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재연 장군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재연 장군기는 1871년 신미양요 때 조선군 지휘관 어재연이 사용한 군기로, 수자기라고도 불린다. 미군이 노획하여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었으나, 대한민국 정부의 노력으로 2007년 10년 장기 대여 형식으로 반환되었다. 반환된 어재연 장군기는 국립고궁박물관 등에서 전시되었으며, 현재는 강화전쟁박물관에 복제본이 전시되어 있다. 2024년 3월 16일 미국으로 반납되었다. 이 깃발은 희귀한 군사 자료이자 근세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서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군사사 - 의병
    의병은 조선시대 외세 침략에 맞서 국권 수호를 위해 활동한 민간 중심 비정규군으로, 임진왜란, 병자호란, 대한제국 시기에 걸쳐 농민, 유생, 승려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여 항쟁하였으나, 계층적 한계와 무기 및 조직력의 열세라는 한계도 있었다.
  • 한국의 군사사 - 한국-여진 국경 분쟁
    한국-여진 국경 분쟁은 고려와 조선 시대에 한반도 북방에서 한국과 여진족 간에 발생한 영토 및 주권 분쟁으로, 고려의 영토 확장 시도와 조선의 무력·회유 정책에도 불구하고 후금의 침략을 야기했다.
어재연 장군기
기본 정보
1871년에 포획된 수자기
한글수자기
한자帥字旗
로마자 표기Sujagi
설명
종류군기(軍旗)
문자帥(수)
용도장군(將軍)의 지휘(指揮)를 상징
역사적 배경신미양요 때 미국 해병대(美國海兵隊)에 의해 노획됨

2. 역사적 배경

어재연 장군기는 1871년 신미양요 당시 조선군의 지휘관이었던 어재연 장군이 사용하던 깃발로, '수자기(帥字旗)'라고도 불린다. 이 깃발은 미군에 의해 탈취되어 오랫동안 미국에 보관되어 있었다.

2007년 10월, 대한민국 정부는 미국 정부에 여러 해 동안 반환을 요청한 끝에 장기 대여 형식으로 깃발을 돌려받았다.[5][6] 반환된 깃발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잠시 전시된 후, 강화도에 위치한 강화역사박물관으로 옮겨졌다.[7] 2022년 9월 기준으로, 깃발의 임대 계약은 최소 2023년 10월까지 대한민국에 보관하는 것으로 갱신되었다.[8]

2. 1. 신미양요와 어재연 장군

1871년 신미양요 당시 강화도를 수비하던 조선군 지휘관 어재연 장군이 사용한 군기로, '수자기(帥字旗)'라고도 불린다.[9] 진무영 중군이었던 어재연 장군은 외세의 침략에 맞서 용감하게 싸우다 장렬히 순국하였다. 어재연 장군이 사용하던 수자기는 미군에 의해 전리품으로 강탈되어 미국 아나폴리스에 있는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오랫동안 소장되어 있었다.[9]

어재연 장군기는 가로와 세로 각각 4.5m 정도 크기이며, 삼베 또는 광목으로 추정되는 재질로 만들어졌다. 이는 구한말의 대표적인 수자기로서 매우 희귀한 군사 자료일 뿐만 아니라, 근세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문화재이다.

대한민국 정부는 어재연 장군기의 영구 반환을 추진했으나, 미국 해군사관학교 측은 관련 법령 및 절차상의 이유로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였다. 이에 우선 장기 대여 형식으로 반환하기로 합의하여, 2007년 10월 15일부터 이틀 동안 한미 양측이 어재연 장군기의 상태를 점검하고 대여 협정서에 서명하였다. 이후 10월 18일 워싱턴에서 항공편으로 운송되어 10월 19일 인천공항에 도착했다.[9]

어재연 장군기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임시 보관된 후 10월 22일 공개되었으며, 2008년 3월 특별 전시되었다. 이후 2008년 5월 인천광역시시립박물관을 거쳐 2010년부터는 강화전쟁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 전시되었으며, 현재 전시 중인 것은 복제본이다.

2024년 3월 16일,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측은 2025년부터 3년간 예정된 '동아시아 특별전'에 어재연 장군기를 전시하기 위해 반납을 요청했고, 결국 수자기는 미국으로 반납되었다.[10]

2. 2. 미군의 수자기 탈취 및 보관

어재연 장군기(일명 수자기(帥字旗)[9])는 1871년 신미양요강화도를 수비하던 진무영 중군 어재연이 사용한 군기로, 미군에 의해 전리품으로 강탈되었다.[9] 이후 미국 아나폴리스에 있는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소장품이 되었다.[4] 가로와 세로 각각 4.5m 정도에 삼베 또는 광목으로 추정되는 재질로 만들어졌으며, 구한말의 대표적인 수자기로 매우 희귀한 군사 자료일 뿐만 아니라 근세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문화재이다.[9]

이 깃발은 지휘관이 위치한 요새에 꽂혔으며,[2] 1871년 당시 대한민국 북서 해안, 수도 서울 인근 강화도에서 조선군을 지휘했던 어재연 장군을 상징한다. 같은 해 6월 미국의 아시아 함대는 미국의 조선 원정 중 이 깃발을 노획했다.[3]

