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데셔스급 항공모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데셔스급 항공모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해군의 함대 확장을 위해 계획되었으나, 전쟁의 종결과 우선순위 변경으로 인해 일부만 완성되었다. 원래 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의 확장형으로 설계되었지만, 격납고 높이 문제로 인해 설계가 변경되어 33,000톤급의 대형 항공모함으로 건조되었다. 총 4척이 기공되었으나, 이 중 '이글'과 '아크 로열' 2척만이 취역했다. 이들은 영국 해군의 주력으로 운용되었으나, 1966년 국방 백서에 따라 정규 항공모함 전력이 폐지되면서 '이글'은 1972년, '아크 로열'은 1978년에 퇴역했다. 이후 영국 해군의 항공모함 전력은 인빈시블급 항공모함과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이 계승했다. 어데셔스급은 31대의 고정익기와 9대의 헬기를 탑재했으며, 동형함으로는 '이글', '아크 로열', '아프리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데셔스급 항공모함 - HMS 아크 로열 (R09)
HMS 아크 로열 (R09)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침몰한 동명의 항공모함을 기리기 위해 이름이 변경된 영국 해군의 오디셔스급 항공모함으로, 경사진 비행 갑판과 증기식 캐터펄트를 처음부터 갖춘 최초의 항공모함으로서 영국 해군의 주력 항공모함으로 활동하다 1979년 퇴역 후 1980년 해체되었다. - 영국의 항공모함 함급 -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은 영국 해군이 운용하는 최신예 항공모함으로, 인빈시블급 항공모함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재래식 추진 방식을 채택하고 F-35B 수직이착륙기와 헬리콥터 등을 탑재하여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2척의 항공모함이다. - 영국의 항공모함 함급 - CVA-01
1960년대 영국 해군이 노후 항공모함 대체 및 제트 전투기 운용을 위해 계획했던 CVA-01은 국방비 삭감과 정책 변화로 취소되었으나, 이후 영국 해군 항공모함 전력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인빈시블급,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건조의 계기가 되었다.
| 어데셔스급 항공모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원어 | Audacious-class aircraft carrier |
| 종류 | 항공모함 |
| 건조 국가 | 영국 |
| 운영 국가 | 영국 |
| 이전 함급 | 임플래커블급 |
| 이후 함급 | 지브롤터급 (말타급) (취소) CVA-01 (취소) 인빈시블급 |
| 계획 척수 | 4척 |
| 건조 척수 | 2척 |
| 취소 척수 | 2척 |
| 퇴역 척수 | 2척 |
| 제원 | |
| 배수량 | 36,800톤 (건조 시) |
| 길이 | 804피트 (245미터) |
| 폭 | 아크 로열: 112피트 (34미터) (건조 시) 이글: 135피트 (41미터) |
| 흘수 | 33피트 (10미터) |
| 추진 방식 | 8 x 어드미럴티 3-드럼 보일러 (4개 보일러실) 4 x 파슨스 기어드 터빈, 4축 |
| 동력 | 152,000마력 (113,344킬로와트) |
| 속력 | 이글: 32노트 (59킬로미터/시) 아크 로열: 31.5노트 (58.3 킬로미터/시) |
| 항속 거리 | 이글: 7,000해리 (13,000킬로미터) @ 18노트 (33킬로미터/시) 아크 로열: 7,000해리 (13,000킬로미터) @ 14노트 (26킬로미터/시), 5,000해리 (9,300킬로미터) @ 24노트 (44킬로미터/시) |
| 승무원 | 2,750명 (항공 요원 포함) |
| 무장 | |
| 이글 (건조 시) | 16 x 4.5인치 포 (8 x 2) 61 x 40mm 기관포 (8 x 6, 2 x 2, 9 x 1) |
| 이글 (1964년 이후 개장) | 8 x 4.5인치 포 (4 x 2) 6 x 씨캣 SAM 미사일 발사기 |
| 아크 로열 (건조 시) | 16 x 4.5인치 포 (8 x 2) 52 x 40mm (6 x 6, 2 x 2, 12 x 1) |
| 아크 로열 (1969년 개장) | 없음 |
| 장갑 | |
| 이글 | 수선대: 4인치 (102밀리미터) 장갑 비행 갑판: 1-4인치 (25-102밀리미터) 격납고 측면: 1인치 (25밀리미터) 격납고 갑판: 1인치 (25밀리미터) |
| 탑재 항공기 | |
| 이글 (건조 시) | 60대 |
| 이글 (1964년 이후) | 45대 |
| 아크 로열 (건조 시) | 50대 |
| 아크 로열 (1967-1970년 개장 후) | 38대 |
| 센서 | |
| 레이더 | 984형 3차원 레이더 (이글에만 나중에 장착) 960형 대공 수색용 (나중에 965형으로 교체) 963형 착륙 유도용 974형 항해용 |
| 이미지 | |
![]() | |
![]() | |
![]() | |
2. 역사

어데셔스급은 본래 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의 확장형으로 계획되었으나, 신형 항공기 운용을 위해 격납고 높이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설계가 대폭 확대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해군의 전력 증강 계획에 따라 1942년에서 1943년 사이에 4척(''Africa'', ''Irresistible'', ''Audacious'', ''Eagle'')의 건조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종전 후 계획이 축소되면서 ''Africa''와 ''Eagle''은 건조가 취소되었고, 나머지 ''Audacious''와 ''Irresistible''의 건조 작업도 일시 중단되었다.
