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더우드 국제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언더우드국제대학(UIC)은 2005년 연세대학교의 독립 학부로 설립되어 2006년 언더우드국제대학으로 승격된 국제 학부이다. 사회과학, 인문학, 생명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공을 영어로 제공하며, 2010년 송도 국제캠퍼스로 이전했다. 2014년에는 언더우드계열, 융합인문사회계열, 융합과학공학계열의 3개 계열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16개의 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UIC는 세계 수준의 리버럴 아츠 교육을 목표로 하며, 국제 교류 및 다양한 학생 활동을 지원한다. 그러나 교수진 유지, 송도 이전, 교육의 질, 국제 학생 대표성 등과 관련된 논란과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세대학교 - 방우영
방우영은 조선일보의 회장으로서 조선일보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밤의 대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영향력이 컸고, 언론 사업 확장과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한 언론인이다. - 연세대학교 - 정갑영
정갑영은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이자 제17대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로, 산업조직론과 국제경제학을 전공했으며 자유기업원 이사장과 동아일보 객원 논설위원을 맡고 경제학 관련 저술 및 방송 활동을 통해 대중에게 경제학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 자유 인문 대학 - 머시 대학교
1950년 자비의 수녀회에서 설립되어 뉴욕주에 위치한 사립 머시 대학교는 다양한 분야의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사이버 방어 교육 분야의 국가 우수 학술 센터로 지정되는 등, 여러 캠퍼스를 두고 교육 영역을 확장하며 명성을 쌓고 있다. - 자유 인문 대학 - 바드 칼리지
바드 칼리지는 1900년 성공회 대학교로 설립되어 1934년 독립한 사립대학교로, 2차 세계 대전 당시 난민 지식인들의 피난처를 제공하고 진보적인 교육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프로그램과 연구소, OSUN 참여를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가진다. - 서울특별시의 대학교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서울특별시의 대학교 -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4년제 군사 교육 기관으로, 1946년 개교하여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지·인·용을 교훈으로 일반 학문, 군사학, 강도 높은 군사 훈련을 통해 정예 육군 장교를 양성하고, 1998년부터 여성 생도 입학을 허용하여 졸업생들은 소위로 임관한다.
언더우드 국제대학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언더우드 국제대학 |
원어 이름 | 언더우드 국제대학 (한글) 언더우드國際大學 (한자) |
모토 |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요한복음 8:32) (한국어) |
영어 모토 | The truth will set you free (요한복음 8:32) |
설립 | 2005년 |
종류 | 사립학교, 학부, 단과대학 |
종교적 제휴 | 개신교 |
학장 | 헬렌 리 |
행정 직원 | 13명 |
교수진 | 97명 |
위치 | 서울특별시 및 인천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
캠퍼스 | 도심 250 에이커 (신촌 캠퍼스) 152 에이커 (국제 캠퍼스) |
상징색 | 로열 블루 |
마스코트 | 독수리 |
모교 | 연세대학교 |
웹사이트 | uic.yonsei.ac.kr |
![]() | |
조직 | |
학장 | 성태윤 |
교직원 수 | 800명 (UIC 소속 전임교원과 겸직교수 기준) |
학생 수 | 2000명 |
위치 | |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대우관 별관 |
2. 역사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UIC)의 모태인 언더우드국제학부는 2004년 8월에 기본계획안이 수립되어 2005년 2월에 연세대학교의 독립 학부로 설립되었다.[24] 2006년 3월, 98명의 신입생으로 첫 학기를 시작하였으며, 모든 전공 및 교양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었다.[24] 초대 학장은 모종린 교수였다.[3] 2004년 10월, 연세대학교 총장은 모종린 교수를 "신 국제대학 설립 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했고, 모 교수는 이 대학의 초기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3]
2006년 10월, 학부 단위명 대신 언더우드국제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언더우드국제대학은 비교문학과문화, 경제학, 국제학, 정치외교학, 생명과학공학 전공 등 사회과학, 인문학, 생명과학을 아우르는 다양한 학문 영역을 포함하였다.[24] 2008년에는 융합정보공학 (IIT)이 폐과되었는데, 공과대학의 글로벌융합공학부 신설 때문이라는 추측이 있다.
