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도비 디렉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도비 디렉터는 매크로마인드에서 개발한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로, 1980년대 후반 비디오웍스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여 1987년 디렉터로 변경되었다. 3D 게임, CD-ROM, DVD 콘텐츠 제작에 사용되었으며, 링고 스크립트 언어와 Xtra 플러그인을 지원하여 기능 확장이 가능했다. 어도비 쇼크웨이브 형식을 통해 웹에서 실행할 수 있었고, 독립 실행형 실행 파일도 생성할 수 있었다. 2005년 어도비가 매크로미디어를 인수하면서 어도비 디렉터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2017년 개발 및 판매가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크로미디어 소프트웨어 -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는 SWF 파일 실행을 기반으로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비디오 등을 조작하고 하드웨어 장치에 접근하는 기능을 제공했으나, 어도비의 지원 종료로 주요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이 중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소프트웨어이다.
  • 매크로미디어 소프트웨어 - 어도비 플래시
    어도비 플래시는 퓨처웨이브 소프트웨어의 FutureSplash Animator에서 시작하여 매크로미디어에 인수된 후 웹 애니메이션 제작 도구로 발전했으며, ActionScript를 통해 다양한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작에 활용되었으나, HTML5 등의 부상과 여러 문제로 2020년 지원이 종료되고 어도비 애니메이트로 대체되었다.
  • 윈도우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 맥스 (소프트웨어)
    맥스는 시각적 프로그래밍 기반의 실시간 음향 및 영상 처리 소프트웨어로, MSP와 Jitter 모듈 추가를 통해 기능이 확장되었으며, 음악 제작, 사운드 디자인, 인터랙티브 아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Ableton Live와의 통합으로 활용 범위가 넓어졌다.
  • 윈도우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 밴시 (미디어 플레이어)
    밴시는 플러그인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으며, Mac OS X, 리눅스, 윈도우를 지원하는 미디어 플레이어이다.
  • 어도비 소프트웨어 - 어도비 XD
    어도비 XD는 모바일 및 웹 앱 디자인에 특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및 프로토타이핑 도구로 인터랙티브 프로토타입 제작, 다양한 파일 형식 지원, 협업 도구 연동 기능을 제공했으나 2023년 6월 서비스 종료가 발표되었다.
  • 어도비 소프트웨어 - 어도비 인디자인
    어도비 인디자인은 어도비 시스템즈에서 개발한 데스크톱 출판 및 레이아웃 디자인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요소들을 활용하여 전문적인 레이아웃을 디자인하고, 다양한 형식으로 파일을 내보낼 수 있다.
어도비 디렉터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어도비 디렉터
원래 이름Adobe Director
어도비 디렉터 로고
개발매크로마인드
개발사어도비
중단 여부
최신 버전12
최신 버전 출시일2013년 2월 11일
운영 체제윈도우, OS X
종류컴퓨터 애니메이션
라이선스트라이얼웨어
공식 웹사이트Adobe Director home

2. 역사

디렉터는 원래 매크로마인드의 오리지널 맥킨토시용 애플리케이션인 "비디오웍스"(VideoWorks)로 시작했다. 1987년에 새로운 기능과 함께 "디렉터"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1988년에는 링고 스크립트 언어가 추가되었다. 1990년대 초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버전이 출시되었다.

1993년, 매크로마인드 디렉터는 매크로미디어 디렉터(v 3.1.3)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후 매크로미디어는 디렉터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1990년대 중후반에는 3D 기능 및 쇼크웨이브 통합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2005년 어도비 시스템즈가 매크로미디어를 인수하면서, 디렉터는 어도비 제품군에 편입되었다. 어도비는 디렉터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했지만, 2017년 개발 및 판매 중단을 발표했다.

