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마 추 발데크운트피르몬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마 추 발데크운트피르몬트는 1858년 독일 발데크운트피르몬트 공국의 공주로 태어나 빌럼 3세와 결혼하여 네덜란드 왕실에 들어갔다. 빌럼 3세의 사망 후 정신적 능력을 상실한 남편을 대신하여 섭정으로 활동하며, 딸 빌헬미나 여왕의 즉위 전까지 헌법 군주제의 규칙을 준수하며 정치적 안정을 도모했다. 섭정에서 물러난 후에는 왕태후로서 딸과 손녀를 지원하며 자선 활동에 헌신했고, 193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데크피르몬트가 - 헬레네 추 발데크운트피르몬트
    헬레네 추 발데크운트피르몬트는 발데크운트피르몬트 공녀로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와 결혼하여 영국 왕족이 되었고, 자선 사업과 전쟁 지원 활동에 헌신했다.
  • 네덜란드의 왕비 - 오르탕스 드 보아르네
    오르탕스 드 보아르네는 나폴레옹 1세의 의붓딸로, 네덜란드 왕비가 되었으며, 예술적 재능으로 작곡 활동을 하고, 아들 샤를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나폴레옹 3세가 되었다.
  • 네덜란드의 왕비 - 네덜란드 왕비 막시마
    네덜란드 왕비 막시마는 아르헨티나 출신으로 경제학을 전공하고 금융 분야에서 일하다가 네덜란드 빌럼알렉산더르 왕세자와 결혼하여 왕비가 되었으며, 이민자 통합과 금융 포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 오라녜나사우 훈장 수훈자 -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에드가르스 린케비치는 라트비아의 정치인으로, 2023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2023년 7월부터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외무장관을 역임했고, 2014년에는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공개했다.
  • 오라녜나사우 훈장 수훈자 - 알베르 2세 (벨기에)
    알베르 2세는 벨기에의 국왕으로, 형 보두앵 1세의 사망으로 왕위를 계승하여 2013년 장남 필리프에게 양위했으며, 연방제 이행 지원, 다문화 사회 지지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에마 추 발데크운트피르몬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33년 엠마 여왕
1933년 엠마 여왕
칭호네덜란드 왕비
룩셈부르크 대공비
본명아델하이트 엠마 빌헬미나 테레지아
출생1858년 8월 2일
출생지독일 연방 발데크 공국 아롤젠 아롤젠 성
사망1934년 3월 20일
사망지네덜란드 헤이그 랑게 푸어하우트 궁전
매장지네덜란드 델프트 델프트 신교회
엠마 폰 발데크운트피르몬트, 네덜란드 여왕의 서명
결혼과 자녀
배우자빌럼 3세 (1879년 결혼, 1890년 사별)
자녀빌헬미나
왕가
가문발데크 가문
아버지발데크 후작 게오르크 빅토르
어머니나사우의 헬레네 공녀
네덜란드 왕비
재위 기간1879년 1월 7일 – 1890년 11월 23일
전임뷔르템베르크의 소피
후임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헨드릭
룩셈부르크 대공비
재위 기간1879년 1월 7일 – 1890년 11월 23일
네덜란드 섭정
섭정 기간1890년 11월 20일 – 1898년 9월 6일
전임빌럼 3세
빌헬미나

2. 생애

1858년 8월 2일, 발데크 공국의 수도였던 아롤젠(현 헤센주 발데크-프랑켄베르크군 바트 아롤젠)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발데크 공 게오르크 빅토르, 어머니는 나사우 공작 빌헬름의 딸 헬레네였다.

빌렘 3세와 에마


1879년 1월 7일, 에마는 왕비 조피와 사별한 네덜란드 국왕 빌럼 3세와 결혼했다. 빌럼 3세는 여성 편력으로 "이 시대 최고의 방탕아"라는 평을 받았지만, 41세의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의 결혼 생활은 행복했으며, 빌렘 3세의 바람기는 재혼 후 사라졌다고 알려졌다.

1884년 의붓아들 오라녜 공작알렉산더가 사망하면서, 에마의 외동딸 빌헬미나가 네덜란드 왕위 추정 상속인이 되었다.

