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상병리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상병리사는 의사의 진단 및 치료를 돕기 위해 임상 검사를 수행하는 의료기사이다. 1963년 의료보조원법 제정으로 법제화되었고, 1973년 의료기사법으로 명칭과 업무 범위가 규정되었다. 주요 업무는 검체 검사, 생리학적 검사, 채혈 및 검체 채취이며, 최근에는 검사 결과 설명 업무도 수행한다. 임상병리사가 되려면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취득해야 한다. 미국, 영국 등 해외에서도 임상병리사 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각 나라별로 자격 요건과 업무 범위에 차이가 있다. 한국에서는 의료기관 종사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의 비율이 높은 직종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료 관련 직업 - 응급구조사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 현장에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이며, 1급과 2급으로 나뉘어 의료법에 따라 응급처치 업무를 수행한다.
  • 의료 관련 직업 - 치과의사
    치과의사는 구강 건강을 책임지는 의료 전문가로서, 충치 치료, 치열 교정, 구강외과 수술 등 다양한 치료를 제공하며, 첨단 기술 발전과 함께 직무 스트레스 문제에도 직면하고 있다.
  • 대한민국에 관한 - 간호사
    의학적, 간호 지침을 포함한 간호사의 활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 대한민국에 관한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임상병리사

2. 역사

임상 검사는 원래 의사가 수행했지만, 의학의 발전과 분업화, 전문화 추세에 따라 별도의 전문 인력인 임상병리사가 필요하게 되었다.[48]

임상병리사는 통칭 "검사기사"라고 불리지만, 일반인에게는 '병원의 검사기사'라고 하면 엑스레이를 다루는 방사선사와 자주 혼동된다. 그러나 의료 시설 내에서는 '검사기사'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임상병리사를 가리킨다.

임상병리사는 의료기관 외에도 위생 검사소(검사 센터), 연구소, 보건소, 검역소, 감찰의무원 등에서 근무하며, 체외 수정 관련 배양 업무와 임상 개발·의료 기기 제조업체·제약 회사 등 일반 기업에도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다.[58]

국경없는 의사회의 참가 자격으로도 인정받고 있으며,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을 계기로 검체 채취나 PCR 검사에서 임상병리사의 중요성이 재인식되었다.

임상 검사 기사 의료기관 종사자 수(상근 환산)[59]
연도2002년2005년2008년2011년2014년2017년
병원44,94645,67747,37249,77252,96254,960
진료소9,53011,33012,38812,68611,11911,906
합계54,47657,00759,76062,45864,08166,866



임상 검사 기사 면허 취득자 수[60]
연도1971년
~2015년
(합계)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누계
응시자306,4294,4004,7394,8294,8174,854330,068
합격자189,6563,3633,7293,8283,6203,472207,668


2. 1. 한국

대한민국에서 "임상병리사"란, 보건복지부장관의 면허를 받아 임상병리사 명칭을 사용하여,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시에 따라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검체 검사 및 생리학적 검사를 업으로 하는 사람을 말한다. (법 제2조)[48]

임상병리사는 통칭 "검사기사"라고 불리지만, 일반인에게 '병원의 검사기사'라고 하면 엑스레이를 다루는 방사선사와 자주 혼동된다. 그러나 의료 시설 내에서는 '검사기사'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임상병리사를 가리킨다.

원래 임상 검사는 의사가 수행했지만, 의학의 발전으로 의사의 업무가 늘어나면서 의사 외 검사 기술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검사 자격 제도가 없었던 전쟁 전부터 검사 업무 종사자가 있었지만, 전시 중에는 검사 기술이 군의관으로부터 위생병에게 전수되었다.[49] 전후에는 육해군 병원에서 후생성으로 이관된 국립병원에서도 군의 위생병 경험자가 병리 시험실(당시)을 담당했지만, 신분 보장 제도가 없었다. 이 때문에 국립병원 등의 기술자를 중심으로 자격화 운동을 전개했지만, 약사 등과 업무 범위가 중복되는 등 반대론이 있어서 자격화가 실현된 것은 쇼와 33년(1958년) 4월 공포된 "위생 검사 기술사법" 성립에 의해서였다.