연도회사사건
1985년매크로마인드비디오웍스(VideoWorks) 출시
1987년매크로마인드디렉터 1.0 출시
1993년매크로미디어매크로미디어 디렉터(Macromedia Director)로 변경 (v 3.1.3)
1994년매크로미디어매크로미디어 디렉터 4 출시 (윈도우 및 Mac PowerPC 지원)
1996년매크로미디어매크로미디어 디렉터 5 출시 (MOA 및 Xtras)
1997년매크로미디어매크로미디어 디렉터 6 출시 (쇼크웨이브 통합, 동작 및 mp3 지원)
1998년매크로미디어매크로미디어 디렉터 6.5 출시 (QuickTime 3 지원 및 Xtra 통합)
1998년 11월 16일매크로미디어매크로미디어 디렉터 7 출시 (엔진 재작성)
2000년매크로미디어매크로미디어 디렉터 8 출시
2001년매크로미디어매크로미디어 디렉터 8.5 출시 (Shockwave3D)
2002년매크로미디어매크로미디어 디렉터 MX 출시 (디렉터 9라고도 함)
2004년 1월 5일매크로미디어매크로미디어 디렉터 MX 2004 출시 (디렉터 10이라고도 함)
2008년 3월 25일어도비 시스템즈어도비 디렉터 11 출시
2009년 3월 23일어도비 시스템즈어도비 디렉터 11.5 출시
2010년 9월 6일어도비 시스템즈어도비 디렉터 11.5.8 출시
2011년 8월 18일어도비 시스템즈어도비 디렉터 11.5.9 출시
2013년 2월 11일어도비 시스템즈어도비 디렉터 12 출시
2017년 1월 27일어도비 시스템즈어도비 디렉터 서비스 종료 발표
2017년 2월 1일어도비 시스템즈어도비 디렉터 시장에서 철수
2017년 3월 14일어도비 시스템즈Mac 장치에 대한 어도비 쇼크웨이브의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지원 종료


2. 1. 초기 역사 (비디오웍스에서 디렉터로)

디렉터는 원래 매크로마인드(MacroMind)의 오리지널 맥킨토시(Macintosh)용 애플리케이션인 "비디오웍스"(VideoWorks)로 시작했다. 초기 맥킨토시 화면의 흑백으로 인해 애니메이션은 처음에는 제한되었다.

1987년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면서 이름이 "디렉터"로 변경되었고, 1988년에는 링고 스크립트 언어가 추가되었다(디렉터 1.0). 1990년대 초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Microsoft Windows) 버전이 출시되었다.

연도사건
1985년매크로마인드에서 매킨토시용 비디오웍스(VideoWorks) 출시. 초기에는 흑백 애니메이션만 지원.[2]
1987년기능 추가 및 이름 변경 (디렉터).[2]
1988년링고 스크립팅 언어 추가 (디렉터 1.0).[2]
1990년대 초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버전 출시.[2]


2. 2. 매크로미디어 시대 (전성기)

1993년, 매크로마인드 디렉터는 매크로미디어 디렉터(v 3.1.3)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 1994년에는 매크로미디어 디렉터 4가 출시되었는데, 이때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및 Mac PowerPC를 지원하게 되었다.[6] 1996년에는 매크로미디어 디렉터 5가 출시되면서 MOA 및 Xtras 기능이 추가되었다.[8]

1997년에는 매크로미디어 디렉터 6이 출시되었고, 쇼크웨이브가 통합되었으며 동작(behavior) 및 mp3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1998년에는 엔진을 재작성한 매크로미디어 디렉터 7이 출시되었다. 2000년에는 매크로미디어 디렉터 8이 출시되었고, 2001년에는 Shockwave3D 기능을 탑재한 매크로미디어 디렉터 8.5가 출시되었다. 2002년에는 매크로미디어 디렉터 MX (디렉터 9)가, 2004년에는 매크로미디어 디렉터 MX 2004 (디렉터 10)가 출시되었다.

1995년부터 1997년까지는 mTropolis(mFactory)라는 경쟁 멀티미디어 저작 프로그램이 있었으나,[2] 1997년 쿼크, 주식회사(Quark, Inc.)에 인수되어 사라졌다.[2]

연도사건
1993년매크로마인드 디렉터가 매크로미디어 디렉터(v 3.1.3)로 변경[3]
1994년매크로미디어 디렉터 4 출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및 Mac PowerPC 지원)[6]
1996년매크로미디어 디렉터 5 출시 (MOA 및 Xtras 기능 추가)[8]
1997년매크로미디어 디렉터 6 출시 (쇼크웨이브 통합, 동작 및 mp3 지원)
1998년매크로미디어 디렉터 7 출시 (엔진 재작성)
2000년매크로미디어 디렉터 8 출시
2001년매크로미디어 디렉터 8.5 출시 (Shockwave3D 기능 탑재)
2002년매크로미디어 디렉터 MX (디렉터 9) 출시
2004년매크로미디어 디렉터 MX 2004 (디렉터 10) 출시
1995년 ~ 1997년경쟁 멀티미디어 저작 프로그램 mTropolis(mFactory) 등장 (이후 쿼크, 주식회사(Quark, Inc.)에 인수되어 사라짐)[2]


2. 3. 어도비 시대 (쇠퇴와 중단)

2005년 어도비 시스템즈는 매크로미디어를 인수했다. 2008년에 출시된 어도비 디렉터 11은 다이렉트X 9 및 유니코드 지원, NVIDIA(엔비디아) PhysX 엔진 기반의 확장된 3D 기능, 비트맵 필터, 향상된 비디오, 오디오 및 이미지 파일 형식 지원, 어도비 플래시 CS3 통합을 특징으로 했다. 쇼크웨이브 플레이어 11도 함께 출시되었다.

