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신은 게르만어 'god'와 라틴어 접미사 '-ess'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명사로, 다양한 신화와 종교에서 여성의 신적 존재를 의미한다. 메소포타미아의 이난나, 고대 이집트의 이시스, 그리스의 아프로디테 등 고대 근동, 인도유럽, 아메리카, 켈트, 게르만,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 아프리카, 중국, 신토, 다르마 종교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신 숭배가 나타난다. 특히 힌두교에서는 샥티를 최고신으로, 불교에서는 타라보살을 중요하게 여기며, 위카에서는 여신을 중요한 존재로 숭배한다. 또한, 페미니즘에서는 여신 운동, 성스러운 여성성, 여신 이미지의 종교적 통합 등을 통해 여성의 지위와 역할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여신이라는 명사는 게르만어의 ''god''과 라틴어 접미사 ''-ess''를 결합하여 만들어진 2차적 형태이다. 이 단어는 1350년경 중세 영어에서 처음 등장했다.[3] 영어 단어는 이집트어, 고대 그리스어, 그리고 여러 셈어족 언어를 포함한 다수의 언어에서 신을 뜻하는 단어에 여성형 어미를 붙이는 언어학적 선례를 따른다.
일본에서는 산신이 여신인 경우가 많으며, 산신이 남신인 경우 수렵, 벌채, 예능을 관장한다.[36] 물과 생명을 기르는 숲과 산은 기본적으로 여성 원리로 표현되기 때문에, 산에 남녀가 함께 들어가면 여신이 질투하거나 여성의 입산을 싫어하는 이야기가 많다고 하며, 산신이 생산을 관장하는 이상, 일본어의 "오은나(ヲンナ)"는 "오미나(ヲミナ)" = 낳는다는 뜻으로 여겨진다.[36] 야나기타 구니오는 『여동생의 힘』에서 영산에 여성의 출입을 금지하는 결계 바위는 대부분 산 중턱에 있으며, 실제로 입산을 금지했던 것이라면 중턱에 결계 바위를 놓는 것은 부자연스럽고, 오히려 금지했던 것이 아니라 다리가 불편한 여성이 정상까지 오르지 않고도 참배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라고 고찰한다.
2. 어원
3. 역사 속 여신
3. 1. 고대 근동
3. 1. 1. 메소포타미아
이난나는 고대 수메르에서 가장 숭배받는 여신이었다.[4][5][6] 그녀는 나중에 혼합주의를 통해 동셈족 여신 이슈타르와 융합되었다.[7] 다른 메소포타미아 여신들로는 닌후르사그, 닌릴, 안투, 가가 등이 있다.
3. 1. 2. 고대 이집트
wikitext3. 1. 3. 가나안
가나안 종교의 여신: 바알라트 게발, 아스타르테, 아낫.
3. 1. 4. 아나톨리아
3. 1. 5.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
메카에서 여신 우자, 마나트와 알-라트는 "신의 딸들"로 알려졌다. 우자는 나바테아인들이 숭배했으며, 이들은 그녀를 그리스-로마 여신 아프로디테, 우라니아, 비너스, 그리고 카엘레스티스와 동일시했다. 세 여신 각각은 메카 근처에 별도의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우자는 이슬람 이전 시대의 쿠라이시족의 보호를 위해 불려졌다. 624년 우후드 전투에서 쿠라이시족의 함성은 '오, 우자의 백성이여, 후발의 백성이여!'였다.[8]
이븐 이스하크의 논란이 많은 사탄의 구절에 대한 설명에 따르면, 이 구절들은 이전에 그들을 무슬림의 중재자로 인정했지만 폐기되었다고 한다. 대부분의 무슬림 학자들은 이 이야기를 역사적으로 있을 법하지 않다고 여기는 반면, 레오네 카에타니와 존 버턴과 같은 서구 학자들은 반대하고, 윌리엄 무어와 윌리엄 몽고메리 왓은 그럴듯하다고 주장하며 의견이 엇갈린다.
코란(Q53:19-31)은 여성 신들의 중재를 믿는 것이 헛됨을 경고하며, 특히 "신의 딸들"을 언급한다.[8]
3. 2. 인도유럽 전통
유사 항목: 원시 인도유럽 종교
인도유럽어를 사용했던 문화권의 기독교 이전 및 이슬람교 이전 여신들.
인도-이란 조상 종교와 리그베다의 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라.
켈트 다신교의 여신 및 기타 초자연적인 여성들은 다음과 같다.
켈트족은 치유, 전쟁, 시와 같은 기술과 직업과 관련된 여신뿐만 아니라 자연과 자연력의 여신을 숭배했다. 켈트 여신들은 풍요, 창조, 아름다움과 같은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혹함, 학살, 복수와 같은 특성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아름답거나 흉측하고, 늙은 할머니 또는 젊은 여성으로 묘사되었으며, 때로는 모습이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하거나, 까마귀, 소, 늑대 또는 뱀장어와 같은 관련 생물로 변하기도 한다. 특히 아일랜드 신화에서 수호 여신들은 종종 주권과 다양한 지형, 특히 산, 강, 숲 및 성스러운 우물과 연관된다.[10]
대륙 게르만 신화와 노르드 신화에 대한 현존하는 기록에는 여성 여신, 거인 여신, 그리고 그들의 경전에 나오는 신성한 여성 인물에 대한 수많은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 게르만족은 "어머니와 귀부인"(Matres and Matrones)에게 제단을 세우고 이러한 여신들을 위한 특별한 축하 행사를 열었다(예: 앵글로색슨족의 "어머니의 밤"(Mothers-night)). 다양한 다른 여성 신들이 게르만 민족들 사이에서 증명되었는데, 예를 들어 게르만 민족에 대한 초기 기록에서 증명된 네르투스, 앵글로색슨 이교주의에서 증명된 에오스트레, 그리고 이교도 대륙 게르만 민족들 사이에서 증명된 신트군트가 있다. 노르드 신화에서 증명된 여신의 예로는 오딘의 아내이자 현대 영어 요일 금요일의 어원이 된 프리그, 뇨르드의 전처였던 스카디, 청동기 시대에 뇨르드와 결혼했던 네르투스(Njerda), 오드의 아내 프레이야, 토르의 아내 시프, 프레이르의 아내 게르드, 그리고 요르드(땅), 솔(태양), 그리고 노트 (밤)과 같은 의인화된 인물들이 있다. 여성 신들은 또한 전투에서 죽은 자의 절반이 들어가는 프레이야의 들판 폴크방그, 헬의 왕국 헬, 그리고 바다에서 죽은 자들을 맞는 란과 같이 노르드 죽음 개념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발키리, 노른, 그리고 디시와 같은 다른 여성 신들은 운명(고대 노르드어 ''외를로그'', 고대 영어 ''위르드'')의 게르만 개념과 관련이 있으며, 디사블로트와 디스팅과 같은 축하 행사가 그들을 기리기 위해 열렸다.
