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가스(OGAS)는 1960년대 초 소련에서 계획된 전 국가 경제 자동화 시스템으로, 당시 미국에서 시작된 인터넷, ARPANET에 자극받아 추진되었다. 빅토르 글루시코프가 주요 설계자로, 전국적인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경제 계획을 자동화하고 전자 결제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재무부의 반대와 정치적 반대로 인해 자금 지원이 거부되어 실패했으며, 이후 비슷한 시도들이 있었지만 소련의 해체와 함께 좌절되었다. 2016년에는 이 프로젝트를 다룬 서적이 출판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통신 - 인터스푸트니크
    인터스푸트니크는 소련의 오르비타-2 위성 방송망을 기반으로 코메콘 회원국들을 위해 설계된 국제 위성 통신 시스템으로, 몰니야-3형 위성에서 고리존트형 정지궤도 위성으로 발전하며 다양한 국가가 회원국으로 참여했다.
  • 소련의 통신 - .su
    .su는 1989년 소련을 위해 만들어졌으나 소련 붕괴 후에도 유지되어 온 인터넷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 사이버 범죄 악용 가능성과 정치적 이용 사례가 있다.
  • 정보 관리 - 이미지 스캐너
    이미지 스캐너는 사진, 문서, 3차원 물체 등을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1860년대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종류와 스캔 요소를 거쳐 발전해 왔고, 문서 처리, 이미지 편집 등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된다.
  • 정보 관리 -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는 기업이 의사 결정을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 및 공유하는 방법론, 프로세스, 아키텍처 및 기술을 의미하며, 데이터 보고, 분석,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되어 성과 지표 관리, 분석, 데이터 공유 및 협업, 지식 관리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목적을 달성하는 데 활용된다.
  • 소련의 경제 - 페레스트로이카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1985년부터 1991년까지 추진한 페레스트로이카는 침체된 소련 경제 회복과 사회주의 체제 개혁을 위한 정치, 경제 개혁 정책이었으나, 경제난 심화, 민족 갈등, 정치적 혼란을 야기하여 소련 붕괴의 한 원인이 되었으며, 냉전 종식과 동구권 민주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사회주의 체제 붕괴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소련의 경제 - 콜호스
    콜호스는 소련 시대에 국가 주도로 설립된 집단 농장으로, 농민들이 강제 편입되어 토지와 자산을 공동 소유했으나 국가 통제하에 운영되었고, 낮은 생산성과 노동량 불균형 등으로 농민들의 삶이 어려웠으며, 소련 해체 후 대부분 해체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존속하거나 변형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오가스
개요
OGAS 시스템 개념도
OGAS 시스템의 개념도
명칭전국 자동 관리 시스템
로마자 표기Obshchegosudarstvennaya avtomatizirovannaya sistema uchota i obrabotki informatsii (OGAS)
목표소련 경제의 운영을 자동화하고 최적화
국가 경제 관리 시스템의 효율성 향상
제안자빅토르 글루시코프
개발 시작1962년
개발 중단1989년
주요 특징계층적 네트워크 구조
데이터 센터 기반
경제 계획 및 자원 배분 모델링
영향인터넷 개발에 영향
사이버네틱스 및 정보 기술 발전에 기여
역사
제안 배경소련 경제의 복잡성 증가와 정보 처리의 필요성 증대
개발 과정1960년대 초, 빅토르 글루시코프가 OGAS 개념 제안
중앙 통계국 및 기타 기관 참여
기술적, 정치적 어려움으로 인해 개발 지연
개발 중단 이유자원 부족
관료주의
정치적 반대
기술적 한계
관련 프로젝트프로젝트 사이버신 (칠레)
인터넷 (미국 국방부)
기술적 특징
네트워크 구조계층적 구조 (모스크바 중앙 데이터 센터 - 지역 데이터 센터 - 기업 데이터 센터)
데이터 센터전국에 걸쳐 데이터 센터 구축 계획
소프트웨어경제 계획 및 관리를 위한 특수 소프트웨어 개발
하드웨어소련 자체 개발 컴퓨터 사용 (BESM-6 등)
정치적 맥락
계획 경제OGAS는 소련의 계획 경제 시스템 강화를 목표로 함
중앙 통제OGAS는 경제 정보의 중앙 집중화를 추구
관료주의관료주의와 정치적 반대가 OGAS 개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평가
장점경제 계획 및 관리 효율성 향상 가능성
정보 기반 의사 결정 지원
자원 배분 최적화 가능성
단점기술적 복잡성 및 구현 어려움
중앙 집중화로 인한 위험
개인 정보 보호 문제
관료주의 및 정치적 저항
유산
영향현대 인터넷 및 정보 기술 발전에 간접적인 영향
교훈대규모 정보 시스템 구축의 어려움과 정치적,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

