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는 스위스 출신의 정신과 의사이자,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연구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녀는 말기 환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죽음을 앞둔 사람들이 겪는 심리적 변화를 5단계 모델(부정, 분노, 타협, 우울, 수용)로 제시하여, 죽음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또한 호스피스 운동과 완화 치료 발전에 기여했으며, 임사 체험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 그녀의 저서 《죽음과 죽어감에 대하여》는 44개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읽혔으며, 대중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쌍둥이 - 페트르 체흐
페트르 체흐는 체코의 은퇴한 축구 골키퍼로, 첼시 FC에서 프리미어리그, FA컵,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등을 기록하고 체코 국가대표팀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은퇴 후에는 첼시 FC 기술 고문 및 아이스하키 선수로 활동하고 있다. - 세쌍둥이 - 리나 크릴
리나 크릴은 배우, 영화 제작자, 사진 작가로서 Ignite Entertainment와 Creel Studio를 설립하여 활동하며, UCLA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 후 영화 제작, 특히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에 주력하고 Creel Studio를 통해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하는 콘텐츠를 제작하고 아역 배우 활동 및 디즈니 영화 출연 경력이 있다. - 임사 체험 - 유체이탈
유체이탈은 자각몽, 임사 체험, 극심한 신체적 노력, 환각제 사용, 명상, 뇌 자극 등으로 유도되거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신의 신체에서 빠져나와 외부 시점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경험이다. - 임사 체험 - 미라클 프롬 헤븐
크리스티 빔의 자서전을 영화화한 미라클 프롬 헤븐은 원인 불명의 질병을 앓던 딸 애나가 기적적으로 치유되는 이야기를 그린 파트리시아 리건 감독의 작품으로, 제니퍼 가너 등이 출연했으며 2016년 틴 초이스 어워드 드라마 부문 작품상을 수상했다. - 스위스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펠릭스 블로흐
펠릭스 블로흐는 고체 물리학과 핵자기 공명 분야에 기여하고, 블로흐 파를 이용한 고체 내 전자 이론을 정립했으며, 핵자기 공명 현상 연구를 통해 MRI 기술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여 195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스위스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독일 태생의 이론물리학자로, 상대성이론을 개발하고 광전 효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질량-에너지 등가 공식으로도 유명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물리학자 중 한 명이다.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엘리자베트 퀴블러 |
출생 | 1926년 7월 8일 |
출생지 | 취리히, 스위스 |
사망 | 2004년 8월 24일 (향년 78세) |
사망지 | 스코츠데일, 미국 |
국적 | 스위스 미국 |
학력 및 경력 | |
분야 | 정신 의학 호스피스 완화 치료 생명 윤리학 슬픔 작가 |
직장 | 시카고 대학교 |
모교 | 취리히 대학교 (MD) |
주요 업적 | 퀴블러-로스 모델 |
수상 | |
수상 내역 | 미국 국가 여성 명예의 전당 타임 "20세기 최고의 사상가" 1977년 올해의 여성 뉴욕 공립 도서관: 세기의 책 명예 학위 20개 |
가족 관계 | |
자녀 | 켄 로스 바버라 로스 |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캐롤라인 미스, 번 바넷, 브루스 그레이슨, 소걀 린포체 |
2. 생애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는 스위스 취리히에서 세 쌍둥이 중 맏이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의학부 진학을 반대하여, 스스로 학비를 벌어 검사 기사로 일했다. 1957년 31세에 취리히 대학교 의학부를 졸업하고, 미국인 유학생 남편과 함께 1958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병원이 죽음을 앞둔 환자를 대하는 태도에 충격을 받고 환자를 대하는 방법에 대한 강의를 시작했고, 1963년 콜로라도 대학교에서 정신과 의사 자격을 취득했다. 1965년부터 시카고 대학교 의학부에서 임상 연구를 발전시켰다. 퀴블러로스는 죽음을 주제로 20권의 책을 썼고, 전 세계에서 강연했으며, 1974년부터 1996년 사이 20개의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재를 털어 죽어가는 환자를 위한 시설을 개설하여 호스피스 운동의 시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만년에는 에이즈 환자를 위한 센터를 계획했지만, 주민과의 갈등으로 센터가 폐쇄되고 원인 불명의 화재로 전소되는 일을 겪었다. 그녀는 이를 방화로 인식했다. 1995년 뇌경색으로 쓰러져 좌반신 마비가 되었고, 2002년 인터뷰에서 고뇌를 이야기했다. 2004년 애리조나 주 스코츠데일 자택에서 사망했다.
사후, 모하메드 알리는 그녀를 "인생의 캠페인"이었다고 회상했다[96]. 2005년 아들 켄 로스는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재단을 설립했고[97], 2024년 현재 일본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그녀의 상표 및 저작권은 가족이 관리한다[98].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엘리자베스 퀴블러는 1926년 7월 8일 스위스 취리히의 개신교 집안에서 세 쌍둥이 중 한 명으로 태어났다. 태어날 때 몸무게가 2파운드에 불과했지만, 어머니의 보살핌으로 살아남았다.[9][10] 5살 때 폐렴으로 입원했을 때 룸메이트의 죽음을 통해 처음으로 죽음을 경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3세의 나이에 취리히에서 난민을 위한 실험실 조수로 일했다. 어린 시절부터 의사가 되기를 원했지만, 아버지는 사업을 위한 비서가 되기를 강요했다. 16세에 집을 나와[11] 하녀로 일하다가 의사를 꿈꾸도록 돕는 의사를 만났다. 이후 과학자 브라운 박사의 견습생으로 일하며 첫 실험복을 받았다.
1945년 5월 8일, 18세에 평화를 위한 국제 자원 봉사단에 참여했다.[10] 프랑스, 독일, 폴란드 등에서 구호 활동을 했다.
1947년 폴란드의 마이다네크 강제 수용소를 방문하여 큰 충격을 받았다. 생존자들의 이야기와 벽에 새겨진 나비 그림은 그녀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1] 그해 말, 비아위스토크 근처에서 로마인들과 함께 살며 러시아 국경 폐쇄를 목격했다.
