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바산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엘바산 문자는 알바니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문자 체계이다. 이 문자는 18세기 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엘바산 복음서 사본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 엘바산 문자는 라틴 문자, 그리스 문자, 아랍 문자 등 다른 문자 체계의 영향을 받았지만, 알바니아어 고유의 문자를 만들려는 의도를 반영하여 독자적인 형태를 갖는다. 2014년 유니코드 7.0에 추가되어 디지털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어 - 마나스티리트 회의
마나스티리트 회의는 1908년 오스만 제국 치하 마나스티르에서 알바니아어 표준 알파벳 결정을 목적으로 개최되어 로마자 기반 알파벳을 채택, 알바니아 민족주의 운동과 교육,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쓰이지 않는 문자 - 서하 문자
서하 문자는 1036년 야리인영이 창제한 약 6,000자로 구성된 서하 왕조의 고유 문자 체계로, 한자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인 구조를 지니며 정부 공식 문서 및 불경 번역 등에 사용되었고, 서하 멸망 후에도 사용 기록이 있으며, 현재 유니코드에 6,145자 이상이 등재되어 일부 글자에는 중국에 대한 대항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 쓰이지 않는 문자 - 팔라바 문자
팔라바 문자는 타밀 브라흐미 문자를 기반으로 팔라바 왕조 시대에 만들어졌으며, 동남아시아로 전파되어 둥근 획과 직사각형 획을 결합한 서예적 특징을 가지며,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의 초기 형태에 영향을 미쳤다.
엘바산 문자 | |
---|---|
기본 정보 | |
유형 | 알파벳 |
사용 언어 | 알바니아어 |
시기 | 18세기 |
창시자 | 알 수 없음 |
ISO 15924 | Elba |
유니코드 | U+10500 – U+1052F |
2. 문자
엘바산 문자는 18세기 중반 알바니아 중부의 엘바산에서 기원한 문자 체계이다. 이 문자는 알바니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2. 1. 문자 목록
글자[4] | 라틴 알파벳 | 발음 |
---|---|---|
𐔀 | a | |
𐔁 | b | |
𐔂 | c | |
𐔃 | ç, xh | , [5] |
𐔄 | d | |
𐔅 | nd | |
𐔆 | dh | |
𐔇 | e | [5] |
𐔈 | ë | [5] |
𐔉 | f | |
𐔊 | g | |
𐔋 | gj | |
𐔌 | h | |
𐔍 | i | |
𐔎 | j | |
𐔏 | k | |
𐔐 | l | |
𐔑 | ll | |
𐔒 | m | |
𐔓 | n | |
𐔔 | g와 gj 앞에서 n | [5] |
𐔕 | nj | |
𐔖 | o | |
𐔗 | p | |
𐔘 | q | |
𐔙 | r | |
𐔚 | rr | |
𐔛 | s | |
𐔜 | sh | |
𐔝 | t | |
𐔞 | th | |
𐔟 | u | |
𐔠 | v | |
𐔡 | x | |
𐔢 | y | |
𐔣 | z | |
𐔤 | zh | |
𐔥 | gh | (그리스어 차용어) |
𐔦 | gh | (그리스어 차용어) |
𐔧 | kh | (그리스어 차용어) |
2. 2. 문자 예시
글자[4] | 라틴 알파벳 | 발음 |
---|---|---|
𐔀 | a | |
𐔁 | b | |
𐔂 | c | |
𐔃 | ç, xh | , [5] |
𐔄 | d | |
𐔅 | nd | |
𐔆 | dh | |
𐔇 | e | [5] |
𐔈 | ë | [5] |
𐔉 | f | |
𐔊 | g | |
𐔋 | gj | |
𐔌 | h | |
𐔍 | i | |
𐔎 | j | |
𐔏 | k | |
𐔐 | l | |
𐔑 | ll | |
𐔒 | m | |
𐔓 | n | |
𐔔 | g와 gj 앞에서 n | [5] |
𐔕 | nj | |
𐔖 | o | |
𐔗 | p | |
𐔘 | q | |
𐔙 | r | |
𐔚 | rr | |
𐔛 | s | |
𐔜 | sh | |
𐔝 | t | |
𐔞 | th | |
𐔟 | u | |
𐔠 | v | |
𐔡 | x | |
𐔢 | y | |
𐔣 | z | |
𐔤 | zh | |
𐔥 | gh | (그리스어 차용어) |
𐔦 | gh | (그리스어 차용어) |
𐔧 | kh | (그리스어 차용어) |
원고 8쪽 10~14행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엘바산 문자 | 음역 |
---|---|
𐔗𐔈𐔙𐔋𐔇𐔋𐔇𐔝𐔈 𐔧𐔙𐔍𐔜𐔝𐔍 𐔇 𐔍 𐔞𐔀: | përgjegjetë Hrishti e i tha: |
엘바산 문자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가설이 존재한다.