이후 건조가 재개된 두 척은 각각 함명이 HMS ''Eagle''과 HMS ''Ark Royal''로 변경되었으며, 설계상 차이가 커져 사실상 각 함급의 유일한 함선이 되었다. 이들은 1950년대에 취역하여 전후 영국 해군 항공모함 함대의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으며, 제트기 운용을 위해 증기 사출기와 앵글드 데크를 설치하는 등 여러 차례 개수를 거쳤다.
그러나 1966년 노동당 정부가 국방 백서를 통해 차기 항공모함(CVA-01급 항공모함) 계획 취소와 장기적인 정규 항공모함 전력 폐지를 결정하면서 상황이 변했다. 당초 어데셔스급은 신형 팬텀 FG.1 전투기 운용을 위해 개수될 예정이었으나, 비용 문제로 ''아크 로열''만 개수되었고 ''이글''은 1972년에 퇴역했다.
팬텀 운용 개수를 받은 ''아크 로열''은 1978년까지 운용되다가 퇴역했으며, 이를 끝으로 영국 해군에서 CATOBAR 방식 항공모함의 역사는 막을 내렸다. 이후 영국 해군의 항공모함 운용은 STOVL 방식의 인빈시블급 항공모함과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으로 이어졌다.
2. 1. 건조 과정
어데셔스급은 본래 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의 확장형으로, 2층 격납고를 갖춘 약 27433269.00kg급 항공모함으로 설계되었다. 그러나 새로 도입될 예정인 항공기를 수용하기에 격납고 높이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 지적되면서 설계가 대폭 확대되어, 약 33529551.00kg급의 대형 항공모함으로 변경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해군의 함대 확장 계획의 일환으로 1942년과 1943년에 걸쳐 4척의 함선(''Africa'', ''Irresistible'', ''Audacious'', ''Eagle'') 건조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상륙정 등 당시 더 시급하게 필요했던 함선 건조에 자원이 집중되면서 건조는 더디게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영국의 함대 확장 계획 대부분이 취소되면서 건조 중이던 함선들의 운명도 바뀌었다. 4척 중 '''HMS ''Africa'''''는 1943년 7월 발주되었으나 1944년 더 큰 몰타급 항공모함으로 재발주되었다가 1945년 10월 15일에 최종적으로 건조가 취소되었다. '''HMS ''Eagle'''''은 1944년 4월 19일 기공되었으나, 1946년 1월 23% 완성된 상태에서 건조가 취소되었다.
남은 두 척, '''HMS ''Audacious'''''와 '''HMS ''Irresistible'''''는 건조 작업이 잠시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다. 건조 과정에서 함명이 변경되었는데, ''Audacious''는 1946년 초에 1942년에 침몰한 항공모함의 이름을 따 '''HMS ''Eagle'''''로, ''Irresistible''은 1941년에 손실된 세 번째 항공모함의 이름을 계승하여 '''HMS ''Ark Royal'''''로 바뀌었다.
두 함선은 각각 1951년(''Eagle'')과 1955년(''Ark Royal'')에 취역했다. 그러나 건조가 진행되면서 두 함선의 설계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게 되어, 사실상 각자 고유한 함급의 유일한 함선이 되었다. 이들은 이후 영국 해군 항공모함 함대의 핵심 전력으로 운용되었다.