2009년에는 송도 이전 논란이 시작되어, 학생들과의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공개된 송도 이전 결정에 대해 연세대학교 역사상 최초로 영어 시위가 언더우드관 앞에서 진행되기도 했다.[24] 결국 UIC는 2010년도에 개교 예정이었던 국제캠퍼스로 가장 먼저 이전이 확정되었다. 2011년부터는 의예과, 치의예과, 자유전공과 더불어 송도 국제캠퍼스에서 1학년 RC교육에 참여하게 되었다.
2012년에는 송도 국제캠퍼스에 아시아학부 (ASD) 가 신설되었으며, 테크노아트학부 (TAD) 가 UIC에 통합되었다. 신촌 UIC 전공들(CLC, ECON, IS, PSIR)은 언더우드학부 (UD) 로 변경되었다.
2013년에는 국제대 학제개편으로 큰 논란을 겪었다. 학교 측은 GCD라는 새로운 학부로 기존의 아시아학부, 테크노아트학부, 그리고 신설 예정이던 사회과학 전공들을 통합하려 했으나, 전공 특색을 무시하고 졸속행정이라는 비판과 함께 큰 반발을 샀다. 총학생회, 국제대 학생회, 국제대 과학생회, 학부모들까지 개입하면서, 학교는 2000년대 초반 학생사회의 붕괴를 초래한 계열제도를 다시 도입하는 절충안을 내놓았고, 국제캠퍼스 기반의 융합인문사회계열 (HASS), 그리고 융합과학공학부 (ISED)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2014년부터 UIC는 언더우드계열(UF), 융합인문사회계열(HASS), 융합과학공학계열(ISEF)의 3개 계열로 구성되었다. 언더우드 계열은 기존의 언더우드학부가 산하에 있고, HASS계열 산하로 아시아학부 (ASD), 테크노아트학부 (TAD)와 신설된 융합사회과학부가 (ISSD) 소속되었으며, ISEF 아래 융합과학공학부가 (ISED) 산하로 소속되었다.
이러한 확장을 통해 언더우드국제대학은 2006년 5개 전공에서, 2012년 9개 전공, 2014년 16개 전공을 아우르는 대형 단과대로 성장했다. 그러나 전공 커리큘럼 부재 등 문제점도 발생했다. 2013년 자유전공학부를 폐지하고 그 정원을 융합인문사회계열 (HASS)로 받았으며, 다른 단과대학의 정원을 받아 UIC를 확대하여 다른 단과대학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2015년 10월, 언더우드국제대학은 설립 10주년을 기념해 학술행사와 만찬을 개최했다.[25] 또한,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송도)로 확장을 통해 교육 인프라를 강화하고, UIC Veritas 연구센터, [https://uic.yonsei.ac.kr/writingcenter/default.asp UIC Writing Center], [https://www.uicmsr.com/ UIC MSR] 센터, 그리고 알토 대학교(Aalto University)와 협력하여 [https://dfk.yonsei.ac.kr/about Design Factory Korea]를 설립했다.
2. 1. 설립 배경 및 초기 과정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UIC)의 모태인 언더우드국제학부는 2004년 8월에 기본계획안이 수립되어 2005년 2월에 연세대학교의 독립 학부로 설립되었다.[24] 2006년 3월, 98명의 신입생으로 첫 학기를 시작하였으며, 모든 전공 및 교양 수업은 영어로 진행되었다.[24] 초대 학장은 모종린 교수였다.[3] 2004년 10월, 연세대학교 총장은 모종린 교수를 "신 국제대학 설립 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했고, 모 교수는 이 대학의 초기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3]
2006년 10월, 학부 단위명 대신 언더우드국제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언더우드국제대학은 비교문학과문화, 경제학, 국제학, 정치외교학, 생명과학공학 전공 등 사회과학, 인문학, 생명과학을 아우르는 다양한 학문 영역을 포함하였다.[24] 2008년에는 융합정보공학 (IIT)이 폐과되었는데, 공과대학의 글로벌융합공학부 신설 때문이라는 추측이 있다.
2009년에는 송도 이전 논란이 시작되어, 학생들과의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공개된 송도 이전 결정에 대해 연세대학교 역사상 최초로 영어 시위가 언더우드관 앞에서 진행되기도 했다.[24] 결국 UIC는 2010년도에 개교 예정이었던 국제캠퍼스로 가장 먼저 이전이 확정되었다. 2011년부터는 의예과, 치의예과, 자유전공과 더불어 송도 국제캠퍼스에서 1학년 RC교육에 참여하게 되었다.