3. 기원
마히르 도미는 1965년 두러스의 그리고리가 엘바산 문자를 창제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그는 Γεώργιος Ζαβίρας|bg|Георгиос Завирасel(1744–1804)의 메모에서 "두러스의 그리고리가 자신이 직접 발명한 문자로 구약과 신약을 번역했다"는 기록을 근거로 제시했다.[7] 로버트 엘시도 이 가설을 지지했다.
표지 뒷면에 "파파 토타시"(아버지 토타시)라는 이름이 쓰여 있어서 이 문자가 그에게 귀속되기도 한다.[8][9][10] 최근 연구에 따르면 최소한 문자 자체는 두러스의 코스마스(1643-1702)가 저술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1]
로버트 엘시는 엘바산 문자의 저자가 외래 영향을 피하려는 열망을 보였다고 언급했다. 라틴 문자, 그리스 문자, 아랍 문자는 이미 알바니아어에 사용되었고, 키릴 문자와 글라골 문자도 사용 가능했다. 그러나 저자는 알바니아어 고유의 새로운 문자를 고안하기로 선택했는데, 이는 알바니아 지식인들이 그들만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를 갖고자 하는 열망을 반영하는 것이었다.[2]
3. 1. 엘바산 복음서 사본
엘바산 복음서 사본은 엘바산 서쪽 시존 마을에 있는 성 요반 블라디미르 교회의 동방 정교회 수도원에서 유래되었다.[2] 15세기 짧은 부활절 복음 필사본을 제외하면, 알바니아 정교회 문학의 가장 오래된 작품이자 알바니아어로 번역된 가장 오래된 정교회 성경이었다.[2]
이 사본은 뛰어난 개인 소장 도서관을 가지고 있었고 주목할 만한 수집가였던 정치인 레프 노시에 의해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또는 그 무렵에 구입되었다. 1945년 공산주의 알바니아 정권에 의해 압수되어 현재 알바니아 국립 문서 보관소에 보관되어 있다.[6] 알바니아학자이자 번역가인 인야크 잠푸티(1910–1998)는 이 사본을 필사했으며, 이후 엘바산 복음서는 표준 알바니아어로 처음 출판되었다.[6]
3. 2. 문자의 창제자
두러스의 그리고리가 엘바산 문자의 창제자라는 주장이 1965년 마히르 도미(Mahir Domi)에 의해 제기되어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도미는 Георгиос Завирас|el|Γεώργιος Ζαβίρας|hu|Zavirasz György|ru|Завирас, Георгиосbg(1744–1804)의 메모에서 "두러스의 그리고리가 자신이 직접 발명한 문자로 구약과 신약을 번역했다"는 기록을 중요한 근거로 제시했다.[7] 로버트 엘시(Robert Elsie)도 이 가설을 지지했다.