| 함명 | 함번 | 건조사 | 기공 | 진수 | 취역 | 최후 | ||||||||||||||||||||
|---|---|---|---|---|---|---|---|---|---|---|---|---|---|---|---|---|---|---|---|---|---|---|---|---|---|---|
| 'HMS Eagle' ('구 Audacious') | R05 | Harland and Wolff, 벨파스트 | 1946년 3월 19일 | 1951년 10월 5일 | 1972년 1월 26일 퇴역. | |||||||||||||||||||||
'2. 2. 실전 배치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부터 1943년에 걸쳐 총 4척의 건조가 시작되었다. 이 중 "아프리카"는 1944년에 더 큰 지브롤터급 항공모함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하지만 전쟁 중 상륙정과 같이 더 시급한 함선 건조에 자원이 집중되면서 어데셔스급의 건조는 더디게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영국 해군의 함대 확장 계획 대부분이 취소될 무렵, 건조 중이던 3척 모두 아직 완성되지 못한 상태였다.전후 계획 재검토 과정에서 3척 중 원래 "이글"로 명명될 예정이었던 함선은 건조가 취소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두 척, "오디셔스"(HMS Audacious영어)와 "아크 로열"(HMS Ark Royal영어)은 완공하여 취역시키기로 결정되었다. "오디셔스"는 취소된 함선의 이름인 "이글"(HMS Eagle영어)로 개명하여 1951년에, "아크 로열"은 1955년에 각각 취역했다. 이 두 척의 항공모함은 일러스트리어스급 항공모함 "빅토리어스"나 센토어급 항공모함 등과 함께 영국 해군의 핵심 전력으로 활동했다. 운용 기간 동안 제트기 운용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증기 사출기와 앵글드 데크를 설치하는 등 여러 차례 개수를 거쳤다. 영국 해군은 이들을 대체할 차세대 항공모함으로 CVA-01급 항공모함 계획을 추진하고 있었다. 그러나 1966년, 당시 집권당이던 노동당 정부는 1966년도 국방 백서를 통해 함대 항공모함(정규 항공모함) 전력을 장기적으로 완전히 폐지하고 CVA-01급 항공모함 계획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으로 영국 해군은 미래에 정규 항공모함을 운용하지 못하게 될 상황에 놓였다. 기존의 어데셔스급은 신형 함상 전투기로 도입된 팬텀 FG.1을 운용할 수 있도록 대규모 개수를 거쳐 1980년대 초까지 운용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비용 문제로 인해 결국 "아크 로열" 한 척에만 개수가 이루어졌고, "이글"은 1972년에 퇴역했다. 유일하게 남은 "아크 로열"은 팬텀 운용을 위한 대규모 개수(팬토마이즈 개장, Phantomisation영어)를 받고 현역으로 활동했지만, 1978년에 최종적으로 퇴역했다. "아크 로열"의 퇴역으로 영국 해군에서 항공기를 캐터펄트로 이함시키고 어레스팅 기어로 착함시키는 방식의 항공모함은 완전히 사라졌다. 이후 영국 해군의 항공모함 전력은 함대 항공모함을 보조하는 헬리콥터 항공모함으로 개발되었던 호위 순양함 개념을 발전시킨 STOVL 항공모함인 인빈시블급 항공모함으로 유지되었고, 2022년 현재는 그 후계함인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이 그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2. 3. 퇴역과 영향1966년, 당시 노동당 정부는 1966년도 국방 백서를 통해 함대 항공모함(정규 항공모함) 전력의 장래적인 완전 폐지와 이들을 대체할 예정이었던 CVA-01급 항공모함의 건조 계획 중지를 결정했다. 이로 인해 영국 해군은 장래적으로 정규 항공모함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어데셔스급은 신형 함상 전투기 팬텀 FG.1의 운용에 맞춰 대규모 개수를 통해 1980년대 초까지 운용될 예정이었으나, 비용 문제로 인해 "아크 로열" 1척에만 개수가 이루어졌다. 결국 "이글"은 1972년에 퇴역했다. 유일하게 팬텀 운용을 위한 대규모 개수(팬토마이즈 개장)를 받은 "아크 로열"은 현역으로 남았지만, 1978년에 최종적으로 퇴역했다. 이로써 영국 해군에서 CATOBAR 방식의 항공모함은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이후 영국 해군의 항공모함 전력은 함대 항공모함을 보완하는 헬기 항공모함으로 개발되었던 호위 순양함을 발전시킨 STOVL 항공모함인 인빈시블급 항공모함으로 유지되었으며, 2022년 현재는 그 후계함인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이 그 임무를 담당하고 있다. 3. 함재기
총 고정익기 31대와 헬기 9대를 탑재했다. 3. 1. 고정익기어데셔스급 항공모함은 총 31대의 고정익기를 탑재했다. 탑재된 고정익기의 세부 목록은 다음과 같다.
3. 2. 헬기어데셔스급 항공모함은 총 9대의 헬기를 탑재했으며, 세부 기종은 다음과 같다.
4. 동형함(구 | R05 | 하를랜드 앤 울프, 벨파스트 | 1942년 10월 24일 (Audacious로 기공) | 1946년 3월 19일 | 1951년 10월 5일 | 1946년 초, 1942년 침몰한 HMS Eagle을 계승하여 Eagle로 개명. 1972년 1월 26일 퇴역. 1978년 해체. | ||||||||||||||||||||
| 'HMS Ark Royal' (구 Irresistible'') | R09 | 캐멀 레이드, 버컨헤드 | 1943년 5월 3일 (Irresistible로 기공) | 1950년 5월 3일 | 1955년 2월 22일 | 1943년, 1941년 손실된 HMS Ark Royal을 계승하여 개명. 1979년 2월 14일 퇴역. 1980년 해체. | ||||||||||||||||||||
| 'HMS Eagle' | N/A | 스완 헌터, 월선드 주문 (비커스-암스트롱으로 이관) | 1944년 4월 19일 | N/A | N/A | 1942년 8월 스완 헌터에 발주, 같은 해 12월 비커스-암스트롱으로 이관. 1946년 1월, 건조 진척도 23% 상태에서 취소. | ||||||||||||||||||||
| 'HMS Africa' | N/A | 페어필드, 고반 | N/A | N/A | N/A | 1943년 7월 12일 발주. 1944년 지브롤터급 항공모함으로 재발주되었으나, 1945년 10월 15일 최종 취소. |
참조
[1]
웹사이트
Audacious Class: Armoured Flight Decks
http://www.armouredc[...]
2018-01-14
[2]
서적
Conway's All the World's Fighting Ships 1947-1995
Naval Institute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