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부는 궁중 의례, 제사, 불교 및 도교 승려 관리, 과거 시험, 외교 관계 등을 담당했던 관청이다. 한나라 시기 중국에서 유사한 기능을 수행했으며, 고려 시대에는 사의서, 봉선고, 혜민국 등 다양한 관청과 시설이 운영되었다. 조선 시대에도 존재했으며, 주요 섬에 외교 시설을 갖추어 해로의 거점으로 활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 왕조별 정치 - 관 (동양사)
    동아시아의 관료 제도와 관련된 용어와 개념을 다루는 '관 (동양사)'는 16세기 유럽에서 동아시아 관료를 지칭하던 용어의 어원, 명·청 시대의 공용어였던 관화, 그리고 중국, 베트남, 한국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관료 제도의 발전과 과거 제도의 영향, 청나라 시대의 관료 품계 제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종무부 - 신성통치종무원
    신성통치종무원은 1721년 표트르 1세에 의해 설립된 러시아 정교회의 최고 행정 기구로, 황제가 임명한 세속인을 포함한 성직자들로 구성되어 교회를 통괄했으며, 1917년 폐지될 때까지 정교회 신앙 감독, 종교 교육, 교회 재산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했다.
  • 종무부 - 권선징악부 (아프가니스탄)
    권선징악부(아프가니스탄)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이슬람 율법을 강제하고 여성의 권리를 억압하며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는 조직이다.
  • 육부 - 병부
    병부는 수나라에서 당나라로 이어진 중국 6부 중 하나로 군무원 선발, 병적 및 군수품 관리, 역참 관리 등을 담당했으며, 여러 왕조를 거쳐 청나라에서 육군부로 개칭되어 폐지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와 일본에도 유사한 기관이 있었다.
  • 육부 - 형부
    형부는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사법을 담당하는 관청의 명칭이며, 중국, 한국, 일본 등에서 각기 다른 형태로 존재했다.
예부
개요
당나라 시대의 예부 아문
당나라 시대의 예부 아문
상세 정보
종류중국 관청
관할제사
외교
교육
과거 제도
역사
설립수나라
폐지청나라 (1906년)
구성
장관상서
차관시랑
기타 관직원외랑

2. 역사

한나라 시대에는 예부가 예부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했다. 중국 초기 중세 시대에는 대홍(大鴻臚) 등 다른 관리들이 그 기능을 수행했다. 송나라(10세기~13세기) 시대에는 그 기능이 중서성으로 일시적으로 이관되었다. 1861년 총리衙門이 설립되면서 중국의 외교 관계 관리 기능은 종식되었다.

2. 1. 중국

한(漢)나라 시대에는 예부가 예부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했다. 중국 초기 중세 시대에는 대홍(大鴻臚) 등 다른 관리들이 그 기능을 수행했다. 송나라(10세기~13세기) 시대에는 그 기능이 중서성으로 일시적으로 이관되었다. 1861년 총리衙門이 설립되면서 중국의 외교 관계 관리 기능은 종식되었다.

중국 예부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기능
궁중 의례와 제사 관리
중국 내 불교도교 승려 등록 및 감독
과거 시험 관리
외교 관계


2. 2. 고려

고려시대에는 의례, 제사, 의료, 교육, 음악, 외교 등 다양한 분야를 담당하는 관청들이 있었다.

  • 사의서(司儀署) : 의례 진행을 담당하는 관청이었다.[3]
  • 봉선고(奉先庫) : 선왕과 선후의 제사에 사용되는 제기와 여러 절에 보낼 제수를 보관하던 창고였다.[5]
  • 혜민국 : 백성의 질병 치료를 위해 설치된 관서였다.[6]
  • 국자감 : 국립 고등 교육 기관이었다.
  • 통문관 : 통역과 번역 교육을 담당하던 관청이었다.[11]
  • 관현방 : 궁중 음악을 담당하던 국가 기관이었다.


고려 왕실은 사찰을 원찰로 지정하여 불교를 지원했다.

  • 앙암사 : 태조가 지정한 원찰이었다.[7]
  • 갈양사 : 고려 왕실의 원찰이었다.
  • 봉업사 : 태조의 진영을 모셨다.


고려는 산신 신앙과 관련된 장소도 중요하게 여겼다.

고려는 외교와 상업을 위해 주요 섬에 시설을 갖추고 해로 거점으로 활용했다.[13]

시설 이름위치설명
제포궁, 풍포관강화도 승천포구원나라 사신을 맞이하는 궁궐 및 숙소[14]
사신관교동도 남산포구사신들의 객관
경원정자연도(지금의 영종도)송나라 사신을 영접한 객관
안흥정태안 마도송나라 사신을 영접한 객관[13]
군산정군산도(지금의 선유도)송나라 사신을 영접한 객관[13]
순천관(현재 개성시 성균관 전각들)고려도경》에서 송나라 사신들이 머물던 객관[12]


3. 기능

예부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했다.


  • 궁중 의례와 제사 관리
  • 중국 내 불교도교 승려의 등록 및 감독
  • 과거 시험 관리
  • 외교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The Confucian Message on Vietnamese Coins, A closer look at the Nguyễn dynasty's large coins with moral maxims », Numismatic Chronicle, 2011, pp. 367-406.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2011-08-22
[2] 문서 『旧唐書』職官志2、『新唐書』百官志1。
[3] 웹인용 사의서 (司儀署)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12-25
[4] 웹인용 봉선고 (奉先庫)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1-03
[5] 웹인용 제 16권, 관부(官府) 부고(府庫) https://db.itkc.or.k[...] 한국고전번역원
[6] 웹인용 혜민국 (惠民局)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12-25
[7] 웹인용 왕건 https://www.grandcul[...]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8-04
[8] 웹인용 고려 국조신화 (高麗 國祖神話)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12-20
[9] 웹인용 천흥리 천흥 산신제 http://cheonan.grand[...]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12-20
[10] 웹인용 소도독사 https://yesan.grandc[...]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08-04
[11] 웹인용 통문관 (通文館) https://encykorea.a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1-07
[12] 웹인용 만월대 이야기 > 만월대 사전 - 만월대의 옛 기록 > 1123년 송나라 사신들이 머물던 순천관 http://www.manwoldae[...] 남북역사학자협의회 2023-12-16
[13] 저널 바다로 보는 한국사 https://historykor.r[...] 역사학회 2016-12
[14] 웹인용 강화교동도자신당 https://folkency.nfm[...] 국립민속박물관 2024-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