위생 검사 기사는 검체 검사만을 다루며 업무 독점이 없었고, 처음에는 도도부현 지사 면허였다. 그 후 의료 분업화와 검사 고도화가 진행되었고, 쇼와 40년대(1965년~1974년)에는 의료 현장에서 간호사 부담 증가로 심전도 등 생리학적 검사를 기술사에게 의뢰하는 경우가 늘어났기 때문에, 쇼와 45년(1970년)에 해당 업무를 더한 '임상 검사 기사'가 탄생했다. 임상 검사 기사는 후생대신 면허가 되었고, 기존 검체 검사에 더해 인체를 직접 다루는 생리학적 검사와 채혈 행위가 새롭게 업무에 추가되었다.

헤이세이 17년(2005년) 법 개정으로 임상 검사 기사 정의 재검토 및 위생 검사 기사 신규 면허 폐지가 결정되어 일원화되었다. 헤이세이 26년(2014년) 법 개정으로 진료 보조 행위로서 새롭게 검체 채취 업무가 추가되었으며, 헤이세이 29년(2017년) 법 개정으로 임상 검사 기사 정의가 재검토되었다.

2. 2. 해외 (일본 등)

일본의 경우, 초기에는 의사가 직접 검사를 수행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군정의 영향으로 검사 기술자 양성이 시작되었다.[48] 1958년 위생검사기사법 제정으로 검사 기술자 제도가 법제화되었다.[49] 위생 검사 기사는 검체 검사만을 다루었으며, 업무 독점이 없었고, 처음에는 도도부현 지사 면허였다.

1970년 임상검사기사법 제정으로 생리학적 검사 업무가 추가되고, 임상검사기사 제도가 도입되었다. 임상 검사 기사는 후생대신 면허를 받았으며, 검체 검사 외에 인체를 직접 다루는 생리학적 검사와 채혈 행위를 새롭게 업무에 추가하였다. 이후 일본에서도 임상검사기사의 업무 범위 확대, 전문성 강화 등의 변화가 있었다.

3. 업무

임상병리사의 업무는 크게 검체 검사생리학적 검사로 나뉜다. 원래 의사가 수행하던 임상 검사는 의학의 발전과 분업화로 인해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임상병리사가 전담하게 되었다.[48]

위생 검사 기사는 검체 검사만을 다루며 업무 독점이 없었고, 처음에는 도도부현 지사 면허였다. 이후 의료 분업화와 검사 고도화, 간호사의 부담 증가로 심전도 등의 생리학적 검사를 기술사에게 의뢰하는 경우가 늘면서, 1970년에 '''임상 검사 기사'''가 탄생했다. 임상 검사 기사는 후생대신 면허로, 검체 검사 외에 인체를 직접 다루는 생리학적 검사와 채혈 행위가 업무에 추가되었다.

1970년 이후, 헤이세이 17년(2005년) 법 개정으로 임상 검사 기사의 정의가 재검토되고 위생 검사 기사의 신규 면허가 폐지되어 일원화되었다. 2014년 법 개정으로 진료 보조 행위로서 검체 채취 업무가 추가되었고, 2017년 법 개정으로 임상 검사 기사의 정의가 다시 한번 재검토되었다.

임상병리사는 의료기관 내에서 법 제2조의 검체 검사를 실시할 때, 관리 조직 및 검체 검사 정밀도 확보에 필요한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의료법 제15조의 2).


  • 의료법 제15조의 2에 따라 정밀도 확보 책임자(정밀 관리 책임자)는 의료업에서는 의사 또는 임상병리사, 치과의료업에서는 치과의사 또는 임상병리사를 두어야 한다(의료법 시행 규칙 제9조의 7 제1호).
  • "유전자 관련·염색체 검사"를 의료기관 내에서 실시하는 경우, 정밀 관리 책임자는 의료업에서는 유전자 관련 경험이 있는 의사, 임상병리사 또는 지식 경험을 가진 자, 치과의료업에서는 유전자 관련 경험이 있는 치과의사, 임상병리사 또는 지식 경험을 가진 자를 두어야 한다(의료법 시행 규칙 제9조의 7 제2호).