취리히로 돌아와 칸톤 병원에서 피부과 의사 칸 젠더 박사의 견습생으로 일했다.[12] 이후 여러 직업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병원 경험을 쌓고, 난민 구호 활동을 했다. 취리히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여 1957년에 졸업했다.[13] 1957년 31세에 의학부를 졸업하고, 1958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2. 2. 죽음과 죽어감 연구
1959년 7월 6일 맨해튼 주립 병원에서 정신과 레지던트 과정을 시작하면서 퀴블러로스는 경력을 시작했다. 정신 분열증 환자들과 당시 말기 환자를 지칭하던 "가망 없는 환자"들을 위한 자체적인 치료법을 개발하여 치료했다. 이 치료 프로그램은 환자들의 존엄성과 자존감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퀴블러로스는 또한 환자들을 과도하게 진정시키는 약물 사용을 줄이고, 그들이 외부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14] 이 시기에 로스는 정신과 환자, 특히 임종을 앞둔 환자들에 대한 방치와 학대에 큰 충격을 받았다. 그녀는 병원 직원들이 환자들을 거의 돌보지 않거나 완전히 무시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깨달음은 그녀가 이들의 삶에 변화를 가져오도록 노력하게 만들었다. 그녀는 각 환자에게 개별적인 치료와 관심을 기울이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 프로그램은 놀라운 성과를 거두어 환자의 정신 건강이 94%나 향상되었다.[15]1962년, 콜로라도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퀴블러로스는 젊은 말기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 학생들 앞에서 첫 번째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녀의 의도는 병리학적 사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질병에 대처하며 삶에 영향을 받는 한 인간이 이해받고 싶어 한다는 것을 묘사하려는 것이었다.[14] 그녀는 학생들에게 "이제 여러분은 과학자가 아닌 인간처럼 반응하고 있습니다. 아마 이제는 죽어가는 환자가 어떻게 느끼는지 알 뿐만 아니라, 여러분 자신에게 바라는 것과 같은 연민으로 그들을 치료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4]
퀴블러로스는 1963년에 정신 의학 훈련을 마치고 1965년 시카고로 이사했다. 그녀는 때때로 관찰했던 전통적인 정신 의학의 관행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녀는 또한 시카고에서 39개월 동안 고전적인 정신 분석 훈련을 받았다. 시카고 대학교의 프리츠커 의과대학 강사가 되었고, 그곳에서 매주 말기 환자들을 인터뷰하는 정기적인 교육 세미나를 시작했다. 의료진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학생들에게 이 세미나에 참여하도록 했다.[14]

1966년, 퀴블러로스는 병원에서 죽어가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매주 정기적인 세미나를 열었다. 1966년 말, "죽어가는 환자는 스승: 실험과 경험"이라는 제목의 17페이지 분량의 논문을 ''The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Journal'' 12월호에 기고했으며, 이 저널은 "죽음과 죽어감"을 주제로 다루었다. 그녀의 영어 실력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편집자는 그녀를 안심시켰다. 저널의 발행 부수가 제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논문 사본은 뉴욕의 맥밀란 출판사의 편집자에게 전달되었다. 1967년 7월 7일, 맥밀란은 퀴블러로스에게 그녀의 연구를 256페이지 분량의 책 "On Death & Dying"으로 확장하는 계약을 제안했다. 1967년 7월 13일, 최초의 현대식 호스피스인 세인트 크리스토퍼 호스피스가 첫 환자를 맞이했다.[16] 이 책은 1969년 5월 19일에 미국 저작권청에 정식 등록되었다. 출판 지연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1969년 11월에 출판되어 곧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그녀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다. 1976년 12월 18일 기준으로 "On Death & Dying"은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무역 페이퍼백 부문)에서 3위를 유지했다.[17]
1969년 11월, 잡지 ''라이프''는 퀴블러로스에 대한 기사를 게재하여 의료계 밖의 사람들에게 그녀의 연구를 알렸다. 퀴블러로스는 자신의 경력을 말기 환자와 그 가족을 위해 집중하도록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그녀의 연구가 받은 강도 높은 관심은 또한 그녀의 경력 경로에 영향을 미쳤다. 퀴블러로스는 대학교에서 강의를 중단하고, 그녀가 "과학에서 가장 큰 미스터리"라고 부르는 죽음에 대해 개인적으로 연구했다.[11]
1970년대 동안 퀴블러로스는 전 세계 호스피스 운동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녀는 6개 대륙의 20개 이상의 국가를 여행하며 다양한 호스피스 및 완화 치료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1970년, 퀴블러로스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열린 권위 있는 잉거솔 강연에서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주제로 연설했다.[18] 1972년 8월 7일, 그녀는 미국 상원 특별 고령화 위원회에서 "존엄한 죽음" 운동을 홍보하기 위해 연설했다. 1977년, ''레이디스 홈 저널''에 의해 "올해의 여성"으로 선정되었다. 1978년, 퀴블러로스는 미국 전체론 의학 협회를 공동 설립했다.

퀴블러로스는 호스피스 완화 치료 운동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안락사는 사람들이 "미완의 과제"를 완수하는 것을 막는다고 믿었다.[19]
1977년, 캘리포니아주 에스콘디도에 있는 40에이커의 부지에 "샨티 닐라야"(평화의 집)를 설립했다. 이 시기에 퀴블러로스는 샨티 닐라야를 이 5일 워크숍의 장소로 사용하여 사람들이 "미완의 과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삶, 죽음, 전환(LTD)" 워크숍을 시작했다.[20] 그녀는 또한 이곳을 임종 환자와 그 가족을 위한 치유 센터로 만들고자 했다. 그녀는 또한 이 시기에 미국 전체론 의학 협회의 공동 창립자이기도 했다.