3. 2. 1. 인도
인도-이란 조상 종교와 리그베다의 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라.3. 2. 2. 이란
3. 2. 3. 그리스-로마
3. 2. 4. 켈트
켈트 다신교의 여신 및 기타 초자연적인 여성들은 다음과 같다.
켈트족은 치유, 전쟁, 시와 같은 기술과 직업과 관련된 여신뿐만 아니라 자연과 자연력의 여신을 숭배했다. 켈트 여신들은 풍요, 창조, 아름다움과 같은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혹함, 학살, 복수와 같은 특성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아름답거나 흉측하고, 늙은 할머니 또는 젊은 여성으로 묘사되었으며, 때로는 모습이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하거나, 까마귀, 소, 늑대 또는 뱀장어와 같은 관련 생물로 변하기도 한다. 특히 아일랜드 신화에서 수호 여신들은 종종 주권과 다양한 지형, 특히 산, 강, 숲 및 성스러운 우물과 연관된다.[10]
3. 2. 5. 게르만
대륙 게르만 신화와 노르드 신화에 대한 현존하는 기록에는 여성 여신, 거인 여신, 그리고 그들의 경전에 나오는 신성한 여성 인물에 대한 수많은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 게르만족은 "어머니와 귀부인"(Matres and Matrones)에게 제단을 세우고 이러한 여신들을 위한 특별한 축하 행사를 열었다(예: 앵글로색슨족의 "어머니의 밤"(Mothers-night)). 다양한 다른 여성 신들이 게르만 민족들 사이에서 증명되었는데, 예를 들어 게르만 민족에 대한 초기 기록에서 증명된 네르투스, 앵글로색슨 이교주의에서 증명된 에오스트레, 그리고 이교도 대륙 게르만 민족들 사이에서 증명된 신트군트가 있다. 노르드 신화에서 증명된 여신의 예로는 오딘의 아내이자 현대 영어 요일 금요일의 어원이 된 프리그, 뇨르드의 전처였던 스카디, 청동기 시대에 뇨르드와 결혼했던 네르투스(Njerda), 오드의 아내 프레이야, 토르의 아내 시프, 프레이르의 아내 게르드, 그리고 요르드(땅), 솔(태양), 그리고 노트 (밤)과 같은 의인화된 인물들이 있다. 여성 신들은 또한 전투에서 죽은 자의 절반이 들어가는 프레이야의 들판 폴크방그, 헬의 왕국 헬, 그리고 바다에서 죽은 자들을 맞는 란과 같이 노르드 죽음 개념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발키리, 노른, 그리고 디시와 같은 다른 여성 신들은 운명(고대 노르드어 ''외를로그'', 고대 영어 ''위르드'')의 게르만 개념과 관련이 있으며, 디사블로트와 디스팅과 같은 축하 행사가 그들을 기리기 위해 열렸다.
3. 3. 아메리카
3. 3. 1. 아즈텍
3. 3. 2. 마야
3. 3. 3. 잉카
3. 3. 4. 북아메리카 원주민
4. 민간 신앙과 애니미즘
4. 1. 아프리카 종교
아프리카와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종교에서 여신들은 종종 마리아 신심과 융합되는데, 이는 에질리 단토르(체스토호바의 검은 성모)와 에르줄리 프레다(고통받는 성모)에서 볼 수 있다.[11] 수단과 에티오피아 남부 지역에서는 여성의 비옥한 측면을 나타내는 부크가 여전히 숭배되며, 그녀는 비슷한 이름의 신인 아부크와 관련이 있다.[11] 또 다른 에티오피아 여신은 봄과 다산의 여신인 아테테이다. 농부들은 전통적으로 매 수확기 말에 제물로 농산물을 일부 남겨두고, 여성들은 전통 노래를 부른다.
남부 누바족은 단일 여신에 초점을 맞춘 드문 일신교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은 창조 여신을 지구와 인류를 낳은 "위대한 어머니"로 인식한다.[12]
4. 2. 중국 민간 신앙
마조는 중국 남동부 해안 지역과 동남아시아 인근 지역에서 널리 숭배받는 어부와 선원을 보호하는 바다의 여신이다.[13] 천모의 딸인 직녀는 하늘과 땅을 위해 "은하수"라고 알려진 별과 그 빛을 짰으며, 서양에서는 베가로 알려졌다.[13]
4. 3. 신토
신도 신(神) 중 으뜸은 여신 아마테라스이며, 아메노우즈메노미코토, 이나리, 고노하나사쿠야히메와 같은 중요한 여성 신들도 있다.[14] 성차가 존재함으로써 일신교와 같은 남성 우위의 사회를 주장하는 흐름과는 다른 이야기 형성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이자나기・이자나미의 혼인담에서 남자가 먼저 말을 걸지 않아 실패했다는 흐름은 남성 우위의 이야기로 보일 수 있지만, 그 후 태어난 남신 히루코를 폐하고 여신 히루메를 세운 점은 여성을 우대한다고 볼 수 있다.[14] 가와이 하야오는 저서 『중공 구조 일본의 심층』에서 남성 우위와 여성 우위의 이야기를 교대로 함으로써 카운터 밸런스를 성립시키고 남녀가 서로의 결점을 보완하여 안정화를 꾀한다는 사회 사상을 신화를 통해 말하고 있다고 했다. 또한 아마테라스와 스사노오의 「깨끗한 마음을 보이는 승부」에서는, 남신을 낳은 아마테라스=여신에게, 여신을 낳은 스사노오=남신을 이기게 하고 있다. 여신의 존재는 한쪽 성을 우대하는 일변도적인 사회를 부정하는 것과도 연결될 수 있다.
『신황정통기』에 「양신(오카미) '''음신'''(메가미)」이라고 표기되어 있듯이, 음양 사상 하에서는 여신은 「음」에 비정된다(『신통기』 내에서는 음신의 표기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여신의 호칭 외에 「'''히메가미'''(姫神)」라는 말을 사용하며, 이에 대해 남신을 「히코가미(彦神)」라고 호칭한다(『고지엔 제6판』 이와나미 서점에서).