임상병리사는 병원 외에도 위생 검사소(검사 센터), 연구소, 보건소, 검역소, 감찰의무원 등에서 근무하며, 체외 수정 관련 배양 업무에도 참여한다. 또한, 임상 개발·의료 기기 제조업체·제약 회사 등 일반 기업에서도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다.[58]

임상 검사 기사는 국가 시험 합격 후에도 실제 현장에서 능숙해지기까지 수년이 걸린다고 한다.

임상 검사 기사 의료기관 종사자 수(상근 환산)[59]
연도2002년2005년2008년2011년2014년2017년
병원44,94645,67747,37249,77252,96254,960
진료소9,53011,33012,38812,68611,11911,906
합계54,47657,00759,76062,45864,08166,866



임상 검사 기사 면허 취득자 수[60]
연도1971년~2015년
(합계)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누계
응시자306,4294,4004,7394,8294,8174,854330,068
합격자189,6563,3633,7293,8283,6203,472207,668


3. 1. 검체 검사

검체 검사는 인체에서 유래하는 혈액, 소변, 대변, 체액, 조직 등 다양한 검체를 이용하여 질병의 진단, 치료 경과 관찰, 예후 판정 등에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검사이다. 임상병리사가 수행하는 검체 검사는 임상검사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1조에 따라 다음과 같다.[50]

검체 검사[50]
1차 분류2차 분류
미생물학적 검사세균 배양 동정 검사
약제 감수성 검사
면역학적 검사면역 혈청학 검사
면역 혈액 검사
혈액학적 검사혈구 산정·혈액 세포 형태 검사
혈전·지혈 관련 검사
세포성 면역 검사
병리학적 검사병리 조직 검사
면역 조직 화학 검사
세포 검사
분자 병리학적 검사
생화학적 검사생화학 검사
면역 화학 검사
혈중 약물 농도 검사
요·분변 등 일반 검사요·분변 등 검사
기생충 검사
유전자 관련·염색체 검사병원체 핵산 검사
체세포 유전자 검사
생식 세포 계열 유전자 검사
염색체 검사



검체 검사는 현재 명칭전용만 적용되며, 법적으로 무자격자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병원·위생 검사소에서는 임상병리사 면허 취득자 또는 취득 예정자를 채용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무자격자는 지식과 기술이 보장되지 않으므로 직업을 얻는 것은 어렵다.

의료기관 내에서 검체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관리 조직, 검체 검사의 정밀도 확보에 필요한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3. 1. 1. 정도 관리 책임자

의료기관에서 검체 검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도 관리 책임자를 두어야 한다. 정도 관리 책임자는 의사, 치과의사 또는 임상병리사 중에서 해당 분야에 대한 충분한 경험과 지식을 가진 사람이 담당한다.[50]

3. 2. 생리학적 검사

인체의 생리적 기능을 측정하여 질병의 유무 및 정도를 평가하는 검사이다.

3. 3. 채혈 및 검체 채취

임상병리사는 검사를 위해 필요한 혈액을 채취하거나, 검체 채취를 할 수 있다.[53][54]

  • 귓불, 손가락 끝, 발뒤꿈치 등 모세혈관이나 팔꿈치 정맥 등 표재 정맥에서 검사 목적의 혈액을 채취한다.
  • 비강 도말액, 비강 흡인액, 인두 도말액 및 기타 이에 준하는 것을 채취한다.
  • 표피 및 체표와 구강 점막을 채취한다. (생검을 위한 채취는 제외)
  • 피부 및 체표와 구강 점막의 병변 부위 고름을 채취한다.
  • 인설, 가피 기타 체표 부착물을 채취한다.
  • 면봉을 사용하여 항문으로부터 분변을 채취한다.


