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리우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아일랜드의 이름과 관련된 인물이다. 고대 아일랜드어 '*Īweriū'에서 유래되었으며, '비옥한 땅' 또는 '풍요의 땅'을 의미하는 인도유럽어족 어근에서 파생되었다. 에리우는 자매인 반바, 포들라와 함께 여신 삼두 정치부를 형성하며, 밀레시안족이 아일랜드에 도착했을 때 자신의 이름을 나라에 부여해 달라고 요청하여 에리우(에이레)가 주요 명칭이 되었다. 그녀는 주권의 여신으로 해석되며, 다양한 텍스트에서 가족 관계가 다르게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에리우 | |
---|---|
신화 정보 | |
유형 | 여신 |
문화 | 아일랜드 신화 |
배우자 | 마크 그레인(태양의 신) |
아버지 | 엘라하 |
다른 이름 | 에린(Éireann) |
상징 | 아일랜드 |
2. 명칭 및 어원
''에리우''라는 이름은 재구된 고대 아일랜드어 ''*Īweriū''에서 유래되었으며,[1] 이는 민족명 이베르니와 관련이 있다.[2] 웨일스 대학교는 이를 원시 켈트어 *''Φīwerjon-'' (주격 단수 ''Φīwerjō'')에서 유래되었다고 본다.[3] 이것은 더 나아가 인도유럽어족 ''*piHwerjon-'' ("비옥한 땅" 또는 "풍요의 땅")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형용사 ''*piHwer-'' "살찐"에서 유래되었다(고대 그리스어 ''píeira'' 및 산스크리트어 ''pīvara'', "살찐, 가득한, 풍부한"와 동족 관계).[2] 고대 아일랜드어 형태는 고대 그리스어로 Iernē/Ἰέρνηgrc과 Iouernia/Ἰουερνίαgrc로, 그리고 라틴어 ''히베르니아''로 차용되었다.[2]
반센차스(중세 아일랜드의 전설적, 역사적 여성들을 묘사한 텍스트)에서,[4] 에리우와 그녀의 자매들은 다음과 같이 불린다.
3. 특징
신화적 묘사에리우는 자매인 반바와 포들라와 함께 여신 삼두 정치부를 형성한다.[6] 밀레시안족이 갈리시아에서 도착했을 때, 세 자매는 각자 자신의 이름을 나라에 부여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요청은 받아들여졌고, 에리우(에이레)가 주요 명칭이 되었다.[6] (반바와 포들라는 아일랜드의 시적 이름으로도 사용되며, 이는 ''앨비언''이 그레이트브리튼의 시적 이름으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다.)
17세기 아일랜드 역사가 제프리 키팅( Seathrún Céitinnga )에 따르면, 에이레, 반바, 포들라와 관련된 세 명의 주권 여신은 바브, 마하, 모리안(The Morrígan)이었다. 에리우, 반바, 포들라는 또한 주권의 여신으로 해석된다.[9]
가족 관계에리우와 관련된 개인적인 관계는 여러 텍스트에서 다르게 묘사된다. 에리우의 자매는 항상 투어허 데 다넌의 구성원인 반바와 포들라로 언급되며, 이들은 남편으로서 세 형제를 공유한다. ''반센차스''에서 에리우는 케타르의 아내로 묘사되는 반면, 반바와 포들라는 각각 에타르와 데타르의 아내로 언급된다.[4] 더 흔하게는 그녀는 마크 그레인 ("태양의 아들"), 다그다의 손자의 아내 또는 연인으로 언급되지만, ''반센차스''에서는 그녀의 남편이 단순히 ''그리안'' ("태양")으로 불린다.[5][6][4] 에리우는 또한 포모르의 왕자인 엘라타의 연인으로 묘사되며, 그와 함께 브레스라는 아들을 낳고, 브레스의 적이자 영웅인 루의 연인이기도 하다. 엘라타와 에리우는 일부 출처에서 델바에트의 자녀로 묘사되어 이들이 이복 형제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7] 다른 곳에서는 에리우가 피아크라의 딸로 언급되며,[4] 그녀의 어머니는 에르마스라고 한다. 렌의 ''딘센차스''에서 그녀의 양아버지는 둥근 가슴의 코달로 언급되며, 그가 에리우에게 ''벤 코달''이라는 봉우리에서 음식을 먹였을 때 아일랜드의 땅이 하늘을 향해 솟아오르기 시작했으며, 그 땅이 계속 솟아올라 결국 아일랜드 전체가 봉우리가 되거나 또는 태양이 에리우를 태우고 바람이 그녀의 귀를 꿰뚫을 때까지 솟아올랐을 것이라고 한다.[8]
3. 1. 신화적 묘사
에리우는 자매인 반바와 포들라와 함께 여신 삼두 정치부를 형성한다.[6] 밀레시안족이 갈리시아에서 도착했을 때, 세 자매는 각자 자신의 이름을 나라에 부여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요청은 받아들여졌고, 에리우(에이레)가 주요 명칭이 되었다.[6] (반바와 포들라는 아일랜드의 시적 이름으로도 사용되며, 이는 ''앨비언''이 그레이트브리튼의 시적 이름으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다.)