3. 수자기의 형태와 의미

깃발에 새겨진 한자 '帥(수)'는 '장수', '장군', '우두머리' 등을 뜻하며, '장수 수', '장군 수', '우두머리 수'라고 한다. '師(스승 사)'자와 비슷하여 한자를 모르는 이들에게는 혼동될 수 있는데, 오른쪽 '巾(수건 건)' 변의 위를 더하지 않으면 구분할 수 있다. 두 글자는 공통적으로 병사를 감독하거나 학생들을 가르치는 지도자라는 뜻을 가진다.[1]

3. 1. 형태 및 재질

어재연 장군기는 일명 수자기(帥字旗)[9]로도 알려져 있으며, 가로와 세로가 각각 4.5m 정도이다. 재질은 삼베 또는 광목으로 추정된다. 구한말의 대표적인 수자기로, 매우 희귀한 군사 자료이다.

3. 2. '帥'자의 의미

깃발에 새겨진 한자 '帥(수)'는 '장수', '장군', '우두머리' 등을 뜻하며, '장수 수', '장군 수', '우두머리 수'라고 한다. '師(스승 사)'자와 글씨가 비슷하여 한자를 모르는 이들에게는 혼동될 수 있는데, 오른쪽 '巾(수건 건)' 변의 위를 더하지 않으면 구분할 수 있다. 두 글자는 공통적으로 병사를 감독하거나 학생들을 가르치는 지도자라는 뜻을 가진다.[1]

4. 한국으로의 반환과정과 의의

1871년 신미양요 당시 미군에 의해 전리품으로 강탈되어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었던 어재연 장군기는, 한국 정부의 지속적인 반환 노력과 10년 장기 대여 형식 합의에 따라 2007년 대한민국으로 돌아왔다.[5][6] 그러나,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측의 반납 요청으로 2024년 3월 16일 미국으로 다시 반납되었다.[10]

어재연 장군기는 조선 군대의 지휘관이 사용하던 깃발로, 강화도에서 조선군을 지휘했던 어재연 장군의 것을 미국의 조선 원정 중 노획한 것이다.[3] 이 깃발은 다른 전리품과 마찬가지로 메릴랜드주 애나폴리스에 위치한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소장품이 되었다.[4]

어재연 장군기는 구한말의 대표적인 수자기로, 매우 희귀한 군사 자료일 뿐만 아니라 근세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문화재이다.

4. 1. 반환 노력과 장기 대여

신미양요미군에 의해 강탈되어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던 어재연 장군기는 한국 정부의 지속적인 반환 노력으로 2007년 10월 장기 대여 형식으로 돌아오게 되었다.[5][6] 당초 영구 반환을 추진했으나, 미국 해군사관학교 측은 관련 법령 및 절차상의 이유로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한국 정부는 우선 장기 대여 형식으로 반환받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2007년 10월 15일부터 이틀간 한미 양측은 어재연 장군기의 상태를 점검하고 대여 협정서에 서명했다. 이후 10월 18일 워싱턴에서 항공편으로 운송되어 10월 19일 인천공항에 도착했다.[9]

반환된 어재연 장군기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임시 보관된 후 공개되었으며, 2008년 특별 전시를 거쳐 인천광역시시립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 전시되었다. 2010년 이후에는 강화전쟁박물관으로 옮겨졌으나, 현재 전시 중인 것은 복제본이다.[9] 2022년 9월 기준으로, 깃발의 임대 계약은 최소 2023년 10월까지 대한민국에 보관하는 것으로 갱신되었다.[8]

하지만 2025년부터 3년간 예정된 '동아시아 특별전'에 어재연 장군기를 전시하기 위해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측의 반납 요청이 있었고, 결국 2024년 3월 16일에 미국으로 반납하게 되었다.[10]

4. 2. 반환 이후 전시 및 보관

2007년 10월 19일 인천공항에 도착한 어재연 장군기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임시 보관된 후 10월 22일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설명회와 함께 공개되었다.[9] 2008년 3월 국립고궁박물관 전시실에서 특별 전시된 후, 2008년 5월 이후 인천광역시립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 전시됐으며, 2010년 이후에는 강화전쟁박물관으로 옮겨졌다.[9] 2009년까지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되었고, 이후에는 강화도에 위치한 강화역사박물관으로 옮겨졌다.[7] 현재 전시 중인 것은 복제본이다.[9]

2022년 9월 기준으로, 깃발의 임대 계약은 최소 2023년 10월까지 대한민국에 보관하는 것으로 갱신되었다.[8] 2024년 3월 16일,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측은 2025년부터 3년간 예정된 '동아시아 특별전'에 어재연 장군기를 전시하기 위해 반납을 요청했고, 결국 어재연 장군기는 미국으로 반납되었다.[10]

4. 3. 반납과 재대여 논의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측은 2025년부터 3년간 예정된 '동아시아 특별전'에 어재연 장군기를 전시하기 위해 2024년 3월 16일에 반납을 요청했다.[10]