2014년 법 개정으로, 2015년 4월 이전에 면허를 취득했거나 2016년 4월 이전에 임상병리사 양성소 등에 입학한 사람은 후생노동성 지정 연수를 수료해야 (혈액 이외의) 검체 채취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53][54]

2020년 4월, 일본 정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검사 강화를 위해 일본임상위생검사기사회에 검체 채취 인력 확보를 요청했다. 일본의사회도 각 도도부현 의사회에 임상병리사회와 협력하여 검체 채취를 실시하도록 통지했다.

3. 4. 기타 업무

임상병리사는 검사 측정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검사 결과를 설명하기도 한다.[55] 이는 오랫동안 의사나 간호사의 업무로 여겨졌지만, 2007년 후생노동성 통지에 의해 임상병리사의 업무로 명확히 지정되었다.[55]

임상 검사는 원래 의사가 수행하던 업무였다. 법적으로 의사는 모든 의료 행위를 할 수 있고, 간호사도 진료 보조 범위 내에서 검사를 할 수 있다. 그래서 소규모 시설이나 병상 옆, 진찰실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검사는 의사나 간호사가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필요한 대부분의 임상 검사는 임상병리사가 담당하고 있다. 의료 분업화와 임상 검사의 고도화로 인해 임상병리사는 현대 의료에서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

임상병리사는 병원 외에도 위생 검사소(검사 센터), 연구소, 보건소, 검역소, 감찰의무원 등 다양한 곳에서 근무한다. 체외 수정 관련 배양 업무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임상 개발·의료 기기 제조업체·제약 회사 등 일반 기업에서도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58]

임상병리사는 여성 비율이 높은 직종이다(남녀 비율 3:7).[58] 이는 생리 검사, 특히 심전도나 초음파 검사처럼 환자의 탈의가 필요한 검사에서 여성 임상병리사의 부드러운 대응이 적합하기 때문이다. 또한, 간호사에 비해 야근이 적고 근무가 규칙적인 편이며, 결혼이나 출산, 육아로 인한 이직률도 다른 의료 직종에 비해 낮다.

과거에는 자동화로 인해 임상병리사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검사료 진료 보수는 바닥을 쳤고, 오히려 미생물 검사나 외래 신속 검사 가산·채혈료 증액, 임상병리사에 의한 검체 채취, 환자에 대한 검사 설명, 당뇨병 요양 지도 및 원내 감염 대책팀, 영양 지원팀 참여 등 업무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검체 채취 및 PCR 검사에서 임상병리사의 중요성이 재인식되기도 했다.

임상병리사는 국경없는 의사회 참가 자격으로도 인정받고 있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활동하는 임상병리사가 늘고 있다.

임상병리사는 국가 시험에 합격해도 실제 현장에서 능숙하게 일하기까지는 수년이 걸린다고 한다. 최근에는 즉시 전력을 요구하는 경향이 강하고, 의사와 달리 연수 제도와 같은 육성 시스템이 없어 채용 후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과정이 힘들 수 있다. 다른 의료 직종과 마찬가지로 졸업 후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단카이 세대의 대량 퇴직은 구직자에게는 기회이지만, 병원 입장에서는 우수한 인재 확보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임상 검사 기사 의료기관 종사자 수(상근 환산)[59]
연도2002년2005년2008년2011년2014년2017년
병원44,94645,67747,37249,77252,96254,960
진료소9,53011,33012,38812,68611,11911,906
합계54,47657,00759,76062,45864,08166,866



임상 검사 기사 면허 취득자 수[60]
연도1971년~2015년
(합계)
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누계
응시자306,4294,4004,7394,8294,8174,854330,068
합격자189,6563,3633,7293,8283,6203,472207,668


4. 자격 및 면허

한국에서 임상병리사가 되려면 임상병리사 국가시험에 합격하고 보건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취득해야 한다.[9]