1970년대 후반, 수천 명의 사망했다가 소생한 환자들을 인터뷰한 후, 그녀는 육체 이탈 경험, 영매, 영매주의 및 죽은 자와 접촉하려는 다른 방식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것은 샨티 닐라야 치유 센터와 관련된 스캔들로 이어졌는데, 여기서 그녀는 신성한 측면 교회 창립자인 제이 바햄에게 속았다. 그는 죽은 자의 영을 채널링하고, 덧없는 "실체"를 소환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교회 회원들에게 "영"과의 성관계를 하도록 장려했다. 그는 이 목적으로 여성 영의 역할을 할 여러 여성을 고용했을 수도 있다.[21] 퀴블러로스의 친구 디애나 에드워즈는 바햄에 대한 혐의가 사실인지 확인하기 위해 예배에 초대를 받았다. 에드워즈가 예기치 않게 전등 스위치에서 마스킹 테이프를 떼고 불을 켰을 때 그는 나체로 터번만 쓰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2][23][24][25] 성적 비위 혐의에도 불구하고 퀴블러로스는 1년 넘게 그를 옹호했다.[26] 당국은 바햄 부부를 기소하지 않았다. 그 후 그녀는 1981년 6월 7일자 ''샨티 닐라야 뉴스레터''(7호)에서 제이 바햄과 그의 아내 마사와의 관계를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는 또한 임사 체험 현상도 다루었다. 그녀는 영적 인도자와 사후 세계를 옹호했으며,[14] 국제 임사 체험 연구 협회(IANDS)의 자문 위원으로 활동했다.[27]
퀴블러로스는 『
1981년 그녀는 오스트레일리아 방송 공사(ABC)에서 방송된 죽음과 임사 체험에 관한 오스트레일리아 라디오 다큐멘터리 『그리고 내가 죽으면, 나는 죽어 있을까?』에 출연했다.[30] 이 다큐멘터리는 1987년에 책으로 각색되었다.[31]
퀴블러로스는 임사 체험(NDEs)에 관한 여러 권의 책을 썼다. 그녀의 책 『사후의 삶에 대하여』(1991)는 그녀가 한 세 번의 강연을 엮은 것이다.
- "Leben und Sterben"(삶과 죽음): 1982년 12월 스위스에서 독일어로 한 강연.
- "죽음은 없다": 1977년 샌디에이고에서 한 강연.
- "삶, 죽음, 그리고 사후의 삶": 1980년에 한 녹음 강연.
영어판은 20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 독일어판도 수십만 부가 판매된 베스트셀러였다.
또 다른 책 『터널과 빛』(1999), 원래 제목은 『죽음은 매우 중요하다』였으며, 이 또한 그녀가 이전에 했던 다양한 강연을 모은 것이다.
그녀는 죽음을 주제로 20권이나 되는 책을 썼고, 전 세계에서 수많은 강연 등을 했다. 1974년부터 1996년 사이에 이러한 업적에 대해 여러 대학, 단과 대학으로부터 20개의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또한, 사재를 털어 죽음을 향해 가는 환자를 위한 시설(센터 Center)을 개설하여 정력적으로 활동을 펼쳤다. 현재, 이 활동은 호스피스 운동의 시초 중 하나로 여겨진다. 그녀가 호스피스 운동을 창시한 것은 아니지만, 그것을 추진했던 사람들은, 바로 그녀에 의해 이 운동이 생명을 얻었다고 입을 모아 말하고 있다.
만년에는 에이즈 환자와의 관계를 깊게 하고, 에이즈 환자를 위한 새로운 센터 개설을 계획했지만, 그 때문에 인근 주민과의 심각한 갈등을 빚어, 최종적으로 거점 센터의 폐쇄, 이전을 불가피하게 되었다. 거점 센터는 원인 불명의 화재로 전소되었지만, 그녀는 이 사건을 대립하는 주민에 의한 방화로 인식했다.
2. 3. 호스피스 운동과 사회 활동
1970년대 동안 퀴블러 로스는 전 세계 호스피스 운동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녀는 6개 대륙의 20개 이상의 국가를 여행하며 다양한 호스피스 및 완화 치료 프로그램을 시작했다.[18] 1970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열린 잉거솔 강연에서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주제로 연설했고,[18] 1972년 8월 7일에는 미국 상원 특별 고령화 위원회에서 "존엄한 죽음" 운동을 홍보하기 위해 연설했다. 1977년, ''레이디스 홈 저널''에 의해 "올해의 여성"으로 선정되었으며, 1978년에는 미국 전체론 의학 협회를 공동 설립했다.퀴블러 로스는 호스피스 완화 치료 운동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안락사는 사람들이 "미완의 과제"를 완수하는 것을 막는다고 믿었다.[19]
1977년, 캘리포니아주 에스콘디도에 있는 40에이커의 부지에 "샨티 닐라야"(평화의 집)를 설립하고, "삶, 죽음, 전환(LTD)" 워크숍을 시작하여 사람들이 "미완의 과제"를 해결하도록 도왔다.[20] 그녀는 이곳을 임종 환자와 그 가족을 위한 치유 센터로 만들고자 했으며, 미국 전체론 의학 협회의 공동 창립자이기도 했다.
사재를 털어 죽음을 향해 가는 환자를 위한 시설(센터)을 개설하여 정력적으로 활동한 것은 호스피스 운동의 시초 중 하나로 여겨진다. 그녀가 호스피스 운동을 창시한 것은 아니지만, 이 운동을 추진했던 사람들은 그녀에 의해 이 운동이 생명을 얻었다고 입을 모아 말하고 있다.