일본에서는 산신이 여신인 경우가 많으며, 산신이 남신인 경우 수렵, 벌채, 예능을 관장한다. 물과 생명을 기르는 숲과 산은 기본적으로 여성 원리로 표현되기 때문에, 산에 남녀가 함께 들어가면 여신이 질투하거나 여성의 입산을 싫어하는 이야기가 많다고 하며, 산신이 생산을 관장하는 이상, 일본어의 "오은나(ヲンナ)"는 "오미나(ヲミナ)" = 낳는다는 뜻으로 여겨진다.[36] 야나기타 구니오는 『여동생의 힘』에서 영산에 여성의 출입을 금지하는 결계 바위는 대부분 산 중턱에 있으며, 실제로 입산을 금지했던 것이라면 중턱에 결계 바위를 놓는 것은 부자연스럽고, 오히려 금지했던 것이 아니라 다리가 불편한 여성이 정상까지 오르지 않고도 참배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라고 고찰한다.
『고사기』에 기록된 280여 명(진무 천황 동정 이후 제외) 중, 성별이 없는 신, 성별 불명의 신, 남신을 제외한 여신의 수는 65명 정도이다. 이 중, 오오게츠히메가 살해되었으며(『일본서기』에서는 우케모치), 또한 쿠시나다히메의 자매신도 야마타노오로치에게 살해되었기 때문에 정확한 수는 불명확하다. 전체 수의 약 4분의 1로, 그리스 신화와 비교하여 적지만, 이는 일본 신화에서 성별이 없거나 성별 불명의 신이 그리스 신화에 비해 많기 때문이며, 예를 들어, 여덟 종류의 뇌신, 이나바의 흰 토끼, 사히모치의 신 = 상어 등, 사람 외의 신이 풍부하게 존재한다. 혼슈 (오오야마토토요아키즈시마) = 아마미코코로토요아키츠히메도 『고사기』에서의 남신과 여신의 기재 순서로 보면 여신이지만, 명시되어 있지 않는 등 불분명한 부분이 있다.
5. 다르마 종교
다르마 종교(주로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에는 널리 숭배되는 많은 여신들이 있다. 이러한 여신들 중 몇몇의 가장 초기의 자료는 베다에서 찾을 수 있다.[15] 그러나, 더 고대 문명인 인더스 문명의 예술에서도 여신들을 찾아볼 수 있다.[16][17]
=== 힌두교 ===
힌두교는 수많은 신과 여신을 포함하는 다양한 복합적인 신념 체계이다. 가장 오래된 힌두교 자료인 ''리그베다''에는 프리티비(지구), 아디티(우주의 도덕적 질서), 바크(소리), 니르리티(파괴) 및 사라스바티와 같은 많은 여신들이 등장한다. ''데비스크타(Devīsūkta)''는 베다 종교에서 여신 사상을 다루는 중요한 자료이다. 오늘날 중요한 힌두교 여신으로는 락슈미, 사라스바티, 두르가, 칼리, 트리푸라순다리, 파르바티, 라다가 있다.
힌두교의 다양한 전통의 신학에는 많은 다양성이 존재한다. 일부 신학(예: 아드바이타)은 모든 신과 여신을 브라만이라고 불리는 단일한 무형의 비개인적 근원의 화현으로 간주한다.
일부 전통은 락슈미-비슈누, 라다-크리슈나, 브라흐마-사라스바티 또는 시바-파르바티의 형태로 이중 신을 상정한다. 이들은 남신(샥티만, "힘의 소유자")과 그의 배필인 여성 "힘"(샥티)으로 짝을 이루며 제시되며, 그들의 관계는 전통의 신학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된다.
샥티교에서 최고 신은 위대한 여신(마하데비)이며, 샥티 또는 아디 파라샥티(원시 최고 힘)와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샥타들은 여신을 모든 것의 궁극적인 근원이자 모든 신과 여신의 어머니로 여긴다. 그녀는 일부 전통에서 10개의 주요 아바타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10개의 마하비디아라고 부른다. 또 다른 중요한 개념은 샥타 삼위일체인 트리데비로, 마하데비를 마하사라스바티, 마하락슈미, 마하칼리의 세 주요 여신으로 나타난다.
''데비 마하트마야(Devi Mahatmya)'' (여신의 영광)로 알려진 위대한 샥타 경전에서 모든 여신은 하나의 주재 여성 힘, 즉 진실 속에서 하나이며 표현 속에서 많은 존재의 측면이며, 이는 또한 우주의 창조적인 힘이기도 하다. 그것은 남성적 존재의 잠재력이 여성적인 신성에 의해 활성화된다는 것을 철학적인 논문과 은유를 통해 표현한다.
인도의 다양한 마을 지역의 지역 신들은 종종 "주류" 힌두교 신들과 동일시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을 ''산스크리트화''라고 불렀다. 다른 사람들은 이를 일원론 또는 ''아드바이타''의 영향으로 돌리는데, 이는 다신교 또는 일신교 분류를 무시한다. 일원론적 힘은 일부 여신들 사이의 융합(108개의 이름이 많은 여신에게 흔함)으로 이어졌지만, 원심력은 또한 힌두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평신도들 사이에서 새로운 여신과 의례가 우위를 차지하는 결과를 낳았다. 따라서 매우 인기 있는 여신 두르가는 파르바티와 융합된 베다 이전의 여신이었으며, 이는 칼리카 푸라나(10세기), 두르가바크티타랑기니(비드야파티 15세기), 찬디망갈(16세기)과 같은 텍스트를 통해 추적할 수 있는 과정이다.
널리 기념되는 힌두 축제 나바라트리는 신성한 여성 데비(두르가)를 기리는 축제로, 가을에 9일 동안의 기도를 포함하며, 샤라다 나바라트리라고도 한다.
=== 불교 ===
다양한 불교 전통에는 수많은 여성 신들이 있으며, 이들은 불교 미술에 널리 묘사된다.[18][21] 초기 불교에서는 프리티비(대지 여신), 하리티, 락슈미, 마야데비(붓다의 어머니) 등 다양한 여성 여신들을 숭배했다.[19] 이들은 주로 천신 또는 영(예: 약시니)으로 여겨졌다. 마야와 프리티비(동남아시아에서는 프라 매 토라니로 알려짐)는 오늘날 상좌부 불교에서 여전히 중요하다.