2012년에는 송도 국제캠퍼스에 아시아학부 (ASD) 가 신설되었으며, 테크노아트학부 (TAD) 가 UIC에 통합되었다. 신촌 UIC 전공들(CLC, ECON, IS, PSIR)은 언더우드학부 (UD) 로 변경되었다.
2013년에는 국제대 학제개편으로 큰 논란을 겪었다. 학교 측은 GCD라는 새로운 학부로 기존의 아시아학부, 테크노아트학부, 그리고 신설 예정이던 사회과학 전공들을 통합하려 했으나, 전공 특색을 무시하고 졸속행정이라는 비판과 함께 큰 반발을 샀다. 총학생회, 국제대 학생회, 국제대 과학생회, 학부모들까지 개입하면서, 학교는 2000년대 초반 학생사회의 붕괴를 초래한 계열제도를 다시 도입하는 절충안을 내놓았고, 국제캠퍼스 기반의 융합인문사회계열 (HASS), 그리고 융합과학공학부 (ISED)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2014년부터 UIC는 언더우드계열(UF), 융합인문사회계열(HASS), 융합과학공학계열(ISEF)의 3개 계열로 구성되었다. 언더우드 계열은 기존의 언더우드학부가 산하에 있고, HASS계열 산하로 아시아학부 (ASD), 테크노아트학부 (TAD)와 신설된 융합사회과학부가 (ISSD) 소속되었으며, ISEF 아래 융합과학공학부가 (ISED) 산하로 소속되었다.
이러한 확장을 통해 언더우드국제대학은 2006년 5개 전공에서, 2012년 9개 전공, 2014년 16개 전공을 아우르는 대형 단과대로 성장했다. 그러나 전공 커리큘럼 부재 등 문제점도 발생했다. 2013년 자유전공학부를 폐지하고 그 정원을 융합인문사회계열 (HASS)로 받았으며, 다른 단과대학의 정원을 받아 UIC를 확대하여 다른 단과대학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2015년 10월, 언더우드국제대학은 설립 10주년을 기념해 학술행사와 만찬을 개최했다.[25] 또한,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송도)로 확장을 통해 교육 인프라를 강화하고, UIC Veritas 연구센터, [https://uic.yonsei.ac.kr/writingcenter/default.asp UIC Writing Center], [https://www.uicmsr.com/ UIC MSR] 센터, 그리고 알토 대학교(Aalto University)와 협력하여 [https://dfk.yonsei.ac.kr/about Design Factory Korea]를 설립했다.
2. 2. 학부 및 학과 확장
언더우드국제대학(UIC)은 2006년 3월 98명의 신입생으로 첫 학기를 시작했으며, 모든 전공과 교양 수업이 영어로 진행되었다.[24] 초기에는 비교문학과문화, 경제학, 국제학, 정치외교학, 생명과학공학의 5개 전공으로 구성되었다.[4]
2008년, 융합정보공학(IIT) 전공이 폐과되었다.[24] 2012년에는 송도 국제캠퍼스에 아시아학부(ASD)가 신설되었고, 테크노아트학부(TAD)가 UIC에 통합되면서 기존의 신촌 UIC 전공들(CLC, ECON, IS, PSIR)은 언더우드학부(UD)로 개편되었다.[24]
2013년에는 국제대 학제개편 사태를 겪었다. 학교 측은 GCD라는 새로운 학부로 아시아학부, 테크노아트학부, 그리고 신설 예정이던 사회과학 전공들을 통합하려 했으나, 이는 각 전공의 특색을 무시하고 졸속행정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결국, 연세대학교는 2000년대 초반 학생사회의 붕괴를 초래했던 계열제도를 다시 도입하는 절충안을 내놓았고, 국제캠퍼스 기반의 융합인문사회계열(HASS)과 융합과학공학부(ISED)가 신설되었다.[24]
2014년부터 UIC는 언더우드계열(UF), 융합인문사회계열(HASS), 융합과학공학계열(ISEF)의 3계열 체제로 운영되었다. 언더우드 계열은 기존의 언더우드학부, HASS 계열은 아시아학부(ASD), 테크노아트학부(TAD), 신설된 융합사회과학부(ISSD), ISEF 계열은 융합과학공학부(ISED)로 구성되었다. 이로써 UIC는 3계열, 5학부, 16개 전공을 아우르는 대형 단과대학으로 성장하였다.[24] 그러나 자유전공학부 폐지(2013년) 및 타 단과대학 정원 흡수를 통해 UIC 규모를 확대하면서, 타 단과대학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24]
