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체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체 전쟁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네덜란드와 아체 술탄국 간에 벌어진 무력 충돌이다. 아체 술탄국의 독립을 보장했던 영국-네덜란드 조약의 변화와 수에즈 운하 개통으로 인한 해상 운송로 변화, 그리고 후추와 석유 등 아체의 천연자원을 확보하려는 네덜란드의 의도가 전쟁의 배경이 되었다. 네덜란드는 여러 차례 군사 작전을 시도했지만, 아체 군의 강력한 저항과 게릴라전에 부딪혀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네덜란드는 아체를 점령하고 지배권을 확립했지만, 아체인들의 저항은 일본 점령기까지 이어졌으며, 인도네시아 독립 후에도 자치권 요구로 이어졌다. 이 전쟁은 네덜란드 제국주의의 잔혹성과 아체인들의 끈질긴 저항을 보여주는 사례로, 종교, 민족주의, 경제적 이익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분쟁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령 동인도 - 물타툴리
물타툴리는 네덜란드 작가 에두아르트 더웨스 데커의 필명으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제도에서의 공무원 경험을 바탕으로 식민지 행정의 부패와 착취를 비판하는 《맥스 하벨라르》를 발표하고 식민주의 폐해를 폭로한 사회 비판적인 작가이다. - 네덜란드령 동인도 - 남말루쿠 공화국
남말루쿠 공화국은 1950년 남말루쿠 지역에서 독립을 선언했으나 인도네시아 정부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후 망명 정부가 네덜란드에 수립되었다. - 인도네시아의 역사 - 위안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에 의해 성적 노예로 강제 동원된 여성들을 일컫는 '위안부'는 일본군 공식 문서에도 사용된 용어이나, 국제적으로는 "일본군 성노예"로 불리며, 한국과 중국 출신 여성들이 주로 피해를 입었고, 성병 감소 및 군 기강 유지 목적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성적 학대와 비인간적인 대우가 자행되었으며, 한일 관계의 주요 쟁점으로 남아 국제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 - 인도네시아의 역사 - 아체 술탄국
16세기 초 수마트라섬 북부에 건국된 아체 술탄국은 이스칸다르 무다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하여 동남아시아 이슬람 문화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지만, 네덜란드와의 전쟁 끝에 19세기 초 식민지화되었다.
아체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날짜 | 1873년–1904년 |
장소 | 아체 술탄국 (현재의 인도네시아 아체 주) |
결과 | 네덜란드의 승리 |
영토 변경 | 아체 술탄국 해체; 아체가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합병됨 |
전투 이름 (인도네시아어) | 페랑 아체 |
전투 이름 (네덜란드어) | 아체흐oorlog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네덜란드 네덜란드령 동인도 육군 네덜란드 해군 |
교전국 2 | 아체 술탄국 이슬람 울라마 |
지휘관 | |
네덜란드 | 요한 하르먼 루돌프 쾰러 얀 판 스비턴 Johannes Ludovicius Jakobus Hubertus Pel 카럴 판 데르 헤이던 Henry Demmeni 얀 야코프 카럴 데 물랭 요하네스 베네딕투스 판 호이츠 요한 코르넬리스 판 데르 베이크 곳프리트 쿤라트 에른스트 판 달런 조르주 프레데리크 빌렘 보렐 |
아체 술탄국 | 알라웃딘 마흐무드 샤 2세 알라웃딘 무함마드 다우드 샤 2세 투안쿠 하심 반타 무다 트쿠 우마르 쿳 냑 디엔 텡쿠 치크 디 티로 쿳 냑 뫼티아 팡리마 폴름 텡쿠 파키나 |
병력 규모 | |
