 위치 때문이며, 이를 통해 각 눈은 약간 다른 관점에서 물체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시야 중첩의 결과로 깊이를 인식하게 된다.[17] 입체시는 정상적인 양안시를 가진 사람이 두 눈으로 장면을 볼 때 깊이를 느끼는 현상이다.[17]

7. 1. 입체시의 원리

시야가 중첩되는 것은 머리에서 눈의 위치 때문에 발생한다(눈은 머리 측면이 아닌 앞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중첩을 통해 각 눈은 약간 다른 관점에서 물체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시야 중첩의 결과로 양안시는 깊이를 제공한다.[17] 입체시(스테레오-는 "고체" 또는 "3차원"을 의미하고, 옵시스는 "외관" 또는 "시각"을 의미)는 정상적인 양안시를 가진 사람이 두 눈으로 장면을 볼 때 인식되는 깊이의 인상이다.[17] 장면을 양안으로 보면 머리에 있는 눈의 다른 위치 때문에 두 눈에 약간 다른 두 개의 장면 이미지가 생성된다. 이러한 차이점을 양안 부등이라고 하며, 뇌가 시각 장면의 깊이를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깊이 인식의 주요 수단을 제공한다.[17] 입체시에는 입체시를 지정하는 자극 정보의 특성과 해당 정보를 등록하는 뇌 과정의 특성, 두 가지 측면이 있다.[17] 성인의 두 눈 사이의 거리는 거의 항상 6.5cm이며, 한쪽 눈으로 볼 때 이미지의 이동 거리와 같다.[17] 망막 부등은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이 보는 물체 사이의 간격이며 깊이 인식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17] 망막 부등은 두 물체 사이의 상대적인 깊이를 제공하지만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깊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물체가 서로 가까울수록 망막 부등이 작아진다. 물체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망막 부등이 더 커진다. 물체가 같은 거리에 있으면 두 눈은 물체를 동일하게 보며 부등이 0이다.[17]

7. 2. 입체시와 관련된 요소

시야의 중첩은 머리에서 눈의 위치 때문에 발생한다(눈은 머리 측면이 아닌 앞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중첩을 통해 각 눈은 약간 다른 관점에서 물체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시야 중첩의 결과로 양안시는 깊이를 제공한다.[17] 입체시(스테레오-는 "고체" 또는 "3차원"을 의미하고, 옵시스는 "외관" 또는 "시각"을 의미하는 데서 유래)는 정상적인 양안시를 가진 사람이 두 눈으로 장면을 볼 때 인식되는 깊이의 인상이다.[17] 장면을 양안으로 보면 머리에 있는 눈의 다른 위치 때문에 두 눈에 약간 다른 두 개의 장면 이미지가 생성된다. 이러한 차이점은 양안 부등이라고 하며, 뇌가 시각 장면의 깊이를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깊이 인식의 주요 수단을 제공한다.[17] 입체시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는데, 입체시를 지정하는 자극 정보의 특성과 해당 정보를 등록하는 뇌 과정의 특성이다.[17] 성인의 두 눈 사이의 거리는 거의 항상 6.5cm이며, 한쪽 눈으로 볼 때 이미지의 이동 거리와 같다.[17] 망막 부등은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이 보는 물체 사이의 간격이며 깊이 인식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17] 망막 부등은 두 물체 사이의 상대적인 깊이를 제공하지만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깊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물체가 서로 가까울수록 망막 부등이 작아진다. 물체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망막 부등이 더 커진다. 물체가 같은 거리에 있으면 두 눈은 물체를 동일하게 보며 부등이 0이다.[17]

8. 알레로트로피아

눈은 머리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기 때문에, 주시점과 호롭터 평면에서 벗어난 모든 물체는 각 눈에서 서로 다른 시각 방향을 갖는다. 그러나 물체의 두 단안 이미지가 융합되어 사이클로피안 이미지를 생성할 때, 물체는 새로운 시각 방향을 갖게 되는데, 이는 본질적으로 두 단안 시각 방향의 평균이다. 이를 알레로트로피아라고 한다.[8]

새로운 시각 방향의 기원은 두 눈 사이의 대략적인 지점, 소위 사이클로피안 눈이다. 사이클로피안 눈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두 눈의 정중앙에 있지 않고, 우세안에 더 가깝다.

