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드윈 슈나이드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윈 슈나이드먼은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자살학 분야의 선구자이다. 1918년 우크라이나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나 UCLA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USC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브렌트우드 보훈병원 근무 중 자살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1958년 로스앤젤레스 자살 예방 센터를 설립하여 24시간 상담 서비스를 제공했다. 그는 자살의 정의와 이론을 정립하고, 심리 부검, 사후 예방, 심리통(psychache)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자살학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미국자살학회를 창립하고 학술지를 창간했으며, UCLA 교수로 재직하며 자살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힘썼다. 슈나이드먼은 자살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와 저술 활동을 통해 자살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미국 자살학회에서 상을 제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사회학자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사회학자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심리학자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심리학자 - 아모스 트버스키
    아모스 트버스키는 인지 편향 연구를 통해 인지과학과 행동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이스라엘의 인지심리학자이자 수리심리학자이다.
  • 로스앤젤레스 출신 - 안수산
    안수산은 안창호와 이혜련의 장녀이자 미국 해군 최초의 아시아계 여성 장교 및 여성 포술 장교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해군에서 복무하고 종전 후 해군 정보국, 미국 의회도서관, 국가안보국 등에서 근무하며 인종 및 성차별을 극복하고 활약한 인물이다.
  • 로스앤젤레스 출신 - 올더스 헉슬리
    올더스 헉슬리는 영국의 작가이자 사회 풍자 작가로, 《멋진 신세계》와 같은 작품을 통해 과학기술, 전체주의, 신비주의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며 현대 사회의 문제와 개인의 자유를 강조했다.
에드윈 슈나이드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에드윈 슈나이드먼
에드윈 슈나이드먼
출생1918년 5월 13일
출생지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요크
사망2009년 5월 15일 (91세)
사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국적미국
학력
출신 대학UCLA
USC
분야심리학
소속UCLA
주요 업적자살 연구
심리 부검 개발
수상
수상어윈 링켈 상 (1985)
참고 사항
참고 사항

2. 생애

에드윈 슈나이드먼은 1918년 펜실베이니아주 요크에서 러시아계 유대인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났다.[7][16] 아버지는 백화점을 운영하는 상인이었다.[7] 어릴 때 지역 공립학교에 다녔다.

UCLA에서 1938년 심리학 학사, 1940년 석사 학위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학업이 중단되어 육군에 복무했다.[7][16] 이후 USC에서 임상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9년 브렌트우드 보훈처 병원에서 자살자 유족을 위한 애도문을 작성하면서 자살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20] 1958년 노만 파베루, 로버트 리트만과 함께 LA 자살 예방 센터를 설립하고 24시간 상담 서비스를 운영했다.[7] 1966년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요청으로 자살 예방 센터 설립을 위한 전국 프로젝트 책임자로 일했다.[6][7] 1968년 미국 자살학회를 창립하고, 학술지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를 창간했다.

1970년 UCLA의 첫 사(死)의학 교수로 임용되어 1988년까지 재직했다.[6]

잔느와 결혼하여 네 아들을 두었으며,[7][6][16][15] 2009년 5월 15일 91세 나이로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했다.[7][16]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18년 펜실베이니아주 요크에서 러시아계 유대인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났다.[7][16] 그의 아버지는 백화점을 운영하는 상인이었다.[7] 어릴 때 지역 공립학교에 다녔다.

UCLA에 진학하여 1938년 심리학 학사 학위를, 1940년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학업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중단되었고, 그는 육군에 복무했다.[7][16]

이후 USC에서 임상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턴으로 브렌트우드 보훈처 병원에서 정신 분열증을 연구했는데, 당시에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여겨졌다.[7][16] 그는 무신론자였다.[1]

2. 2. 자살 연구 및 활동

1949년 브렌트우드 보훈병원에서 근무하던 중, 직장 상사의 부탁으로 자살자 유족을 위한 애도문을 작성하면서 자살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20] 1958년 노만 파베루, 로버트 리트만과 함께 LA 자살 예방 센터를 설립하고 24시간 상담 서비스를 운영했다. 당시에는 자살에 대한 연구나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시기였기에 이들의 활동은 선구적인 것으로 평가받는다.[7]

1966년,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요청으로 슈나이드먼은 자살 예방 센터 설립을 위한 전국 프로젝트 책임자로 일하며, 3년 만에 자살 예방 센터를 40개 주 100개소로 확대했다.[6][7] 1968년에는 미국 자살학회를 창립하고, 학술지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를 창간하여 자살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했다.