2. 4. 말년과 죽음
1970년대 후반, 퀴블러-로스는 생의 마지막을 앞둔 사람들이 남은 시간을 보다 충만하게 살 수 있도록 돕기 위한 5일간의 숙박 워크숍을 개발했다. 이 워크숍은 임종 환자와 그들의 간병인 모두를 수용했으며, 참가자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분노, 슬픔을 표현했다.[32][33] 워크숍에서는 학대나 방치와 같은 해결되지 않은 어린 시절 문제와 관련된 후회를 다루었으며, 이러한 문제는 부적절한 분노, 완벽주의, 통제적인 행동 등으로 나타났다.[32][33]퀴블러-로스는 참가자들이 묻어둔 감정을 표출하도록 돕는 기술을 도입하여, 오랫동안 지속된 고통에 대한 이해와 해결을 촉진하고 두려움과 슬픔을 감사로 변화시켰다. 간병인 또한 워크숍에서 혜택을 받는다는 것을 인식한 그녀는 죽을 때까지 더 충만하게 살기를 원하는 모든 사람에게 세션을 열었다.[34]
워크숍의 특징적인 부분은 융 분석가 수잔 바흐 박사의 영향을 받은 즉흥 크레용 그림이었다. 퀴블러-로스는 참가자들에게 그림 해석을 가르쳐 무의식적인 이유를 밝히고 과거의 상실을 다루도록 도왔다.[35] 또한 그녀는 정서적, 지적, 육체적, 정신적, 네 부분으로 구성된 인간 발달 모델인 "사분면"을 제시했으며, 이는 완화 치료 운동의 기초가 되었다.[35] 그녀는 "다섯 가지 핵심 감정"(두려움, 분노, 자연스러운 질투, 슬픔, 사랑)과 그 표현, 왜곡에 대해서도 언급했다.[36]
1987년부터 1994년까지 퀴블러-로스는 여러 차례 뇌졸중을 겪었다. 1994년 버지니아 주택 화재와 일시적인 허혈성 뇌졸중(TIA) 이후 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로 이사했다.[55] 힐링 워터스 농장과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센터는 운영을 중단했고, 그녀는 애리조나주 케어프리 근처 사막에 거주지를 마련했다. 1995년 뇌졸중으로 휠체어 생활을 하게 된 후, 자신의 사망 시기를 결정할 수 있기를 바랐다.[56]
1997년 오프라 윈프리는 퀴블러-로스를 인터뷰했고, 2001년 그녀는 마지막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스위스로 여행을 갔다. 2002년 ''애리조나 리퍼블릭''과의 인터뷰에서 그녀는 죽음을 맞을 준비가 되었다고 말했다.[27] 2002년부터 2004년 8월까지 호스피스 간호를 받으며 요양원에서 지냈다.

퀴블러-로스는 2004년 8월 24일 스코츠데일에서 78세의 나이로 자연사했으며, 두 자녀가 곁에 있었다.[27] 그녀는 스코츠데일의 파라다이스 메모리얼 가든스 묘지에 묻혔다.
2005년 그녀의 아들 켄 로스는 애리조나주 스코츠데일에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재단을 설립했다.[57]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라는 상표와 관련된 저작권 및 상표는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가족 유한 파트너십을 통해 그녀의 자녀들이 관리한다.[58]
만년에 에이즈 환자와의 관계를 깊게 하고, 에이즈 환자를 위한 새로운 센터 개설을 계획했지만, 인근 주민과의 심각한 갈등으로 거점 센터가 폐쇄, 이전되었다. 거점 센터는 원인 불명의 화재로 전소되었는데, 그녀는 이를 대립하는 주민에 의한 방화로 인식했다.
1995년에 뇌경색으로 쓰러져 좌반신 마비가 되었다. 2002년, 애리조나 리퍼블릭지 인터뷰에서 그 고뇌를 이야기했다. 2004년에 애리조나 주 스코츠데일 자택에서 사망했다.
엘리자베스의 사후, 모하메드 알리는 저서 『Tea With Elisabeth』에서 "엘리자베스는 자기 실현이 인생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죽음과 죽어가는 과정에 대해 많은 것을 가르쳐 준 이 여성이, 바로 인생의 캠페인이었다는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96]."라고 회상했다.
2005년, 켄 로스는 애리조나 주 스코츠데일에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재단을 설립했다[97]。2024년 현재,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재단은 일본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상표 및 퀴블러로스와 관련된 모든 저작권 및 기타 상표는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 패밀리 유한 책임 사업 조합을 통해 그녀의 자녀들에 의해 관리된다[98]。
3. 죽음 수용 5단계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는 1969년 저서 《죽음과 임종에 관하여》에서 죽음을 앞둔 환자들이 겪는 심리적 변화를 죽음 수용 5단계로 제시했다. 이 모델은 학계와 일반 대중에게 널리 받아들여졌다.[47] 5단계는 다음과 같다:
퀴블러 로스는 모든 환자가 이 단계를 순서대로 겪는 것은 아니며, 일부 환자는 특정 단계를 경험하지 않거나 다른 순서로 경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동료 데이비드 케슬러와 함께 쓴 《슬픔과 애도에 관하여》에서 이 단계들이 "슬픔의 선형적 시간선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다"라고 경고했다.[48]
5단계 모델은 슬픔을 겪는 모든 사람에게 일률적으로 적용하거나, 슬픔이 정해진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48] 앨런 켈레어 박사는 《죽음과 임종에 관하여》 40주년 기념판 서문에서 "이 책에서 읽게 될 소위 '단계 이론'은 휴리스틱 장치로 공개적으로 설명되고 논의되고 있다. 즉, 이 단계들은 저자가 이러한 각 경험에 대해 더 명확하고 간단하게 논의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분리되고 개별적으로 설명된 일련의 범주일 뿐이다."라고 답했다.[49]
1980년대부터 많은 기업들이 변화와 상실에 대한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5단계 모델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현재 "퀴블러-로스 변화 곡선"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국 및 국제적으로 다양한 ''포춘'' 500대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50][51]
3. 1. 부정 (Denial)
퀴블러 로스는 저서 《죽음과 죽어감》에서 죽음을 앞둔 환자들이 겪는 심리적 변화를 5단계로 제시했는데, 그 중 첫 번째 단계가 부정이다.[40] 부정 단계에서 환자들은 자신이 곧 죽는다는 사실을 믿지 않으려 하고, 현실을 거짓으로 여기거나 의심한다. 퀴블러 로스는 모든 환자가 이 단계를 순서대로 겪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3. 2. 분노 (Anger)
자신이 왜 죽어야 하는지에 대한 분노를 주변에 쏟아내는 단계이다.[44]3. 3. 타협 (Bargaining)
퀴블러-로스는 말기 환자들과의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1969년 『죽음과 임종에 관하여』를 출판했는데, 이 책에서 그녀는 현재 유명한 "5단계 모델" 중 하나로 타협 단계를 제시했다. 타협은 어떻게든 죽음을 피하기 위해 타협하려는 단계이다. 무언가에 의지하려는 심리 상태이다.[47]5단계 모델은 모든 유족 집단에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접근 방식에 반대하거나 슬픔이 정해진 수의 엄격한 선형적 단계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로부터 일부 비판을 받았다. 퀴블러-로스는 동료 데이비드 케슬러와 함께 『슬픔과 애도에 관하여』에서 이 단계들이 "슬픔의 선형적 시간선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다. 모든 사람이 그 단계를 모두 거치거나 정해진 순서대로 거치는 것은 아니다."라고 경고했다.[48]
3. 4. 우울 (Depression)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되는 단계이다.[10][12][54]3. 5. 수용 (Acceptance)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가 저서 《죽음과 죽어감》에서 발표한 5단계 중 마지막 단계이다. 퀴블러 로스는 모든 환자가 이 단계를 따르는 것은 아니라고 언급했다.- '''수용''' : 최종적으로 자신이 죽어가는 것을 받아들이는 단계이다.