2. 배경

1964년, 소련에서는 국가적 규모로 생산을 즉시 조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오가스(OGAS) 계획이 제창되었다. 이는 당시 소련 내 약 200개의 거점(노드)을 컴퓨터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기업과 조직을 잇는 야심 찬 구상이었다.

그러나 당시 기술 수준으로는 실현에 막대한 비용이 필요했고, 개혁을 원하지 않는 세력의 반대에 부딪혀 계획은 결국 좌절되었다.

2. 1. 흐루쇼프 시대의 초기 구상

미국에서 인터넷의 시초로 여겨지는 패킷 분산형 네트워크 ARPANET가 시작되자, 이에 영향을 받은 소련 지도부는 컴퓨터 과학자 빅토르 글루시코프(Viktor Glushkov)에게 OGAS 계획 추진을 지시했다[14]

민간용 컴퓨터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첫 구상은 군 연구자인 아나톨리 이바노비치 키토프로부터 나왔다. 그는 당시 막대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던 국세 조사 통계 작업을 효율화하기 위해, 군용 컴퓨터가 사용되지 않는 야간 시간대의 잉여 계산 능력을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키토프는 이 시스템을 '전 국가 경제 자동화 시스템'이라고 불렀다[14]。 당시 소련의 지도자였던 니키타 흐루쇼프는 이 계획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그러나 니키타 흐루쇼프가 정치적으로 실각하면서 계획은 중요한 후원자를 잃게 되었고, 추진 동력이 약화되어 후퇴하게 되었다.

3. 개념

OGAS(러시아어: Обще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учёта и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옵셰고수다르스트벤나야 압토마티지로반나야 시스테마 우초타 이 오브라봇키 인포르마치이rus, 정보 수집 및 처리를 위한 전국 자동화 시스템)는 소련계획 경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구상되었던 전국적인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이다.[3][4]

1962년 빅토르 글루시코프에 의해 처음 제안된 이 시스템은 모스크바의 중앙 컴퓨터 센터를 중심으로 전국 주요 도시에 약 200개의 중간 센터와 20,000여 개의 지역 단말기를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경제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고, 국가 차원의 생산 조정을 최적화하고자 했다.[5] 이는 당시 수작업 서류에 의존하던 비효율적인 계획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는 시도였으며, 나아가 무현금 경제로의 이행까지 고려한 혁신적인 구상이었다.[5][6]

그러나 OGAS 계획은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8], 당시 IT 기술의 한계, 그리고 기존 관료 체제의 변화를 꺼린 일부 세력의 반발[3][4][9]에 부딪혀 1970년 예산 확보에 실패하면서 좌절되었다. 이후에도 유사한 목표를 가진 네트워크 구축 시도가 있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0]

3. 1. 글루시코프의 비전

글루시코프(오른쪽 첫 번째 앉은 사람) 아르메니아 과학 아카데미의 컴퓨터 센터에서


OGAS의 주요 설계자는 빅토르 글루시코프였다. 이보다 앞서 군 연구자였던 아나톨리 키토프는 군용 컴퓨터의 유휴 자원을 국세 조사 통계 처리에 활용하는 '경제 자동 관리 시스템'을 제안했었다. 그러나 이 제안은 군사 정보를 민간 계획가와 공유해야 한다는 우려 때문에 1959년에 거부되었다.[3][4][14] 당시 니키타 흐루쇼프는 키토프의 계획을 적극 지지했으나, 그가 실각하면서 계획은 추진 동력을 잃었다.

