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대병원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대병원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이다. 영남대학교 의료원과 인접해 있으며, 영대병원네거리에 위치하여 역명이 정해졌다. 1997년 11월 26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인근에 영남대학교 의료원, 대구고등학교, 남구청 등이 위치해 있으며, 역세권 발달과 의료원 이용객으로 인해 승객 수가 많은 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남구의 전철역 - 대명역
대명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철역으로, 대명역 사거리에 위치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곡선 지하역이며, 역명은 두사충이 붙인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 대구 남구의 전철역 - 현충로역
현충로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으로, 1997년 개통되었으며 앞산네거리에 위치해 있고, 역명은 인근 현충로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방화로 인해 192명이 사망하고 151명이 부상당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는 방화범의 범행, 안전 불감증, 부실한 시설 관리, 미흡한 초기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지하철 참사로 기록되며 사회 안전망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영대병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역 이름 (한국어) | 영대병원역 (영남이공대학교) |
역 이름 (한자) | 嶺大病院驛 |
역 이름 (로마자 표기) | Yeongdae-byeongwon-nyeok |
주소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로 지하292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
개업일 | 1997년 11월 26일 |
역 번호 | 127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영업 거리 | 설화명곡 기점 10.7 km |
인접 역 | 이전 역: 126 현충로 (0.7km) 다음 역: 128 교대 (0.9km) |
비고 | 남구청, 영남이공대학교 병기역명 |
2. 역명의 유래
인근에 영남대학교 의료원과 의학전문대학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역이 영대병원네거리 근처에 자리 잡고 있어 '영대병원역'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1] 공사 당시에는 '남대구역'이라는 임시 역명을 사용했다.[1] 이 역과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영남대역 개통으로 영남대학교의 본 캠퍼스(경상북도 경산시 소재)와 의과대학 캠퍼스 모두 지하철로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1]
3. 역사
4.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승강장 벽면 색상은 연두색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