인도 대승 불교는 반야바라밀다 데비, 준다, 마리지, 시타타파트라, 타라, 우쉬니샤비자야, 바수다라를 포함한 여러 여성 신들을 숭배했다.[20] 이들은 만트라(''비디아''라고도 함)와 다라니와 관련된 강력한 보살 구원자, 해방자로 발전했다.[20] 반야바라밀다 데비와 같은 여신들은 "붓다의 어머니"(산스크리트어: buddhamatr)라고도 불렸으며,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얻은 부처님으로 여겨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바가바티라고도 불렸다.
대승 불교 전통에서 일부는 보살 (불성을 향해 나아가는 존재) 또는 완전한 부처로 여겨지는 반면, 다른 일부는 단지 천신일 뿐이다.[21] 동아시아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불교 여성 신은 보살 관음과 "붓다의 어머니"인 준제이다. 티베트 불교에서 타라는 가장 중요한 여성 신이다 (종종 완전한 부처로 여겨짐).[22]
탄트라 ''다키니'' 바즈라요기니는 티베트 금강승에서 중요한 탄트라 명상 신 (이드담)이며, 그 자체로 여성 부처로도 여겨진다.[23][22] 탄트라 불교 여신들은 종종 완전한 깨달음을 얻은 부처로 여겨졌으며 때로는 해골잔과 살갗을 벗기는 칼과 같은 독특한 탄트라 요소를 가지고 묘사된다. 이 탄트라 신에는 심하무카, 마하마야, 바즈라요기니, 친나마스타 그리고 쿠루쿨라가 포함된다.[22]
대승 불교 여신은 종종 "데비"(산스크리트어: 데비, "여성 신", "여신", 티베트어: lhamo) 또는 심지어 바가바니(바가반의 여성 버전으로, 불성을 나타냄)라고 불린다.[24]
원래 여신을 모시던 것이 불교(엄밀히는 구카이)의 영향으로 남신으로 여겨지게 된 예로는 후시미이나리 신사가 있다.[40] 반대로 관음보살과 같이 남신이었던 것이 여신으로 숭배받게 된 예도 있다.
5. 1. 힌두교
힌두교는 수많은 신과 여신을 포함하는 다양한 복합적인 신념 체계이다. 가장 오래된 힌두교 자료인 ''리그베다''에는 프리티비(지구), 아디티(우주의 도덕적 질서), 바크(소리), 니르리티(파괴) 및 사라스바티와 같은 많은 여신들이 등장한다. ''데비스크타(Devīsūkta)''는 베다 종교에서 여신 사상을 다루는 중요한 자료이다. 오늘날 중요한 힌두교 여신으로는 락슈미, 사라스바티, 두르가, 칼리, 트리푸라순다리, 파르바티, 라다가 있다.힌두교의 다양한 전통의 신학에는 많은 다양성이 존재한다. 일부 신학(예: 아드바이타)은 모든 신과 여신을 브라만이라고 불리는 단일한 무형의 비개인적 근원의 화현으로 간주한다.
일부 전통은 락슈미-비슈누, 라다-크리슈나, 브라흐마-사라스바티 또는 시바-파르바티의 형태로 이중 신을 상정한다. 이들은 남신(샥티만, "힘의 소유자")과 그의 배필인 여성 "힘"(샥티)으로 짝을 이루며 제시되며, 그들의 관계는 전통의 신학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된다.
샥티교에서 최고 신은 위대한 여신(마하데비)이며, 샥티 또는 아디 파라샥티(원시 최고 힘)와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샥타들은 여신을 모든 것의 궁극적인 근원이자 모든 신과 여신의 어머니로 여긴다. 그녀는 일부 전통에서 10개의 주요 아바타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10개의 마하비디아라고 부른다. 또 다른 중요한 개념은 샥타 삼위일체인 트리데비로, 마하데비를 마하사라스바티, 마하락슈미, 마하칼리의 세 주요 여신으로 나타난다. ''데비 마하트마야(Devi Mahatmya)'' (여신의 영광)로 알려진 위대한 샥타 경전에서 모든 여신은 하나의 주재 여성 힘, 즉 진실 속에서 하나이며 표현 속에서 많은 존재의 측면이며, 이는 또한 우주의 창조적인 힘이기도 하다. 그것은 남성적 존재의 잠재력이 여성적인 신성에 의해 활성화된다는 것을 철학적인 논문과 은유를 통해 표현한다.
인도의 다양한 마을 지역의 지역 신들은 종종 "주류" 힌두교 신들과 동일시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을 ''산스크리트화''라고 불렀다. 다른 사람들은 이를 일원론 또는 ''아드바이타''의 영향으로 돌리는데, 이는 다신교 또는 일신교 분류를 무시한다. 일원론적 힘은 일부 여신들 사이의 융합(108개의 이름이 많은 여신에게 흔함)으로 이어졌지만, 원심력은 또한 힌두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평신도들 사이에서 새로운 여신과 의례가 우위를 차지하는 결과를 낳았다. 따라서 매우 인기 있는 여신 두르가는 파르바티와 융합된 베다 이전의 여신이었으며, 이는 칼리카 푸라나(10세기), 두르가바크티타랑기니(비드야파티 15세기), 찬디망갈(16세기)과 같은 텍스트를 통해 추적할 수 있는 과정이다.
널리 기념되는 힌두 축제 나바라트리는 신성한 여성 데비(두르가)를 기리는 축제로, 가을에 9일 동안의 기도를 포함하며, 샤라다 나바라트리라고도 한다.
5. 2. 불교
다양한 불교 전통에는 수많은 여성 신들이 있으며, 이들은 불교 미술에 널리 묘사된다.[18][21] 초기 불교에서는 프리티비(대지 여신), 하리티, 락슈미, 마야데비(붓다의 어머니) 등 다양한 여성 여신들을 숭배했다.[19] 이들은 주로 천신 또는 영(예: 약시니)으로 여겨졌다. 마야와 프리티비(동남아시아에서는 프라 매 토라니로 알려짐)는 오늘날 상좌부 불교에서 여전히 중요하다.인도 대승 불교는 반야바라밀다 데비, 준다, 마리지, 시타타파트라, 타라, 우쉬니샤비자야, 바수다라를 포함한 여러 여성 신들을 숭배했다.[20] 이들은 만트라(''비디아''라고도 함)와 다라니와 관련된 강력한 보살 구원자, 해방자로 발전했다.[20] 반야바라밀다 데비와 같은 여신들은 "붓다의 어머니"(산스크리트어: buddhamatr)라고도 불렸으며,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얻은 부처님으로 여겨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바가바티라고도 불렸다.
