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연서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연서원은 임진왜란 의병장 곽재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서원이다. 광해군 10년(1618) 충현사로 시작하여 현종 15년(1674) 규모를 확장하였으며, 숙종 3년(1677) 사액서원으로 지정되었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소실된 후 1977년과 1984년에 걸쳐 복원되었다. 현재 곽재우와 곽준의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사당, 강당 등 주요 건물과 제례, 땀 흘리는 비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18년 설립 -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은 호엔촐레른 가문이 통치한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과 프로이센 공국을 중심으로 1618년 동군연합을 이루며 시작되어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선제후의 통치 하에 유럽 강대국으로 성장할 기반을 마련하고 1701년 프리드리히 1세에 의해 프로이센 왕국으로 발전하였다. - 1618년 설립 - 도르트 총회
도르트 총회는 1618년부터 1619년까지 네덜란드 도르트에서 열린 국제적인 종교 회의로, 아르미니우스주의 논쟁을 해결하고 칼뱅주의 5대 강령을 확정하여 네덜란드 개혁 교회의 교리적 입장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대구광역시의 서원 - 달성 도동서원
달성 도동서원은 조선 시대 유학자 김굉필을 추모하기 위해 1568년에 건립되었고 임진왜란 이후 재건되어 1607년에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강학 공간과 제향 공간으로 구성되어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서원 - 구암서원 (대구)
구암서원은 1665년 서침을 기리기 위해 대구에 건립되었으며, 서거정, 서성, 서해, 서사원을 추가로 배향한 대구 시내 서원 중 가장 큰 규모의 서원이다. - 해제된 경상북도의 기념물 - 신숭겸 장군 유적
신숭겸 장군 유적은 고려 개국공신 신숭겸을 기리는 유적으로, 왕건을 구하고 전사한 신숭겸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1993년에 복원되었다. - 해제된 경상북도의 기념물 - 상주 옥동서원
상주 옥동서원은 황희를 배향하고 1518년에 창건되어 1789년에 사액되었으며 17~18세기 서원 건축의 특징을 보여주는 역사적 가치를 지닌 서원이다.
예연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예연서원 |
한자 표기 | 禮淵書院 |
유형 | 대구광역시의 기념물 |
지정 번호 | 11 |
지정일 | 1995년 5월 12일 |
해제일 | 1995년 5월 12일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가태리 538번지 일대 |
시대 | 조선시대 |
면적 | 7,777m2 |
추가 정보 | |
참고 사항 | 1987년 5월 13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74호로 지정 1995년 5월 12일 지정 해제 |
2. 역사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곽재우를 추모하기 위해 1618년(광해군 10년) '충현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세워졌다. 1674년(현종 15년) 서원의 모습을 갖추었고, 1677년(숙종 3년) '예연'이라는 이름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1868년(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고,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었다가 1977년과 1984년에 걸쳐 복원되었다. 현재는 정유재란때 공을 세운 곽재우의 재종숙 곽준의 위패도 함께 모시고 있다. 경내에는 나라에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땀을 흘린다는 비석이 있어 흥미롭다.
2. 1. 건립 초기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했던 곽재우(1552∼1617)의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진 서원이다. 곽재우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조직하여 경상도 일대에서 활약하여 큰 공을 세운 인물로, 붉은 옷을 입은 장군이라는 뜻의 ‘홍의장군’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광해군 10년(1618)에 ‘충현사’로 처음 건립되었고, 현종 15년(1674)에 규모를 확장하여 서원의 모습을 갖추었다.
2. 2. 사액과 확장
1618년 '충현사'로 처음 세워졌고, 현종 15년(1674년)에 규모를 확장하여 서원의 모습을 갖추었다. 숙종 3년(1677년)에 나라에서 인정한 사액서원으로 '예연'이라는 이름을 받았다.2. 3. 훼철과 복원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고 한국 전쟁으로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후 1977년과 1984년에 걸쳐 복원되었으며, 현재는 곽재우의 재종숙으로 정유재란 때 공을 세운 곽준의 위패를 추가로 모시고 있다.3. 주요 인물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했던 곽재우와 정유재란 때 공을 세운 곽준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3. 1. 곽재우
'''곽재우'''(1552~1617)는 조선 선조 때의 의병장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경상도 일대에서 큰 공을 세웠으며, 붉은 옷을 입은 장군이라는 뜻의 ‘홍의장군’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3. 2. 곽준
'''곽준'''(郭䞭, ? ~ ?)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정유재란 때 공을 세웠다. 곽재우의 재종숙이다.4. 경내 건물
경내에는 사당, 강당, 제물을 준비하여 보관하던 고사, 숙소로 사용되던 동·서재 등이 있다.
4. 1. 사당
사당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곽재우와 그의 재종숙으로 정유재란 때 공을 세운 곽준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건물이다.4. 2. 강당
강당은 유림들이 모여 회합을 열거나 교육을 하던 장소로, 중앙에 마루를 두고 양옆에 온돌방을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4. 3. 기타 건물
경내에는 제물을 준비하여 보관하던 고사, 숙소로 사용되던 동·서재 등이 있다.5. 제례 및 기타
禮淵書院중국어에서는 곽재우, 곽준을 기리기 위해 매년 3월과 9월에 제사를 지낸다. 경내에는 나라에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땀을 흘린다는 비석이 있다.
5. 1. 제례
매년 3월과 9월에 곽재우와 곽준을 기리는 제사를 지낸다. 경내에는 나라에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땀을 흘린다는 비석이 있어 흥미롭다.5. 2. 땀 흘리는 비석
경내에는 나라에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땀을 흘린다는 비석이 있어 흥미롭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