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카테린부르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카테린부르크역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분기역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운행하는 열차의 출발지이다. 이 역은 러시아 철도 스베르들로프스크 철도 지사의 거점이며, 4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1997년부터 2001년까지 리뉴얼되었으며, 소련 시대에는 스베르들로프스크역으로 불리다가 2010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과거에는 니콜라이 2세가 로마노프 왕가와 함께 이 역을 통해 이송된 역사의 배경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8년 개업한 철도역 - 레니츠역
레니츠역은 독일 오라니엔부르크에 위치한 베를린 S반의 철도역으로, 1878년 개통 후 1925년 S반 운행이 시작되었으며, 1977년 재건축과 2024년 엘리베이터 설치를 거쳐 현재 S3, S7, S75 노선이 지나는 섬식 승강장 형태를 갖추고 있다. - 1878년 개업한 철도역 - 브리크역
브리크역은 스위스 브리크-글리스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심플론 철도의 동쪽 종착역으로 개통된 이후 심플론 터널, 뢰치베르크 철도, 뢰치베르크 베이스 터널의 개통으로 주요 철도 교통의 중심지가 되어 바젤, 밀라노, 제네바, 베른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을 제공한다. - 예카테린부르크의 교통 - 콜초보 공항
콜초보 공항은 1928년 군용 비행장으로 시작하여 민간에 개방되었고, 1993년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어 3개의 터미널과 2개의 활주로를 갖춘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의 국제공항이다. - 예카테린부르크의 교통 - 우랄 항공
우랄 항공은 1943년 설립되어 아에로플로트 자회사로 운영되다 1993년 분리된 러시아 항공사로, 예카테린부르크와 모스크바를 허브 공항으로 국내외 노선을 운항하며 에어버스 기종으로 대체했으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후 EU 제재로 국제선 운항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예카테린부르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원래 이름 | 로마자 표기: Yekaterinburg–Passazhirskiy 러시아어: Екатеринбург–Пассажирский |
| 일반 정보 | |
| 역 스타일 | 러시아 철도 |
| 유형 | 스베르들롭스크 철도 터미널 |
| 주소 | 예카테린부르크, 러시아 |
| 좌표 | 56°51′32″N 60°36′15″E |
| 플랫폼 | 7개 (6개 섬 플랫폼) |
| 깊이 | 해당 없음 |
| 층수 | 해당 없음 |
| 선로 수 | 15 |
| 주차 가능 여부 | 예 |
| 자전거 보관소 | 해당 없음 |
| 개업일 | 1878년 |
| 폐쇄일 | 해당 없음 |
| 재건축 | 해당 없음 |
| 전철화 여부 | 예 |
| 접근성 | 해당 없음 |
| 코드 | 250302 |
| 소유주 | 러시아 철도 (스베르들롭스크 철도) |
| 구역 | 0 |
| 이전 명칭 | 해당 없음 |
| 승객 수 | 해당 없음 |
| 운영 정보 | |
| 노선 | 해당 없음 |
| 다른 노선 | 해당 없음 |
2. 노선
예카테린부르크 역은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주요 간선 상에 위치한 중요한 분기역이다.[4] 이 역을 통해 러시아 국내 주요 도시뿐만 아니라 유럽과 아시아의 여러 국가를 연결하는 열차가 7개 방향으로 운행된다. 국제선과 국내선 등 다양한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2. 1. 국제 열차
Россия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객차: 북한 평양,
북한 두만강)
중국 베이징 (메인)
몽골 통과
몽골 울란바토르 (객차: 몽골 에르데네트)
몽골 울란바토르 철도
Восток
중국 베이징 (메인)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Зауралье
러시아 쿠르간 (객차: 러시아 첼랴빈스크,
러시아 노보쿠즈네츠크, 카자흐스탄 페트로파블)
카자흐스탄 알마티 (알마티-2)
(객차: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비슈케크-2),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 철도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철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