4. 임사 체험 연구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는 임사 체험 현상을 연구하고 영적 인도자와 사후 세계를 옹호했다.[14] 국제 임사 체험 연구 협회(IANDS)의 자문 위원으로도 활동했다.[27]
1981년, 오스트레일리아 방송 공사(ABC)에서 방송된 죽음과 임사 체험에 관한 오스트레일리아 라디오 다큐멘터리 『그리고 내가 죽으면, 나는 죽어 있을까?』에 출연했다.[30] 이 다큐멘터리는 1987년에 책으로도 나왔다.[31]
퀴블러로스는 임사 체험(NDEs)에 관한 여러 권의 책을 썼는데, 『사후의 삶에 대하여』(1991)는 그녀의 강연 세 편을 엮은 것이다.
- "Leben und Sterben"(삶과 죽음): 1982년 12월 스위스에서 독일어로 한 강연.
- "죽음은 없다": 1977년 샌디에이고에서 한 강연.
- "삶, 죽음, 그리고 사후의 삶": 1980년에 한 녹음 강연.
영어판은 20만 부 이상, 독일어판도 수십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 『터널과 빛』(1999)은 원래 제목이 『죽음은 매우 중요하다』였으며, 이 역시 그녀의 강연들을 모은 것이다.
그녀는 죽음에 이르는 과정뿐만 아니라, 사후 세계에도 관심을 가졌다. 유체이탈을 체험하고, 영적인 존재와의 교류 등을 저서나 강연에서 이야기했다. 담당 환자가 죽음에 직면했을 때 유체이탈을 경험했고, 그 묘사가 너무나 정확했기 때문에 영혼의 존재를 인정하게 되었다는 것이다.[99]
5.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는 한국 사회에 죽음과 임종에 대한 담론을 불러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의 저서와 연구는 죽음을 터부시하던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6. 저서
제목 | 출판 연도 | 출판사 | 비고 |
---|---|---|---|
죽음과 죽어감에 대하여 (On Death & Dying) | 1969년 | Simon & Schuster/Touchstone | On Death & Dying|죽음과 죽어감에 대하여영어[72], 가와구치 쇼키치 역, 요미우리 신문사, 1971년. 스즈키 아키라 역, 요미우리 신문사, 1998년, 주오코론 신사, 2001년, 개정판 2020년. |
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질문과 답변 (Questions & Answers on Death & Dying) | 1972년 | Simon & Schuster/Touchstone | Questions & Answers on Death & Dying|죽음과 죽어감에 대한 질문과 답변영어[73], 가와구치 쇼키치 역, 요미우리 신문사, 1975년. 스즈키 아키라 역, 주오코론 신사, 2005년. |
죽음: 성장의 마지막 단계 (Death: The Final Stage of Growth) | 1974년 | Simon & Schuster/Touchstone | Death: The Final Stage of Growth|죽음: 성장의 마지막 단계영어[74], 가와구치 쇼키치 역, 요미우리 신문사, 1977년. 스즈키 아키라 역, 요미우리 신문사, 1999년, 주오코론 신사 2001년. |
작별을 말할 때까지 살아가기 (To Live Until We Say Goodbye) | 1978년 | Simon & Schuster/Touchstone | To Live Until We Say Goodbye|작별을 말할 때까지 살아가기영어[75], 시모야마 도쿠지, 누마노 모토요시 역, 산교도서, 1982년, 신장판 1997년. |
더기 레터 - 죽어가는 아이에게 보내는 편지 (The Dougy Letter -A Letter to a Dying Child) | 1979년 | Celestial Arts/Ten Speed Press | The Dougy Letter -A Letter to a Dying Child|더기 레터 - 죽어가는 아이에게 보내는 편지영어, 아그네스 창 역, 고세이 출판사, 1998년. |
퀘스트, EKR 전기 (Quest, Biography of EKR) | 1980년 | Harper & Row | Quest, Biography of EKR|퀘스트, EKR 전기영어[76], 데릭 길과 공동 집필 |
극복하기 (Working It Through) | 1981년 | Simon & Schuster/Touchstone | Working It Through|극복하기영어[77], 시모야마 도쿠지, 누마노 모토요시 역, 산교도서, 1984년. |
죽음과 죽어감과 함께 살아가기 (Living with Death & Dying) | 1981년 | Simon & Schuster/Touchstone | Living with Death & Dying|죽음과 죽어감과 함께 살아가기영어[78], 가와구치 쇼키치 역, 요미우리 신문사, 1982년. |
비밀을 기억하라 (Remember The Secret) | 1981년 | Celestial Arts/Ten Speed Press | Remember The Secret|비밀을 기억하라영어[79], 이토 치구사 역, 일본 교문사, 1995년. |
아이들과 죽음 (On Children and Death) | 1983년 | Simon & Schuster | On Children and Death|아이들과 죽음영어[80], 아키야마 고, 하야카와 도사쿠 역, 요미우리 신문사, 1985년. 스즈키 아키라 역, 주오코론 신사, 2007년. |
AIDS: 궁극적인 도전 (AIDS: The Ultimate Challenge) | 1988년 | Simon & Schuster | AIDS: The Ultimate Challenge|AIDS: 궁극적인 도전영어[81], 요미우리 신문사 과학부 역, 요미우리 신문사, 1991년. |
사후 세계에 대하여 (On Life After Death) | 1991년 | Celestial Arts | On Life After Death|사후 세계에 대하여영어[82], 이토 치구사 역, 일본 교문사, 1995년. |
Jedes Ende ist ein strahlender Beginn (모든 끝은 빛나는 시작) | 1992년 | Jedes Ende ist ein strahlender Beginn|모든 끝은 빛나는 시작de[83] | |
죽음은 매우 중요하다 (Death Is of Vital Importance) | 1995년 | Death Is of Vital Importance|죽음은 매우 중요하다영어[84], (절판 - 현재 "터널과 빛"으로 출판됨), 스즈키 아키라 역, 요미우리 신문사, 1997년, 「죽음의 순간」과 사후의 삶일본어 주오코론 신사, 2001년, 개정판 2020년. | |
사랑의 날개를 펼치다 (Unfolding the Wings of Love) | 1996년 | Silberschnur | Unfolding the Wings of Love|사랑의 날개를 펼치다영어 (독일에서만 출판) |
