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쿠트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쿠트인은 주로 러시아 사하 공화국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바이칼 호수 부근에서 기원하여 17세기 러시아 차르국에 병합되었다. 1922년 야쿠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스탈린 시대에 박해를 받았으며, 소련 붕괴 후 사하 공화국에서 인구의 절반을 차지한다. 야쿠트어(사하어)를 사용하며 러시아 정교회와 샤머니즘 신앙을 믿으며, 전통적으로 말, 소, 순록을 사육하는 유목 및 반유목 생활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쿠트인 - 아이이교
    아이이교는 라자르 아파나시예프가 창시한 사하 민족의 신앙으로, 전통 신앙과 현대 철학을 융합하여 자연과의 조화, 인간 존엄성, 정신적 성장을 강조하며 '아이이'를 최고신으로 숭배하지만, 러시아 정교회의 반발과 당국의 탄압, 그리고 이단 논란과 종교 자유 침해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야쿠트인 - 퉁구스 공화국
    퉁구스 공화국은 1924년 퉁구스족이 소비에트 러시아에 저항하여 독립을 선언한 임시 정부이며, 1925년 평화 협정을 통해 해산되었다.
  • 근현대 유목민 - 몽골족
    몽골족은 유라시아 대륙에 거주하며 몽골어족을 사용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문화를 공유하는 민족 집단으로, 몽골 제국을 건설하여 유라시아에 영향력을 미쳤으며 현대에도 정체성을 유지하며 발전하고 있다.
  • 근현대 유목민 - 부랴트인
    부랴트인은 러시아 부랴티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며 몽골 제국의 일원이었던 몽골계 민족으로, 바이칼호 주변에서 반유목 생활을 하며 샤머니즘과 티베트 불교를 믿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높은 사상자 비율로 논란이 되었다.
  • 카자흐스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카자흐스탄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야쿠트인
기본 정보
표기사하
야쿠트
현지어 표기사ха
복수형сахалар
사하 공화국 깃발
사하 공화국 깃발
인구
전체약 470,000명
거주 지역러시아
사하
러시아 (2021년)470,000명
카자흐스탄 (2009년)415명
우크라이나 (2001년)304명
라트비아 (2021년)37명
언어 및 종교
언어야쿠트어
러시아어
종교러시아 정교회
아이이 믿음
샤머니즘
텡그리즘
문화 및 관련 집단
관련 민족돌간인
투바인
부랴트인
몽골족 (일부, 쿠리칸을 통해 추정)
에벤키족
에벤족
유카기르족

2. 역사

야쿠트인의 조상은 몽골계 민족과 퉁구스계 민족으로, 돌궐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들은 바이칼 호수 부근에서 부랴트인 세력에 밀려 500~1000년 전쯤 현재의 사하 지역으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에는 원래 퉁구스족, 몽골족, 고시베리아인들이 살고 있었는데, 이들이 오늘날 야쿠트인의 조상이 되었다.

17세기 초 러시아 차르국은 현재의 사하 공화국을 영토로 합병하고 야쿠트인에게 모피세를 부과했다. 1634년부터 1642년 사이 야쿠트인들은 한갈라스 씨족의 트근 다르한을 중심으로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으나 러시아에 의해 진압되었다. 19세기에는 발견과 시베리아 철도 건설로 더 많은 러시아인들이 이주해 왔고, 1820년대에는 거의 모든 야쿠트인들이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였다.

1919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는 이 지역을 야쿠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명명했다. 소련 붕괴 이후에는 러시아 연방 소속 사하 공화국(야쿠티야)이 설치되었으며, 현재 사하 공화국 인구의 절반 정도가 야쿠트인이다.

1991년 8월 15일 야쿠트 자치 공화국 최고 회의는 독립을 선언했으나, 러시아인의 인구 비율이 높아 실현되지 못했다.

전시 중 가라후토 시키카 군 시키카 정 오타스에서는 "순록 왕"이라 불린 야쿠트인 드미트리 비노쿠로프가 야쿠티야(사하 공화국) 독립을 위해 일본의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2. 1. 러시아 제국 시기

1620년대 러시아 차르국은 야쿠트인 거주 지역으로 진출하여 병합하고 모피세를 부과했다. 1634년부터 1642년 사이 야쿠트인들은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3] 표트르 골로빈은 공포 통치로 원주민 정착촌을 불태우고 수백 명을 살해했다.[3] 야쿠트인 인구는 1642년부터 1682년 사이 천연두 등 전염병으로 인해 70% 감소했다.[3]

18세기 러시아는 압력을 줄이고, 야쿠트 족장들에게 특권을 부여하며, 동방 정교회 선교단을 파견했다.[3] 발견과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로 더 많은 러시아인이 유입되었다.[3] 1820년대까지 거의 모든 야쿠트인이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했지만, 샤머니즘 관습은 여전히 유지되었다.[3]

2. 2. 러시아 내전 시기

러시아 내전의 마지막 분쟁인 야쿠츠크 반란은 백군 장교인 코넷 미하일 코로베이니코프가 적군에 대항하여 봉기와 최후의 저항을 이끌면서 이곳에서 발생했다.