9. 양안시 경쟁

두 눈의 동일한 망막 영역에 매우 다른 이미지가 제시되면, 지각은 잠시 동안 하나에 정착한 다음 다른 하나, 그리고 다시 첫 번째 이미지 등으로 번갈아 나타난다. 두 눈의 이미지 사이에서 이러한 지각의 교체를 양안시 경쟁이라고 한다.[18] 인간은 한 번에 이미지를 완전히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양안시 경쟁이 발생한다. 컨텍스트, 대비 증가, 움직임, 공간 주파수 및 반전된 이미지 등 여러 요인이 두 이미지 중 하나에 대한 시선의 지속 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8] 최근 연구에 따르면 얼굴 표정이 특정 이미지에 더 오래 주의를 기울이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8] 한쪽 눈에 감정적인 얼굴 표정이, 다른 눈에는 중립적인 표정이 제시되면, 감정적인 얼굴이 중립적인 얼굴을 지배하고 심지어 중립적인 얼굴이 보이지 않게 한다.[18]

10. 양안시 이상

시력의 입체감과 단일 시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눈의 정확한 정렬이 필요하다. 각 눈의 눈확 내 위치는 6개의 눈 바깥 근육에 의해 제어된다. 두 눈의 동일한 근육의 길이, 삽입 위치 또는 강도의 약간의 차이는 특히 피로할 때 한쪽 눈이 다른 쪽 눈과 달리 눈확 내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경향을 유발할 수 있다.

어느 정도까지는 양안 부등시가 시각 시스템의 조절을 통해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 양안 시력의 결함이 너무 크다면, 예를 들어 시각 시스템이 과도한 수평, 수직, 비틀림 또는 부등상시 편차에 적응해야 한다면, 눈은 양안 시력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사시 상태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

10. 1. 양안시 이상의 종류

양안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두 눈이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각 눈의 눈확 내 위치는 6개의 눈 바깥 근육에 의해 제어된다. 두 눈의 동일한 근육에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면 한쪽 눈이 다른 쪽 눈과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경향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사위(포리아)라고 한다. 가림-가리기 검사를 통해 사위를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느 정도의 외사위 또는 내사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매우 정상적인 현상이다.[19]

가림-가리기 검사는 양안 시력의 더 심각한 장애인 사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사시는 약시를 동반할 수 있다.[15]

양안 시력 이상에는 복시(겹쳐 보임), 시각적 혼란, 억제(뇌가 한쪽 눈의 시야를 무시하는 경우), 공포 융합(눈의 정렬 불량으로 인해 융합을 피하는 현상), 이상 망막 대응 등이 포함된다.

양안 시력 이상은 가장 흔한 시각 장애 중 하나이며, 두통, 안구 피로, 눈의 통증, 흐린 시야, 때때로 복시와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20] 안과 진료소를 찾는 환자의 약 20%가 양안 시력 이상을 가지고 있다.[20] 최근 많은 어린이들이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면서 다양한 양안 시력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21] 시각 이상을 진단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근점 수렴 검사이다.[20]

어느 정도까지는 양안 부등시가 시각 시스템의 조절을 통해 보상될 수 있지만, 양안 시력의 결함이 너무 크면 눈은 양안 시력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궁극적으로 사시 상태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

10. 2. 양안시 이상의 원인 및 증상

눈의 정확한 정렬은 입체감 있는 시력과 단일 시야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각 눈의 눈확 내 위치는 6개의 눈 바깥 근육에 의해 조절된다. 두 눈의 동일한 근육에서 나타나는 약간의 차이(길이, 삽입 위치, 강도 등)는 특히 피로할 때 한쪽 눈이 다른 쪽 눈과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경향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를 포리아(사위)라고 한다.[19]

