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총리청 (독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방총리청은 독일 연방총리의 개인 사무실과 총리실 직원이 있는 기관으로, 1867년 북독일 연방 창설 당시 연방총리 직함과 함께 설립되었다. 서독 시대에는 본에 위치했으며, 독일 재통일 이후 수도가 베를린으로 이전되면서 현재 베를린에 청사가 있다. 베를린 청사는 2001년에 완공되었으며, 세계 최대 규모의 정부 청사 건물로, '콜로세움' 등의 별칭으로 불린다. 연방총리청장은 총리의 주요 조언자 역할을 하며, 역대 연방총리청장으로는 발터 할슈타인,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연방행정기관 - 파울 에를리히 연구소
파울 에를리히 연구소는 독일의 백신 및 생물의약품 연방 연구소로, 사람 및 동물용 의약품 검사와 허가를 담당하며 세계보건기구 협력센터로도 지정되었다. - 독일의 연방행정기관 - 연방담합청
연방담합청은 (핵심 정의)이며 (추가 정보)이다. - 베를린의 건축물 - 붉은 시청사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붉은 시청사는 1861년부터 1869년까지 북부 이탈리아 고딕 르네상스 양식으로 건설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손상 후 재건되어 냉전 시대 동베를린의 시청으로 사용되다가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베를린의 시청사 역할을 하고 있다. - 베를린의 건축물 - 샤리테
샤리테는 1710년 프리드리히 1세가 베를린에 설립한 독일의 대표적인 대학 병원으로, 훔볼트 대학교와 자유 베를린 대학교 의과대학이 통합 운영되며 4개의 캠퍼스와 100개 이상의 클리닉 및 연구소를 갖춘, 독일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를 다수 배출한 세계적인 의학 연구 및 교육 기관이다. - 2001년 완공된 건축물 - 강남 파이낸스 센터
강남 파이낸스 센터(GFC)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위치한 초고층 오피스 빌딩으로, 역삼역과 연결되는 편리한 교통, 넓은 오피스 공간, 첨단 시스템을 갖춰 국내외 유수 기업들이 입주해 있는 강남의 주요 업무 및 금융 중심지이다. - 2001년 완공된 건축물 - 마카오 타워
마카오 타워는 스탠리 호가 스카이 타워에서 영감을 받아 건설한 338미터 높이의 전망 타워로, 다양한 액티비티와 편의시설을 갖추고 마카오 시내의 탁 트인 전망을 제공하지만, 건설 배경에는 논란과 사회적 문제가 얽혀 있다.
연방총리청 (독일)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정식 명칭 | 연방총리청 |
독일어 명칭 | Bundeskanzleramt |
위치 | 주요 위치: 베를린, 연방총리청 건물 보조 위치: 본 |
설립 | 1949년 |
관할 | 독일 정부 |
예산 | 38억 6100만 유로(2022년) |
수장 | 수석: 볼프강 슈미트 직책: 총리청장 |
웹사이트 | bundesregierung.de |
2. 역사
1867년 북독일 연방이 창설되었을 때, 헌법에는 책임 행정관으로서 '연방총리'만 언급되어 있었다. 장관들로 구성된 합의제 정부는 없었다. 초대 연방총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처음에는 그의 사무실로 '연방총리청'만을 설립했다. 1870년 초 프로이센 외무부가 북독일 외무부가 되기 전까지 이곳이 국가의 유일한 '부처'였다. 그 당시 연방총리청은 외무부로 일부 업무를 넘겨주었다.
서독 건국부터 독일 재통일로 베를린이 독일의 수도가 되기까지, 수도가 본에 위치했기 때문에 연방 총리청도 본에 있었다. 1949년부터 1976년까지 샤움부르크 궁전이 총리청으로 사용되었고, 1976년부터 1999년까지는 새롭게 건설된 본 연방 총리청이 사용되었다.
1999년 베를린 천도 후에는 구 동독의 국가 평의회 건물(Staatsratsgebäudede)을 임시 총리청으로 사용하다가, 2001년 현재의 연방 총리청 건물이 완공되었다.