1919년, 새로 발족한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는 이 지역을 야쿠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명명했다.

2. 3. 소련 시기

1922년, 새로운 소련 정부는 이 지역을 야쿠트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명명했다.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후반까지, 요시프 스탈린이 집단화 정책을 시작하면서 야쿠트인들은 조직적으로 박해를 받았다. 이 기간 동안의 기아와 영양 부족으로 인해 야쿠트인 전체 인구가 감소했을 가능성이 있다. 1926년에는 240,500명이었던 인구가 1959년에는 236,700명으로 줄었다. 1972년에 이르러 인구는 회복되기 시작했다.[1]

2. 4. 러시아 연방 시기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 소속 사하 공화국(별칭 야쿠티야)이 설치되었다. 오늘날 사하 공화국 인구의 절반 정도가 야쿠트인이다.

2010년 인구 조사에서 야쿠티야 구역별 야쿠트인 비율


현재 야쿠트인은 광대한 사하 공화국 전체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그 해 사하 공화국에는 총 466,492명의 야쿠트인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이는 공화국 전체 인구의 49.9%에 해당한다.

3. 기원

야쿠트인의 조상은 몽골계 민족과 퉁구스계 민족이며, 오랫동안 돌궐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들은 바이칼호 부근에서 부랴트인 세력에 밀려나 500~1000년 전쯤 현재의 사하 지역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본래 사하 지역에는 퉁구스족, 몽골족, 고시베리아인들이 살고 있었는데, 이들이 오늘날 야쿠트인의 민족 집단을 형성하게 되었다.

많은 민족학자들은 야쿠트인이 원래 올혼섬바이칼호 일대에서 레나강 중류, 알단강, 빌류이강 유역에 걸쳐 거주하다가, 퉁구스계의 에벤이나 에벤키 등 다른 북방계 소수 민족과 혼혈을 이루며 현재의 땅으로 이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유전학적으로 야쿠트인은 우랄족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Y 염색체 하플로그룹 N을 88%의 높은 빈도로 가지고 있다.[8] 이들은 원래 우랄어족을 사용하는 민족이었으나, 어느 시점에서 튀르크어족으로 언어 교체를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또한, 'ancient north eurasian'라고 불리는 유럽 관련 인구로부터 10~20% 정도 유전적 영향을 받았다.[8]

3. 1. 초기 연구

18세기 말 러시아 참사관 I. 에버스(I. Evers)와 S. 고르노프스키(S. Gornovsky)는 야쿠트인이 과거 아랄해 서쪽 해안 주변에 거주하다가 동쪽으로 이주하여 현대 부랴티야 공화국의 툰카 골치 산 근처에 정착했다고 주장했다. 팽창주의적인 몽골 제국의 압력으로 인해 툰카 골치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레나강으로 이주했다. 에버스와 고르노프스키는 하카스의 사가이족을 사하라는 민족명의 기원으로 제시했다.[3][4]

3. 2. 바이칼 호수 기원설

1893년, 투르크학자 바실리 라들로프는 중국 역사 기록에 나오는 쿠리칸 또는 굴리간(骨利干|굴리간중국어) 철륵을 야쿠트인과 연관시켰다. 그들은 7세기 당나라의 조공국으로 언급되었으며, 앙가라강과 바이칼 호 주변에 살았다고 전해진다. 라들로프는 이들이 퉁구스족위구르족의 혼혈이며 야쿠트인의 조상이라고 추정했다.[3]

3. 3. 코로족 기원설

코로(Khorin, Khorolors, Khori) 야쿠트족은 자신들의 조상이 오모고이나 엘레이가 아닌 울루 코로(Uluu Khoro)라고 주장한다. 학계는 그들의 조상 민족 계통을 확실하게 밝혀내지 못했다. 그들의 고향은 남쪽에 위치했으며 코로 사이르(Khoro sire)라고 불렸다. 코롤로르(Khorolors)가 중부 레나에 도착한 시기는 불확실하며, 학자들은 서기 1천 년에서 16세기에 이르는 시기로 추정한다.