네덜란드 | 3,000명 (제1차 아체 원정) 13,000명 (제2차 아체 원정) 유럽인 KNIL 병력 12,000명 (1903년) 인도네시아인 KNIL 병력 23,000명 |
아체 술탄국 | 10,000–100,000명 |
사상자 | |
네덜란드 | 사망 37,000명 (유럽인 2,200명 포함, 콜레라로 인한 사망 포함) |
아체 술탄국 | 사망 60,000–70,000명 (콜레라로 인한 사망 포함) 난민 10,000명 |
2. 배경
19세기 중반까지 아체 술탄국은 오스만 제국의 보호국이었고, 1824년 영란 조약에 의해 독립이 보장되었다.[147] 아체는 후추 무역으로 번성하여 수마트라섬 지역의 정치, 상업 강국으로 부상했다.[147] 영국, 프랑스, 미국 등 열강들의 후추 수요 증가로 외교적 갈등이 발생했다. 투안쿠 이브라힘 술탄 시대(1838년-1870년)에 아체는 확장 정책을 펼쳤으나, 네덜란드의 북방 팽창과 충돌했다.[147]
네덜란드는 아체 전쟁 기간 동안 다양한 전략을 시도했다. 1873년의 단기 속공은 실패했고, 이후 해상 봉쇄, 회유, 요새선 내 집중 방어, 소극적 억제 등을 시도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0] 이러한 작전에 사용된 비용은 연간 1,500만~2,000만 길더에 달했고, 식민지 정부는 파산 직전에 몰렸다.[10]
1869년 수에즈 운하 개통과 1871년 영란 조약 체결로 네덜란드는 수마트라 전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다.[139] 네덜란드는 후추, 석유 등 아체의 자원을 확보하고, 영국, 프랑스 등 경쟁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아체 침략을 결정했다.[149]
3. 군사 작전
요한 하르먼 루돌프 쾰러 장군이 이끈 첫 번째 침공과 얀 판 스비턴 장군이 이끈 두 번째 침공은 모두 아체군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다. (자세한 내용은 #네덜란드의 제1차 아체 침공 (1873년), #네덜란드의 제2차 아체 침공 (1873년-1880년) 참고)
1883년부터 아체는 함정과 매복 등을 사용하는 게릴라전으로 네덜란드에 맞섰고, 틍쿠 칙 디 티로 무하마 사만은 히카얏 시를 통해 성전 개념을 전파하여 아체 전사들의 사기를 높였다. (자세한 내용은 #성전 (1883년-1898년) 참고)
1898년 판 회츠는 헨드리쿠스 콜레인과 함께 초토화 작전을 포함한 대반란작전을 통해 아체 정복을 추진했다. (자세한 내용은 #항쟁의 소멸 (1898년-1904년) 참고)
3. 1. 네덜란드의 제1차 아체 침공 (1873년)
1873년 싱가포르에서 아체와 미국 간의 협상에 네덜란드는 위협을 느껴 군사적 침략을 감행했다.[148][144][8][1][81][74] 요한 하르먼 루돌프 쾰러 장군이 지휘하는 네덜란드군은 3월 26일 반다아체를 포격하고 해안 지역을 점령했다.[148][8][81] 네덜란드군은 술탄궁 공격을 목표로 했으나, 아체군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쾰러 장군이 전사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148][8][81] 네덜란드는 아체군의 군사력을 과소평가하여 전술적 실책을 범했다.[148][8][81]
3. 2. 네덜란드의 제2차 아체 침공 (1873년-1880년)
1873년 11월, 얀 판 스비턴 장군이 이끄는 13,000명의 병력이 아체에 대한 2차 침공을 시작했다.[145] 이 침공은 콜레라 발병과 겹쳐 양측에서 수천 명의 콜레라 병사자가 발생했다.[150] 1874년 1월, 전황이 악화되자 아체 술탄 마뭇 샤는 반다아체를 버리고 내륙으로 후퇴했다. 네덜란드군은 반다아체와 술탄궁 달람을 점령하고, 아체 술탄국의 소멸과 네덜란드령 동인도로의 합병을 선언했다.[150]
술탄 마뭇 샤가 콜레라로 사망하자, 아체인들은 투안쿠 이브라힘의 젊은 손자 투안쿠 무하맛 다웃을 술탄 이브라힘 만수르 샤(재위 1874년-1903년)로 선포하고 산과 정글에서 저항을 계속했다.[150] 1880년 무렵 네덜란드는 전략을 변경하여 이미 정복한 지역을 방어하는 데 집중했다.[139] 네덜란드의 해안 봉쇄로 울레발랑들은 네덜란드와 조약을 체결했으나, 아체 저항군을 지원하기도 했다.