대승 불교 전통에서 일부는 보살 (불성을 향해 나아가는 존재) 또는 완전한 부처로 여겨지는 반면, 다른 일부는 단지 천신일 뿐이다.[21] 동아시아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불교 여성 신은 보살 관음과 "붓다의 어머니"인 준제이다. 티베트 불교에서 타라는 가장 중요한 여성 신이다 (종종 완전한 부처로 여겨짐).[22]
탄트라 ''다키니'' 바즈라요기니는 티베트 금강승에서 중요한 탄트라 명상 신 (이드담)이며, 그 자체로 여성 부처로도 여겨진다.[23][22] 탄트라 불교 여신들은 종종 완전한 깨달음을 얻은 부처로 여겨졌으며 때로는 해골잔과 살갗을 벗기는 칼과 같은 독특한 탄트라 요소를 가지고 묘사된다. 이 탄트라 신에는 심하무카, 마하마야, 바즈라요기니, 친나마스타 그리고 쿠루쿨라가 포함된다.[22]
대승 불교 여신은 종종 "데비"(산스크리트어: 데비, "여성 신", "여신", 티베트어: lhamo) 또는 심지어 바가바니(바가반의 여성 버전으로, 불성을 나타냄)라고 불린다.[24]
원래 여신을 모시던 것이 불교(엄밀히는 구카이)의 영향으로 남신으로 여겨지게 된 예로는 후시미이나리 신사가 있다.[40] 반대로 관음보살과 같이 남신이었던 것이 여신으로 숭배받게 된 예도 있다.
6. 아브라함 계통 종교
6. 1. 유대교
조하르에 따르면, 릴리스는 아담과 동시에 창조된 첫 번째 아내의 이름이다.[25] 그녀는 아담을 떠나 대천사 사마엘과 관계를 맺은 후 에덴 동산으로 돌아가기를 거부했다.[25] 그녀의 이야기는 중세 시대 동안 아가딕 미드라쉼, 조하르, 유대 신비주의 전통에서 크게 발전했다.[26] 조하르 전통은 유대 신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유대 신화는 신이 릴리스라는 여인과 결혼하기 위해 아담을 창조했다고 가정한다. 유대교 전통 밖에서, 릴리스는 어머니 여신 이난나와 연관되었으며, 나중에는 이슈타르와 아세라로 알려졌다. 길가메시 서사시에서 길가메시는 여신 이슈타르/이난나/아세라에게 헌정된 신성한 숲에 있던 나무를 파괴했다고 한다. 릴리스는 절망하여 황무지로 도망쳤다. 그런 다음 그녀는 탈무드와 카발라에서 신의 첫 창조물인 남자 아담의 첫 번째 아내로 묘사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약 성경에 명시된 바와 같이, 히브리 추종자들은 아세라와 같은 "거짓 우상"을 신과 동등하게 강력한 존재로 숭배하는 것을 계속했다. 예레미야는 구약 성경에서 여신을 숭배하는 것에 대해 히브리인들에게 그의 (그리고 신의) 불만을 이야기한다. 릴리스는 "악마"로 밝혀지면서 아담과 신의 면전에서 추방되었고, 하와가 아담의 아내가 되었다.주요 히브리 텍스트에는 다음과 같은 여성 신들이 언급되어 있다.
현대 유대교는 일반적으로 신의 여성적 측면으로 ''셰키나''를 인정한다.[27][28] ''셰키나''는 지구상의 신의 현존 또는 유대인들의 정신으로 간주되며, ''티쿤 올람''을 통해 신의 다른 요소들과 영원히 재결합하려고 노력한다.[29] 그녀는 또한 달, 지구, 다윗, 라헬과 연관되어 있다.[30][31]
6. 2. 기독교

가톨릭교회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어머니인 마리아를 특별히 특권을 받은 성인으로 공경하며, 이는 가톨릭교회가 시작된 이래로 계속되었다.[32] 마리아는 하느님의 어머니, 천국의 여왕, 교회의 어머니, 복된 동정녀 마리아, 바다의 별 등 숭고한 칭호로 공경받는다. 마리아 신심은 동방 정교회와 성공회에서도 발견되지만, 대부분의 개신교 교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일부 기독교 전통(정교회 전통 등)에서 소피아는 여성의 모습을 취하는 신성한 지혜(또는 대천사)의 의인화이다. 소피아는 잠언의 첫 번째 장에 언급되어 있으며, 일부에서는 성령의 지혜를 부여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그 이름은 히브리어로 루아흐와 셰키나이며, 둘 다 여성형이고, 그 상징인 비둘기는 고대 근동에서 어머니 여신의 형상과 일반적으로 연관되었다.
신비주의, 영지주의, 그리고 일부 헬레니즘 종교에서는 소피아라는 여성 영 또는 여신이 있는데, 그녀는 지혜를 구현한다고 하며, 때로는 처녀성을 지닌 존재로 묘사된다. 로마 가톨릭 신비주의에서 성녀 빙겐의 힐데가르트는 자신의 저술과 예술에서 소피아를 우주적 존재로 찬양했다. 영국의 개신교 전통 내에서 17세기 신비주의자 만유주의자이자 필라델피아 협회의 창시자인 제인 리드는 "처녀 소피아"와의 환상과 대화에 대한 많은 묘사를 썼는데, 그녀는 소피아가 그녀에게 우주의 영적 작용을 드러냈다고 말했다. 리드는 16세기 독일의 기독교 신비주의자 야코프 뵈메의 신지학적 저술에 큰 영향을 받았는데, 그는 그의 저서 《그리스도께 이르는 길》에서도 소피아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33] 야코프 뵈메는 조지 랩과 하모니 협회를 포함한 많은 기독교 신비주의자들과 종교 지도자들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7. 신이교주의
대부분의 현대 이교 전통은 한 명 이상의 여신을 숭배한다. 위카를 따르는 일부는 단일 여신과 단일 남신으로 구성된 이원론적 신념 체계를 믿으며, 이들은 히에로스 가모스에서 통합된 전체를 나타낸다. 반면에 다른 이들은 한 명 이상의 여신만을 인정한다.