임상병리사는 병리과 의사가 수행하는 병리 부검의 보조를 맡기도 한다.[56] 1988년 의도심의회 시체 해부 자격 심사부회가 정리한 병리 부검 지침에 따르면, 해부 보조는 임상병리사가 수행해야 하며, 시체로부터 혈액 채취, 적출 장기 표본 작성, 봉합 등의 의학적 행위는 임상병리사 등이 해야 한다.[56]

또한, 검시관이 수행하는 해부(사체 검안 업무) 보조 시 흉복강 개검을 할 때, 임상병리사가 장기 적출 외에도 절개, 봉합, 검체 채취, 약물 화학, 병리 조직학적 검사 등을 하는 경우가 있다.

4. 1. 임상병리사 국가시험

임상병리사가 되기 위해서는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응시 자격, 시험 과목, 시험 형태, 합격 기준은 다음과 같다.

구분내용
응시 자격관련 학과 졸업 등
시험 과목임상화학, 혈액학, 임상미생물학, 임상생리학, 조직병리학, 의료관계법규 등
시험 형태객관식 필기시험
합격 기준매 과목 40% 이상, 전 과목 총점의 60% 이상 득점


4. 2. 인정 자격

미국에는 임상병리사 자격을 부여하는 세 개의 주요 인증 기관이 있다. 이들은 미국 생물분석가 협회(AAB), 미국 의학 기술자 협회(AMT), 미국 임상 병리학회(ASCP)이다. 임상병리 과학 프로그램은 임상병리 과학 국가인증기관(NAACLS)의 인증을 받을 수 있다. NAACLS 인증을 받으면 프로그램 수료 시 자격 시험을 치를 수 있으며, 프로그램의 질을 보증하는 역할도 한다.[30][31][32][33] 미국 생물분석가 협회와 미국 의학 기술자 협회는 전통적인 명칭인 의학 기술자(MT)를 계속 사용하고 있으며, 미국 임상 병리학회는 의학 실험 과학자(MLS)라는 명칭을 채택했다.

이 외에도 이전에 임상 병리사에게 숙련도 시험을 제공했던 두 개의 다른 조직이 있었다. 첫 번째는 미국 보건복지부이다.[34] 두 번째는 실험실 인력 국가 자격증 기관(NCA)이다. NCA는 2009년 미국 임상 병리학회에 흡수되었고 즉시 해산되었다.[35]

전국 자격증 외에도 11개 주(캘리포니아, 플로리다, 조지아, 하와이, 루이지애나, 몬태나, 네바다, 노스다코타, 로드아일랜드, 웨스트 버지니아 및 뉴욕)와 푸에르토리코는 주 면허도 요구한다. 푸에르토리코는 주 면허를 발급하기 위해 주 시험을 포함한 현지 위원회 인증 또는 ASCP 및 NCA 중 하나를 요구한다.[39] 미네소타, 텍사스, 일리노이, 매사추세츠, 미시간, 버몬트, 워싱턴, 뉴저지, 아이오와, 유타, 오하이오, 사우스캐롤라이나, 와이오밍, 펜실베이니아, 버지니아, 사우스다코타, 델라웨어, 미주리, 알래스카는 현재 면허 취득을 시도하고 있다. 모든 주는 주 면허를 발급하기 전에 전문 자격증 기관의 문서를 요구한다. 주 면허를 신청하는 사람은 지문, 교육 및 훈련 기록, 자격 인증서를 제출해야 할 수도 있다. 일부 주에서는 면허 발급 또는 갱신 전에 특정 수의 지속적인 교육 시간을 이수하도록 요구하기도 한다.

일부 주는 다른 주의 면허가 동등하거나 더 엄격한 경우 이를 인정하지만, 현재 캘리포니아는 다른 주의 면허를 인정하지 않는다.[40]

4. 3. 미국

미국에서 임상병리사는 Medical Laboratory Scientist (MLS), Medical Technologist (MT),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 (CLS) 등으로 불린다.[4] 일반적으로 임상병리학, 임상실험과학 또는 의학기술 분야의 학사 학위를 취득해야 한다.[5] 일부 주에서는 별도의 주 면허를 요구하기도 한다.