2015년 10월, 언더우드국제대학은 설립 10주년을 기념해 학술행사와 만찬을 개최했다.[25] 송도 국제캠퍼스로의 확장을 통해 교육 인프라를 강화하고, UIC Veritas 연구센터, [https://uic.yonsei.ac.kr/writingcenter/default.asp UIC Writing Center], [https://www.uicmsr.com/ UIC MSR] 센터, 그리고 알토 대학교(Aalto University)와 협력하여 [https://dfk.yonsei.ac.kr/about Design Factory Korea]를 설립했다.[5]
2. 3. 송도 국제캠퍼스 이전
2009년 언더우드국제대학의 송도국제도시 이전 논란이 시작되었다.[24] 학생들과의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공개된 송도 이전 논란에 대해 연세대학교 역사상 최초로 영어 시위가 언더우드관 앞에서 진행되기도 했다.[24] 학생들과 교직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18] 2010년 국제캠퍼스 이전이 확정되었다.[24] 2008년 사망한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인 호러스 언더우드는 UIC를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하는 것은 UIC를 "파괴"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19]2010년, 언더우드국제대학은 본부와 기존 학사단위를 신촌에 유지하면서 송도에 행정실과 새로운 전공들을 신설하기로 결정했다.[24] 2011년부터 의예과, 치의예과, 자유전공과 더불어 송도 국제캠퍼스에서 1학년 RC교육에 참여하게 되었다.[24] 송도 캠퍼스에서 기숙사 생활을 경험한 학생들은 그들의 경험에 만족하며 송도 글로벌 캠퍼스의 학업 환경을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신촌 캠퍼스에 있을 수 있는 다른 학년의 사람들과의 관계 유지가 어렵다고 언급하기도 했다.[20]
3. 교육 목표 및 특징
언더우드 국제대학(UIC)은 세계 수준의 Liberal Arts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여러 나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교육적 지표는 다음과 같다.
- 창의적인 사고: 비판적 사고에 근거하는 독립적이며 감정적인 이해, 문제 해결 능력,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포함한다.
- 민주 시민의식: 사회 공익에 기여하고, 관용, 정중함, 다양성을 존중하며,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서의 참여를 강조한다.
- 세계화된 리더십: 국제 정세에 대한 이해와 균형 잡힌 이해, 국제적 가치에 기반한 지역적, 그리고 국제적 참여, 동아시아 및 타 문화적 전통간의 유대감 형성 능력을 기른다.
3. 1. 교육 목표
언더우드 국제대학(UIC)은 세계 수준의 Liberal Arts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여러 나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교육적 지표는 다음과 같다.- 창의적인 사고: 비판적 사고에 근거하는 독립적이며 감정적인 이해, 문제 해결 능력,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포함한다.
- 민주 시민의식: 사회 공익에 기여하고, 관용, 정중함, 다양성을 존중하며,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서의 참여를 강조한다.
- 세계화된 리더십: 국제 정세에 대한 이해와 균형 잡힌 이해, 국제적 가치에 기반한 지역적, 그리고 국제적 참여, 동아시아 및 타 문화적 전통간의 유대감 형성 능력을 기른다.
3. 2. 특징
4. 학부 및 전공
언더우드 국제대학은 현재 3개의 학부에서 16개의 전공을 제공하고 있다.