1890년 빌럼 3세가 사망하고 빌헬미나가 10세의 나이로 즉위하자, 에마는 네덜란드 의회에 의해 섭정으로 지명되었다. 이후 빌헬미나가 성년이 될 때까지 8년간 섭정을 맡아 정무를 대행하며 입헌 군주제 확립에 힘썼다.

1934년 3월 20일, 에마는 기관지염으로 헤이그에서 사망하여 델프트에 안장되었다.

2. 1. 가족

1864년경 가족과 함께 있는 에마


에마는 발데크피르몬트 후국의 아롤젠에서 게오르크 빅토르 후작과 헬레네 폰 나사우 공녀 사이의 넷째 딸로 태어났다.

에마의 오빠 프리드리히 1세, 발데크운트피르몬트 공은 발데크 공국의 마지막 통치 왕자였고, 언니 발데크운트피르몬트의 헬레나 공녀는 빅토리아 여왕의 아들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의 아내였다.[1]

외할아버지 나사우의 빌헬름 1세 공작은 오라녜나사우의 카롤리나 공주의 손자였으며, 에마는 1887년까지 네덜란드 왕위 계승 서열에 있었다.

에마는 진보적인 목사에게 종교 교육을 받았고, 영어 보모와 함께 공예, 그림, 프랑스 문학을 공부했다. 격식 없이 성장했지만, 의무감을 중시했고, 자선 사업과 맏언니의 결핵 투병으로 사회 및 의료 사업에 관심을 가졌다.[1]

2. 2. 결혼 생활

1879년 1월 7일, 빌럼 3세는 뷔르템베르크의 소피와 사별한 지 2년 만에 아롤젠에서 에마와 결혼했다.[1] "그 시대의 위대한 방탕자"로 묘사되었던[4] 빌럼 3세와의 결혼 생활은 행복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1880년 8월 31일 에마는 외동딸 빌헬미나를 낳았다.[2] 빌럼 3세는 첫 결혼에서 세 아들을 두었으나, 이들은 모두 에마와 결혼하기 전에 사망했다.[2]

2. 3. 섭정

1890년 11월 23일, 남편 빌럼 3세가 사망하기 3일 전, 에마는 남편을 대신해 섭정이 되었다. 1898년 8월 31일, 딸 빌헬미나가 18세가 될 때까지 섭정직을 수행했다. 여성은 상속할 수 없는 룩셈부르크 대공국은 에마의 외삼촌인 나사우 공작 아돌프에게 넘어갔다.[1] 에마는 오렌지나사우 공주 카롤리나 이후 네덜란드를 통치한 최초의 여성이며, 네덜란드 왕국을 통치한 최초의 여성이었다.

1890년의 에마와 빌헬미나


에마는 섭정의 역할을 진지하게 받아들였다. 빌럼 3세의 독재적인 통치 방식과는 달리 입헌 군주제의 규칙을 엄격히 준수했다. 훌륭한 조언자들과 함께 왕실과 정치계 간의 관계를 개선했으며, 모든 정치적 현안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정기적으로 장관들을 만났다.[1] 섭정으로서 에마는 세 개의 내각을 주재했다. 1891년, 에마는 불편한 관계였던 요하네스 탁 판 푸르트플리트를 대신하여 G. 판 티엔호벤을 장관으로 임명하는 것을 거부했다.[1] 1894년, 그녀는 탁 판 푸르트플리트의 설득으로 의회를 해산했다.[1] 1897년, 그녀는 자유당 양쪽을 새로운 내각에 포함시키고 아체 전쟁을 계속할 것을 요구했다.[1]

에마는 네덜란드어로 글을 쓰고 연설했으며, 네덜란드 식민 제국에 참여하여 제국적 성과와 관련된 군사 퍼레이드 및 축제에 참석했다.[1] 딸 빌헬미나의 교육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여, 빌헬미나가 여왕으로서의 역할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방 순회를 함께 했다.