임상병리사 자격은 다음 기관에서 인증한다.

  • 미국 임상 병리학회(ASCP)
  • 미국 생물분석가 협회(AAB)
  • 미국 의학 기술자 협회(AMT)


전문 분야에 따라 미국 임상 병리학회의 "SBB"(수혈 전문), "SM"(미생물학 전문), "SC"(화학 전문), "SH"(혈액학 전문)과 같은 추가 자격 증명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LS(ASCP), SBB(ASCP)"와 같이 표기한다.[4] 미국 생체 분석가 협회에서는 남성 생식 생리학 검사실 과학자, 배아학 검사실 과학자, 분자 진단 기술자 인증을 제공하며, 각각 ALS(AAB), ELS(AAB), MDxT(AAB)로 분류된다.[6] 미국 조직적합성 및 면역 유전학 위원회는 교육 및 경험 요건을 충족하고 시험을 통과한 사람에게 CHA(ABHI), CHT(ABHI), CHS(ABHI), D(ABHI) 자격 증명을 부여한다.[6][7]

임상병리사는 감염 관리 분야에서 인증을 받고 고용될 수 있다. 이들은 감염성 질환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보고하여 의인성 및 병원 감염을 제한하고, 다른 의료 종사자를 교육하는 역할을 한다.[8]

4. 4. 영국

영국에서 임상병리사는 임상 과학자(Clinical Scientist) 또는 생의학 과학자(Biomedical Scientist, BMS)로 불린다.[4]

임상 과학자는 일반적으로 관련 분야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NHS(National Health Service)에서 제공하는 3년간의 집중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이수해야 한다. 생의학 과학자는 일반적으로 생의학 과학 분야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HCPC(Health and Care Professions Council)에 등록해야 한다. HCPC에 등록해야만 임상 과학자 또는 생의학 과학자로 활동할 수 있다.

영국 내 생의학 과학자는 미국의 MLT 및 MT/CLS의 역할과 유사하며, 전문 규제를 위한 유사한 규제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다.[44] 임상 과학자는 비정기적인 연구 개발을 수행하고, 과학적 전문 지식을 사용하여 임상 서비스를 개선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왕립 병리학 대학 및 왕립 의학 대학은 의학 수련생이 환자 중심의 경험을 더 많이 얻고 병리학 교육 외에 의사 시험을 치르는 결합 감염 교육을 개발했다.[10]

5. 한국의 현황과 과제

임상병리사는 의료기관, 검사 센터, 연구소, 제약 회사, 의료기기 회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58] 특히 체외 수정과 관련된 배양 업무에도 많은 임상병리사가 참여하고 있다.[58]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검체 채취 및 PCR 검사 등 감염병 진단의 핵심 인력으로 활약하며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2000년대 이후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임상병리사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임상병리사 의료기관 종사자 수(상근 환산)[59]
연도병원진료소합계
2002년44,9469,53054,476
2005년45,67711,33057,007
2008년47,37212,38859,760
2011년49,77212,68662,458
2014년52,96211,11964,081
2017년54,96011,90666,866



임상병리사 국가시험 합격자 수는 매년 3,000명 이상 배출되고 있으며, 2020년까지 누적 합격자 수는 20만 명을 넘어섰다.

임상병리사 면허 취득자 수[60]
연도응시자합격자누계
1971년~2015년 (합계)306,429189,656-
2016년4,4003,363-
2017년4,7393,729-
2018년4,8293,828-
2019년4,8173,620-
2020년4,8543,472207,668



임상병리사는 의료 현장에서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지만, 숙련된 인력이 되기까지 수년의 훈련 기간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즉시 전력을 요구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지만, 의사와 달리 임상병리사에게는 체계적인 연수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채용 후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의료직과 마찬가지로 졸업 후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단카이 세대의 대량 퇴직은 구직자에게는 기회이지만, 병원 입장에서는 숙련된 인재 확보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의료 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6. 한국의 임상병리사 관련 단체

주어진 원본 소스는 한국이 아닌 일본의 임상병리사 관련 단체 및 인정 자격에 대한 내용만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의 임상병리사 관련 단체"라는 섹션 제목에 맞는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원본 소스에 해당 내용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수정도 할 수 없습니다.

