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둠의 아이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둠의 아이들'은 양석일의 소설을 원작으로, 태국에서 벌어지는 아동 인신매매와 매춘 문제를 다룬 사회파 작품이다. 소설은 2002년에 출판되었으며, 2008년에는 사카모토 준지 감독에 의해 영화로 제작되었다. 영화는 에구치 요스케, 미야자키 아오이 등이 출연했으며, 카를로비바리 국제 영화제에 초청되었으나, 태국 내 상영은 무허가 촬영, 내용의 부적절성 등의 이유로 중단되었다. 영화는 한국에서 2010년에 개봉되었으며, 영화 내용의 사실성 논란과 함께 평가 및 반응이 엇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책 - 빈 서판 (책)
    스티븐 핑커의 《빈 서판》은 인간 본성에 대한 과학적 도전을 설명하고 백지 상태, 고귀한 야만인, 기계 속의 유령이라는 세 가지 교리를 비판하며, 인간 본성에 대한 두려움 분석 및 진화 심리학적 관점의 사회 정책 영향을 탐구하는 책으로, 출간 후 학계와 언론에서 긍정적 평가와 비판을 동시에 받으며 인간 본성 논쟁에 기여했다.
  • 2002년 책 - 스위스 역사 사전
    스위스 역사 사전은 스위스의 역사, 문화,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사전으로, 정부 지원으로 시작되어 전기, 가문, 지명, 주제별 기사 등의 주요 항목과 시각 자료를 포함하며 여러 언어로 출판되고 온라인으로도 제공되는 국가적 사업이다.
  • 사카모토 준지 감독 영화 - 망국의 이지스
    《망국의 이지스》는 후쿠이 하루토시의 소설을 원작으로 해상자위대 미사일 호위함 '이소카제'에서 벌어지는 반란과 음모를 다룬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소설, 영화, 만화,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선임하사 센고쿠와 이지스 시스템 전문가 키사라기를 중심으로 북한 공작원의 화학무기 탈취 음모와 방위청 정보국의 개입 등 긴박한 사건을 묘사하고, 각 미디어는 원작과 다른 설정과 결말을 보여주나, 특히 영화는 우익 논란을 일으켰다.
  • 사카모토 준지 감독 영화 - 케이티 (영화)
    2002년 개봉한 사카모토 준지 감독의 영화 《케이티》는 김대중 납치 사건을 소재로 남한 요원과 일본 정보 장교 사이의 갈등을 그린 작품으로, 사토 코이치, 김갑수, 최일화 등이 출연했으며 일본 영화 평론가 대상 작품상, 블루 리본상 남우주연상 등을 수상했다.
  • NBC유니버설 재팬 영화 - 망국의 이지스
    《망국의 이지스》는 후쿠이 하루토시의 소설을 원작으로 해상자위대 미사일 호위함 '이소카제'에서 벌어지는 반란과 음모를 다룬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소설, 영화, 만화,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으며, 선임하사 센고쿠와 이지스 시스템 전문가 키사라기를 중심으로 북한 공작원의 화학무기 탈취 음모와 방위청 정보국의 개입 등 긴박한 사건을 묘사하고, 각 미디어는 원작과 다른 설정과 결말을 보여주나, 특히 영화는 우익 논란을 일으켰다.
  • NBC유니버설 재팬 영화 - 자학의 시
    고다 요시이에의 만화 《자학의 시》는 백수 건달과 함께 살면서 행복을 느끼는 여자를 주인공으로, 1985년부터 1990년까지 연재되었으며,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어둠의 아이들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어둠의 아이들 포스터
어둠의 아이들 영화 포스터
영화 정보
원제闇の子供たち (Yami no Kodomotachi)
감독사카모토 준지
제작자시이 유키코
각본사카모토 준지
원작양석일의 『어둠의 아이들』
출연에구치 요스케
미야자키 아오이
츠마부키 사토시
사토 코이치
음악이와시로 타로
촬영카사마츠 노리미치
편집히루타 토모코
배급사고 시네마
개봉일2008년 8월 2일
상영 시간138분
국가일본
언어일본어
관련 정보
원작 소설 저자양석일
원작 소설 번역가김응교
원작 소설 ISBNISBN 9788954610759