당초 대한민국 정부는 어재연 장군기의 영구 반환을 추진했으나, 미국 해군사관학교 측은 관련 법령 및 절차상의 이유로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우선 장기 대여 형식으로 2007년 10월 15일부터 이틀간 한미 양측이 어재연 장군기의 상태를 점검하고 대여 협정서에 서명했다. 이후 10월 18일 워싱턴에서 항공편으로 운송되어 10월 19일 인천공항에 도착했다.[5][6]

반환된 깃발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임시 보관 후 공개되었으며, 이후 인천광역시시립박물관을 거쳐 강화전쟁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 전시되었다. 2022년 9월 기준으로, 깃발의 임대 계약은 최소 2023년 10월까지 대한민국에 보관하는 것으로 갱신되었다.[8]

5. 수자기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

어재연 장군기는 1871년 신미양요강화도를 수비하던 진무영 중군 어재연이 사용한 군기로, 미군에 의해 전리품으로 강탈되어 미국 아나폴리스에 있는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었다. 매우 희귀한 군사 자료일 뿐만 아니라 근세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문화재이다.

당초 어재연 장군기의 영구 반환을 추진했으나 미국 해군사관학교 측이 관련 법령이나 절차 상의 사유로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하자 우선 장기 대여하기로 하였다. 2007년 10월 15일부터 이틀 동안 한미 양측이 어재연 장군기의 상태를 점검한 후 대여 협정서에 서명함에 따라 10월 18일 워싱턴에서 항공편으로 운송되어 10월 19일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어재연 장군기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임시 보관한 후 10월 22일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설명회와 함께 공개되었다. 2008년 3월 국립고궁박물관 전시실에서 특별 전시된 후 2008년 5월 이후 인천광역시시립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 전시됐으며, 2010년 이후에는 강화전쟁박물관으로 옮겨졌다. 현재 전시 중인 것은 복제본이다.

5. 1. 희귀 군사 유물

일명 수자기(帥字旗[9])로도 알려진 어재연 장군기는 1871년 신미양요강화도를 수비하던 진무영 중군 어재연이 사용한 군기이다. 미국에 의해 전리품으로 강탈된 후 미국 아나폴리스에 있는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었다. 가로와 세로 각각 4.5m 정도에 삼베 또는 광목으로 추정되는 재질로 만들어진 어재연 장군기는 구한말의 대표적인 수자기로, 매우 희귀한 군사 자료일 뿐만 아니라 근세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문화재이다.

2025년부터 3년간 예정된 '동아시아 특별전'에 어재연 장군기를 전시하기 위해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측의 수자기 반납 요청이 있었고 결국 2024년 3월 16일에 미국으로 반납하게 되었다.[10]

5. 2. 근대사 연구 자료

어재연 장군기는 1871년 신미양요강화도를 수비하던 진무영 중군 어재연이 사용한 군기로, 일명 수자기(帥字旗)라고도 불린다.[9] 미국에 의해 전리품으로 강탈되어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었다. 가로와 세로 각각 4.5m 정도에 삼베 또는 광목으로 추정되는 재질로 만들어진 어재연 장군기는 구한말의 대표적인 수자기로, 매우 희귀한 군사 자료일 뿐만 아니라 근대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문화재이다.

5. 3. 문화재적 가치

신미양요강화도를 수비하던 진무영 중군 어재연이 사용한 군기인 어재연 장군기는 '수자기(帥字旗)'라고도 불리며, 미국에 의해 전리품으로 강탈되었다가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었다.[9] 가로와 세로 각각 4.5m 정도이며, 삼베 또는 광목으로 추정되는 재질로 만들어졌다. 구한말의 대표적인 수자기로서 매우 희귀한 군사 자료일 뿐만 아니라, 근세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문화재이다.

2024년 3월 16일,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측은 2025년부터 3년간 예정된 '동아시아 특별전'에 어재연 장군기를 전시하기 위해 반납을 요청했고, 결국 한국은 이를 반납하였다.[10]

참조

[1] 뉴스 신미양요 때 빼앗긴 어재연 장군기 '10년 장기대여' 귀환 : 뉴스 http://news.donga.co[...] 2007-10-23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museum.kma.ac[...] 2009-02-12
[3] 서적 Marine Amphibious Landing in Korea, 1871 http://www.navyhisto[...] Naval Historical Foundation 1966-01-01
[4] 뉴스 American campaigns for flag's return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0-10-29
[5] 뉴스 General's Flag Returns Home From US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7-10-22
[6] 웹사이트 Korean flag to be returned on loan basis http://www.shinmiyan[...] Baltimore Sun 2007-10-11
[7] 뉴스 Repatriated flag runs out of time in Korea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2-09-27
[8] 뉴스 Loan period extended for US-captured Joseon-era flag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22-09-29
[9] 문서 진중이나 영문의 뜰에 세워진 대장의 군기로 누런 바탕에 검은색으로 '수(帥)'자가 씌어 있음
[10] 뉴스 신미양요 후 136년만에 돌아온 장군기…다시 '미국행'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4-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