2009년에 출시된 어도비 디렉터 11.5는 5.1 채널 서라운드 사운드 오디오 기능, 실시간 믹싱, 오디오 효과 및 DSP 필터를 추가했다. 또한, 전체 화면 및 고화질 재생을 위한 H.264 비디오 통합을 지원하며, 구글 스케치업용 3D 임포터, RTMP 및 ByteArray 데이터 형식을 사용한 스트리밍을 지원한다.

2013년에는 어도비 디렉터 12가 출시되었다.

2017년 1월 27일, 어도비는 디렉터 개발 및 판매 중단을 발표했고, 2017년 2월 1일, 어도비 디렉터는 시장에서 철수했다. 2017년 3월 14일, Mac 장치에 대한 어도비 쇼크웨이브(Adobe Shockwave)의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지원이 종료되었다.

3. 기능

디렉터는 어도비 플래시와 유사하게 타임라인 기반으로 제작되며, 그래픽 기본 요소, 비디오 플레이어, 3D 콘텐츠 플레이어, 플래시 플레이어 등 다양한 재생 제어를 지원한다. 링고 스크립팅 언어와 Xtra 플러그인 애플리케이션( ActiveX와 기능/디자인 유사)을 포함한다. 기본 컨트롤을 갖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임워크를 지원하고, 외부 파일 및 특정 Windows API와의 상호 작용도 가능하다.

다양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형식을 지원하며, 어도비 브랜드 첫 출시 버전(v. 11)은 다이렉트X 9 및 유니코드 지원, NVIDIA PhysX 엔진 기반 확장 3D 기능, 비트맵 필터, 향상된 비디오/오디오/이미지 파일 형식 지원, 어도비 플래시 CS3 통합이 특징이다. 버전 11.5에서는 5.1 채널 서라운드 사운드 오디오, 실시간 믹싱, 오디오 효과 및 DSP 필터 기능과, 전체 화면 및 고화질 재생을 위한 H.264 비디오 통합 지원을 추가했다. 구글 스케치업용 3D 임포터, RTMP 및 ByteArray 데이터 형식을 사용한 스트리밍도 지원한다.

기본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는 타임라인에 이미지나 음성을 배치해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며, 마우스 클릭, 특정 캐스트에 커서 겹침, 특정 프레임 재생 등 이벤트를 감지해 임의 타임라인으로 점프하는 기능을 이용, 메뉴나 게임 등을 구현한다. (GUI 삽입 시 링고 스크립트 자동 삽입)

애플리케이션, 2D/3D 비디오 게임, 자동 실행 키오스크, CD/DVD 실행기 제작에 사용되었고, 퍼블리시(내보내기) 기능으로 웹용 (어도비 쇼크웨이브 형식), Windows/Mac OS용 실행 형식을 생성하며, 디렉터 12부터는 iOS 앱 제작도 지원한다. 공개 웹 형식으로는 출력 불가하나, Adobe Shockwave 형식으로 출력, 브라우저 임베디드 플러그인으로 동작 가능하다.

3. 1. 주요 기능

어도비 플래시와 유사하게 타임라인에서 제작되며, 다양한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형식을 지원한다.[7] 디렉터 8.5부터는 3D 객체를 가져오고, 조작하고, 표시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8]
주요 기능:

  • 타임라인 기반 제작: 어도비 플래시와 유사하게 타임라인을 기반으로 제작한다.
  • 다양한 미디어 형식 지원: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형식을 지원한다.
  • 3D 기능 (디렉터 8.5부터): 3D 객체를 가져오고, 조작하고, 표시할 수 있다.
  • 스크립팅 언어: 링고 스크립팅 언어와 "이미징 링고" (2D 이미지 조작 도구 모음)를 포함한다.
  • 확장 기능: Xtra 플러그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운영체제 데스크톱 조작, 텍스트 처리, PDF 리더 등)