글루시코프는 1962년 OGAS 구상을 새롭게 제안했다. 이는 모스크바의 중앙 컴퓨터 센터, 다른 주요 도시에 최대 200개의 중간 센터, 그리고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최대 20,000개의 로컬 터미널을 두는 3단계 네트워크였다. 이 네트워크는 기존 전화선을 이용하여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모든 터미널 간의 상호 통신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글루시코프는 더 나아가 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소련 경제를 무현금 경제로 전환하고 전자 결제 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5]

글루시코프는 당시 소련의 서류 기반 경제 계획 방식이 지속될 경우, 계획 관료주의 규모가 1980년까지 거의 40배 증가할 것이라고 1962년에 예측했다.[6] 그는 1970년 소련 공산당 정치국 회의에서 OGAS 프로젝트의 완전한 시행을 촉구하며 다음과 같이 경고했다.

"만약 우리가 지금 [전체 OGAS]를 하지 않는다면, 1970년대 후반에 소련 경제는 우리가 이 문제로 되돌아가야 할 어려움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7]


글루시코프는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1,000억 루블 이상(2016년 미국 달러 가치로 8500억달러 상당)의 막대한 예산을 요청했다. 그는 초기 15년 투자 비용의 5배에 달하는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주장했다.[8]

그러나 이 야심 찬 프로젝트는 1970년 10월 1일, 글루시코프의 예산 요청이 거부되면서 좌초되었다.[3][4] 1971년 소련 공산당 제24차 대회에서는 본래 이 계획의 시행을 승인할 예정이었으나, 결국 지역 정보 관리 시스템 확대를 승인하는 선에서 마무리되었다.[9] 이후 글루시코프는 EGSVT라는 또 다른 네트워크 계획을 추진했지만, 이 역시 자금 부족으로 실현되지 못했다.[10]

OGAS 제안은 일부 자유주의자들로부터 과도한 중앙 통제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9] 실패의 주된 원인은 관료 조직 내부의 갈등이었다. OGAS는 중앙 통계청의 후원을 받았으나, 재무부 장관 바실리 가르부조프는 이 계획이 자신의 부처 권한을 침해한다고 여겨 강력히 반대했다.[3][4][9]

한편, 비슷한 시기 미국에서는 현재 인터넷의 전신인 패킷 교환 네트워크 ARPANET 개발이 시작되고 있었다. 이에 자극받은 소련 지도부가 글루시코프에게 OGAS 계획 추진을 독려했다는 시각도 있다.[14]

EGSVT마저 실패하자, 1964년 니콜라이 페도렌코는 SOFE(사회주의 경제 최적 기능 시스템)라는 새로운 정보 네트워크 구축을 시도했다. 이는 소련 계획 경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으나, 일부 미시적인 성공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하게 도입되지는 못했다.[10]

4. 실패와 좌절

OGAS 프로젝트는 빅토르 글루시코프가 소련계획 경제를 혁신하기 위해 제안한 야심찬 국가 컴퓨터 네트워크 구상이었다.[5] 1962년 제안된 이 계획은 모스크바의 중앙 센터와 전국적인 터미널을 연결하여 실시간 정보 공유와 경제 계획의 효율화를 목표로 했으며, 나아가 무현금 경제로의 전환까지 염두에 두었다.[5] 글루시코프는 기존의 서류 기반 시스템이 지속될 경우 관료주의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비대해질 것이라고 경고하며 프로젝트의 필요성을 역설했다.[6][7]

그러나 OGAS 프로젝트는 막대한 예상 비용과 당시 기술 수준의 한계, 그리고 무엇보다 변화를 꺼리는 관료들의 저항에 부딪혀 심각한 난관에 봉착했다.[3][4][9] 특히 재무부 등 기존 권력 기관의 반대가 거셌다.[3][4][9] 결국 1970년 10월,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 지원 요청이 공식적으로 거부되면서 OGAS는 사실상 실패로 돌아갔다.[3][4] 이후 소련 공산당 제24차 대회에서는 계획을 대폭 축소하여 지역 정보 시스템 확충만을 승인하는 데 그쳤다.[9] 글루시코프는 이후 EGSVT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계획을 추진했지만 이 역시 자금 부족 등으로 제대로 실행되지 못했다.[10] 1964년 니콜라이 페도렌코가 시도했던 유사한 정보 네트워크 구축 계획인 SOFE 역시 제한적인 성공에 머물렀다.[10]