위카에서 "여신"은 그녀의 배필인 뿔 달린 신과 함께 가장 중요한 신이다. 많은 형태의 위카 내에서 여신은 핵심 위칸 텍스트인 여신의 훈시에서 묘사된 것과 더 일치하는 보편적인 신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러한 모습에서 그녀는 이시스와 유사한 "천국의 여왕"이다. 그녀는 또한 가이아와 마찬가지로 모든 생명을 포괄하고 잉태한다(창조한다). 이시스, 그리고 셀레네의 특정 고전 후기 개념과 유사하게, 그녀는 다른 문화에서 그녀의 다른 이름과 측면을 나타내는 모든 다른 여신들의 총합이다. 여신은 종종 다이아나, 헤카테, 이시스와 같은 다양한 문화와 신들을 활용하여 강한 달의 상징으로 묘사되며, 로버트 그레이브스에 의해 대중화된 소녀, 어머니, 노파 삼위일체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녀에 대한 많은 묘사는 또한 켈트 여신들에게서 강하게 영향을 받았다.
일부 위칸 또는 마녀들은 많은 여신이 있다고 믿으며, 특히 디아닉 위카와 같은 일부 형태의 위카에서는 여신만이 숭배되며, 신은 그들의 숭배와 의식에서 거의(또는 전혀) 역할을 하지 않는다. 위칸 또는 마녀(자연 기반 종교)의 첫 역사는 행운과 수확을 위해 여성적인 자연 신을 숭배하는 초기 인류를 보여주는 동굴 벽화에서 나타난다(기원전). 나중에 켈트족은 삼위일체(소녀, 어머니, 노파), 오각별 등으로 더 공식적인 형태의 마녀(위칸)를 형성한다. 그들은 오늘날의 강력하고 자연 기반적이며, 동물 권리를 사랑하고, 여성 권리를 존중하는 종교로 발전했다.
여신 또는 반신은 고대 유럽 이교 신화에서 세트로 나타난다. 여기에는 그리스의 ''에리니에스''(복수의 여신)와 ''모이라이''(운명의 여신); 노르드 ''노른''; 브리히드와 그녀의 두 자매(역시 브리흐드로 불림)가 있으며, 아일랜드 또는 켈트 신화에서 유래되었다.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소녀"(또는 "처녀"), "어머니"와 "노파"의 삼위일체를 대중화했으며, 비록 이 아이디어가 확고한 학문에 근거하지 않았지만, 그의 시적 영감은 끈기 있는 지배력을 얻었다. 이러한 인물에 대한 정확한 개념에는 상당한 변동이 존재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네오페이건주의와 실제로 이교 종교에서 발생한다. 어떤 사람들은 이를 초경과 폐경으로 구분되는 여성의 삶의 세 단계로 해석하기로 선택한다. 다른 사람들은 이것이 지나치게 생물학적이고 경직되어 있다고 생각하며, 소녀를 탄생(독립적이고 자기 중심적이며, 탐구), 어머니를 출산(상호 관련되고, 자비로운 양육, 창조), 노파를 죽음과 갱신(전체론적이고, 멀리 떨어져 있으며, 알 수 없음) — 그리고 이 셋 모두 에로틱하고 현명한 존재로 자유롭게 해석하는 것을 선호한다.
7. 1. 위카
위카에서 "여신"은 그녀의 배필인 뿔 달린 신과 함께 가장 중요한 신이다. 많은 형태의 위카 내에서 여신은 핵심 위칸 텍스트인 여신의 훈시에서 묘사된 것과 더 일치하는 보편적인 신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러한 모습에서 그녀는 이시스와 유사한 "천국의 여왕"이다. 그녀는 또한 가이아와 마찬가지로 모든 생명을 포괄하고 잉태한다(창조한다). 이시스, 그리고 셀레네의 특정 고전 후기 개념과 유사하게, 그녀는 다른 문화에서 그녀의 다른 이름과 측면을 나타내는 모든 다른 여신들의 총합이다. 여신은 종종 다이아나, 헤카테, 이시스와 같은 다양한 문화와 신들을 활용하여 강한 달의 상징으로 묘사되며, 로버트 그레이브스에 의해 대중화된 소녀, 어머니, 노파 삼위일체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녀에 대한 많은 묘사는 또한 켈트 여신들에게서 강하게 영향을 받았다.
일부 위칸 또는 마녀들은 많은 여신이 있다고 믿으며, 특히 디아닉 위카와 같은 일부 형태의 위카에서는 여신만이 숭배되며, 신은 그들의 숭배와 의식에서 거의(또는 전혀) 역할을 하지 않는다. 위칸 또는 마녀(자연 기반 종교)의 첫 역사는 행운과 수확을 위해 여성적인 자연 신을 숭배하는 초기 인류를 보여주는 동굴 벽화에서 나타난다(기원전). 나중에 켈트족은 삼위일체(소녀, 어머니, 노파), 오각별 등으로 더 공식적인 형태의 마녀(위칸)를 형성한다. 그들은 오늘날의 강력하고 자연 기반적이며, 동물 권리를 사랑하고, 여성 권리를 존중하는 종교로 발전했다.
여신 또는 반신은 고대 유럽 이교 신화에서 세트로 나타난다. 여기에는 그리스의 ''에리니에스''(복수의 여신)와 ''모이라이''(운명의 여신); 노르드 ''노른''; 브리히드와 그녀의 두 자매(역시 브리히드로 불림)가 있으며, 아일랜드 또는 켈트 신화에서 유래되었다.
로버트 그레이브스는 "소녀"(또는 "처녀"), "어머니"와 "노파"의 삼위일체를 대중화했으며, 비록 이 아이디어가 확고한 학문에 근거하지 않았지만, 그의 시적 영감은 끈기 있는 지배력을 얻었다. 이러한 인물에 대한 정확한 개념에는 상당한 변동이 존재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네오페이건주의와 실제로 이교 종교에서 발생한다. 어떤 사람들은 이를 초경과 폐경으로 구분되는 여성의 삶의 세 단계로 해석하기로 선택한다. 다른 사람들은 이것이 지나치게 생물학적이고 경직되어 있다고 생각하며, 소녀를 탄생(독립적이고 자기 중심적이며, 탐구), 어머니를 출산(상호 관련되고, 자비로운 양육, 창조), 노파를 죽음과 갱신(전체론적이고, 멀리 떨어져 있으며, 알 수 없음) — 그리고 이 셋 모두 에로틱하고 현명한 존재로 자유롭게 해석하는 것을 선호한다.
8. 페미니즘
wikitext
=== 여신 운동 ===
적어도 제1차 여성 운동 이후 미국에서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의 ''여성의 성경''에서처럼, 교리와 관행이 여성을 불공정하게 대하는지 분석하려는 종교에 대한 관심이 있어왔다. 제2차 여성 운동에서도 종교는 유대교, 기독교 및 기타 종교에 대한 일부 페미니스트 분석의 초점이 되었으며, 일부 여성들은 아브라함 종교의 대안으로 고대 여신 종교로 눈을 돌렸다. 오늘날 여성과 남성 모두 여신 운동에 계속 참여하고 있다. 아이시스 교단과 같은 단체의 인기는 전 세계적으로 여신 종교의 지속적인 성장을 증명한다.