표지 뒷면에 "파파 토타시"(아버지 토타시)라는 이름이 쓰여 있어서 이 알파벳이 그에게 귀속되기도 한다.[8][9][10] 최근 연구에 따르면 최소한 알파벳 자체는 두러스의 코스마스(1643-1702)가 저술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텍스트 자체가 그에 의해 작성되었을 가능성도 있다.[11]
3. 3. 역사적 배경
로버트 엘시는 저자가 외래 영향을 피하려는 열망을 언급했다. 라틴 문자, 그리스 문자, 아랍 문자는 이미 알바니아어에 사용되었고, 키릴 문자와 글라골 문자도 사용 가능했다. 그러나 저자는 알바니아어 고유의 새로운 문자를 고안하기로 선택했는데, 이는 엘시가 "알바니아 지식인들의 소망"이라고 부른, 그들만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를 갖고자 하는 열망을 반영하는 것이었다.[2] 게다가, 놀랍게도 원고에는 차용어가 매우 적게 나타난다. 라틴어 차용어는 3개, 터키어 차용어는 7개, 그리고 성경 그리스어(원고가 번역된 언어) 차용어는 21개뿐이었다.[2] 엘시는 저자가 터키어 차용어인 "도시"를 의미하는 ''sheher''를 지우고, 라틴어 ''cīvitāt(em)''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 ''qytet''으로 대체한 점에서 언어 순수주의를 실천하려는 의지가 명확해진다고 주장한다.[2]
4. 특징
엘바산 문자는 소리와 글자 사이에서 거의 1대1 대응을 보였으며, 세 가지 예외가 있었는데, 이 중 두 가지는 그리스어 차용어에 국한되었다.[2]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현대 알바니아어 알파벳은 표준 발음에 대해서는 음소적으로 규칙적이지만, 열 개의 자음 이중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1대1 대응은 아니다.
알바니아어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발음을 나타내기 위해 세 개의 문자에 점이 본질적인 특징으로 사용된다. 단일 r은 치경 탄음 을 나타내지만, 점이 찍히면 치경 전동음 이 되고, 점이 찍힌 l은 연구개음화되고, 점이 찍힌 d는 ''nd''로 비음화된다.[2] (오늘날 이 ''nd''는 두 개의 분리된 음소의 시퀀스가 되었다. 현대 그리스어는 다소 유사한 발전을 겪었다.) 엘시는 이 알파벳이 일반적으로 숫자로 머리 위에 선이 있는 그리스 문자를 사용한다고 말한다. 일부 문자는 그리스 문자나 글라골 문자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이지만, 그는 이 알파벳에 고유하다고 간주하며,[2] 슈테리키[12]와 도미[13]는 1767년까지 오흐리드 대주교구의 관할권 때문에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고 본다.
5. 유니코드
엘바산 문자는 2014년 6월 유니코드 7.0 버전 출시와 함께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다.
참조
[1]
PDF
Final Accepted Script Proposal
https://www.unicode.[...]
[2]
논문
The Elbasan Gospel Manuscript (''Anonimi i Elbasanit''), 1761, and the struggle for an original Albanian alphabet
http://elsie.de/pdf/[...]
Südost-Institut
[3]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2011-09-07
[4]
웹사이트
Elbasan alphabet
http://www.omniglot.[...]
2019-04-15
[5]
웹사이트
Preliminary proposal for encoding the Elbasan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https://www.unicode.[...]
ISO/IEC JTC1/SC2/WG2
2024-06-25
[6]
웹사이트
GREGORY OF DURRËS
http://www.albanianl[...]
[7]
간행물
Rreth autorit dhe kohës së dorëshkrimit elbasanas me shqipërim copash të ungjillit
Tiranë
1965
[8]
서적
Rreth alfabetit të shqipes: me rastin e 100-vjetorit të Kongresit të Manastirit
https://books.google[...]
Logos-A
[9]
서적
Albanian contemporary prose
https://books.google[...]
State Pub. Enterprise Naim Frashëri
[10]
서적
Nominalisierung und verbale Einbettung in Varietäten des Albanischen: eine Untersuchung zur Geschichte der albanischen Schriftsprache am Beispiel erweiterter Verbalprädikate auf areallinguistischem Hintergrund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11]
논문
Dëshmi mbi një alfabet origjinal të shqipes nga shekulli XVII: Kozmai i Durrësit si shpikës i mundshëm i alfabetit të parë origjinal të shqipes
https://www.academia[...]
2022-01-01
[12]
간행물
Anonimi i Elbasanit. Shkrimi shqip në Elbasan në shekujt XVIII-XIX dhe Dhaskal Todhri
Tiranë
1949
[13]
간행물
Rreth autorit dhe kohës së dorëshkrimit elbasanas me shqipërim copash të ungjillit
196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