언더우드학부 | 융합인문사회과학부 (HASS) | 융합과학공학부 |
---|---|---|
4. 1. 언더우드학부 (UD)
'''언더우드학부 (Underwood Division, UD)'''는 인문사회 및 공학 분야의 교육을 제공한다. 인문사회 분야에는 비교문학과문화 (CLC), 경제학 (ECON), 국제학 (IS), 정치외교학 (PSIR) 전공이 있으며, 공학 분야에는 생명과학공학 (LSBT) 전공이 있다. 2008년 융합정보공학(IIT) 전공은 폐과되었으며, 해당 전공 학생들은 연세대학교 내 희망하는 학과로 전과하는 것으로 합의되었다.언더우드 학부 |
---|
4. 2. 융합인문사회과학부 (HASS)
언더우드 국제대학의 융합인문사회과학부 (HASS - Humanities, Arts, and Social Sciences Division)는 8개의 전공을 제공한다.- 아시아학 (AS - Asian Studies)
- 문화디자인경영 (CDM - Culture Design Management)
- 창의기술경영 (CTM - Creative Technology Management)
- 정보인터랙션디자인 (IID - Information Interaction Design)
- 사회정의리더십 (JCL - Justice and Civil Leadership)
- 계량위험관리 (QRM - Quantitative Risk Management)
- 지속개발협력 (SDC -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operation)
- 과학기술정책 (STP - Science, Technology, and Policy)
4. 3. 융합과학공학부 (ISED)
융합과학공학부(ISED - Integrated Science and Engineering Division)는 바이오융합 (BC), 에너지환경융합 (EESE), 나노과학공학 (NSE) 분야를 다룬다.융합과학공학부 |
---|
4. 4. 부전공 및 기타
언더우드 국제대학(UIC)는 한국학 부전공을 제공하며, 창의적 글쓰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5. 국제 교류
언더우드 국제대학(UIC)은 다트머스 대학교(뉴햄프셔 해노버)와 동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13년 기준으로 버나드 칼리지(컬럼비아 대학교),[6] 와세다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경제학과), 제네바 대학교, 위트레흐트 대학교(University College Utrecht) 등과 교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7]
언더우드 국제대학은 2008년 홍콩 대학교 및 게이오 대학교와 협력하여 "세 캠퍼스 비교 동아시아 프로그램"을 시작했다.[8] 이 프로그램을 통해 UIC 학생들은 세 캠퍼스에서 1년 동안 공부할 수 있다.[8]
언더우드 국제대학은 앰허스트 칼리지와 2019년 양해 각서(MoU)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여 학기별 양자 교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9] 또한, 연세대학교 국제교류처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유학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5. 1. 3개 캠퍼스 프로그램
언더우드 국제대학(UIC)은 2008년 홍콩 대학교 및 게이오 대학교와 협력하여 "세 캠퍼스 비교 동아시아 프로그램"을 시작했다.[8] 이 프로그램을 통해 UIC 학생들은 세 캠퍼스에서 1년 동안 공부할 수 있다.[8]5. 2. 기타 국제 교류
언더우드 국제대학은 앰허스트 칼리지와 2019년 양해 각서(MoU)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여 학기별 양자 교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9] 또한, 연세대학교 국제교류처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유학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6. 학생 현황 및 교수진
2016년 3월 기준 약 2000명의 학생이 언더우드 국제대학에 등록되어 있으며, 이 중 약 300명은 순수 외국인 학생이다. 모든 수업이 영어로 진행되는 한국 유일의 4년제 학부이기 때문에, 해외의 비한국인 학생들에게 매력적이며, 이들은 국제적, 다문화적인 학생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다양성은 대한민국 학부에서 유일하게 볼 수 있는 현상 중 하나이다.
2014년 국제대 학제 개편으로 국내 정원이 424명으로 증원되었으며, 이는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전체 입학 정원의 약 12.5%에 해당한다. 정원 외 외국인 및 재외국민 학생을 포함하면 연세대학교 전체 학부 입학생 중 14% 이상이 UIC 학생이다.
언더우드 국제대학(UIC)의 교수진은 전임 외국인 교수들과 영어 구사가 자유로운 한국인 교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약 50명의 외국인 및 한국인 교수들이 UIC 전임 정년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세계사, 세계문학, 비판적 사고, 연구법, 창의적 글쓰기 등의 강의를 담당한다. 다양한 전공의 100명 이상의 한국인 교수들도 UIC 교육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노벨상 수상자 Kurt Wüthrich, 이창래 교수 등 세계적인 교수들이 방문 교수로 참여하여 2주 가량의 단기 집중 교육 과정을 맡기도 한다.
6. 1. 학생 현황
2016년 3월 기준 약 2000명의 학생이 언더우드 국제대학에 등록되어 있으며, 이 중 약 300명은 순수 외국인 학생이다. 모든 수업이 영어로 진행되는 한국 유일의 4년제 학부이기 때문에, 해외의 비한국인 학생들에게 매력적이며, 이들은 국제적, 다문화적인 학생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다양성은 대한민국 학부에서 유일하게 볼 수 있는 현상 중 하나이다.2014년 국제대 학제 개편으로 국내 정원이 424명으로 증원되었으며, 이는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전체 입학 정원의 약 12.5%에 해당한다. 정원 외 외국인 및 재외국민 학생을 포함하면 연세대학교 전체 학부 입학생 중 14% 이상이 UIC 학생이다.