가림-가리기 검사를 통해 포리아를 확인할 수 있다. 검사 시 협조자의 한쪽 눈을 가리고 손가락 끝을 보게 한 후, 손가락을 움직여 가려진 눈의 융합 위치 고정 반사를 깨뜨린다. 이후 손가락을 멈추고 가린 눈을 떼었을 때, 가려지지 않은 눈이 빠르게 움직여 올바른 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만약 가려지지 않은 눈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움직였다면 내사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움직였다면 외사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느 정도의 외사위 또는 내사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정상적인 현상이다. 드물게 수직 움직임이 관찰될 경우 상사위(눈이 아래에서 위로 움직이는 경우) 또는 하사위(눈이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는 경우)일 수 있다. 가려진 눈이 눈확 내에서 회전하는 선회사위는 더욱 드물다.[19]

가림-가리기 검사는 사시와 같은 더 심각한 양안 시력 장애를 확인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검사 중 한쪽 눈을 가릴 때 다른 쪽 눈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눈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움직이면 외사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움직이면 내사시이다. 외사시나 내사시가 있는 사람들은 각각 바깥눈 또는 사시가 된다. 사시는 약시를 동반할 수 있다. 약시는 명백한 구조적/병리학적 이상 없이 시력이 20/20보다 나쁘지만, 6세 이전에 약시 유발 부동시, 지속적인 편측 내사시/외사시, 약시 유발 양측 동시, 약시 유발 편측/양측 난시, 이미지 저하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이 발생하는 편측성 질환으로 정의된다.[15] 가려진 눈이 비약시성 눈일 때, 약시성 눈은 갑자기 유일한 시각 수단이 되며, 사시는 그 눈이 검사자의 손가락에 고정하기 위해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수직 사시(상사시, 하사시)와 선회사시도 존재한다.

양안 시력 이상에는 복시(겹쳐 보임), 시각적 혼란(동일 공간에 중첩된 두 개의 다른 이미지 지각), 억제(뇌가 한쪽 눈의 시야 전체 또는 일부를 무시), 공포 융합(눈의 정렬 불량으로 인해 융합을 적극적으로 피함), 이상 망막 대응(뇌가 한쪽 눈의 중심와를 다른 눈의 중심와 외 영역과 연결) 등이 있다.

양안 시력 이상은 가장 흔한 시각 장애 중 하나로, 두통, 안구 피로, 눈의 통증, 흐린 시야, 때때로 복시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20] 안과 진료 환자의 약 20%가 양안 시력 이상을 가지고 있다.[20] 최근 많은 어린이들이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면서 다양한 양안 시력 이상(예: 근거리 및 원거리 조절 진폭, 조절 용이성, 양성 융합성 폭주 감소)이 발생할 수 있다.[21] 시각 이상 진단에는 근점 수렴 검사가 효과적이다.[20] 이 검사에서 손가락과 같은 목표물을 얼굴 쪽으로 가져올 때, 한쪽 눈이 바깥쪽으로 돌아가거나 복시가 나타나는 지점을 확인한다.[20]

양안 부등시가 어느 정도까지는 시각 시스템의 조절을 통해 보상될 수 있지만, 시각 시스템이 과도한 수평, 수직, 비틀림, 부등상시 편차에 적응해야 하는 등 양안 시력 결함이 너무 크면, 눈은 양안 시력을 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결국 사시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

10. 3. 양안시 이상의 진단 및 치료

눈의 정확한 정렬은 입체감 있는 시력과 단일 시야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각 눈의 눈확 내 위치는 6개의 눈 바깥 근육에 의해 조절된다. 두 눈의 근육 길이, 삽입 위치, 강도 등의 미세한 차이는 특히 피로할 때 한쪽 눈이 다른 쪽 눈과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경향(포리아)을 유발할 수 있다.

가림-가리기 검사는 포리아를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검사 시 협조자의 한쪽 눈을 가리고 손가락을 보게 한 후, 손가락을 움직여 가려진 눈의 융합 반사를 깨뜨린다. 이후 가림막을 치우고 가려지지 않은 눈의 움직임을 관찰한다.

  • 가려지지 않은 눈이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움직이면 내사위
  •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움직이면 외사위
  • 움직이지 않으면 정위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느 정도의 외사위 또는 내사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정상적인 현상이다. 드물게 수직 포리아(상사위, 하사위)나 선회사위가 나타날 수도 있다.