2. 1. 베를린 국가총리부 청사 (1871년~1945년)
1871년 독일 제국 성립 후, 제국재상(Reichskanzlei) 집무처로 폴란드 공족 안토니 라지비우의 저택인 라지비우 궁전을 사용하였다.[3] 1938년부터 1939년까지 알베르트 슈페어가 신 국가총리부(총통 관저로 알려짐)를 건설하였으나, 1945년 소련군에 의해 파괴되었다.2. 2. 본 연방총리청 청사 (1949년~2001년)
독일 연방공화국(서독) 성립과 함께 샤움부르크 궁(Palais Schaumburg)을 연방총리의 집무실로 사용했으며, 1964년부터는 집무실과 별개로 Kanzlerbungalow를 총리의 집무처로 두었다.[1]
1949년 서독 건국 당시 본은 임시 수도로 지정되었다. 초대 연방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는 처음 두 달 동안 쾨니히 박물관을 사용했으며, 1976년 새로운 총리 관저가 완공될 때까지 ''연방총리청''(Bundeskanzleramt)을 ''샤움부르크 궁전(Palais Schaumburg)''으로 옮겼다. 새로운 ''서독 총리 관저''는 국제 양식으로 지어진 검은색 구조물로, 현대주의의 소박한 예시였다.[4]
서독 건국부터 독일 재통일로 베를린이 독일의 수도가 되기까지, 연방 총리청은 본에 있었다.[6]
- 1949-1976: 샤움부르크 궁전(Palais Schaumburg)이 총리청으로 사용되었다. 2001년 이후에는 제2 연방 총리청으로 사용되고 있다.
- 1976-1999: 새롭게 Bundeskanzleramt (Bonn)de이 건설되었다. 2006년부터는 연방 경제 협력부 청사로 사용되고 있다.
2. 3. 베를린 연방총리청 청사 (2001년~)
독일의 재통일에 따라 총리의 집무처 또한 베를린으로 옮겨지면서 4년간의 공사 끝에 2001년 5월 완공된 집무처이다. 8층으로 된 세계 최대 규모의 집무처로, 부속건물까지 합하면 백악관의 8배나 된다[6]. 독일 연방의회 의사당(라이히스타크)까지는 500m 거리다. 별칭은 '콜로세움'이다[6].2001년 봄에 문을 연 현재의 총리청 건물은 샬롯 프랑크와 악셀 슐테스가 설계했으며, 로열 BAM 그룹의 자회사인 Wayss & Freytag와 스페인 아치오나의 합작 투자를 통해 건설되었다.[4] 12000m2를 차지하는 이 건물은 세계 최대 규모의 정부 청사 건물이기도 하다. 이에 비해 새로운 총리청 건물은 백악관의 10배 크기이다.[5]
독특하지만 논란이 많은 건축 양식 때문에 언론인, 관광 가이드 및 일부 지역 주민들은 이 건물을 ''Kohllosseum'' (이 건물을 건설한 전 총리 헬무트 콜과 콜로세움의 합성어), ''Bundeswaschmaschine'' (둥근 창문과 입방체 형태 때문에 연방 세탁기), 또는 ''Elefantenklo'' (코끼리 변기)라고 부른다.
일반 대중의 출입은 연중 특정 날짜에만 가능하다. 1999년부터 독일 정부는 매년 한 주말 동안(보통 8월) 일반 대중을 초청하여 정부 건물을 방문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연방총리청은 2001년에 완공되었으며, 악셀 슐테스가 설계했으며, 슈프레 강을 가로질러 양쪽 기슭에 뻗어있는 모더니즘 건축의 건축물이다. 콘크리트와 유리를 기본으로 채광이 풍부한 구조로 되어 있다.
3. 청사 건물
독일의 재통일에 따라 총리의 집무처 또한 베를린으로 옮겨지면서 4년간의 공사 끝에 2001년 5월 완공된 집무처이다. 8층으로 된 세계 최대 규모의 집무처로, 부속건물까지 합하면 백악관의 8배나 된다[6]. 별칭은 '콜로세움'이다[6]. 독일 연방의회 의사당(라이히스타크)까지는 500m 거리다.
현재 연방총리청은 2001년에 완공되었으며, 악셀 슐테스가 설계했고, 슈프레 강을 가로질러 양쪽 기슭에 뻗어있는 모더니즘 건축의 건축물이다. 콘크리트와 유리를 기본으로 채광이 풍부한 구조로 되어 있다.
2001년 봄에 문을 연 현재의 총리청 건물은 샬롯 프랑크와 악셀 슐테스가 설계했으며, 로열 BAM 그룹의 자회사인 Wayss & Freytag와 스페인 아치오나의 합작 투자를 통해 건설되었다.[4] 12000m2를 차지하는 이 건물은 세계 최대 규모의 정부 청사 건물이기도 하다. 이에 비해 새로운 총리청 건물은 백악관의 10배 크기이다.[5]
독특하지만 논란이 많은 건축 양식 때문에 언론인, 관광 가이드 및 일부 지역 주민들은 이 건물을 ''Kohllosseum'' (이 건물을 건설한 전 총리 헬무트 콜과 콜로세움의 합성어), ''Bundeswaschmaschine'' (둥근 창문과 입방체 형태 때문에 연방 세탁기), 또는 ''Elefantenklo'' (코끼리 변기)라고 부른다.
