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조산개구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조산개구리는 일본 홋카이도와 사할린섬 등지에 분포하는 개구리이다. 과거에는 북방산개구리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염색체 수 차이를 근거로 독립된 종으로 인정받았다. 몸길이는 수컷 46-55mm, 암컷 54-72mm이며, 흑갈색에서 적갈색을 띤다.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곤충류 등을 먹고, 4-5월에 얕은 연못 등에서 번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기재된 양서류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일본의 양서류 - 두꺼비
두꺼비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서식하며 흑갈색 무늬와 돌기, 독성 물질을 가진 큰 개구리로, 설화 속에서 인간을 돕는 존재로 나타나고 약재로도 사용된다. - 일본의 양서류 - 참개구리
참개구리는 동아시아에 서식하며 평야나 낮은 산지의 연못, 논 등에서 주로 서식하지만 서식지 감소와 환경오염으로 개체 수가 줄어들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 의해 취약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개구리속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개구리속 - 한국산개구리
한국산개구리는 한국에 서식하는 가장 작은 갈색 개구리 종으로, 과거에는 아무르산개구리 아종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인정받으며, 침엽수림, 혼합림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고 습지나 얕은 물가에서 번식하며 서식지 파괴로 지역적인 위협이 있을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흔한 종으로 평가된다.
에조산개구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라나 피리카 |
명명자 | 마쓰이, 1991 |
영명 | 에조 브라운 프로그 |
러시아어 이름 | 호카이도스카야 랴구슈카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양서강 |
목 | 개구리목 |
아목 | 신와아목 |
과 | 개구리과 |
아과 | 개구리아과 |
속 | 개구리속 |
아속 | 개구리속 |
종 | 에조산개구리 |
보존 상태 | |
IUCN | 최소 관심 |
2. 분포
일본 홋카이도 및 그 부속도서(리시리섬, 오쿠시리섬, 레분섬, 쿠나시르섬, 이투루프섬, 시코탄섬)와 러시아 사할린섬에 분포한다.[8][2] 홋카이도에 서식하는 재래종 개구리는 에조산개구리와 일본산청개구리 두 종뿐이다.
과거 유럽에 서식하는 북방산개구리의 아종으로 여겨졌고, 이후에는 산개구리와 동종 혹은 아종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염색체 수로부터 독립종인 것이 밝혀져 1991년 정식으로 새 학명을 부여받았다.[9]
수컷의 몸길이는 46-55mm이고 암컷은 54-72mm로, 암컷이 수컷보다 눈에 띄게 크다.[3] 몸 색깔은 흑갈색에서 적갈색이다. 눈 뒤에서 뻗어 나온 등쪽선은 고막 뒤에서 느슨하게 굽는다. 사지는 다소 짧고, 발가락 사이에는 물갈퀴가 발달해 있다.[3] 수컷은 아래턱에 좌우 한 쌍의 울음주머니가 있다.[4]
에조산개구리는 평지, 습지, 산림, 고산 지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육식성이며 곤충류, 거미, 토양 동물 등을 먹는다. 위 내용물 조사 결과, 다족류와 지네를 섭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
간행물
Rana pirica
2004
3. 분류
학명의 종소명은 아이누어로 “아름답다”는 의미인 “피르카(pirka)”를 일본어로 음차한 것이다.[8]
4. 형태
사할린 개체군은 홋카이도 개체군과 형태적으로 상당히 다르다고 여겨진다.[2]
알 하나의 크기는 1.7-2.3mm 정도이며, 유생(올챙이)은 전체 길이 45mm까지 성장하며, 꼬리는 중간 정도 길이로 굵지 않다.[3] 포식자인 에조산쇼우오의 유생이 다수 서식하는 환경에서는 꼬리지느러미가 길고, 몸통부가 젤라틴질 물질로 부풀어 오르는 방어 형태로 변화한다.[2]
5. 생태
번식기는 4-5월이 기본이나, 고지대에서는 7월까지 늦어지기도 한다. "캐라라라, 캐라라라"하는 울음소리를 내며, 번식기 외에는 거의 울지 않는다. 낮에도 울지만, 야간에 더 활발하게 운다. 얕은 연못, 습지, 웅덩이 등에 산란한다. 알 덩어리는 편평한 구형이며, 알의 개수는 700-1100개 정도이다. 매우 큰 알 덩어리 군집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11월부터 4월까지 겨울 동안 물 밑에서 동면한다.
참조
[2]
서적
北海道爬虫類・両生類ハンディ図鑑
[3]
서적
改訂版 日本カエル図鑑
[4]
서적
決定版 日本の両生爬虫類
[5]
논문
北海道帯広市の河畔林に生息するエゾアカガエルの食性
爬虫両棲類学会会報
2021
[6]
논문
Myriapoda found in the stomach contents of the Ezo Brown Frog Rana pirica (Anura: Ranidae) from a riparian forest in Obihiro City, Hokkaido, Japan
https://www.biotaxa.[...]
2023
[7]
간행물
Rana pirica
2004
[8]
서적
北海道爬虫類・両生類ハンディ図鑑
[9]
서적
改訂版 日本カエル図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