1970년, UCLA의 첫 사(死)의학 교수로 임용되어 1988년까지 재직하며, 심리학자들을 가르치고 멘토 역할을 수행했다.[6]

2. 3. 결혼 및 가족

슈나이드먼은 잔느와 결혼하여 데이비드 윌리엄, 조나단 아론, 폴 사무엘, 로버트 제임스 등 네 아들을 두었다.[7][6][16][15] 2009년 5월 15일, 91세의 나이로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망했다.[7][16]

3. 주요 연구 및 개념

에드윈 슈나이드먼은 자살 연구 분야의 선구자로, 자살 예방 및 이해에 크게 기여한 다양한 핵심 개념과 연구 방법을 개발했다.

그는 자살을 극심한 심리적 고통, 즉 '심리통(psychache)'의 결과로 보았으며, 이를 자살의 주요 원인으로 제시했다. 심리 부검, 사후예방(postvention)과 같은 주요 개념들을 정립하여 자살 연구의 기틀을 마련했다. 그의 동료 노먼 파버로는 슈나이드만이 자살학, 심리 부검, 심리적 고통 등의 새로운 용어를 만들었다고 언급했다.[5]

1958년 노먼 파버로, 로버트 리트만과 함께 로스앤젤레스 자살 예방 센터를 설립, 자살 예방 연구와 실천에 앞장섰다.[6] 당시 자살에 대한 연구나 논의가 거의 없던 시기였기에 이들의 노력은 선구적이었다. 미국 국립 보건원(NIH)의 지원을 받아 자살 예방 센터 설립을 위한 전국 프로젝트를 이끌며, 3년 만에 40개 주 100개소로 확대했다.[6][7]

3. 1. 자살의 정의 및 이론

슈나이드먼은 자살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자살의 정의 및 기본 이론을 확립했다.[20] 그는 자살을 극심한 심리적 고통, 즉 '심리통(psychache)'의 결과로 정의하고, 이를 자살의 주요 동기로 제시했다.[21]

슈나이드먼은 자살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개념과 용어를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대표적으로 심리 부검(psychological autopsy), 사후예방(postvention), 심리통(psychache) 등의 용어를 만들었다.[21] 그의 동료인 노먼 파버로는 슈나이드만이 자살학,[2] 심리 부검,[3] 심리적 고통,[4] 및 가자살 유서와 같은 새로운 용어를 만들었다고 언급했다.[5]

3. 2. 심리 부검 (Psychological Autopsy)

에드윈 슈나이드먼은 자살 사망자의 심리적, 사회적 배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인 심리 부검을 개발했다.[21] 이를 통해 자살의 원인을 규명하고, 예방 및 개입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심리 부검, 사후예방(postvention), 심리통(psychache) 등의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자살학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21]

3. 3. 사후 예방 (Postvention)

에드윈 슈나이드먼은 심리부검(psychological autopsy), 심리통(psychache) 등의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 자살학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21] 사후예방(postvention)은 자살 발생 후 유족 및 주변 사람들에게 심리적 지원과 개입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자살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추가적인 자살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4. 자살 예방 프로그램 개발

1958년, 노먼 파버로, 로버트 리트만과 함께 로스앤젤레스 자살 예방 센터를 설립했다.[6] 정신 분석학자인 리트만이 행정 이사로 활동했다. 자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논의조차 꺼려지던 시대에 그들은 선구자였다. 슈나이드만은 미국 국립 보건원(NIH)으로부터 이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도왔다. 1966년 슈나이드만은 NIH에서 자살 예방 센터 설립을 위한 전국 프로젝트의 책임자로 일하기 시작했으며, 3년 만에 그 수를 소수에서 40개 주 100개로 늘렸다.[6][7]

4. 비판

에드윈 슈나이드먼은 자살에 이르기까지의 정신적 고통을 자신에 대한 실망이나 요구에 대한 좌절로 설명하였는데, 이는 정신적 고통을 이론적인 범위에만 국한시켰다는 비판을 받는다.[22]