일반 대중의 출입은 연중 특정 날짜에만 가능하다. 1999년부터 독일 정부는 매년 한 주말 동안(보통 8월) 일반 대중을 초청하여 정부 건물을 방문하도록 하고 있다.
4. 위치
독일의 재통일에 따라 총리의 집무처 또한 베를린으로 옮겨졌으며, 4년간의 공사 끝에 2001년 5월 완공되었다. 8층 규모로 세계 최대 규모의 집무처이며, 부속건물까지 합하면 백악관의 8배나 된다.[6] 독일 연방의회 의사당(라이히스타크)까지는 500m 거리이며, 슈프레 강을 따라 베를린에 위치해 있다. 정면에는 국회의사당이 있다. 별칭은 '콜로세움'이다.[6]
5. 연방총리청장
연방총리청장은 무임소장관을 겸직할 경우 각료 중 1인으로 취급된다. 이들은 내각 회의에 참석하며, 특별 담당 장관 직함을 겸임하는 경우 내각 구성원으로 참여할 수 있다. 종종 "Kanzleramtsminister"(총리청 장관)로 불리기도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국무차관의 직급을 갖는다.
연방총리청장은 총리의 매우 가까운 조언자이며, 내각 장관들과의 주요 연락책 역할을 한다. 이들 중 다수는 내각 장관이 되었으며, 여러 명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는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 시절(1999-2005) 총리청 장관을 지냈으며, 이후 외무부 장관, 총리 후보, 야당 대표를 거쳐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5. 1. 역대 연방총리청장
연방총리청장은 국무회의에 참석하며, 무임소장관을 겸직할 경우 각료 중 1인으로 취급된다. 역대 연방총리청장은 다음과 같다.재임 기간 | 이름 | 정당 |
---|---|---|
1950–1951 | 발터 할슈타인 | CDU |
1951–1953 | 오토 렌츠 | CDU |
1953–1963 | 한스 글로프케 | CDU |
1963–1966 | 루트거 베슈트리크 | |
1966–1967 | 베르너 크니퍼 | |
1967–1969 | 카를 카르슈텐스 | CDU |
1969–1972 | 호르스트 엠케 | SPD |
1972–1974 | 호르스트 그라버트 | SPD |
1974–1980 | 만프레트 쉴러 | SPD |
1980–1982 | 만프레트 란슈타인 | SPD |
1982 | 게르하르트 코노프 | |
1982–1984 | 발데마르 슈레켄베르거 | CDU |
1984–1989 | 볼프강 셰우블레 | CDU |
1989–1991 | 루돌프 자이스터스 | CDU |
1991–1998 | 프리드리히 볼 | CDU |
1998–1999 | 보도 홈바흐 | SPD |
1999–2005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 SPD |
2005–2009 | 토마스 데메지에르 | CDU |
2009–2013 | 로날트 포팔라 | CDU |
2013-2018 | 페터 알트마이어 | CDU |
2018-2021 | 헬게 브라운 | CDU |
2021~현직 | 볼프강 슈미트 | CDU |
독일 연방총리청의 수장(''Chef des Bundeskanzleramts'', ChefBK)은 내각 회의에 참석하며, 특별 담당 장관 (''Minister für besondere Aufgaben'') 직함을 겸임하는 경우 내각 구성원으로 참여할 수 있다. 이들은 종종 "Kanzleramtsminister" (총리청 장관)로 불린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다른 국가의 차관 또는 부장관에 해당하는 국무차관의 직급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ChefBK는 총리의 매우 가까운 조언자이며, 내각 장관들과의 주요 연락책 역할을 한다. 이들 중 다수는 (다른 부처를 담당하는) 내각 장관이 되었으며, 여러 명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프랑크 발터 슈타인마이어는 슈뢰더 총리 시절(1999-2005) 총리청 장관을 지냈으며, 이후 외무부 장관(2005-2009 및 2013–2017), 총리 후보(2009), 야당 대표(2009-2013)를 거쳐 결국 대통령(2017-)이라는 주로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undeshaushalt 2022 - Bundesfinanzministerium - Themen
https://www.bundesfi[...]
2023-09-21
[2]
웹사이트
German Chancellery
https://www.visitber[...]
2021-09-08
[3]
서적
Deutsche Verfassungsgeschichte seit 1789
Stuttgart
1988
[4]
웹사이트
Structurae database
http://en.structurae[...]
[5]
뉴스
Merkel's faces tough EU challenge
http://news.bbc.co.u[...]
BBC
2007-01-19
[6]
뉴스
메르켈 집무실~비서실 15걸음 … 450명이 한 지붕 근무
http://www.koreadail[...]
KoreaDaily 뉴스
2016-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