디렉터는 링고라는 스크립팅 언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미징 링고"라고 불리는 2D 이미지 조작 도구 모음도 제공한다. 링고의 하위 집합인 이미징 링고를 통해 제작자는 비트블리트와 같은 고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전문 개발자는 이미징 링고의 속도를 활용하여 게임과 같은 프로젝트를 제작하기도 한다. 이러한 고급 프로젝트는 스코어 타임라인에서 1 프레임만 사용하고 링고로 애니메이션과 상호 작용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7]

디렉터 8.5는 3D 객체를 가져오고 조작하며 표시하는 기능을 추가했다. 이 기능은 당시로서는 매우 발전된 것이었으며, 코드에서 즉석으로 지오메트리를 생성하는 기능, 하드웨어 가속 모델 디스플레이, 고급 조명 기능 등을 포함했다. 또한 벡터 그래픽 및 쇼크웨이브 3D 파일 객체를 통한 3D 상호 작용도 지원했다. 버전 6부터는 어도비 플래시 애니메이션 파일 가져오기를 지원하고, 링고를 사용하여 플래시의 액션스크립트 코드와 상호 작용하여 더 많은 제어를 할 수 있었다.[7]

Xtra라고 불리는 플러그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장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운영체제 데스크톱 조작(폴더, 파일, 아이콘, 바로가기 생성, 레지스트리 편집), 셸 제어, 전용 텍스트 처리(RegX), PDF 리더 등을 위한 Xtra가 있다. Xtra를 사용하면 디렉터의 기본 버전에서 지원하는 것 이상의 추가 미디어 유형을 지원하도록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Xtra는 사용자가 직접 만들거나 타사 공급업체로부터 구매할 수 있으며, C++ SDK인 어도비 디렉터의 XDK(Xtra 개발 키트)를 사용하여 제작된다.[7]

3. 2. 링고 (Lingo)

링고는 디렉터의 스크립팅 언어이며, "이미징 링고"라는 2D 이미지 조작 도구 모음을 포함하고 있다. 링고를 통해 제작자는 비트블리트와 같은 고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대다수의 사용자는 스코어 타임라인을 이용하여 작품을 개발하지만, 일부 전문 개발자는 이미징 링고의 속도를 활용하여 게임과 같은 프로젝트를 제작하기도 한다. 이러한 고급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스코어 타임라인에서 1 프레임만 사용하고 링고로 애니메이션 및 상호 작용을 제어한다.

LINGO(링고)라는 스크립트 언어를 사용하면 타임라인에 의존하지 않는 애니메이션 등 보다 복잡한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LINGO 스크립트 제작 방법은 공식 매뉴얼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지 않았다. 대신 『Lingo Lore』라는 궁정 광대[7]가 안내하는 마디 그라 및 뉴올리언스 마디 그라 초대장 제작 영어판 샘플 프로젝트[8]를 보며 스스로 익혀야 했다. 영어 설명, 디렉터 출시 당시 보급이 충분하지 않았던 객체 지향 기술, 친숙하지 않은 소재는 LINGO 스크립트 습득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3. 3. Xtras

Xtra는 어도비 디렉터의 기능을 확장하는 플러그인 애플리케이션이다. Xtra를 통해 운영체제 데스크톱 조작(폴더, 파일, 아이콘, 바로가기 생성, 레지스트리 편집), 셸 제어, 전용 텍스트 처리(RegX), PDF 리더 등의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디렉터 기본 버전에서 지원하지 않는 추가 미디어 유형도 지원하도록 확장 가능하다. 이러한 Xtra는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거나 타사 공급업체로부터 구매할 수 있으며, C++ SDK인 XDK(Xtra 개발 키트)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디렉터의 새 버전이 나올 때마다 Xtra 개발자는 지속적인 지원을 위해 제품을 수정해야 했다. 그러나 변화하는 업계 동향에 따라 많은 타사 Xtra 개발자들이 수익성 악화로 인해 제품 개발 및 지원을 중단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XTRA(엑스트라)는 DLL을 이용한 네이티브 바이너리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메커니즘이었지만, OS 종류나 비트 수에 따라 호환되지 않고 실행 중 전환이 불가능하여 사용하기 매우 불편했다. 개발 사양 공개도 제한적이었다. 로컬 파일 입출력 XTRA는 있었지만, 동작 플랫폼에 강하게 의존하여 멀티 플랫폼 대응을 위해서는 각 플랫폼에 맞는 XTRA를 별도로 작성해야 했다. (예: Windows 9x, NT, MacOS에 대응하는 경우 3개의 콘텐츠를 별도 작성) DLL을 통한 확장이었으나, 디렉터 실행 시점에만 동적으로 링크될 뿐 실행 환경에 맞춰 도중에 링크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또한, 같은 기능의 XTRA라도 플랫폼에 따라 준비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예: 파일 입출력 XTRA는 Windows 95, MacOS용은 있었지만, Windows NT용은 없었음)