중간의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Making the Most of the Inbetween) | 1996년 | Making the Most of the Inbetween|중간의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기영어 (다양한 외국 서적) | |
AIDS & 사랑 (AIDS & Love) | 1996년 | AIDS & Love|AIDS & 사랑영어, 바르셀로나(스페인) 컨퍼런스 | |
생명의 수레바퀴: 삶과 죽음에 대한 회고록 (The Wheel of Life: A Memoir of Living and Dying) | 1997년 | Simon & Schuster/Scribner | The Wheel of Life: A Memoir of Living and Dying|생명의 수레바퀴: 삶과 죽음에 대한 회고록영어[85], 우에노 케이이치 역, 가도카와 서점, 1998년, 가도카와 문고, 2003년. |
Sehnsucht nach Hause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갈망) | 1998년 | Sehnsucht nach Hause|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갈망de[86] (독일어만 해당) | |
Warum wir hier sind (우리가 여기 있는 이유) | 1999년 | Silberschnur | Warum wir hier sind|우리가 여기 있는 이유de[87] (독일어만 해당) |
터널과 빛 (The Tunnel and the Light) | 1999년 | Avalon | The Tunnel and the Light|터널과 빛영어[88] |
삶의 교훈 (Life Lessons) | 2001년 | Scribner | Life Lessons|삶의 교훈영어[89], 데이비드 케슬러와 공저, 우에노 케이이치 역, 가도카와 서점, 2001년, 가도카와 문고, 2005년. |
슬픔과 슬퍼하기에 대하여: 상실의 5단계를 통해 슬픔의 의미 찾기 (On Grief and Grieving) | 2005년 | Scribner | On Grief and Grieving: Finding the Meaning of Grief Through the Five Stages of Loss|슬픔과 슬퍼하기에 대하여: 상실의 5단계를 통해 슬픔의 의미 찾기영어, 데이비드 케슬러와 공저. 우에노 케이이치 역, 일본 교문사, 2007년. |
삶의 진짜 맛: 사진 저널 (Real Taste of Life: A photographic Journal) | 2003년 | Real Taste of Life|삶의 진짜 맛영어: 사진 저널[90] | |
Is There Life After Death | 2005년 | Sounds True | 오디오/CD, ISBN 9781591793786 |
The American Journal of Bioethics - 특별 호: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의 "죽음과 죽어감에 대하여" 50주년 | 2019년 | [91] |
7. 대중문화 속의 퀴블러 로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영향력은 대중문화, 특히 음악 산업에서 두드러졌다. 그녀의 이름을 딴 "Kübler-Ross"와 같은 노래들이 척 윌슨(2010), 엘리펀트 라이플(2010), 해리 산토스(2011), 휴고 데나(2013), 믹 래니 & 제임스 록(2014),[105] 도미닉 무어(2015), 알프 아이베르스(2020),[106] 오디오 메딕(2021), 오 사이즈(2022), 밴드 퀴블러 로스(2020), 소파(2024), 노로(2024) 등의 아티스트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2008년 맷 엘리엇은 자신의 앨범 "Howling Songs"에서 "The Kübler-Ross Model"을 발표했고, 2006년 The Gnomes는 "Elisabeth Kübler-Ross has Died"라는 노래를 발표했다.
노래 외에도 Chine Drive의 "Kübler-Ross"(2023), Deadbeat의 "Kübler-Ross Soliloquies" 앨범(2023), Coachello의 "Kübler-Ross" 앨범(2024), Saint Juvi의 "Kübler-Ross (Five Stages of Grief)" 앨범(2024) 등 EP 앨범도 그녀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옥스퍼드 기반의 밴드 Spring Offensive는 2010년 노래인 'The First of Many Dreams About Monsters'에 퀴블러 로스의 목소리 일부를 세 번 포함했다.[107]
Shores of Null(2020)의 Beyond the Shores(On Death & Dying), 일본 색소폰 연주자 와타나베 사다오의 Wheel of Life 등 여러 음악 아티스트들도 퀴블러 로스의 책을 기반으로 앨범 제목을 지정했다. Marina의 2019년 앨범 Love & Fear는 퀴블러 로스의 철학에서 영감을 받았다.[108]
퀴블러 로스의 영향력은 밴드 이름까지 확장되어, 스웨덴 펑크 밴드 KÜBLER ROSS와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출신의 신디사이저/웨이브/인더스트리얼 밴드 Kübler-Ross가 있다. 2014년에는 슬픔의 다섯 단계를 대표하는 약자인 Dabda라는 한국의 수학 록 밴드가 결성되었다.[109]
2024년 4월 테일러 스위프트는 슬픔의 5단계를 기반으로 Apple 재생 목록을 만들었다.[110]
참조
[1]
간행물
Milestones
https://web.archive.[...]
2004-08-30
[2]
웹사이트
Ingersoll Immortality Lectures: 1963–1971, Harvard University Library
https://www.harvards[...]
2024
[3]
뉴스
"Turn on, tune in, drop dead"
Harper's
1982-07
[4]
웹사이트
The New York Public Library's Books of the Century
https://www.nypl.org[...]
1996-07-13
[5]
웹사이트
"The New York Public Library's Books of the Century"
https://www.nypl.org[...]
2024
[6]
웹사이트
Elisabeth Kübler-Ross
https://web.archive.[...]
National Women's Hall of Fame
[7]
뉴스
"What the Elisabeth Kübler-Ross archive means for the Department of Medicine", Department of Medicine News, Stanford Medicine
https://medicine.sta[...]