4. 1. 관료주의적 저항과 정치적 반대



OGAS 프로젝트는 여러 저항과 반대에 부딪혀 결국 실패했다. 이전에도 군 연구자 아나톨리 키토프가 군용 컴퓨터의 유휴 자원을 활용하여 국가 경제 계획을 자동화하는 시스템(전 국가 경제 자동화 시스템)을 제안했으나, 군부가 민간 계획가와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꺼려 1959년에 거부된 바 있다.[3][4][14] 당시 니키타 흐루쇼프는 이 계획을 적극적으로 지지했으나, 그의 실각은 프로젝트 추진 동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OGAS의 주요 설계자인 빅토르 글루시코프는 1962년, 모스크바의 중앙 컴퓨터 센터를 중심으로 주요 도시에 최대 200개의 중간 센터, 그리고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최대 20,000개의 로컬 터미널을 연결하는 3단계 네트워크 구상을 제안했다. 이 네트워크는 기존 전화선을 활용하여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모든 단말기 간의 상호 통신을 지원하는 구조였다. 글루시코프는 더 나아가 이 시스템을 통해 소련을 현금 없는 사회로 전환하고 전자 결제 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5] 그는 당시의 서류 기반 경제 계획 방식이 지속될 경우, 1980년까지 계획 관료주의 규모가 거의 40배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하며 시스템 도입의 시급성을 강조했다.[6]

1970년, 글루시코프는 정치국 위원들에게 OGAS 프로젝트의 완전한 시행을 촉구하며 다음과 같이 경고했다.

"만약 우리가 지금 [전체 OGAS]를 하지 않는다면, 1970년대 후반에 소련 경제는 우리가 이 문제로 되돌아가야 할 어려움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7]


그는 프로젝트에 1,000억 루블 이상(2016년 미국 달러 환산 시 약 8500억달러 상당)의 막대한 예산을 요청했지만, 초기 15년 투자액의 5배에 달하는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주장했다.[8]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OGAS 프로젝트는 1970년 10월 1일, 글루시코프의 자금 지원 요청이 거부되면서 사실상 좌초되었다.[3][4] 1971년 열린 소련 공산당 제24차 대회에서는 당초 계획의 전면적인 시행 대신, 지역 정보 관리 시스템을 확장하는 수준의 계획만을 승인하는 데 그쳤다.[9] 이후 글루시코프는 EGSVT(통합 국가 컴퓨터 센터 네트워크)라는 또 다른 네트워크 계획을 추진했지만, 이 역시 자금 부족으로 제대로 실행되지 못했다.[10]

OGAS 제안은 일부 자유주의자들로부터 과도한 중앙 통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9] 실패의 더 직접적인 원인은 관료들 간의 뿌리 깊은 갈등이었다. 프로젝트는 중앙 통계청의 후원을 받았으나, 재무부 장관 바실리 가르부조프는 자신의 부처 권한이 축소될 것을 우려하여 강력하게 반대했다.[3][4][9]

한편, EGSVT가 실패한 후 1964년 니콜라이 페도렌코는 SOFE(사회주의 경제 최적 기능 시스템)라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 경제 계획에 활용할 정보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했다. 이 프로젝트는 일부 미시적인 수준에서는 성공을 거두었으나 광범위하게 적용되지는 못했다.[10] 비슷한 시기 미국에서는 인터넷의 전신 격인 ARPANET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는데, 소련 지도부는 이에 자극받아 글루시코프에게 OGAS 계획을 추진하게 한 측면도 있다.[14] 결국 OGAS 프로젝트는 기술적 비전에도 불구하고 경직된 관료주의와 정치적 반대의 벽을 넘지 못하고 실패로 돌아갔다.