2. 4. 왕태후

1890년 11월 23일 남편 빌럼 3세가 사망하면서, 10세의 빌헬미나가 여왕으로 즉위했다. 에마는 네덜란드 의회에 의해 섭정으로 지명되어, 빌헬미나가 성년이 될 때까지 8년 동안 정무를 대행했다. 권위주의적인 행동을 보였던 빌럼 3세와는 대조적으로, 에마는 입헌 군주제의 확립에 힘썼다.[1]

1898년 8월 31일, 빌헬미나가 성년이 되면서 에마는 섭정에서 물러났다. 섭정으로서의 고별 연설에서 그녀는 네덜란드가 작은 국가가 위대함을 보여줄 수 있는 방식으로 계속 위대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1] 1901년 빌헬미나와 메클렌부르크의 하인리히의 결혼 때까지 딸과 함께 살았고, 이후 헤이그의 란제 포르하우트로 이사했다. 1909년 손녀 율리아나가 태어났을 때, 율리아나가 미성년자로 왕위를 계승할 경우 에마가 섭정이 되어야 한다고 선언되었다.[1]

에마는 국모로서 딸과 사위를 지원하며 공개적인 왕실 대표 임무를 계속 수행했으며, "자선의 여왕"으로 불리며 특히 결핵 환자의 환경 개선에 힘썼다. 검은 과부 레이스를 착용한 것으로 유명했다. 1927년 손녀 율리아나가 성년이 되어 공무에 참여하기 시작하면서 공적인 삶에서 은퇴했다.[1]

1934년 3월 20일, 에마는 헤이그에서 기관지염 합병증으로 7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델프트에 안장되었다.

1929년 엠마, 율리아나, 하인리히, 빌헬미나


왕태후 에마와 여왕 빌헬미나(1897년 촬영)

3. 훈장 및 문장

엠마 여왕의 문장


엠마 여왕은 네덜란드와 여러 외국으로부터 다양한 훈장을 받았다. 네덜란드 훈장으로는 네덜란드 사자 훈장, 오라녜나사우 훈장, 오렌지 가문 훈장 대십자장과 적십자 공로 훈장이 있다.[4][5] 외국 훈장은 다음과 같다.

3. 1. 네덜란드 훈장

3. 2. 외국 훈장

국가훈장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엘리자베스 훈장 대십자장[6]
벨기에레오폴드 훈장 (민간 부문) 대 훈장[7]
프랑스국립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십자장[8]
독일 제국루이즈 훈장 1급 부인[9]
메클렌부르크 대공 가문벤디쉬 왕관 훈장 대십자장
일본 제국보관 훈장 대훈위[10]
페르시아 제국태양 훈장 1등급
포르투갈 왕가성 이사벨 여왕 훈장 부인
러시아 제국성 카타리나 훈장 대십자장
스페인마리아 루이사 여왕 훈장 812번째 부인[11]
시암차크리 왕가 훈장 부인[12]
오스만 제국자선 훈장 대훈장


4. 가계

에마 폰 발데크운트피르몬트의 가계
1대2대3대4대
1. 에마 추 발데크운트피르몬트2. 게오르크 빅토르4. 게오르크 2세8. 게오르크 1세
9. 아우구스타
5. 에마10. 빅토르 2세
11. 아멜리아
3. 헬레나6. 빌헬름12. 프리드리히 빌헬름
13. 루이제 이자벨
7. 파울리네14. 파울
15. 샤를로테


참조

[1] 웹사이트 Emma Wilhelmine Therese van Waldeck-Pyrmont http://resources.huy[...] 2014-03-24
[2] 서적 History of Holland 2013
[3] 서적 Debrett's Kings and Queens of Europe 1988
[4] 웹사이트 H.M. (koningin Emma) koningin Adelheid Emma Wilhelmina Theresia, prinses van Waldeck en Pyrmont http://www.parlement[...]
[5] 간행물 Staatsalmanak voor het Koninkrijk der Nederlanden https://archive.org/[...] Koninkrijk Huis der Nederlanden 1921
[6]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Druck und Verlag der K.K. Hof- und Staatsdruckerei 1918
[7] 간행물 Almanach Royale Belgique https://babel.hathit[...]
[8] 서적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Archives & Culture 2009
[9]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supp.)
[10] 서적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11]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2019-03-21
[12] 간행물 พระราชทานเครื่องราชอิสริยาภรณ์ที่ประเทศยุโรป (ต่อแผ่นที่ ๕ หน้า ๖๔) http://www.ratchakit[...] 2019-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