2019
[8]
서적
Quest: The Life of Elisabeth Kubler-Ross
Harper & Row
1980
[9]
뉴스
Elisabeth Kübler-Ross
http://www.bmj.com/c[...]
2004
[10]
웹사이트
Dr. Elisabeth Kübler-Ross
https://cfmedicine.n[...]
2003-10-14
[11]
웹사이트
Elisabeth Kubler-Ross
https://www.biograph[...]
2020-12-13
[12]
서적
The Wheel of Life: A Memoir of the Living and Dying
Simon & Schuster
[13]
웹사이트
Elisabeth Kubler-Ross {{!}} Biography, Grief Model, Book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1-24
[14]
학술지
In Memoriam: Elisabeth Kubler-Ross, 1926–2004
2005
[15]
웹사이트
Kübler-Ross, Elisabeth
https://www.womenoft[...]
2020-12-12
[16]
웹사이트
St. Christopher's Hospice – Our history
https://www.stchrist[...]
2024-05-23
[17]
뉴스
The Miami News, Saturday, December 13, 1976, Page 13
1976-12-13
[18]
웹사이트
Ingersoll Immortality Lectures: 1963–1971 {{!}} Harvard Square Library
https://www.harvards[...]
2024-05-24
[19]
학술지
Elisabeth Kübler-Ross: A Pioneer Thinker, Influential Teacher and Contributor to Clinical Ethics
https://www.tandfonl[...]
2019-12-02
[20]
뉴스
"A Visit to Shanti NiIaya", The San Francisco Sunday Examiner and Chronicle
1979-09-16
[21]
뉴스
Sex, Visitors from the Grave, Psychic Healing: Kubler-Ross Is a Public Storm Center Again
http://www.people.co[...]
People
1979-10-29
[22]
간행물
"Elisabeth Kubler-Ross"
https://archive.org/[...]
Playboy
1981-05
[23]
간행물
Behavior: The Conversion of K
http://www.time.com/[...]
1979-11-12
[24]
간행물
Behavior: The Conversion of K
http://www.time.com/[...]
1979-11-12
[25]
뉴스
Elisabeth Kubler-Ross in the Afterworld of Entities
New West
1979-07-30
[26]
기타
The Queen of Dying
https://www.wnycstud[...]
WNYC Studios
2021-07-28
[27]
학술지
Obituaries: Elisabeth Kubler-Ross
https://digital.libr[...]
2004
[28]
Youtube
Elisabeth Kübler-Ross über Nahtoderfahrungen (1981)
https://www.youtube.[...]
[29]
웹사이트
Bild der Wissenschaft: Sind Nahtod-Erfahrungen Bilder aus dem Jenseits?
http://www.wissensch[...]
[30]
뉴스
Breathing new life into death
https://www.newspape[...]
1982-04-08
[31]
서적
And when I die, will I be dead?
ABC Books
1987
[32]
서적
Working it through : an Elizabeth Kübler-Ross Workshop on Life, Death and Transition
https://archive.org/[...]
New York, NY : Simon & Schuster
1997
[33]
서적
Recalling Banished Voices: Stories on the Road to Compassion
Balboa
2017
[34]
웹사이트
Working It Through
https://www.overdriv[...]
2024-08-17
[35]
웹사이트
Elisabeth Kubler-Ross Discusses The Four Quadrants {{!}} Awaken
https://awaken.com/2[...]
2022-01-18
[36]
서적
Reclaiming Banished Voices: Stories on the Road to Compassion
Balboa
2017
[37]
서적
Living with Death and Dying
Macmillan
[38]
웹사이트
The Secret World of Drawings: Healing Through Art
https://www.goodread[...]
2024-08-17
[39]
웹사이트
Dr. Elisabeth Kubler-Ross – Verbal & Non-Verbal Language of the Dying & Fear of Death, 1974
https://www.youtube.[...]
1974
[40]
서적
AIDS- The Ultimate Challenge
Macmillan
[41]
간행물
Open History of Psychology: The Lives and contributions of Marginalized Psychology Pioneers: 21. Kübler-Ross
https://pressbooks.p[...]
2023
[42]
간행물
Prison hospice and pastoral care services in California
https://pubmed.ncbi.[...]
2002-12
[43]
서적
Just Enough: Collected Writings of an Old Gangster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0-12-21
[44]
웹사이트
Elisabeth Kübler-Ross – dem Tod ins Gesicht sehen – kinofenster.de
http://www.kinofenst[...]
[45]
간행물
"The Under-appreciated Influence of Elisabeth Kübler-Ross on the Development of Palliative Care for Children"
2019-12-19
[46]
웹사이트
Stanford University – Department of Medicine News
https://medicine.sta[...]
2019
[47]
서적
On Death & Dying
Simon & Schuster
1969
[48]
간행물
Stages of Grief Portrayed on the Internet: A Systematic Analysis and Critical Appraisal
2021
[49]
서적
On Death & Dying: What the Dying Have to Teach Doctors, Nurses, Clergy, and their own Families
Routledge Publishing
2010
[50]
웹사이트
THE KUBLER-ROSS CHANGE CURVE Trademark of Elisabeth Kubler-Ross Limited Family Partnership. Serial Number: 87664751:: Trademark Elite Trademarks
https://www.trademar[...]
2024-05-23
[51]
웹사이트
The Kubler Ross Change Curve: Understanding The 5 Stages Of Change
https://themindsjour[...]
2024-05-23
[52]
웹사이트
Awards and honors
https://www.ekrfound[...]
2024-04-19
[53]
간행물
Everything I Really Needed to Know to Be a Clinical Ethicist, I Learned From Elisabeth Kübler-Ross
https://doi.org/10.1[...]
2024-04-19
[54]
뉴스
Elisabeth Kübler-Ross, 78, Dies; Psychiatrist Revolutionized Care of the Terminally Ill
https://www.nytimes.[...]
2022-08-01
[55]
뉴스
The Roanoke Times
https://scholar.lib.[...]
1995-04-10
[56]
서적
On Life After Death
Celestial Arts
[57]
웹사이트
Let's Talk Death with Ken Ross by Heal Grief
https://healgrief.or[...]