6. 2. 교수진
언더우드 국제대학(UIC)의 교수진은 전임 외국인 교수들과 영어 구사가 자유로운 한국인 교수들로 구성되어 있다. 약 50명의 외국인 및 한국인 교수들이 UIC 전임 정년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세계사, 세계문학, 비판적 사고, 연구법, 창의적 글쓰기 등의 강의를 담당한다. 다양한 전공의 100명 이상의 한국인 교수들도 UIC 교육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노벨상 수상자 Kurt Wüthrich, 이창래 교수 등 세계적인 교수들이 방문 교수로 참여하여 2주 가량의 단기 집중 교육 과정을 맡기도 한다.
7. 학생회 및 학생 활동
'''학생회'''
언더우드 국제대학(UIC)은 2006년 창립 이후 매년 선거를 통해 학생회장단을 선출해왔다.[26][27][28][29] 2011년에는 3개의 선거운동본부(선본)가 출마할 정도로 학생들의 참여가 활발했다. 그러나 총학생회를 비롯한 학생 사회에 대한 관심 감소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되었다.
역대 학생회 임원진 및 주요 사업은 아래 표와 같다.
순서 | 임기 | 선본명 | 회장 | 부회장 | 주요 이행 사업 | 임기 내 주요 사건 | 기타 |
---|---|---|---|---|---|---|---|
1대 | 2006년 3월 | ||||||
2대 | 2006년 12월 | ||||||
3대 | 2007년 12월 | 이신향(PSIR 07) | |||||
4대 | 2008년 12월 | 김동혜(PSIR 08) | 구자연(IS 08) | 단독 출마, 유권자 433명 중 229명 찬성으로 당선 | |||
5대 | 2009년 12월 | 박한결(ECON 07) | 김수정(ECON 08) | 3개 선본 출마 | |||
6대 | 2010년 12월 | 최신태(PSIR 09) | 이한검(IS 09) | 2개 선본 출마 | |||
비대위 | 2011년 12월 | 비대위원장 : 위민복(ECON 10) | |||||
7대 | 2012년 4월 | ||||||
8대 | 2012년 12월 | ||||||
9대 | 2013년 12월 |
'''학생 활동'''
Cultural Arts and Theatre Society(CATS)는 2007년 UIC 학생들의 예술에 대한 열정을 표현하고자 설립된 단체이다. 매 학기마다 The Lab이라는 문학 잡지를 발간하며, 여기에는 픽션, 논픽션, 시, 예술 및 사진 등이 포함된다. 모든 활동은 학생들에 의해 진행되며, 현재까지 10판이 간행되었다. CATS는 Literary Art Salon을 통해 매 학기 말마다 영상제에 참여한다.
Underwood Law Society(ULS)는 UIC의 공식 법학회이다. The Haze는 UIC의 농구팀으로, 학교간 대회를 포함한 교내외 활동에 참여한다. Underwood United는 UIC의 공식 축구팀이다. http://yonseiunderwoodunion.com/ Yonsei Underwood Union (YUU)는 UIC의 토론 클럽이다. Underwood Vision Ensemble는 UIC의 공식 오케스트라 동아리이다. Underwood Stock and Equity Trading은 UIC의 주식투자 학회이다. ISEAS는 UIC의 공학학회이다. The UIC Scribe는 UIC의 공식 신문사이다. Social Innovation Creator's Academia는 국내 유일 UIC 베이스 사회 혁신 학회이다
NODAJI는 2007년 5월 11일에 데뷔 무대를 가진 밴드이다. 노다지는 락 음악 밴드이지만 때때로 다른 장르의 노래도 연주한다. 현재 20명의 멤버가 등록되어 있지만 모든 멤버가 동시에 활동하지는 않는다. Underwood Global Community는 UIC의 국제 학생 클럽으로, UIC와 연세대학교에 등록된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단체이다. 이들은 UIC 내에 활기찬 글로벌 커뮤니티를 만들고, 다양한 국가와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문화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UIC의 외국인 학생들의 적응을 돕는다.
UIC의 동아리들 뿐만 아니라 연세대학교 내 많은 동아리에서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다.