2. 원작 소설

양석일의 소설 '어둠의 아이들'은 태국에서 행해지는 장기 이식을 목적으로 한 어린아이들의 인신 매매와 아동 매춘을 다룬 사회파 작품이다. 소설은 픽션이지만, 현실에서 벌어지는 아동 인권 유린 문제를 묘사하고 있다.[7]

2. 1. 줄거리

소설은 태국 북부의 가난한 산악 지대 마을에 살던 8살 소녀 야이룬이 친부모에게 팔려 방콕으로 끌려가면서 시작된다. 야이룬의 부모는 딸을 판 돈으로 냉장고와 텔레비전을 산다. 야이룬은 일본이나 서구 등 세계 각국의 부유층이 모이는 매춘 숙소로 끌려가 어른들의 성적 장난감이 된다. 1년 후, 에이즈를 발병한 야이룬은 상품 가치를 잃고 식사도 제공받지 못한 채 쓰레기 봉투에 담겨 처리장에 버려진다.[7]

야이룬이 팔린 지 2년 후, 8살이 된 여동생 센라도 매춘 숙소로 팔려간다. 태국에 주둔하던 일본인 신문 기자 난부 히로유키 등은 이 사건을 추적한다.[7]

2. 2. 소설 정보


  • 량석일 저, 《어둠의 아이들》 (해방출판사, 2002년 11월) ISBN 978-4-7592-6072-4
  • 량석일 저, 《어둠의 아이들》 (겐토샤 문고, 겐토샤, 2004년 4월) ISBN 978-4-344-40514-1

3. 영화

양석일의 소설을 원작으로 사카모토 준지 감독이 연출하고, 에구치 요스케, 미야자키 아오이, 츠마부키 사토시 등 일본의 연기파 배우들이 출연한 2008년 일본 영화이다. "가격표가 붙은 생명"이라는 부제가 덧붙여졌다. 제43회 카를로비 바리 국제영화제 초대작품이다.[8] 대한민국에서는 2010년에 개봉되었으며, 흥행 수입은 2.7억을 기록했다.

3. 1. 영화 정보

2010년 3월 25일시간138분나라일본언어일본어등급PG-12(일본)
18세 관람가(대한민국)



2008년 8월 2일 개봉하였으며, 카를로비 바리 국제영화제에 공식 초청 작품으로 선정되었다.[8] 일본 유니세프 협회와 코드 프로젝트 추진 협의회에서 추천하였다.

방콕 국제 영화제에 출품될 예정이었지만, 주최 측은 태국 국내에서의 무허가 촬영,[9] 내용이 관광 진흥에 부적합, 태국의 어두운 면을 강조하여 국가 이미지 손상, 아동 인신 매매를 주제로 하는 것은 용납 불가 등의 이유를 들어 상영을 중지시켰다.[10] 이에 대해 사카모토 준지 감독은 "태국인의 의견, 비평, 감상을 듣고 싶었다"라고 언급하였다. 무허가 촬영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태일 공동 제작 형태를 취하고 있다"라며 부정했다. 현재 아동 학대 장면 등을 삭제하는 등 태국 검열을 통과하도록 재편집하여 태국 국내 상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3. 2. 출연진

주연과 조연을 구분할 필요 없이, 원본 소스에 등장하는 모든 배우와 배역을 나열한다. 하위 섹션의 표는 중복되므로 제거한다.

3. 2. 1. 주연

3. 2. 2. 조연

배우역할비고
에구치 요스케난부 히로유키
미야자키 아오이오토와 케이코
츠마부키 사토시요다 히로아키
사토 코이치카지카와 카츠히토
스즈키 사와카지카와 미네코
토요하라 코스케시미즈 테츠오
프라파돈 스완번
랏차타 프리마나파폰[1]
호미야미엔 세타난Aranya[2]
시오미 산세이히지카타 마사미
토바야마 후미아키오야마
미우라 마사키야다
타나용 웡트라쿨


3. 3. 제작진

분야이름
감독·각본사카모토 준지
원작양석일
기획나카자와 토시아키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토야 노부유키
프로듀서시이 토모코
음악이와시로 타로
촬영카사마츠 노리미치
제작자키가 스미오, 오사토 요시키
제작 위원회 멤버세딕 인터내셔널, 제네온 엔터테인먼트, 아뮤즈
배급고 시네마


4. 제작 과정

영화 '어둠의 아이들'은 태국에서 아동 성매매와 장기 밀매의 현실을 담아내려 했으나, 태국 정부가 촬영 허가를 거부하고 방콕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이 중단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1]