5. 이후의 시도와 영향

1960년대 초부터 소련 공산당은 기존의 스탈린주의적 명령 계획에서 벗어나 사이버네틱스 원리에 기반한 상호 연결된 전산화된 자원 할당 시스템 개발을 고려했다. 이러한 발전은 정보 분산화와 혁신에 기반한 보다 고도로 발전된 형태의 사회주의 경제의 토대를 형성하고 최적의 계획을 향한 움직임으로 여겨졌다. 이는 소련이 이전 수십 년 동안 이미 달성한 급속한 산업화 이후, 물질 수지 계획 시스템을 넘어서는 논리적인 진전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초, 소련 지도부는 이 시스템이 경제에 대한 당의 통제를 위협한다고 느껴 현 상태를 초월하려는 생각을 포기했다. 결국 1970년대 초에 이 시스템에 대한 공식적인 관심은 종료되었다.[11]

5. 1. 아카뎀세트와 Relcom

1970년대 말, 소련에서는 전국적인 광섬유 및 라디오/위성 디지털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하는 아카뎀세트라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소련의 해체 이전에 실제로 구현된 것은 레닌그라드 지역뿐이었다. 1992년까지 이를 지원하던 소련 컴퓨터는 파괴되었다. 한편, 1990년에는 Relcom이라는 민간 통신 기업의 노력으로 핀란드를 거쳐 전화선을 통해 국가와 독립적인 글로벌 인터넷 연결이 확보되었다.

6. 2016년 서적

2016년, OGAS에 관한 책이 미국에서 출판되었다. 저자는 털사 대학교 교수인 벤자민 피터스이며, 책 제목은 《국가를 네트워크화하지 않는 방법: 소련 인터넷의 불안한 역사》( How Not to Network a Nation: The Uneasy History of the Soviet Interneteng )였다. 하버드 대학교 교수인 조너선 지트레인은 이 책에 대해 "네트워크 혁신에 있어 생성력과 개방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며 인터넷 역사에서 중요한 공백을 메운다"고 평가했다.[12] MIT의 한 서평가는 이 책에 대해 "소련의 국가 컴퓨터 네트워크 구축 시도는 자본가처럼 행동하는 사회주의자들에 의해 무너졌다"고 썼다.[13]

참조

[1] 서적 How not to network a nation : the uneasy history of the Soviet internet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16
[2] 서적 To the Cloud: Big Data in a Turbulent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1-17
[3] 서적 How Not to Network a Nation: The Uneasy History of the Soviet Internet The MIT Press
[4] excerpt from ''How Not to Network a Nation'' The Soviet InterNyet: How the Soviets invented the internet and why it didn't work https://aeon.co/essa[...] 2016-10-16
[5] 서적 How not to network a nation : the uneasy history of the Soviet internet 2016
[6] 서적 How not to network a nation : the uneasy history of the Soviet internet 2016
[7] 서적 How not to network a nation : the uneasy history of the Soviet internet 2016
[8] 서적 How not to network a nation : the uneasy history of the Soviet internet 2016
[9] 저널 InterNyet: why the Soviet Union did not build a nationwide computer network http://web.mit.edu/s[...] 2008-12
[10] 저널 Why the Soviet Internet Failed http://web.mit.edu/c[...] MIT 2008
[11] 문서 InterNyet: why the Soviet Union did not build a nationwide computer network Gerovitch, Slava 2008-12
[12] 서적 How Not to Network a Nation: The Uneasy History of the Soviet Internet MIT Press 2016-03-25
[13] 웹사이트 How Not to Network a Nation | the MIT Press https://mitpress.mit[...]
[14] 웹사이트 The Soviet InterNyet https://aeon.co/essa[...] 2018-12-19
[15] 서적 How Not to Network a Nation: The Uneasy History of the Soviet Internet https://archive.org/[...] MIT Press
[16] excerpt from ''How Not to Network a Nation'' The Soviet InterNyet: How the Soviets invented the internet and why it didn't work https://aeon.co/essa[...] 2016-10-16
[17] 저널 InterNyet: why the Soviet Union did not build a nationwide computer network http://web.mit.edu/s[...] 20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