가림-가리기 검사는 사시 진단에도 사용된다. 검사 중 한쪽 눈을 가리면서 다른 쪽 눈을 관찰한다.

  • 눈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움직이면 외사시
  •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움직이면 내사시


외사시나 내사시가 있는 사람들은 각각 바깥눈 또는 사시가 된다. 이는 약시를 동반할 수 있는 사시의 한 형태이다. 약시는 구조적/병리학적 이상 없이 시력이 20/20보다 나쁘지만, 6세 이전에 약시 유발 부동시, 지속적인 편측 내/외사시, 약시 유발 양측 동시, 약시 유발 편측/양측 난시, 이미지 저하 중 하나 이상이 발생하는 편측성 질환으로 정의된다.[15] 가려진 눈이 비약시성 눈일 때, 약시성 눈은 갑자기 그 사람의 유일한 시각 수단이 되며, 사시는 그 눈이 검사자의 손가락에 고정하기 위해 움직임으로써 드러난다. 수직 사시(상사시, 하사시)와 선회사위도 존재한다.

양안시 이상에는 복시(겹쳐 보임), 시각적 혼란(동일 공간에 중첩된 두 개의 다른 이미지 지각), 억제(뇌가 한쪽 눈의 시야 전체/일부를 무시), 공포 융합(눈의 정렬 불량으로 인해 융합을 적극적으로 피함), 이상 망막 대응(뇌가 한쪽 눈의 중심와를 다른 눈의 중심와 외 영역과 연결) 등이 있다.

양안시 이상은 두통, 안구 피로, 눈의 통증, 흐린 시야, 때때로 복시 등의 증상과 관련되며, 가장 흔한 시각 장애 중 하나이다.[20] 안과 진료 환자의 약 20%가 양안시 이상을 가지고 있다.[20] 디지털 기기 사용은 다양한 양안시 이상(근/원거리 조절 진폭, 조절 용이성, 양성 융합성 폭주 감소 등)을 유발할 수 있다.[21]

근점 수렴 검사는 시각 이상 진단에 효과적이다.[20] 검사 시 손가락 등을 얼굴 쪽으로 가져가면서 한쪽 눈이 바깥쪽으로 돌아가거나 복시를 경험하는 지점을 확인한다.[20]

양안 부등시는 시각 시스템의 조절을 통해 어느 정도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 시각 시스템이 과도한 수평, 수직, 비틀림, 부등상시 편차에 적응해야 하는 경우, 눈은 양안 시력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어 사시를 유발/악화시킬 수 있다.

참조

[1] 논문 Wozu zwei Augen? [Why two eyes?]
[2] 서적 Visual Fields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Gaze Angle https://huntgearpro.[...] Asad Qayyum
[4] 논문 The role of the vertical dimension in stereoscopic vision
[5] 논문 The psychophysical inquiry into binocular summation 1973-08
[6] 논문 On utrocular discrimination
[7] 논문 Ocular dominance in human adults
[8] 논문 The perceived visual direction of monocular objects in random-dot stereograms is influenced by perceived depth and allelotropia
[9] 서적 Über die einheitliche Verschmelzung verschiedenartiger Netzhauteindrucke beim Sehen mit zwei Augen
[10] 논문 Contributions to the physiology of vision.—Part the First. On some remarkable, and hitherto unobserved, phænomena of binocular vision
[11] 간행물 Monocular and binocular vision in the performance of a complex skill http://www.jssm.org/
[12] 논문 The role of binocular vision in walking
[13] 웹사이트 Online etymological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08-04-02
[14] 논문 How do sperm whales catch squids?
[15] 논문 Binocular summation in the fovea and peripheral field of anisometropicamblyopes
[16] 논문 Disappearance of a monocular image in Panum's limiting case
[17] 서적 Perception McGraw-Hill
[18] 논문 Influence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on binocular rivalry
[19] 서적 Pickwell's binocular vision anomalies https://www.worldcat[...] Elsevier Butterworth Heinemann
[20]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binocular vision symptoms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Indian
[21] 논문 Binocular vision findings in normally-sighted school aged children who used digital devices 2022-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