3. 3. 성전 (1883년-1898년)
1883년 영국 선박 나이스로가 네덜란드의 영향력이 거의 없는 아체 해안 지역에 좌초되면서 전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지역 지도자는 네덜란드와 영국 모두에게 몸값을 요구했고, 영국의 압력으로 네덜란드는 선원들을 구출하기 위해 노력해야 했다. 네덜란드는 지역 지도자 트쿠 우마르에게 구조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고, 인질 구출 시도가 실패한 후 네덜란드는 영국과 함께 아체를 침공했다. 술탄은 인질을 넘겨주는 대가로 상당량의 몸값을 받았다.[152]
네덜란드 전쟁장관 아우휘스트 빌럼 필립 베이트절은 다시 아체와의 전쟁을 선포했지만, 전황은 이전처럼 성공적이지 못했다. 아체인들은 함정과 매복 등을 사용하는 게릴라전으로 맞섰다. 네덜란드군은 점령한 마을을 폐허로 만들고 포로와 주민을 학살하며 보복했다.[153] 1884년 네덜란드군은 반다아체 주위의 요새화된 전선으로 후퇴했다.[139] 네덜란드는 트쿠 우마르를 돈, 아편, 무기로 포섭하여 '위대한 장군(panglima prang besar)' 칭호를 부여했다.
우마르는 자신을 '영웅 조한(Teuku Djohan Pahlawan)'으로 불렀다. 1894년 1월 1일 우마르는 네덜란드의 지원을 받아 군대를 구성했다. 그러나 2년 후 우마르는 군대를 이끌고 네덜란드를 공격했다. 이는 네덜란드 역사에서 '트쿠 우마르의 배반(Het verraad van Teukoe Oemarnl)'으로 기록된다. 1880년대 중반부터 아체의 군사적 지도력은 울라마가 쥐고 있었는데, 틍쿠 칙 디 티로 무하마 사만은 히카얏 시를 통해 성전 개념을 전파했다. 아체 전사들은 스스로를 순교자로 여겼다.[144] 아체 전쟁은 서구 제국주의에 대한 무슬림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143]
1892년과 1893년에도 아체는 독립을 유지했다. 요아너스 베네딕튀스 판 회츠 장군과 흐리스티안 스나우크 휘르흐로녀 박사는 아체에 대한 글을 썼다. 휘르흐로녀는 울레발랑에 주목하고, 울라마는 분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분할 통치 정책을 제안했다.[143] 1894년 이슬람 판관 하산 무스타파는 무슬림들이 네덜란드에 굴복해야 한다는 파트와를 발표했다.[154]
3. 4. 항쟁의 소멸 (1898년-1904년)
1898년 판 회츠는 아체 지사로 선포되었고, 헨드리쿠스 콜레인과 함께 아체 정복을 추진했다. 이들은 크리스티안 스나우크 후르그론예의 제안에 따라 협조적인 울레발랑을 찾아 저항군을 고립시키는 작전을 사용했다.[143] 네덜란드는 국가헌병 부대를 배치하고 초토화 작전을 구사하는 대반란작전을 수립했다.[144] 곳프리트 쿤라트 에른스트 판 달런은 잔존 저항 세력을 분쇄하는 임무를 맡았다.[18] 판 달런은 마을들을 파괴하고 1150명의 여자와 어린이를 포함해 적어도 2900명의 아체인을 죽였다. 네덜란드군의 사망자는 단 26명뿐이었고, 이 전과로 판 달런은 진급하였다.