배우 에구치 요스케태국어를 못해 대사를 가타카나로 적어 외웠다.[3] 그는 촬영 후 방콕의 빈부격차를 보며 세상을 "더 깊이" 보게 되었다고 말했다.[3]

영화는 방콕 국제 영화제 상영 예정이었으나, 태국 관광청 등의 반대로 상영이 철회되었다.[1] 사카모토 감독은 편집 의사를 밝혔지만, 영화제 측은 무편집본 상영을 원해 거절했다.[4]

4. 1. 태국 촬영 논란

태국 정부는 영화의 내용이 국가 이미지를 손상시킨다는 이유로 촬영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1] 이에 제작진은 태국 합작 회사를 통해 촬영을 진행했지만,[17] 태국 국립영화협회는 무허가 촬영을 주장하며 영화제 상영 중단을 요구했다.[15]

방콕 포스트에 따르면, 2007년 초 사카모토 준지 감독과 프로듀서는 태국 국가영화영상위원회에 촬영 허가를 신청했으나 "구역질이 날 정도로 불쾌한 장면이 있다"는 이유로 거부당했다.[14] 이후, 태국 합작 회사를 통해 촬영을 시작할 수 있었다.[17]

사카모토 준지 감독은 아동 학대 장면에 대한 묘사를 최소화하고, 태국 아역 배우들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노력하는 등 촬영 과정에서 윤리적인 문제를 고려했음을 강조했다.[18][19][20] 그는 어른과 아이를 따로 촬영하고, 어른의 나체를 보이지 않도록 했으며, 아이의 눈을 감게 하거나 어른의 등을 돌리게 하여 촬영하는 등 태국 아역 배우들을 배려했다.[19] 쇠사슬에 묶여 학대받는 아이들을 촬영할 때는 스태프와 필담으로 소통하며 아역 배우와 부모에게 영화의 필요성을 설명했다.[20]

에구치 요스케태국어를 하지 못해 대본을 음성적으로 외워야 했고, 가타카나로 발음을 적어 암기했다.[3] 그는 영화 촬영 후, "방콕의 고층 건물 사이에 빈민가가 자리 잡고 있고, 부유함과 가난하고 취약한 사람들이 공존하는 것을 보면서" 사물을 "더 깊이" 보게 되었다고 말했다.[3]

4. 2. 방콕 국제 영화제 상영 중단

방콕 국제 영화제에 출품될 예정이었던 "어둠의 아이들"은 영화제 주최 측이 상영을 중단하면서 논란이 되었다.[13][15] 주최 측은 태국 국내에서 무허가 촬영 및 내용이 관광 진흥에 부적합하다는 이유를 들었다.[9][15] 이에 대해 사카모토 준지 감독은 "태국인의 의견, 비평, 감상을 듣고 싶었다"라고 언급하며 유감을 표명했다.[9]

영화제 주최 측은 영화의 내용, 즉 아동 매춘과 관련된 민감한 소재를 문제 삼았다.[17] 태국 관광청과 전국 영화 협회 연맹은 영화의 상영을 철회했고,[1] 사카모토 감독이 편집 의사를 밝혔음에도 영화제 프로그래머들은 무편집 상영을 원해 거절했다.[4]

영화제 운영위원장인 챠룩 간차룩은 촬영이 태국 국가영화영상위원회의 허가 없이 진행되었다고 주장했다.[15] 방콕 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2007년 초 촬영 허가 신청 당시 위원회는 "구역질이 날 정도로 불쾌한 장면이 있다"는 이유로 불허했다.[14] 이후 사카모토 감독은 태국의 합작 사업 회사를 통해 촬영을 시작할 수 있었다.[17]

영화제 예술 감독 용유트 통콘툰은 "영화 감독으로서 이 작품이 재미있고 매우 잘 만들어졌다는 것을 인정한다. 하지만 관객이 영화에서 올바른 메시지를 이해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15]

5. 영화 내용의 사실성 논란

영화는 "유아 인신매매, 매춘이라는 충격적인 진실을 그린 논픽션 영화"[11]라고 홍보되었다. 인터넷에는 논픽션을 전제로 한 영화 감상이 많았다. 그러나 부정한 심장 이식을 태국 국내에서는 법적으로 할 수 없다는 지적과 "사실과 일본인에 대한 오해를 낳는다"는 인터넷 상의 반발이 있었다. 이러한 지적과 반응에 대해, 영화 홍보 담당자는 "모두 픽션으로 해 버리면, 다른 나라와 관계없는 이야기로 받아들여질 우려가 있었다. 매매춘은 실제로 있기 때문에, 가까이에 있는 문제로 느껴주었으면 했다"라고 말했다.[11] 결국, 여러 국가에서 은밀하게 이루어지는 장기 매매의 사실은 언급되지 않은 채, 대부분의 선전 자료에서 "논픽션"이라는 문구가 삭제되었다.