주류 기독교(유대교는 신에 대해 성별을 인정하지 않음)에서 성 평등을 위한 노력의 대부분은 성경을 재해석하고 신을 묘사하고 명명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를 탈성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반면, 여신 이미지를 종교에 통합하려는 기독교인 또는 유대인으로 정체성을 규정하는 사람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 성스러운 여성성 ===
"성스러운 여성성"이라는 용어는 1970년대에 힌두교의 샤크티를 뉴에이지에서 대중화하면서 처음 사용되었다.[34] 힌두교는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많은 여신들을 숭배하며, 이로 인해 뉴에이지, 페미니스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운동에서 관심을 갖게 되었다.[34]
8. 1. 여신 운동
적어도 제1차 여성 운동 이후 미국에서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턴의 ''여성의 성경''에서처럼, 교리와 관행이 여성을 불공정하게 대하는지 분석하려는 종교에 대한 관심이 있어왔다. 제2차 여성 운동에서도 종교는 유대교, 기독교 및 기타 종교에 대한 일부 페미니스트 분석의 초점이 되었으며, 일부 여성들은 아브라함 종교의 대안으로 고대 여신 종교로 눈을 돌렸다. 오늘날 여성과 남성 모두 여신 운동에 계속 참여하고 있다. 아이시스 교단과 같은 단체의 인기는 전 세계적으로 여신 종교의 지속적인 성장을 증명한다.주류 기독교(유대교는 신에 대해 성별을 인정하지 않음)에서 성 평등을 위한 노력의 대부분은 성경을 재해석하고 신을 묘사하고 명명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를 탈성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반면, 여신 이미지를 종교에 통합하려는 기독교인 또는 유대인으로 정체성을 규정하는 사람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8. 2. 성스러운 여성성
"성스러운 여성성"이라는 용어는 1970년대에 힌두교의 샤크티를 뉴에이지에서 대중화하면서 처음 사용되었다.[34] 힌두교는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많은 여신들을 숭배하며, 이로 인해 뉴에이지, 페미니스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운동에서 관심을 갖게 되었다.[34]9. 일본 신화와 여신
성차가 존재함으로써 일신교와 같은 남성 우위의 사회를 주장하는 흐름과는 다른 이야기 형성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이자나기・이자나미의 혼인담에서, 남자가 먼저 말을 걸지 않았기 때문에 실패했다는 흐름이 있어, 언뜻 보면 남성 우위의 이야기로 여겨질 수 있지만, 그 후 태어난 남신인 히루코를 폐하고(내버리고), 여신인 히루메를 세운 점은 여성을 우대한다고 할 수 있다. 가와이 하야오는 저서 『중공 구조 일본의 심층』에서 남성 우위와 여성 우위의 이야기를 교대로 함으로써, 카운터 밸런스를 성립시키고 남녀가 서로의 결점을 보완함으로써 안정화를 꾀하고 있다는 사회 사상을 신화를 통해 말하고 있다고 했다. 또한 아마테라스와 스사노오의 「깨끗한 마음을 보이는 승부」에서는, 남신을 낳은 아마테라스=여신에게, 여신을 낳은 스사노오=남신을 이기게 하고 있다. 여신의 존재는, 한쪽 성을 우대하는 일변도적인 사회를 부정하는 것과도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신황정통기』에 「양신(오카미) '''음신'''(메가미)」이라고 표기되어 있듯이, 음양 사상 하에서는 여신은 「음」에 비정된다(『신통기』 내에서는 음신의 표기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는 여신의 호칭 외에 「'''히메가미'''(姫神)」라는 말을 사용하며, 이에 대해 남신을 「히코가미(彦神)」라고 호칭한다(『고지엔 제6판』 이와나미 서점에서).
일본에서는 산신이 여신인 경우가 많으며,[36] 산신이 남신인 경우 수렵, 벌채, 예능을 관장한다.[36] 물과 생명을 기르는 숲과 산은 기본적으로 여성 원리로 표현되기 때문에, 산에 남녀가 함께 들어가면 여신이 질투하거나 여성의 입산을 싫어하는 이야기가 많다고 하며, 산신이 생산을 관장하는 이상, 일본어의 "오은나(ヲンナ)"는 "오미나(ヲミナ)" = 낳는다는 뜻으로 여겨진다[36]。
야나기타 구니오는 『여동생의 힘』에서 영산에 여성의 출입을 금지하는 결계 바위는 대부분 산 중턱에 있으며, 실제로 입산을 금지했던 것이라면 중턱에 결계 바위를 놓는 것은 부자연스럽고, 오히려 금지했던 것이 아니라 다리가 불편한 여성이 정상까지 오르지 않고도 참배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라고 고찰한다.
그리스 신화의 여신 수에 관해서는, 그리스 신화의 고유 명사 목록을 참조하십시오.
『고사기』에 기록된 280여 명(진무 천황 동정 이후 제외) 중, 성별이 없는 신, 성별 불명의 신, 남신을 제외한 여신의 수는 65명 정도이다. 이 중, 오오게츠히메가 살해되었으며(『일본서기』에서는 우케모치), 또한 쿠시나다히메의 자매신도 야마타노오로치에게 살해되었기 때문에, 정확한 수는 불명확하다. 전체 수의 약 4분의 1로, 그리스 신화와 비교하여 적지만, 이는 일본 신화에서 성별이 없거나 성별 불명의 신이 그리스 신화에 비해 많기 때문이며, 예를 들어, 여덟 종류의 뇌신, 이나바의 흰 토끼, 사히모치의 신 = 상어 등, 사람 외의 신이 풍부하게 존재한다. 혼슈 (오오야마토토요아키즈시마) = 아마미코코로토요아키츠히메도 『고사기』에서의 남신과 여신의 기재 순서로 보면 여신이지만, 명시되어 있지 않는 등 불분명한 부분이 있다.