1903년 술탄 이브라힘 만수르 샤, 투안쿠 라자 크말라, 마뭇, 무다 프르카사 등 아체 저항군의 주요 세속 지도자들이 항복하였다.[144] 1904년 무렵 아체의 대부분 지역은 네덜란드의 지배 하에 놓였고 식민 정부와 협조하는 토착 정부가 생겼다. 네덜란드는 아체인들의 무장 투쟁 의사를 꺾기 위해 종교적 관용 정책을 시행하여 아체 지역의 지배력을 굳혔다.[144] 그럼에도 불구하고 1904년 아체의 가요(Gayo)와 알라스(Alas) 지역을 정복하는 와중에 쿠토 레(Koeto Reh) 마을에서 네덜란드인이 벌인 학살과 같이 잔혹하게 억압한 사건은 계속 발생하였다.[156]
아체 전쟁 와중에 발생한 아체 측 사망자는 5만에서 6만 명, 부상자는 백만 명 이상으로 추정된다.[143] 네덜란드인의 침입으로 거주 지역의 공동체가 붕괴하자 만 명 가량의 아체인들은 이웃의 영국령 말라야로 피난을 갔다.[143]
4. 전쟁 이후
아체 전쟁 이후, 지역 울레발랑은 간접 통치 형식으로 네덜란드가 아체를 지배하는 것을 도왔다.[157] 20세기 초 스탠더드 오일과 로열 더치 셸은 아체 지역의 석유를 추출하기 위한 정제소를 설치하였다.[158] 191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공개적인 저항은 종식되었지만, 네덜란드에 대한 아체 민중들의 저항은 1942년 일본 제국이 네덜란드령 동인도를 침공할 때까지도 계속되었다. 20세기 초 내내 〈히카얏 프랑 사빌(Hikayat Perang Sabil)〉 등에 영향받은 아체 독립투사들은 네덜란드 시민과 병사를 대상으로 산발적인 자살 공격을 감행하였다.[159] 이는 '아체의 살해(Atjeh-moordnl)'로 알려졌는데, 이 때문에 네덜란드 정부는 계속해서 아체 지역에 상당량의 군사를 주둔시켜야 했다.[160]
네덜란드 식민 정부는 아체인에게 강제적으로 1년에 24일을 도로 공사장에서 노동하도록 했는데, 이는 아체인들의 분노를 부채질했다.[160] 1920년대 중반 아체 전역은 다시 반 네덜란드 게릴라전이 벌어지는 상태로 회귀하였다. 일본 제국군의 침공 후 처음에 일본 점령군은 아체 민족주의자에게 해방군으로서 환영을 받았으나 이후의 처사로 인해 이슬람 반군들의 저항을 받았다. 이 저항은 바유의 반란을 끝으로 일단락되었다.[161] 1945년 8월에 벌어진 일본의 항복에 뒤이은 인도네시아 독립전쟁기에 울레발랑은 네덜란드에 대한 부역으로 응징의 대상이 되었으며 아체 지역은 수카르노가 이끄는 공화주의자의 거점이 되었다.[157] 강고한 반식민 정서 때문에 1947년-1948년 네덜란드가 시도한 동인도의 재식민화 과정에서 아체 지역은 공격받지 않았다.[161]
1949년 8월 네덜란드 정부가 신생 인도네시아 정부에 일부를 제외한 동인도의 주권을 이양한 후, 많은 아체인들은 자와인이 중심이 되는 자카르타의 중앙정치 무대에 불만을 품고 자치를 요구하기 시작하였다.[162] 아체가 기독교도가 대다수인 바탁인들의 지역과 함께 수마트라우타라 주에 편입된 것, 공화국 정부에서의 적은 재정적, 정치적 지원, 샤리아의 시행 실패 등도 아체인들의 불만 요인이었다.[161][163] 1953년에는 이러한 불만이 폭발하여 다룰 이슬람(Darul Islam, 이슬람주의 단체)이 이끈 반란이 발생했고 얼마 안 되어 인도네시아군이 이를 진압하는 사태가 벌어졌다.[161] 하지만 내륙 지역에서는 1959년까지 저항이 지속되었고, 마침내 반군들은 협상으로 아체 지역의 자율적 지위를 확보하는 데 성공하였다.[163][164] 그러나 여전히 많은 아체인들은 자와인이 중앙의 요직을 두루 꿰차고 있는 상황에 분노하고 있다.[163]
5. 평가 및 영향
아체 전쟁은 네덜란드 제국주의의 잔혹성과 아체인의 끈질긴 저항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전쟁은 종교, 민족주의, 경제적 이익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분쟁이었다.[1] 아체 전쟁은 인도네시아 독립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아체의 자치권 문제와 분리주의 운동으로 이어졌다.