7. 저명한 임상병리사 (한국)

현재까지 한국에서 임상병리사 면허를 소지한 저명한 인물은 확인되지 않는다.

참조

[1] 간행물 The Medical Laboratory Personnel Shortage http://www.ascp.org/[...]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Pathology
[2] 논문 The '70% claim': what is the evidence base? 2011-11
[3] 웹사이트 Careers in Healthcare Science https://www.nshcs.he[...]
[4] 웹사이트 Guide to The Citation of ASCP Board of Certification Credentials https://www.ascp.org[...] 2017-07
[5] 웹사이트 U.S. (only) Procedures for Examination & Certification http://www.ascp.org/[...] ASCP Board of Certification 2015-11-06
[6] 웹사이트 BOR Certification/Qualifications - ABOR http://www.aab.org/a[...] 2016-10-18
[7] Dead link http://www.ashi-hla.[...]
[8] 웹사이트 Infection Control Certification http://www.cbic.org/[...]
[9] 웹사이트 University Program Accreditation https://www.aims.org[...] 2021-05-24
[10] 웹사이트 Medical Laboratory Technician, MLT (ASCP) Examination Content Guide http://www.ascp.org/[...]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Pathology 2013-11-05
[11] 웹사이트 Laboratory Technologists are in Demand https://www1.cfnc.or[...]
[12] 웹사이트 Accreditation Standards and Procedures https://www.mscounci[...] Medical Sciences Council of New Zealand
[13] 웹사이트 Medical Laboratory Scientist http://www.careers.g[...] New Zealand Government 2016-10-17
[14] 웹사이트 Madhya Pradesh Paramedical Council https://paramedical.[...] 2023-08-16
[15] 문서 Curriculum of LX, 2023
[16] 웹사이트 College of Medical Laboratory Technology (CMLT) https://www.nih.org.[...]
[17] 웹사이트 University of Health Sciences Lahore http://www.uhs.edu.p[...]
[18] 웹사이트 Doctor of Medical Laboratory Sciences https://mlt.uol.edu.[...]
[19] 웹사이트 The Laboratory Workforce Shortage Demands New Solutions https://www.aacc.org[...] 2016-10-13
[20] 웹사이트 The hidden profession that saves lives https://www.elsevier[...] 2016-10-13
[21] 웹사이트 Medical Laboratory Technician Salary https://www.salary.c[...]
[22] 웹사이트 Board of Clinical Laboratory Personnel http://www.fshgroup.[...]
[23] 웹사이트 California CLS and MLT https://www.aab.org/[...]
[24] 웹사이트 Medical Laboratory Specialist http://www.goarmy.co[...] 2016-10-17
[25] 웹사이트 The US can't keep up with demand for health aides, nurses and doctors https://money.cnn.co[...] 2018-05-04
[26] 웹사이트 Responding to the Continuing Personnel Shortages in Laboratory Medicine http://www.labtestin[...] 2017-04-04
[27] 웹사이트 UK's Pathology Laboratories Face Staffing Shortage | Dark Daily https://www.darkdail[...] 2017-02-06
[28] 웹사이트 BBC News | Health | Lab tests under threat http://news.bbc.co.u[...]
[29] 웹사이트 Medical Laboratory Science Council of Nigeria http://web.mlscn.gov[...] 2019-12-18
[30] 웹사이트 MT(AAB) https://www.aab.org/[...]
[31] 웹사이트 Get Certified: MT Eligibility https://www.american[...]
[32] 웹사이트 Examination Eligibility Assistant https://www.ascp.org[...]