5. 주요 저서


  • 파베루와 공저, ''자살의 단서'' (1957)
  • 파베루와 공저, ''도움을 요청하는 외침'' (1961)
  • ''자기 파괴에 관한 에세이'' (1967)
  • 로버트 E. 리트먼과 공저, ''자살의 심리학: 평가 및 치료를 위한 임상의 지침'' (1970)
  • ''죽음과 대학생: 하버드 청년들의 죽음과 자살에 관한 짧은 에세이 모음'' (1973)
  • ''인간의 죽음'' (1973)
  • ''자살학: 현대적 발전'' (1976)
  • ''죽음의 목소리'' (1980)
  • ''자살의 생각과 성찰, 1960–1980'' (1981)
  • ''죽음: 현재의 관점'' (1984)
  • ''자살의 정의'' (1985)
  • ''정신적 고통으로서의 자살: 자기 파괴적 행동에 대한 임상적 접근'' (1993)
  • ''자살하는 마음'' (1998)
  • 안톤 A. 리나르스 박사 편집, ''삶과 죽음: 에드윈 S. 슈나이드만의 저작 선집'' (1999)
  • ''자살 이해: 20세기 자살학의 랜드마크'' (2001)
  • ''자살하는 마음의 부검'' (2004)
  • 데이비드 A. 조브스와 공저, ''자살 위험 관리: 협력적 접근'' (2006)
  • ''죽음에 대한 상식적인 책: 평생의 사생학자가 아흔 살에 하는 성찰'' (2008)

6. 유산 및 영향

미국 자살학회는 1973년에 슈나이드먼의 업적을 기려 '에드윈 S. 슈나이드먼 상'을 제정하여 40세 미만의 젊은 자살학 연구자들을 지원하고 있다. 1987년에는 미국 심리학회에서 공공 서비스에 대한 뛰어난 공헌을 인정받아 상을 받았다.[7] 2005년에는 메리안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하고 그의 이름을 딴 사(死)의학 프로그램을 설립했다. 2007년에는 디디 허쉬 커뮤니티 서비스 센터로부터 낙인 지우기 리더십 상을 받았다.

참조

[1] 문서 Waiting for death, alone and unafraid, Thomas Curwen, Los Angeles Times, 28 February 2009 (Accessed 18 May 2009)
[2] 서적 Bereavement after suicide Jason Aronson, Inc. 1993
[3] 논문 Investigations of equivocal suicides 1963
[4] 서적 Suicide As Psychache: A Clinical Approach To Self-Destructive Behavior Jason Aronson, Inc. 1993
[5] 논문 Some comparisons between genuine and simulated suicide notes 1957
[6] 뉴스 Edwin Shneidman, Authority on Suicide, Dies at 91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9-05-21
[7] 뉴스 Edwin S. Shneidman dies at 91; pioneer in the field of suicide prevention http://www.latimes.c[...] 2009-05-18
[8] 문서 直訳としては「タナトス学」、死の研究になる。タナトスについては晩年のフロイトの見解を参考に。
[9] 서적 Bereavement after suicide Jason Aronson, Inc. 1993
[10] 논문 Investigations of equivocal suicides 1963
[11] 서적 Suicide As Psychache: A Clinical Approach To Self-Destructive Behavior Jason Aronson, Inc. 1993
[12] 문서 このPsychacheはギリシア語からの造語
[13] 논문 Some comparisons between genuine and simulated suicide notes 1957
[14] 문서 75年以上にわたり無料のメンタルヘルス、薬物使用、自殺予防サービスを提供してきた非営利団体。毎年、10,000人以上の学生、教師、宗教グループ、ビジネスマンなどに自殺の恐れのある人へ対応するためのセミーを実施している。紹介のムービーはこちら。https://translate.googleusercontent.com/translate_c?depth=1&hl=ja&prev=search&rurl=translate.google.com&sl=en&sp=nmt4&u=http://erasingthestigma.org/&xid=17259,1500004,15700022,15700186,15700191,15700256,15700259,15700262,15700265&usg=ALkJrhgyxAWLnAMjrx0EZZ5Oi9BBqPkvAA
[15] 뉴스 Edwin Shneidman, Authority on Suicide, Dies at 91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9-05-21
[16] 뉴스 Edwin S. Shneidman dies at 91; pioneer in the field of suicide prevention http://www.latimes.c[...] 2009-05-18
[17] 저널 Lives and Deaths: Biographical Notes on Selections from the Works of Edwin S. Shneidman 2019-09-15
[18] 저널 Edwin Shneidman 2019-09-15
[19] 웹인용 삶의 극단과 끈질긴 교류… '자살 = 죄악' 터부 맞서다 https://www.hankooki[...] 2019-09-15
[20] 저널 Edwin S. Shneidman on Suicide http://www.suicidolo[...] 2019-09-15
[21] 저널 Edwin S Shneidman y la suicidología moderna http://www.scielo.or[...] 2019-09-15
[22] 저널 자살행동의 심리적 이해 http://www.moodandem[...] 2019-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