1880년대 중반부터 아체의 군사 지도부는 테웅쿠 치크 디 티로를 포함한 종교적 율마의 지배를 받았는데, 이들은 설교와 ''히카야트''(시적인 이야기)를 통해 "성전"의 개념을 전파했다.[1] 아체인 전사들은 자신들을 "이교도 침략자"와 싸우는 종교적 순교자로 여겼다.[1] 이 시점에서 아체 전쟁은 서구 제국주의에 대한 무슬림 저항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5]
아체인들은 특히 함정과 매복을 이용한 게릴라전에 의존했다. 네덜란드군은 보복으로 마을 전체를 초토화하고 포로와 민간인을 모두 학살했다.[16] 1904년 작전 중, 반 달렌 대령은 여러 마을을 파괴하고, 여성과 어린이 1,149명을 포함하여 최소 2,922명의 아체인을 살해했다.[18] 이 기간 동안 네덜란드 군대의 잔혹 행위가 두드러졌다. 예를 들어, 1904년 6월 아체의 가요(Gayo)와 알라스(Alas) 지역에서 네덜란드 군사 원정 중에 촬영된 쿠타 레 마을 알라스족(Alas people) 학살 사진은 일부 경우 대규모 민간인 학살이 발생했음을 보여준다.[19]
역사가 에이드리언 빅커스(Adrian Vickers)에 따르면, 아체 전쟁 전체 기간 동안 폭력과 질병으로 5만~6만 명의 아체인이 사망했고, 약 2,000명의 유럽인과 동맹 토착 군인이 전투에서 사망했으며, 3만 5,000명 이상의 군인과 노동자가 질병으로 사망했다.[5]
아체 전쟁 이후, 지역 귀족인 울레에벨랑(uleebelang)은 간접 통치를 통해 네덜란드가 아체를 통제하는 것을 도왔다.[57] 공개적인 분쟁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네덜란드 지배에 대한 아체인들의 저항은 일본의 네덜란드령 동인도 침공까지 계속되었다. 20세기 초 내내, 히카야트 페랑 사빌(Hikayat Perang Sabil)과 기타 금서의 영향을 받은 아체인들은 산발적인 자살 공격을 통해 네덜란드 시민과 인원을 공격했다.[58]
1949년 네덜란드가 인도네시아에 주권을 이양한 후, 많은 아체인들은 자바인이 지배하는 자카르타의 중앙 정부의 정책에 불만을 품고 자치권을 요구하며 시위를 시작했다.[68] 아체 자유 운동이 주도한 그 결과로 발생한 반란은 대 아체 쓰나미 이후 아체 운동과 인도네시아 정부 간에 평화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이 지역에서 계속되었다.
반다아체의 아체 지진 해일 박물관에 인접한 카르크호프 포컷(Kerkhof Peutjoet) 묘지에는 아체 전쟁으로 사망한 2200명의 네덜란드군이 매장되어 있다. 이 묘지는 네덜란드 해외의 네덜란드군 묘지 중 가장 큰 규모이다.[137]
6. 같이 보기
- 아체 술탄국
- 네덜란드령 동인도
-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 아체 자유 운동
참조
[1]
서적
Aceh and the Perang Sabil
Editions Didier Millet
[2]
서적
(작품명 없음)
[3]
서적
(작품명 없음)
[4]
서적
(작품명 없음)
[5]
서적
(작품명 없음)
[6]
서적
(작품명 없음)
[7]
서적
(작품명 없음)
[8]
서적
(작품명 없음)
[9]
서적
(작품명 없음)
[10]
서적
The Low Countries 1780–1940
[11]
서적
(작품명 없음)
[12]
서적
(작품명 없음)
[13]
서적
(작품명 없음)
[14]
서적
(작품명 없음)
[15]
서적
(작품명 없음)
[16]
서적
(작품명 없음)
[17]
간행물
A Study of Hasan Mustafa's 'Fatwa: 'It Is Incumbent upon the Indonesian Muslims to be Loyal to the Dutch East Indies Government,'
2004-04
[18]
웹사이트
DAALEN, Gotfried Coenraad Ernst van (1863–1930)
http://resources.huy[...]