2018
[58]
웹사이트
Trademark Registration of Elisabeth Kubler-Ross
https://furm.com/tra[...]
2002-07-31
[59]
Youtube
Spotify
https://open.spotify[...]
2010
[60]
Youtube
Spotify.com
https://open.spotify[...]
2021
[61]
Youtube
YouTube.com
https://www.youtube.[...]
2024-04
[62]
뉴스
"The Kübler-Ross Model" on Genius.com
https://genius.com/M[...]
2008-11-03
[63]
웹사이트
SONICHITS.com
https://sonichits.co[...]
2006
[64]
뉴스
The First of Many Dreams About Monsters
https://dreamsaboutm[...]
2010-08-01
[65]
뉴스
Band Camp
https://chinedriveuk[...]
2021-03-21
[66]
뉴스
Dubiks.com
https://dubiks.com/2[...]
2023-08-17
[67]
뉴스
Angry Metal Guy
https://www.angrymet[...]
2020-11-20
[68]
웹사이트
Sadao.com
https://www.sadao.co[...]
2003-06-06
[69]
뉴스
Marina on Her New Album Love + Fear, Her Existential Crisis, and the Paradox of Human Nature, ELLE Magazine
https://www.elle.com[...]
2019-04-26
[70]
뉴스
The Scotsman
https://www.scotsman[...]
2021-09-16
[71]
뉴스
Platform Magazine - Math rock band Dabda on making bright music to tackle darker days
https://www.platform[...]
2024
[72]
서적
On Death And Dying – What The Dying Have To Teach Doctors, Nursess, Clergy And Their Own Families
Charles Scribner's Sons
2002-12-31
[73]
서적
Questions and Answers on Death and Dying
Scribner
[74]
서적
Death: The Final Stage of Growth
Charles Scribner's Sons
1997-06-08
[75]
서적
To Live Until We Say Goodbye (Paperback)
Fireside
1980-06-12
[76]
서적
Quest
Harper Row
1980-05-31
[77]
서적
Working It Through
Charles Scribner's Sons
1997-06-08
[78]
서적
Living With Death & Dying
Charles Scribner's Sons
2008-06-25
[79]
서적
Remember The Secret
Ten Speed Press
1981-12-31
[80]
서적
On Children and Death: How Children and Their Parents Can and Do Cope With Death
Charles Scribner's Sons
1997-06-08
[81]
서적
AIDS: The Ultimate Challenge
Charles Scribner's Sons
1997-06-08
[82]
서적
On Life after Death, revised
Celestial Arts
2008-02-29
[83]
서적
Jedes Ende ist ein strahlender Beginn
Die Silberschnur Verlag
1992-05-31
[84]
서적
Death Is of Vital Importance: On Life, Death, and Life After Death
Station Hill Press
1994-12-31
[85]
서적
The Wheel of Life: A Memoir of Living and Dying
Bantam
1997-12-31
[86]
서적
Sehnsucht nach Hause
Die Silberschnur Verlag
1998
[87]
서적
Warum wir hier sind
Silberschnur Verlag
1999-08-31
[88]
서적
The Tunnel and the Light: Essential Insights on Living and Dying
Da Capo Press
1999-02-25
[89]
서적
Life Lessons: Two Experts on Death and Dying Teach Us About the Mysteries of Life and Living (An Inspiring Guide to Life)
Charles Scribner's Sons
2014-08-11
[90]
서적
Real Taste of Life: A Journal
Ken Ross
2002-07-29
[91]
간행물
Special Issue: 50th Anniversary of "On Death & Dying" by Elisabeth Kubler-Ross
2019-12-01
[92]
간행물
Recollections of Dr. Elisabeth Kübler-Ross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1965–70)
https://www.tandfonl[...]
2019-11-20
[93]
간행물
Appreciating the Legacy of Kübler-Ross: One Clinical Ethicist's Perspective
https://www.tandfonl[...]
2019-11-20
[94]
간행물
Elisabeth Kübler-Ross as Astrophysicist: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Unlock the Black Hole of Physician Burnout, Moral Distress, and Compassion Fatigue
https://www.tandfonl[...]
2019
[95]
서적
Angels in Alaska: My Adventure with Elisabeth Kübler-Ross
Self Published
2020-05-06
[96]
웹사이트
Tea with Elisabeth
https://centering.or[...]
[97]
웹사이트
Home
https://www.ekrfound[...]
2024-07-25
[98]
웹사이트
ELISABETH KUBLER-ROSS Trademark of Elisabeth Kubler-Ross Limited Family Partnership - Serial Number 78149397 - Furm
https://furm.com/tra[...]
2024-07-25
[99]
방송
NHKスペシャル 立花隆リポート 臨死体験~人は死ぬ時 何を見るのか~
NHK
1991-03-17
[100]
뉴스
Milestones
http://www.time.com/[...]
TIME
2004-08-30
[101]
웹사이트
Elisabeth Kübler-Ross
http://www.greatwome[...]
National Women's Hall of Fame
[102]
기사
Turn on, tune in, drop dead
HARPER'S
1982-07
[103]
웹인용
What is Kubler Ross Change Curve? {{!}} Stages & Advantages
https://changemanage[...]
2024-07-28
[104]
웹인용
What the Elisabeth Kübler-Ross Archive Means to the Department of Medicine
https://medicine.sta[...]
2024-07-28
[105]
웹인용
Good Grief (Digital Edition), by Mic Lanny and James Rock
https://goodgrief518[...]
2024-07-28
[106]
웹인용
Kübler Ross - Alp Aybars: Song Lyrics, Music Videos & Concerts
https://www.shazam.c[...]
2024-07-28
[107]
웹인용
The First of Many Dreams About Monsters, by Spring Offensive
https://dreamsaboutm[...]
2024-07-28
[108]
웹인용
Marina Just Wants to Be Herself
https://www.elle.com[...]
2019-04-26
[109]
웹인용
Math rock band Dabda on making bright music to tackle darker days
https://www.platform[...]
2024-03-10
[110]
웹인용
Taylor Swift Soundtracks the Five Stages of Grief With New Apple Music Playlists
https://www.rollings[...]
2024-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