17세기 아일랜드 역사가 제프리 키팅( Seathrún Céitinnga )에 따르면, 에이레, 반바, 포들라와 관련된 세 명의 주권 여신은 바브, 마하, 모리안(The Morrígan)이었다. 에리우, 반바, 포들라는 또한 주권의 여신으로 해석된다.[9]
3. 2. 가족 관계
에리우와 관련된 개인적인 관계는 여러 텍스트에서 다르게 묘사된다. 에리우의 자매는 항상 투어허 데 다넌의 구성원인 반바와 포들라로 언급되며, 이들은 남편으로서 세 형제를 공유한다. ''반센차스''에서 에리우는 케타르의 아내로 묘사되는 반면, 반바와 포들라는 각각 에타르와 데타르의 아내로 언급된다.[4] 더 흔하게는 그녀는 마크 그레인 ("태양의 아들"), 다그다의 손자의 아내 또는 연인으로 언급되지만, ''반센차스''에서는 그녀의 남편이 단순히 ''그리안'' ("태양")으로 불린다.[5][6][4] 에리우는 또한 포모르의 왕자인 엘라타의 연인으로 묘사되며, 그와 함께 브레스라는 아들을 낳고, 브레스의 적이자 영웅인 루의 연인이기도 하다. 엘라타와 에리우는 일부 출처에서 델바에트의 자녀로 묘사되어 이들이 이복 형제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7] 다른 곳에서는 에리우가 피아크라의 딸로 언급되며,[4] 그녀의 어머니는 에르마스라고 한다. 렌의 ''딘센차스''에서 그녀의 양아버지는 둥근 가슴의 코달로 언급되며, 그가 에리우에게 ''벤 코달''이라는 봉우리에서 음식을 먹였을 때 아일랜드의 땅이 하늘을 향해 솟아오르기 시작했으며, 그 땅이 계속 솟아올라 결국 아일랜드 전체가 봉우리가 되거나 또는 태양이 에리우를 태우고 바람이 그녀의 귀를 꿰뚫을 때까지 솟아올랐을 것이라고 한다.[8]
4. 상징성
에리우는 자매인 반바와 포들라와 함께 여신 삼두 정치부를 형성한다.[6] 밀레시안족이 갈리시아에서 도착했을 때, 세 자매는 각자 자신의 이름을 나라에 부여해 달라고 요청했다.[6] 이 요청은 받아들여졌고, 에리우(에이레)가 주요 명칭이 되었다.[6] 반바와 포들라는 아일랜드의 시적 이름으로도 사용되며, 이는 ''앨비언''이 그레이트브리튼의 시적 이름으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다.[6]
17세기 아일랜드 역사가 제프리 키팅(Seathrún Céitinn)에 따르면, 에이레, 반바, 포들라와 관련된 세 명의 주권 여신은 바브, 마하, 모리안(The Morrígan)이었다.[9] 에리우, 반바, 포들라는 또한 주권의 여신으로 해석된다.[9]
5. 한국 신화와의 비교
6.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Fitzroy Dearborn Pub.
1997
[2]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5
[3]
웹사이트
Proto-Celtic—English lexicon
http://www.wales.ac.[...]
[4]
웹사이트
Banshenchus
http://www.maryjones[...]
2022-01-03
[5]
문서
Lebor Gabála Érenn
http://www.ancientte[...]
[6]
서적
Celtic Myths and Legends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2012-07-24
[7]
웹사이트
Celtic heritage : ancient tradition in Ireland and Wales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1961
[8]
서적
Revue celtique
http://archive.org/d[...]
University of Toronto
1870
[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Ireland
http://www.ucc.ie/ce[...]
[10]
웹인용
Foras Feasa ar Érinn
http://www.ucc.ie/ce[...]
[11]
문서
Lebor Gabála Érenn
http://www.ancientte[...]
[12]
URL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