3. 4. 출력 (Publishing)

디렉터는 온라인 배포를 위해 쇼크웨이브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웹사이트에 임베딩할 수 있는 프로젝트 게시 기능을 제공한다. 쇼크웨이브 파일은 .dcr 파일 확장자를 갖는다. 다른 게시 옵션으로는 독립 실행형 실행 파일인 프로젝터가 있는데, Macintosh 및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지원되며 디렉터 12에서는 iOS용으로도 출력된다. 초기 버전에서는 3DO 콘솔 실행도 지원했다. 디렉터 스코어 타임라인은 퀵타임 또는 이미지 시퀀스와 같은 비대화형 비디오 형식으로도 내보낼 수 있다.

디렉터는 퍼블리시(내보내기)를 통해 웹용(어도비 쇼크웨이브 형식, 후술), Windows용, Mac OS용 실행 형식을 생성한다. 디렉터 12에서는 퍼블리시를 통해 iOS 앱을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오픈된 웹 형식으로는 출력할 수 없지만, 브라우저의 임베디드 플러그인으로 동작하는 Adobe Shockwave 형식으로 출력하여 동작시킬 수 있었다. 이 Shockwave는 어도비 시스템즈의 공식 웹사이트 등에서 무료로 배포되었다.

4. 어도비 플래시와의 비교

디렉터플래시의 차이점은 특히 디렉터 개발 커뮤니티에서 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다. 확장성은 두 제품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이며, 가져올 수 있는 다양한 코덱 지원도 마찬가지이다. 플래시는 주로 벡터 그래픽스를 사용하는 반면, 디렉터는 주로 래스터 그래픽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디렉터에서 출력되는 파일은 플래시 파일보다 컸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화 접속 연결을 통해 에 접속하던 시절에는 큰 단점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파일 크기 문제와 디렉터 개발자들을 위한 더 가파른 학습 곡선으로 인해, 저작 도구의 선두 주자였던 디렉터의 보편성은 특히 1998년부터 2000년까지의 중요한 시기에 플래시에게 빠르게 자리를 내주었다. 또한, 매크로미디어는 델, 애플 등과 같은 유통업체와 협력하여 사용자들이 추가적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라는 메시지를 받지 않도록 플래시 플러그인을 기기에 미리 설치했다. 당시(1998–2000년)에는 광대역 인터넷 접속이 대부분의 사용자에게 표준이 아니었으며, 다섯 배의 크기 차이는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5. 활용 사례

어도비 디렉터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 기업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로 활용되었다.
  • CD-ROM 및 DVD 콘텐츠 제작: CD-ROM 및 DVD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 디지털 키오스크: 키오스크 단말기(멀티미디어 스테이션) 소프트웨어 제작 도구로 활용되었다.
  • 웹사이트 제작: 웹사이트 제작 도구로 활용되었다.
  • 인터랙티브 광고: 메뉴 등을 통해 고객의 성향을 반영한 광고에 이용되었다.
  • 소프트웨어 프로토타입 제작: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를 제작하기 전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었다.
  • 게임 제작: 1990년대에는 3D 게임 제작에 자주 사용되었으며, 인터넷에 공개된 3D 게임 상당수가 디렉터로 제작되었다.[5]
  • 아이패드 소프트웨어 키보드 프로토타입 제작: 애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이너 바스 오딩은 아이패드 소프트웨어 키보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데 디렉터를 사용했다.[5]

참조

[1] 서적 New Perspectives on Dreamweaver CS3, Comprehensiv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 웹사이트 The Future of Adobe Contribute, Director and Shockwave - Adobe Blog https://blogs.adobe.[...] 2017-01-27
[3] 웹사이트 Adobe will stop selling Contribute and Director on February 1, drop Shockwave for Mac support on March 14 https://venturebeat.[...] 2018-04-16
[4] 웹사이트 End of Life (EOL) for Adobe Shockwave https://helpx.adobe.[...] 2019-03-05
[5] 서적 Creative Selection: Inside Apple's Design Process During the Golden Age of Steve Jobs https://books.google[...] Pan Macmillan 2019-12
[6] 문서 The Future of Adobe Contribute, Director and Shockwave https://blogs.adobe.[...]
[7] Youtube Director 5.0 ので宮廷道化師。 https://www.youtube.[...]
[8] Youtube 宮廷道化師が案内するLingoスクリプトのサンプルプロジェクト。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