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코로 야쿠트족이 바이칼호의 코리 부랴트인에서 기원했다는 것이며, 따라서 투르크-몽골 언어를 사용했다는 것이다. 이는 주로 그들의 유사한 민족명에 근거한다. 이 가설 지지자들은 코로(Khoro)라는 단어가 티베트어 호르(hor, ཧོར|호르bo)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예를 들어, G. N. 루먄체프에 따르면, 서기 6세기에서 10세기 동안 바이칼 호수의 주민들은 초르(Chor)라고 불렸다.

3. 4. 원주민 혼혈설

많은 연구자들은 야쿠트족이 바이칼호에서 이주해 온 튀르크족과 레나강 주변에 거주하던 원주민인 유카기르족 및 퉁구스족의 혼합으로 형성되었다고 결론 내렸다. 오클라드니코프는 이러한 혼합 과정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했다.

> "... 야쿠트족의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조상들은 원주민을 몰아냈을 뿐만 아니라 평화적인 방법으로 그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그들을 동화시키고 흡수했다... 이로 인해, 지역 부족들은 이전의 민족적 이름을 잃고 제대로 된 민족 의식을 잃었으며, 더 이상 야쿠트족과 스스로를 분리하지 않았고, 그들에게 반대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북부 원주민과의 혼합으로 인해, 야쿠트족의 남부 조상들은 다른 스텝 부족들과 구별되는 새로운 특징으로 그들의 문화와 언어를 보완했다."

전통적인 야쿠트족 역사에는 야쿠티아 원주민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아한대 불룬스키와 베르호얀스키 구에서 흑유카기르족(야쿠트어: 하라 дъукаагырдарsah)은 레나 강에서 북쪽으로 밀려난 이주민의 후손이라고 전해진다. 우스치알단스키 울루스와 메기노칸갈라스키 구에 기록된 관련 이야기들은 야쿠트족의 압력 증가로 인해 해당 지역을 떠난 특정 부족들을 언급한다. 일부는 남아 신규 이주민과 통혼했지만, 대부분은 북부 툰드라로 이동했다.

많은 민족학자들은 야쿠트인이 원래 올혼섬바이칼호 일대에서 레나강 중류, 알단강, 빌류이강 유역에 걸쳐 거주하며, 퉁구스계의 에벤이나 에벤키 등의 다른 북방계 소수 민족과 혼혈을 이루며, 그 후 현재의 땅으로 이주한 것으로 보고 있다.

3. 4. 1. 유전학적 분석

야쿠트인의 주요 Y 염색체 DNA 하플로그룹은 N-M231으로, 전체 인구의 약 89%에서 발견된다.[8] 이는 다른 동시베리아 인구와 공유되는 하플로그룹이다.

Adamov에 따르면, 하플로그룹 N1c1은 사하 인구의 94%를 차지한다. 이 유전적 병목 현상은 대략 서기 1300년 ± 2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전쟁의 높은 사망률과 이후 중부 레나 강으로의 이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나머지 하플로그룹은 대략 다음과 같다.

하플로그룹비율비고
C-M217약 4%C-M48 및 C-M407 포함
R1a-M173.5%R1a-M458 포함
N-P432.1%
I-M253, R1b-M269, J2, Q산발적



주요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은 다양한 동아시아 계통으로, 전체의 92%를 차지한다.

하플로그룹비율비고
C36% ~ 45.7%
D25.7% ~ 32.9%



소수 동유라시아 mtDNA 하플로그룹은 다음과 같다.

하플로그룹비율비고
G5.2%
F4.49%
M13a1b3.55%
A1.89%
Y1a1.18%
B1.18%
Z30.95%
M70.71%



Fedorova에 따르면, 동아시아 모계 계통 외에도 "사하 토착 인구의 mtDNA 풀에는 작지만(8%) 다양한 서유라시아 mtDNA 하플로그룹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로 야쿠트족과 에벤키족에게 나타난다"고 하며, 가장 흔한 것은 H와 J이다.

야쿠트인은 유럽 관련 인구로부터 10~20% 정도 유전적 유동성을 받았다.[8]

4. 문화

야쿠트족은 전통적으로 사육에 집중해 왔으며, 야쿠트 말, 순록, 그리고 혹독한 지역 기후에 잘 적응된 의 일종인 Sakha Ynagha|사하 이나하sah(야쿠트 소)를 사육한다.[2][3] 키길리야크라고 불리는 특정 암석 형성과 인나흐 산 같은 장소는 야쿠트족에게 매우 존경받는 곳이다.[4]

4. 1. 언어

사하 원어민 화자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사하 공화국 야쿠트인의 약 87%가 야쿠트어(사하어)에 능숙하며, 90%가 러시아어에 능숙하다.[1] 사하/야쿠트어는 시베리아 튀르크어의 북부 계열에 속하며, 돌간어와 가장 가깝고, 투바어쇼르어와도 관련이 있다.