2022-01-26
[19]
뉴스
Images of a grisly past
http://www.thejakart[...]
2011-07
[20]
서적
(작품명 없음)
[21]
서적
Sastra perang: sebuah pembicaraan mengenai Hikayat Perang Sabil
https://books.google[...]
PT Balai Pustaka
[22]
웹사이트
Massachusetts Historical Society: "To the Farthest Ports of the Rich East": Salem and the Sumatra Pepper Trade
http://www.masshist.[...]
[23]
웹사이트
America Bombs Indonesia over Drug Deal Gone Bad … in 1832
http://www.bingregor[...]
2015-06-19
[24]
서적
Crossroads (2nd Edn): A Popular History of Malaysia and Singapore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2008-07-15
[25]
서적
All the Countries the Americans Have Ever Invaded: Making Friends and Influencing People?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26]
웹사이트
Where Are You From
https://www.ciaonet.[...]
[27]
서적
Atjeh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8]
서적
Atjèh: algemeen samenvattend overzicht van land en volk van Atjèh en onderhoorigheden
https://books.google[...]
E.J. Brill
[29]
서적
Anomie and Violence: Non-truth and Reconciliation in Indonesian Peacebuilding
https://books.google[...]
ANU E Press
[30]
서적
Anomie and Violence
https://press.anu.ed[...]
ANU Press
[31]
간행물
Anomie and Violence: Non-Truth and Reconciliation in Indonesian Peacebuilding
https://www.academia[...]
[32]
서적
Ketika pala mulai berbunga: seraut wajah Aceh Selatan
https://books.google[...]
Pemda Aceh Selatan
[33]
서적
Sastra perang: sebuah pembicaraan mengenai Hikayat Perang Sabil
https://books.google[...]
PT Balai Pustaka
[34]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from Angkor Wat to East Timor
https://books.google[...]
ABC-CLIO
2004-01-01
[35]
서적
The Blood of the People: Revolution and the End of Traditional Rule in Northern Sumatra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14-03-17
[36]
서적
The Turkic-Turkish Theme in Traditional Malay Literature: Imagining the Other to Empower the Self
https://books.google[...]
BRILL
2015-10-19
[37]
서적
Sabil: Prahara di Bumi Rencong
https://books.google[...]
Qanita
2014-10-08
[38]
서적
Motivasi perang sabil di Nusantara: kajian kitab Ramalan Joyoboyo, Dalailul-Khairat, dan Hikayat Perang Sabil
https://books.google[...]
Media Madania
[39]
서적
Malay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https://books.google[...]
ITBM
[40]
서적
Akademika
https://books.google[...]
Jawatankuasa Penerbitan, Universiti Kebangsaan Malaysia
[41]
서적
Perang di Jalan Allah: Perang Aceh, 1873–1912
https://books.google[...]
Pustaka Sinar Harapan
[42]
웹사이트
Aceh Books (KITLV) | Digital Collections
https://digitalcolle[...]
[43]
간행물
Black Belt
https://books.google[...]
Active Interest Media, Inc.
1994-04
[44]
서적
Atjèh en de oorlog met Japan
https://books.google[...]
W. van Hoeve
[45]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200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Tempo: Indonesia's Weekly News Magazine, Volume 3, Issues 43-52
https://books.google[...]
[47]
웹사이트
Sejarah Jejak Perlawanan Aceh
https://web.archive.[...]
2016-04-27
[48]
웹사이트
Waspada, Sabtu 17 Maret 2012
https://issuu.com/wa[...]
2012-03-16
[49]
웹사이트
Waspada, Sabtu 17 Maret 2012
https://issuu.com/wa[...]