10. 여신과 웃음의 관계
그리스 신화에는 슬픔에 잠긴 대지의 여신 데메테르에게 바우보/Baubo영어라는 여자가 자신의 성기를 보여주며 웃게 하여 대지의 생산력을 회복시켰다는 이야기가 있다. 일본 신화에도 아메노우즈메가 성기를 보여주자 신들이 웃고, 아마테라스가 입을 열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마츠모토 노부히로는 노한 자연(데메테르나 아마테라스)에 풍요와 다산을 회복시키기 위해 행하는 이야기 유형으로, 자연을 재생시키는 것은 여신을 웃게 하고 기분을 되돌리는 것이며, 이러한 신화(여성기를 보여줌으로써 여신을 웃게 함)로 표현되었다고 해석하고 있다. 관련성은 불분명하지만, 고분 시대의 여성 하니와 중에는 성기를 강조한 것이 보인다. 또한, "켈트 세계의 꽤 오래된 신화적 존재"로 "관례적으로 실라 나 기그라고 불리는" 존재는 "이에 대한 문자 자료는 전혀 없지만, 창조와 파괴의 여신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며 "아메노우즈메와 같은 음란한 동작을 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007
[2]
서적
Dakini's Warm Breath: The Feminine Principle in Tibetan Buddhism
https://books.google[...]
Shambhala
2020-01-18
[3]
문서
[4]
서적
Inanna: Queen of Heaven and Earth: Her Stories and Hymns from Sumer
Harper&Row Publishers
[5]
문서
Descent to the Goddess
Toronto
1982
[6]
서적
Daily Life in Ancient Mesopotamia
https://archive.org/[...]
Greenwood
1998
[7]
서적
Papers of from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UCL
1994
[8]
서적
A Complete Index to [[Sale's Text]], Preliminary Discourse, and Notes
Kegan Paul, Trench, Trubner, and Co
1896
[9]
웹사이트
Goddesses in Iranian Culture and Mythology
http://roshangaran-p[...]
Tehran: Roshangaran va Motale’at-e Zanan Publications
2014
[10]
서적
The Celts: Life, Myth, and Art
https://archive.org/[...]
Duncard Baird Publishers
2001
[11]
웹사이트
CHAPTER 4: THE AFRICAN NILOTIC PEOPLES AS ETHNOGRAPHIC PARALLELS: FINDING THE RIGHT "FIT": AN APPROPRIATE ETHNOGRAPHIC PARALLEL
https://rune.une.edu[...]
2024-01-02
[12]
서적
Introduction to African Religion
https://archive.org/[...]
Heinemann Educational Books
1991
[13]
서적
Wild Swans: Three Daughters of China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6-04-22
[14]
웹사이트
Amaterasu
https://www.worldhis[...]
2019-02-21
[15]
서적
Hindu Goddesses: Vision of the Divine Feminine in the Hindu Religious Tradi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16]
간행물
""Glimpses of the 'Feminine' in Indian Religion and Society: A Christian Perspective" by Johnson Thomaskutty"
https://www.academia[...]
[17]
서적
Legends of Devi
https://books.google[...]
Orient Blackswan
1998
[18]
문서
[19]
서적
Buddhist Goddesses of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
[20]
서적
Buddhist Goddesses of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
[21]
웹사이트
"{{!}} Wisdom, Compassion and Wrath: The Many Faces of Female Buddhist Deities – Intern Exhibition OnlineRuth Chandler Williamson Gallery"
https://rcwg.scripps[...]
2023-11-16
[22]
서적
Buddhist Goddesses of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
[23]
웹사이트
"Female Power in the Himalayas {{!}} Rubin Museum of Art"
https://rubinmuseum.[...]
2023-11-16
[24]
웹사이트
Subject: Goddess Terminology (Devi)
https://www.himalaya[...]
2023-11-16
[25]
웹사이트
Samael & Lilith - Unexplained - IN SEARCH FOR TRUTH
http://istina.rin.ru[...]
[26]
서적
Tree of Souls: The Mythology of Juda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7]
웹사이트
Shekhinah: The Divine Feminine
https://www.myjewish[...]
2024-01-02
[28]
웹사이트
"Shekhina {{!}} Divine Presence, Feminine Aspect, Holines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1-02
[29]
웹사이트
Who Is Shechinah, And What Does She Want from My Life?
https://www.chabad.o[...]
2024-01-02
[30]
웹사이트
Ten Sefirot: Shekhinah, Malkhut
https://www.jewishvi[...]
2024-01-02
[31]
웹사이트
"The Shekhinah {{!}} telshemesh.org"
https://www.telsheme[...]
2024-01-02
[32]
웹사이트
"Redemptoris Mater (25 March 1987) {{!}} John Paul II"
https://www.vatican.[...]
2024-01-02
[33]
서적
The Way to Christ
http://www.passthewo[...]
M. Richardson
1622
[34]
서적
Hindu Goddesses: Visions of the Divine Feminine in the Hindu Religious Tradi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6-04-22
[35]
문서
[36]
서적
知れば恐ろしい 日本人の風習
河出文庫
2016
[37]
서적
昔ばなしの謎 あの世とこの世の神話学
角川ソフィア文庫
2016
[38]
간행물
女性はにわ その装いとしぐさ
埼玉県立博物館
1998
[39]
서적
ユーラシアの女性神話-ユーラシア神話試論Ⅱ
中央大学出版部
2021
[40]
서적
寺社が語る秦氏の正体
祥伝社新書
20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어니스트AI, 제주은행에 AI 솔루션 ‘렌딩인텔리전스’ 공급
지인·친인척 부당대출 막으려 기업銀 '여신문화개선팀' 신설
[단독] 기업은행, 이르면 7월 ‘여신문화 개선팀’ 신설
토스뱅크 1분기 순익, 26% 증가한 187억…7분기 연속 흑자
"유망中企 자금난 막자"… 4대 은행 총력 지원
로엘법무법인, MG인재개발원에 출강해 부동산 PF 대출 실무 강의
“되살아난 ELS 악몽”…금융권 불만 민원 11만건 돌파 ‘사상 최대’
토스뱅크, 3년 만에 첫 흑자 달성…작년 순이익 457억원
금감원·예보, 'PF 부실' 저축은행 공동검사
카카오뱅크, 작년 최대실적…당기순이익 4401억원 – 바이라인네트워크
[일문일답] 30일 상장하는 케이뱅크의 플랫폼 전략 – 바이라인네트워크
케이뱅크, 1분기 당기순이익 507억원…‘사상최대’ – 바이라인네트워크
케이뱅크, 지난해 당기순이익 128억원 – 바이라인네트워크
희비 엇갈린 카카오 금융주 – 바이라인네트워크
카카오뱅크, 2분기 이익 줄었으나 상반기 영업익 최대 – 바이라인네트워크
케이뱅크, 상반기 당기순이익 457억원...‘최대 실적’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