[33] 웹사이트 NAACLS - National Accrediting Agenc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Students https://naacls.org/S[...] 2021-09-27
[34] 웹사이트 HHS sets August date for proficiency exam. - Free Online Library https://www.thefreel[...]
[35] 웹사이트 Single Certification Means Good-bye to Med Techs (MTs) and Clinical Lab Scientists (CLSs)! https://www.darkdail[...] 2009-08-03
[36] 웹사이트 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s https://www.fda.gov/[...] 2021-09-13
[37] 웹사이트 ANNUAL EDUCATION CONFERENCE https://www.jointcom[...] 2019-08-13
[38] 웹사이트 CLIA Required Personnel Qualifications http://www.jointcomm[...] 2016-10-17
[39] 웹사이트 AN ACT TO REGULATE THE PROFESSION OF MEDICAL TECHNOLOGY, Act No. 167 of August 11, 1988 http://www.lexjuris.[...] LexJuris 1997-01-01
[40] 웹사이트 ASCLS licensing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08-07-24
[41] 웹사이트 Medical Laboratory Science Council of Nigeria http://mlscn.gov.ng
[42] 웹사이트 Certification Boards for Laboratory Directors of High Complexity Testing https://www.cms.gov/[...]
[43] 웹사이트 2012 ANNUAL EDUCATION CONFERENCE © Copyright, The Joint Commission Lab Central Connect – 1 CLIA Required Personnel Qualifications http://www.jointcomm[...] 2017-06-14
[44] 웹사이트 Medical Technologist - MT(AAB) https://www.aab.org/[...]
[45] 논문 Retooling the Health Care Workforce for an Aging America: A Current Perspective https://doi.org/10.1[...] 2020-10-23
[46] 웹사이트 Addressing the Clinical Laboratory Workforce Shortage - ASCLS https://ascls.org/ad[...] 2021-09-27
[47] 논문 Awareness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s and Shortage of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s in the 21st Century https://scholarworks[...] 2016-01-01
[48] 서적 日本臨床衛生検査技師会史・組織の発展 P3臨床検査史
[49] 서적 日本臨床衛生検査技師会史・組織の発展 P3-5臨床検査史
[50] 문서 施行規則別表第1中欄
[51] 문서 昭和45年12月3日厚生省医務局長通達(医発第1416号)
[52] 문서 平成20年1月17日、医政医発第0117001号
[53] 문서 地域における医療及び介護の総合的な確保を推進するための関係法律の整備等に関する法律附則第32条
[54] 서적 「診療放射線技師学校養成所指定規則及び臨床検査技師学校養成所指定規則の一部を 改正する省令」による改正後の臨床検査技師学校養成所指定規則等による新たな教育内 容を受けて臨床検査技師国家試験に合格した者に関する留意事項について https://www.jamt.or.[...] 厚生労働省医政局医事課 2020-05-06
[55] 문서 『医師及び医療関係職と事務職員等との間等での役割分担の推進について 平成19年12月28日厚生労働省医政局長通知 医政発第1228001号』で、「検査説明については、保健師助産師看護師法及び臨床検査技師等に関する法律に基づき、医師等の指示の下に看護職員及び臨床検査技師が行うことができることとされているが、医師や看護職員のみで行っている実態がある」とし、医師の負担軽減の観点からと現状で臨床検査技師の専門性が発揮できていないという指摘がなされ、「患者への検査説明」を臨床検査技師の業務として定着させる役割分担の推進が通知された。
[56] 문서 病理解剖指針について(昭和63年11月18日、厚生省健康政策局長通知 健政発第693号)
[57] 웹사이트 臨床検査技師学校養成所カリキュラム等改善検討会 https://www.mhlw.go.[...] 2020-05-05
[58] 웹사이트 【徹底比較】臨床検査技師から転職できる企業の他職種おすすめランキング6選|臨転堂 https://rinten-sup.c[...] 2023-05-13
[59] 웹사이트 第1回臨床検査技師学校養成所カリキュラム等改善検討会(資料2)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医政局 2020-05-06
[60] 서적 日本臨床衛生検査技師会史・組織の発展 P2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