7. 1. 학생회
언더우드 국제대학(UIC)은 2006년 창립 이후 매년 선거를 통해 학생회장단을 선출해왔다.[26][27][28][29] 2011년에는 3개의 선거운동본부(선본)가 출마할 정도로 학생들의 참여가 활발했다. 그러나 학생 사회에 대한 관심 감소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되었다.7. 2. 학생 활동
Cultural Arts and Theatre Society(CATS)는 2007년 UIC 학생들의 예술에 대한 열정을 표현하고자 설립된 단체이다. 매 학기마다 The Lab이라는 문학 잡지를 발간하며, 여기에는 픽션, 논픽션, 시, 예술 및 사진 등이 포함된다. 모든 활동은 학생들에 의해 진행되며, 현재까지 10판이 간행되었다. CATS는 Literary Art Salon을 통해 매 학기 말마다 영상제에 참여한다.Underwood Law Society(ULS)는 UIC의 공식 법학회이다. The Haze는 UIC의 농구팀으로, 학교간 대회를 포함한 교내외 활동에 참여한다. Underwood United는 UIC의 공식 축구팀이다. http://yonseiunderwoodunion.com/ Yonsei Underwood Union (YUU)는 UIC의 토론 클럽이다. Underwood Vision Ensemble는 UIC의 공식 오케스트라 동아리이다. Underwood Stock and Equity Trading은 UIC의 주식투자 학회이다. ISEAS는 UIC의 공학학회이다. The UIC Scribe는 UIC의 공식 신문사이다. Social Innovation Creator's Academia는 국내 유일 UIC 베이스 사회 혁신 학회이다
NODAJI는 2007년 5월 11일에 데뷔 무대를 가진 밴드이다. 노다지는 락 음악 밴드이지만 때때로 다른 장르의 노래도 연주한다. 현재 20명의 멤버가 등록되어 있지만 모든 멤버가 동시에 활동하지는 않는다. Underwood Global Community는 UIC의 국제 학생 클럽으로, UIC와 연세대학교에 등록된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단체이다. 이들은 UIC 내에 활기찬 글로벌 커뮤니티를 만들고, 다양한 국가와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문화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UIC의 외국인 학생들의 적응을 돕는다.
UIC의 동아리들 뿐만 아니라 연세대학교 내 많은 동아리에서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다.
8. 논란 및 비판
8. 1. 교수진 유지 문제
초기 언더우드 국제대학(UIC)의 교수진은 대부분 젊고 종신 재직권이 없는 상태여서, 학교 본부의 결정에 영향력이 적었다는 비판이 있었다.[15] 교수들은 "완전한 투명성 부족...은 교직원들의 직무 만족도를 감소시킨다"고 언급했으며, 일부 교직원은 경력 전망에 대한 "유리 천장"이 존재한다고 보고했다.[16] 그러나 UIC 교수 존 M. 프랭클은 UIC 교수들이 다른 기관들보다 더 높은 비율로 몇 년 후에 떠난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했다.[17] 현재 UIC는 많은 종신 재직 교수진을 보유하고 있다.8. 2. 송도 국제캠퍼스 이전 논란
2011년, 언더우드 국제대학(UIC)의 주요 캠퍼스는 학생들과 교직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서울에서 송도국제도시로 이전되었다.[18] 2008년 사망한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인 호러스 언더우드는 UIC를 송도로 이전하는 것은 UIC를 "파괴"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19] 그러나 송도 캠퍼스에서 기숙사 생활을 경험한 학생들은 그들의 경험에 만족하며 송도 글로벌 캠퍼스의 학업 환경을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신촌 캠퍼스에 있을 수 있는 다른 학년의 사람들과의 관계 유지가 어렵다고 언급하기도 했다.[20]8. 3. 교육의 질 문제
2017년 가을, 언더우드 국제대학 학생 소식지 《스크라이브》는 학업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을 다룬 기사를 게재했다.[21] 상경대학 학생회 페이스북 페이지 게시물에 따르면, 해당 학과에서 5개의 전공 과목을 폐지할 예정이었다. 폐지된 5개의 과목 중 4개는 영어로 진행되었으며, 언더우드 국제대학 학생들에게 전공 선택 과목으로 제공되었다.[21] 우선 수강 신청이 언더우드 국제대학 학생이 아닌 경제학과 학생들에게 주어지면서, 많은 언더우드 국제대학 학생들이 전공 과목 수강의 접근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21]《스크라이브》 기사에서는 전임 교수의 부족과 일부 강사의 영어 실력 부족을 지적했는데, 이는 언더우드 국제대학이 "대학이 장려하는 지적이고 도전적인 학문적 분위기와 거리가 먼, 수준 이하의 어색한 모습"이라는 비판으로 이어졌다.[21] 다른 한국 대학교에 비해 언더우드 국제대학의 높은 등록금 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절반의 교육을 위해 두 배의 등록금을 내는 느낌"을 받았다.[21]
8. 4. 국제 학생 대표성 부족
