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터스푸트니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터스푸트니크는 상호경제원조평의회 (코메콘) 국가들을 위해 설계된 위성 통신 시스템이다. 초기에는 소련의 오르비타-2 위성 방송망을 기반으로 설립되었으며, 주요 시스템 및 기술 개발은 NIIR이 담당했다. 몰니야-3형 위성을 사용하다가 1978년부터 고리존트형 정지궤도 위성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부다페스트의 통신연구소(TKI)가 장비 개발에 참여하고, 헝가리와 체코슬로바키아의 공장들이 생산에 참여했다. 현재 회원국은 아프가니스탄, 아제르바이잔, 벨라루스, 불가리아, 캄보디아, 쿠바, 체코, 조지아, 독일, 헝가리, 인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라오스, 몽골, 니카라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시리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크라이나, 베트남, 예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통신 - .su
    .su는 1989년 소련을 위해 만들어졌으나 소련 붕괴 후에도 유지되어 온 인터넷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 사이버 범죄 악용 가능성과 정치적 이용 사례가 있다.
  • 소련의 통신 - 오가스
    OGAS는 1960년대 말 소련에서 제안된 경제 관리 시스템으로, 소련 경제를 무현금 경제로 전환하고 전자 결제를 도입하려 했으나, 관료 간의 갈등과 자금 지원 거부로 실패했다.
  • 소련-인도 관계 - 안토노프 An-32
    안토노프 An-32는 An-26을 기반으로 고온 및 고지대 운용 성능을 강화하고 날개 위쪽에 엔진을 배치하여 이륙 성능을 개선한 쌍발 터보프롭 수송기로, 군용, 상업용, 소방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소련-인도 관계 - 인터코스모스
    인터코스모스는 소련이 주도하여 동맹국들과 함께 유인 및 무인 우주 비행을 통해 과학 실험을 수행하고 우주 기술을 과시하며 동맹국 간 결속을 다진 우주 프로그램이다.
  • 소련-쿠바 관계 - 오가덴 전쟁
    오가덴 전쟁은 1977년부터 1978년까지 소말리아가 에티오피아의 오가덴 지역을 병합하려 침공하면서 발발했으며, 냉전 시대 대리전 양상으로 소련과 쿠바는 에티오피아를, 미국은 소말리아를 지원했고, 결국 소말리아가 패배하여 철수했다.
  • 소련-쿠바 관계 - 쿠바 미사일 위기
    쿠바 미사일 위기는 1962년 10월 소련이 쿠바에 핵미사일을 배치하려 하자 미국과 소련 간에 벌어진 군사적 대립 사건으로, 핵전쟁 직전까지 긴장이 고조되었으나 소련의 미사일 철수와 미국의 터키 미사일 철수 합의로 해소되었으며 냉전 시대 가장 위험한 순간 중 하나로 기록되어 미소 간 군비 통제 협상에 영향을 미쳤다.
인터스푸트니크
기본 정보
인테르스푸트니크 로고
정식 명칭인테르스푸트니크 국제 위성 통신 기구
설립일1971년 11월 15일
상태활동 중
목적국제 위성 통신 서비스
본부모스크바, 러시아
서비스 지역국제
회원국25개 회원국
사용 언어러시아어
사무총장크세니아 드로즈도바
웹사이트intersputnik.int

2. 역사

인터스푸트니크 시스템은 초기에는 소련의 오르비타-2 위성 방송망을 기반으로 상호경제원조평의회(코메콘) 회원국들을 위해 만들어졌다. 시스템과 기술 개발은 주로 NIIR에서 담당했다.[2]

초기에는 고궤도 위성인 몰니야-3형 위성을 사용하다가, 1978년부터 정지궤도 위성인 고리존트형 위성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현대화 과정에서 송신기는 더 발전된 헬리콘형으로, 채널 형성 장비는 "그라디언트-N"으로 교체되었다. 이후 부다페스트의 통신연구소(TKI)도 장비 개발에 참여했고,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 공장들도 생산에 참여했다.[2]

2. 1. 기술 개발

초기 인터스푸트니크 시스템은 소련의 오르비타-2 위성 방송망을 기반으로 설립되었으며, '''상호경제원조평의회(코메콘)'''에 참여하는 국가들을 위해 설계되었다. 주요 시스템 및 기술 개발은 NIIR이 담당했고, 수신 장비는 모스크바 무선공학 공장에서, 안테나-급전 장치는 포돌스크 전기기계 공장에서, 송신 및 채널 형성 장비는 크라스노야르스크 TV 공장에서 제작되었다.

초기 버전에서 인터스푸트니크는 고궤도 위성인 몰니야-3형을 사용했으며, 1978년부터 정지궤도 위성인 고리존트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지구국에서는 "그라디언트-K" 송신기와 RS-1, RS-2 채널 형성 장비를 갖춘 "오르비타-2" 수신 단지가 운영되었다. 현대화 과정에서 송신기는 3kW급의 더욱 현대적인 헬리콘형으로 교체되었고, 새로운 채널 형성 장비인 "그라디언트-N"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부다페스트의 '''통신연구소(TKI)'''가 인터스푸트니크 장비 개발에 참여했고,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의 공장들이 생산에 참여하게 되었다.[2]

2. 2. 협력 확대

초기 인터스푸트니크 시스템은 소련의 오르비타-2 위성 방송망을 기반으로 설립되었으며, 코메콘에 참여하는 국가들을 위해 설계되었다. 주요 시스템 및 기술 개발은 NIIR이 담당했고, 수신 장비는 모스크바 무선공학 공장에서, 안테나-급전 장치는 포돌스크 전기기계 공장에서, 송신 및 채널 형성 장비는 크라스노야르스크 TV 공장에서 제작되었다.

초기 버전에서 인터스푸트니크는 고궤도 위성인 몰니야-3형을 사용했으며, 1978년부터 정지궤도 위성인 고리존트형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지구국에서는 "그라디언트-K" 송신기와 RS-1, RS-2 채널 형성 장비를 갖춘 "오르비타-2" 수신 단지가 운영되었다. 현대화 과정에서 송신기는 3kW급의 더욱 현대적인 헬리콘형으로 교체되었고, 새로운 채널 형성 장비인 "그라디언트-N"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부다페스트의 통신연구소(TKI)가 인터스푸트니크 장비 개발에 참여했고,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의 공장들이 생산에 참여하게 되었다.[2]

3. 회원국

Интерспутник|인터스푸트니크ru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3]



참조

[1] 웹사이트 Directorate http://intersputnik.[...] 2021-03-04
[2] 웹사이트 Intersputnik system http://r91353ba.bege[...] 2021-03-04
[3] 웹사이트 Member Countries https://intersputnik[...] 2022-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