영화의 취재 협력을 한 오사카 대학 의학부 부속 병원 이식 의료부의 후쿠시마 노리에는 영화의 픽션 부분으로 다음을 지적했다.[12]

6. 평가 및 반응

재팬 타임스는 영화에 5점 만점에 3점을 부여하며, 사카모토 준지의 결말 트위스트 삽입 결정에 의문을 제기했는데, 이는 "사카모토의 수년간 가장 강력하고 용감하며 논쟁의 여지가 있는 영화에서 단 하나의 옥의 티"라고 느꼈기 때문이다.[5] 버라이어티의 리처드 쿠이퍼스는 ''어둠의 아이들''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태국의 아동 매춘의 황혼 세계를 배경으로 한 매혹적이고 충격적인 스릴러"라고 묘사했다.[6]

참조

[1] 웹사이트 Bangkok fest removes 'Children' https://variety.com/[...] Variety 2008-09-19
[2] 웹사이트 Children of the Dark stays in the dark http://blogs.straits[...] The Straits Times 2008-09-24
[3] 웹사이트 Yosuke Eguchi Descends Into Thailand's Dangerous Side http://www.asahi.com[...] Asahi Shimbun 2008-07-13
[4] 웹사이트 Director offered edit on pic cut from Bangkok fest http://www.hollywood[...] Hollywood Reporter 2008-09-24
[5] 웹사이트 'Yami no Kodomotachi'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08-08-01
[6] 웹사이트 Review: "Children of the Dark" https://variety.com/[...] Variety 2008-11-07
[7] 뉴스 感情模索[6] 「ファミレス現象」に幻滅――東京の輝き消え、移る関心 朝日新聞 2008-01-08
[8] 뉴스 映画「闇の子供たち」タイで上映不許可…無許可撮影 http://www.zakzak.co[...] 産経新聞 2008-09-22
[9] 뉴스 上映中止に「残念の一言」=「闇の子供たち」の阪本監督-タイ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08-09-24
[10] 뉴스 タイ:「闇の子供たち」上映中止…阪本監督「本当に残念」 https://web.archive.[...] 毎日新聞 2008-09-24
[11] 뉴스 「少女から生きたまま心臓移植」 映画「闇の子供たち」の問題PR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08-09-24
[12] 웹사이트 闇の子供たち」が映す臓器移植の課題 ~大阪大学医学部付属病院移植医療部 福嶌教偉さん【後編】 http://business.nikk[...] 日経BP社 2008-08-11
[13] 뉴스 人身売買描いた「闇の子供たち」、バンコク映画祭で上映中止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08-09-20
[14] 뉴스 Too 'Dark' to see http://www.bangkokpo[...] バンコク・ポスト 2008-09-20
[15] 뉴스 タイの人身売買・臓器売買描く『闇の子供たち』、バンコク映画祭で上映中止 https://www.afpbb.co[...] AFP 2008-09-25
[16] 웹사이트 Why Film in Thailand http://www.mfa.go.th[...] タイ外務省 2008-09-28
[17] 뉴스 Film shot legally (映画は合法的に撮影された) http://www.bangkokpo[...] バンコク・ポスト 2008-09-25
[18] 웹사이트 闇の子供たち 阪本順治監督インタビュー https://eiga.com/mov[...] Eiga.com 2008-07-30
[19] 웹사이트 関係者も驚きの大ヒット作「闇の子供たち」、監督が撮影秘話を告白 http://www.hollywood[...] ハリウッドチャンネル 2008-09-01
[20] 뉴스 「闇の子供たち」阪本順治監督 深く重い現実、切り込む (2/2ページ)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08-08-01
[21] 뉴스 동남아 아동 성·장기매매 글로 쓰지 않을 수 없었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