언더우드 국제대학(UIC) 설립 초기부터 국제 학생 대표성 부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22] 2006년 대학 설립 이후, 학생들은 공식 UIC 학생회에 국제 학생 대표가 없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이는 UIC가 국제적인 학습 환경을 표방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 학생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느끼는 불만족을 야기하는 요인이었다.[22]그러나 이러한 비판을 수용하여 2017년 이후 모든 UIC 학생회는 최소 두 명의 국제 학생 대표를 포함하고 있다.[23] 또한 UIC 공식 학생 홍보대사인 SAM 역시 대부분 국제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23]
참조
[1]
웹사이트
Yonsei University Symbol: Yonsei Mascot
http://www.yonsei.ac[...]
[2]
웹사이트
2020학년도 신입생 수시모집 경쟁률
http://addon.jinhaka[...]
2020-09-09
[3]
서적
Korea's Quest for Global Education: The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UIC) Model
http://rig.or.kr/des[...]
Global Education Forum
2011-12-06
[4]
웹사이트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https://uic.yonsei.a[...]
[5]
웹사이트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https://uic.yonsei.a[...]
[6]
뉴스
Affordable Study at Barnard College
http://www.koreahera[...]
Korea Herald
2011-12-06
[7]
웹사이트
Study Abroad: UIC-Exclusive Programs
http://uic.yonsei.ac[...]
[8]
웹사이트
3 Campus Comparative East Asian Studies Programme
http://www.socsc.hku[...]
[9]
웹사이트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Newsletter
https://uic.yonsei.a[...]
[10]
웹사이트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 About CDC
http://uic.yonsei.ac[...]
2016-07-01
[11]
웹사이트
Job_Opportunities
http://uic.yonsei.ac[...]
2016-07-01
[12]
웹사이트
CDC Lecture Series
http://uic.yonsei.ac[...]
2016-07-01
[13]
웹사이트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 Global Career Tour
http://uic.yonsei.ac[...]
2016-07-01
[14]
웹사이트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Newsletter
https://uic.yonsei.a[...]
[15]
문서
Kim 2016, p. 82.
[16]
문서
Kim 2016, p. 83–84.
[17]
웹사이트
Korea highs
https://www.timeshig[...]
2016-04-14
[18]
웹사이트
Some Unhappy About Yonsei's New Campus
http://m.koreatimes.[...]
2010-03-03
[19]
웹사이트
South Korea Builds a Global University, With Help From the U.S.
https://www.chronicl[...]
[20]
웹사이트
연세대 송도캠, 학업 환경은 으뜸ㆍ선후배 고리는 약해져
http://hankookilbo.c[...]
2018-09-27
[21]
웹사이트
UIC: Quantity over Quality?
https://yonseiuicscr[...]
[22]
웹사이트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UIC)'s Identity Crisis
http://annals.yonsei[...]
2017-10-16
[23]
웹사이트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https://uic.yonsei.a[...]
[24]
웹인용
Korea’s Quest for Global Education: The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UIC) Model
http://rig.or.kr/des[...]
Global Education Forum
2009-10
[25]
웹인용
언더우드국제대학 10주년 행사
http://blog.naver.co[...]
[26]
웹인용
UIC�л�ȸ �����ο� ź���� ���� - ��������
http://chunchu.yonse[...]
2018-12-28
[27]
웹인용
UIC�л�ȸ [The Answer]���� �缱 - ��������
http://chunchu.yonse[...]
2018-12-28
[28]
웹인용
UIC �л�ȸ ���� �ĺ� ��� ��Ȳ - ��������
http://chunchu.yonse[...]
2018-12-28
[29]
웹인용
"[�ܰ��� �л�ȸ ���� ���]UIC - ��������"
http://chunchu.yonse[...]
2018-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