2012-03-16
[50]
서적
Berita Kadjian Sumatera: Sumatra Research Bulletin, Volumes 1–4
https://books.google[...]
[51]
서적
Sedjarah Iahirnja Tentara Nasional Indonesia
https://books.google[...]
[52]
서적
20 [i. e Dua puluh] tahun Indonesia merdeka, Volume 7
https://books.google[...]
[53]
서적
Sedjarah TNI-Angkatan Darat, 1945–1965. [Tjet. 1.]
https://books.google[...]
[54]
서적
20 tahun Indonesia merdeka, Volume 7
https://books.google[...]
[55]
뉴스
Atjeh Post
Atjeh Post
1990-09
[56]
서적
The collapse of a colonial society: the Dutch in Indones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KITLV Press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Indonesia's Secret War in Aceh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Australia
[63]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200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64]
서적
Tempo: Indonesia's Weekly News Magazine, Volume 3, Issues 43–52
https://books.google[...]
[65]
서적
https://books.google[...]
[66]
서적
Sedjarah Iahirnja Tentara Nasional Indonesia
https://books.google[...]
[67]
서적
The collapse of a colonial society: the Dutch in Indones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KITLV Press
[68]
서적
[69]
서적
[70]
웹사이트
Bung Karno's Tears Melt in Aceh
https://historia.id/[...]
2015-10-09
[71]
문서
Sajoeti 1953
[72]
서적
[73]
뉴스
Kerkhoff Poucut Cemetery, testifying to the Aceh War
http://www.thejakart[...]
The Jakarta Post
2012-03-20
[74]
서적
Aceh and the Perang Sabil
Editions Didier Millet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The Low Countries 1780–1940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간행물
A Study of Hasan Mustafa's 'Fatwa: 'It Is Incumbent upon the Indonesian Muslims to be Loyal to the Dutch East Indies Government,'
Journal of the Pakistan Historical Society
2004-04
[88]
뉴스
Images of a grisly past
http://www.thejakart[...]
The Jakarta Post: Weekender
2011-06-26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Sastra perang: sebuah pembicaraan mengenai Hikayat Perang Sabil
https://books.google[...]
PT Balai Pustaka
[92]
웹사이트
http://www.masshist.[...]
[93]
웹사이트
http://www.bingregor[...]
[94]
서적
Crossroads (2nd Edn): A Popular History of Malaysia and Singapore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International Asia Pte Ltd
2008-07-15
[95]
웹사이트
https://www.rsis.edu[...]
[96]
서적
All the Countries the Americans Have Ever Invaded: Making Friends and Influencing People?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2015-10-15
[97]
웹사이트
https://www.ciaonet.[...]
[98]
서적
Black Belt
https://books.google[...]
Active Interest Media, Inc.
1994-04
[99]
서적
Atjeh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100]
서적
Atjèh: algemeen samenvattend overzicht van land en volk van Atjèh en onderhoorigheden
https://books.google[...]
E.J. Brill
[101]
서적
Ketika pala mulai berbunga: seraut wajah Aceh Selatan
https://books.google[...]
Pemda Aceh Selatan
[102]
서적
Jalan ke Taman: Esei-esei Penghargaan untuk Profesor Ali Ahmad (Penerbit USM)
https://books.google[...]
Penerbit USM
[103]
서적
The Turkic-Turkish Theme in Traditional Malay Literature: Imagining the Other to Empower the Self
https://books.google[...]
BRILL
2015-10-19
[104]
서적
Anomie and Violence: Non-truth and Reconciliation in Indonesian Peacebuilding
https://books.google[...]
ANU E Press
[105]
웹사이트
http://press.anu.edu[...]
[106]
웹사이트
Anomie and Violence: Non-Truth and Reconciliation in Indonesian Peacebuilding
https://www.academia[...]
[107]
서적
Sastra perang: sebuah pembicaraan mengenai Hikayat Perang Sabil
https://books.google[...]
PT Balai Pustaka
[108]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from Angkor Wat to East Timor
https://books.google[...]