4. 2. 종교

튀르크계 민족이지만, 이슬람교가 아닌 러시아 정교를 믿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일부는 전통적인 샤머니즘 신앙을 이어받고 있다.

4. 3. 음식

사하 요리는 전통 음료인 쿠미스, 소, 말, 순록의 젖으로 만든 유제품, 얇게 썬 냉동 소금에 절인 생선 스트로가니나(строганина|스트로가니나sah), 덩어리 고기 요리(oyogos|오요고스sah), 사슴고기, 냉동 생선, 두꺼운 팬케이크, 그리고 버터와 말 지방을 넣은 조, 기장 죽인 salamat|살라마트sah가 특징이다. Kuerchekh|쿠에르체흐sah(Куэрчэх|쿠에르체흐sah) 또는 kierchekh|키에르체흐sah는 다양한 베리(딸기류)와 소젖 또는 크림으로 만든 인기 있는 디저트이다. Indigirka|인디기르카sah는 전통적인 생선 샐러드이다. 이 요리는 야쿠티야에서만 사용된다.

5. 하위 분류

현재 야쿠트인은 거주 지역과 생계 수단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뉜다. 북부에 거주하는 야쿠트인은 역사적으로 순록을 사육하며 반유목 생활을 하는 수렵 채집민인 반면, 남부에 거주하는 야쿠트인은 이나 사육에 종사한다. 두 그룹 모두 역사적으로 게르에 거주하며, 여름과 겨울에 거주지를 이동한다.[1]

6. 거주 지역 및 인구

야쿠트인은 주로 러시아 사하 공화국에 거주하며, 아무르주, 마가단주, 사할린주 등 주변 지역에도 거주한다.[6]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그 해 사하 공화국에는 총 466,492명의 야쿠트인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이는 공화국 전체 인구의 49.9%에 해당한다.[7]

7. 야쿠트 관련 작품

프랑스의 프로듀서 엑토르 자수의 1994년 앨범 ''Chansons des mers froides|샹송 데 메르 프루아드프랑스어''(차가운 바다의 노래)에는 "야쿠트의 노래"로서 후두 발성 가수 류드밀라 칸디의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8. 디아스포라

2024년 워싱턴주 시애틀에 비영리 단체인 사하 아메리카 문화 협회가 설립되었다.[3]

사하족은 1820년 캘리포니아주 제너의 포트 로스에서 미국에 임시로 발을 들였다.[4] 18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5], 5명의 사하 남성이 모피 무역 회사인 러시아-아메리카 회사에서 일했으며, 260명이 요새에서 함께 살았다. 이 요새는 러시아인, 알래스카 원주민, 카샤야 포모와 같은 현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을 포함한 다양한 문화의 용광로였다. 사하족은 사냥, 덫, 농업, 건설과 같은 분야에서 요새 운영을 지원하는 다양한 인력의 일부였다. 1860년까지 러시아-아메리카 회사가 1880년대 초 북미 사업을 종료하기 전에 적어도 20명의 사하족이 포트 로스에 살았다.[3]

참조

[1] 서적 Culture incarnate : native anthropology from Russia M.E. Sharpe 1995
[2] 간행물 The Formation of Modern Turkic 'Ethnic' Groups in Central and Inner Asia https://www.jstor.or[...] 2018
[3] 웹사이트 Sakha families gather in Lynnwood to celebrate ancient summer festival https://lynnwoodtoda[...] 2024-06-25
[4] 웹사이트 The Sakha Story at Fort Ross https://www.fortross[...]
[5] 웹사이트 Death in the daily life of the Ross colony https://www.fortross[...]
[6] 뉴스 Republic of Sakha (Yakutia) - General Information http://www.kommersan[...] Kommersant - Russia's Daily Online
[7] 웹사이트 The Republic of Sakha (Yakutia) - overview http://www.russiatre[...] Russia Trek dotcom
[8] 문서 The Western and Eastern Roots of the Saami—the Story of Genetic “Outliers” Told by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s 2004
[9] 웹사이트 Yakuts http://www.nupi.no/c[...] Centre for Russian Studies 2006-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