ABC-CLIO
2004-01-01
[109]
서적
The Blood of the People: Revolution and the End of Traditional Rule in Northern Sumatra
https://books.google[...]
NUS Press
2014-03-17
[110]
서적
Sabil: Prahara di Bumi Rencong
https://books.google[...]
Qanita
2014-10-08
[111]
서적
Motivasi perang sabil di Nusantara: kajian kitab Ramalan Joyoboyo, Dalailul-Khairat, dan Hikayat Perang Sabil
https://books.google[...]
Media Madania
[112]
서적
Malay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https://books.google[...]
ITBM
[113]
서적
Akademika
https://books.google[...]
Jawatankuasa Penerbitan, Universiti Kebangsaan Malaysia
[114]
서적
Perang di Jalan Allah: Perang Aceh, 1873–1912
https://books.google[...]
Pustaka Sinar Harapan
[115]
문서
http://www.acehbooks[...]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Atjèh en de oorlog met Japan
https://books.google[...]
W. van Hoeve
[121]
서적
A History of Modern Indonesia Since C. 1200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22]
서적
[123]
서적
Tempo: Indonesia's Weekly News Magazine, Volume 3, Issues 43-52
https://books.google[...]
[12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atjehcybe[...]
2016-05-17
[125]
웹사이트
Pepatah Lama Di Aceh Utara
https://issuu.com/wa[...]
[126]
웹사이트
Pepatah Lama Di Aceh Utara
https://issuu.com/wa[...]
[127]
서적
Berita Kadjian Sumatera: Sumatra Research Bulletin, Volumes 1–4
https://books.google[...]
[128]
서적
Sedjarah Iahirnja Tentara Nasional Indonesia
https://books.google[...]
[129]
서적
20 [i. e Dua puluh] tahun Indonesia merdeka, Volume 7
https://books.google[...]
[130]
서적
Sedjarah TNI-Angkatan Darat, 1945–1965. [Tjet. 1.]
https://books.google[...]
[131]
서적
20 tahun Indonesia merdeka, Volume 7
https://books.google[...]
[132]
뉴스
Atjeh Post
Atjeh Post
1990-09-00
[133]
서적
The collapse of a colonial society: the Dutch in Indones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KITLV Press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뉴스
Kerkhoff Poucut Cemetery, testifying to the Aceh War
http://www.thejakart[...]
The Jakarta Post
2012-03-20
[138]
서적
[139]
서적
[140]
문서
아체어의 모음 'eu'는 IPA로 /ɤ/를 나타내는데, 이는 외래어표기법 제2장 표1에는 없고, 표15 '타이어의 표기'에서 'ㅡ'로 전사하므로 여기서도 'ㅡ'로 옮겼다.
[141]
서적
(제목 없음)
2005
[142]
서적
(제목 없음)
2005
[143]
서적
(제목 없음)
2005
[144]
간행물
Aceh and the Perang Sabil
Editions Didier Millet
2001
[145]
서적
(제목 없음)
2001
[146]
서적
(제목 없음)
2005
[147]
서적
(제목 없음)
1993
[148]
서적
(제목 없음)
2001
[149]
서적
(제목 없음)
2005
[150]
서적
(제목 없음)
1993
[151]
문서
니세로, 나이즈로, 니제로 등일 수도 있음.
[152]
서적
(제목 없음)
2005
[153]
서적
(제목 없음)
2005
[154]
논문
A Study of Hasan Mustafa's 'Fatwa: 'It Is Incumbent upon the Indonesian Muslims to be Loyal to the Dutch East Indies Government,'
2004-04
[155]
문서
네덜란드령 동인도 전체의 총독보다 낮은 지방의 지사.
[156]
뉴스
Images of a grisly past
http://www.thejakart[...]
The Jakarta Post: Weekender
2011-07
[157]
서적
(제목 없음)
2005
[158]
서적
(제목 없음)
2005
[159]
서적
(제목 없음)
2005
[160]
서적
(제목 없음)
2005
[161]
서적
(제목 없음)
2005
[162]
서적
(제목 없음)
2005
[163]
서적
(제목 없음)
2005
[164]
서적
(제목 없음)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