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도비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르도비케스는 고대 브리튼의 켈트족 부족으로, 망치를 의미하는 단어와 어원을 공유하는 이름이다. 이들은 현재의 북웨일스 지역에 거주했으며, 지리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아일랜드해에서 북해까지 뻗어 있는 세 개의 부족 영토 중 서쪽 땅을 점령했다고 기록했다. 오르도비케스는 로마의 침략에 저항했으며, 50년대에는 카라타쿠스의 지휘 아래 로마에 대항했다. 70년대에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총독 아그리콜라에게 진압당했다. 1879년, 찰스 랩워스는 오르도비케스의 옛 영토에서 발견된 암석을 연구하여 오르도비세스 지질 시대를 명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일스의 고대사 - 실루레스
철기 시대 웨일스 남부에 거주하며 로마에 격렬히 저항했던 켈트계 부족인 실루레스는 로마 지배 후 로마화되어 웨일스 왕국들의 기원이 되었고, 부족명은 지질 시대인 실루리아기의 명칭으로도 사용되었다. - 브리튼인 - 실루레스
철기 시대 웨일스 남부에 거주하며 로마에 격렬히 저항했던 켈트계 부족인 실루레스는 로마 지배 후 로마화되어 웨일스 왕국들의 기원이 되었고, 부족명은 지질 시대인 실루리아기의 명칭으로도 사용되었다. - 브리튼인 - 헨 오글레드
헨 오글레드는 5세기 후반부터 7세기까지 잉글랜드 북부와 스코틀랜드 남부에 존재했던 브리튼족의 왕국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로마 제국 멸망 후 브리튼족이 앵글로색슨족 등의 침입에 맞서 유지했던 알트 클루트, 엘멧, 고도딘, 레게드 등의 왕국으로 구성되었으며 웨일스 전통, 문헌 자료 등을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오르도비케스 | |
---|---|
기본 정보 | |
위치 | 웨일스 북부 |
민족 | 켈트족 |
주요 활동 시기 | 기원전 6세기 ~ 서기 1세기 |
언어 | 켈트어 |
주요 거주 지역 | 현재의 웨일스 북부 지역 |
역사 | |
기원 | 기원전 6세기 경 |
로마와의 충돌 | 서기 1세기 |
사회 | |
계급 구조 | 알려진 바 없음 |
문화 | 켈트 문화 공유 |
종교 | 켈트 신화 |
기타 | |
관련 유적 | 웨일스 북부 지역의 고고학 유적지 |
현대의 관련성 | 웨일스 역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됨 |
2. 어원
켈트어 이름 ''*ordo-wik-''*는 '망치로 싸우는 전사들'을 의미하며, '망치'라는 단어와 동계어이다. 아일랜드어 ordgle, 웨일스어 gorddcym (두음 첨가 ''g-''), 브르타뉴어 horzhbre (두음 첨가 ''h-'') 와 관련이 있다. 또한 고대 아일랜드어 fichidsga(싸우다)와도 같은 의미 계열로 볼 수 있다 (Lemovices, Eburovices 비교). 존 에드워드 로이드는 이 부족의 이름이 북웨일스의 지명 https://www.peoplescollection.wales/items/6057 디나스 디노르위그("오르도비케스 요새")의 요소 ''-orwig'', ''-orweg''로 보존되었다고 제안했지만,[1] 그래프턴 멜빌 리차드는 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2]
브리간테스 부족의 남쪽 지역에 대해, 지리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아일랜드해에서 북해까지 이어지는 세 부족의 영토를 기록했다. 이 중 오르도비케스는 서쪽 땅을 차지했으며, 두 개의 주요 도시가 있었다. 하나는 브라노게니움으로, 런던에서 195 로마 마일 거리에 위치하며 현재의 레인트워딘 지역으로 추정된다. 다른 하나는 메디올라눔으로, 런던에서 200 로마 마일 거리에 있으며 현재의 메이포드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 두 도시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3] 오르도비케스 부족 영토의 경계 역시 명확하지 않다. 현재의 웨일스 파위스 지역을 넘어 잉글랜드 미들랜드 지역까지 확장되었거나, 혹은 디피강과 디강 북쪽 지역에 한정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
오르도비케스는 로마 제국의 브리타니아 침공에 맞서 싸운 켈트 부족 중 하나였다. 초기 저항은 메드웨이 전투에서 패배한 후 오르도비케스 영토로 피신한 켈트족 지도자 카라타쿠스가 이끌었다. 카라타쿠스는 오르도비케스와 인접한 실루레스 부족 연합의 군사 지도자가 되었고, 서기 50년대에는 로마 제국에 의해 공공의 적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카라타쿠스의 마지막 전투에서 로마 총독 푸블리우스 오스토리우스 스카풀라에게 패배하여 로마로 압송되었다.
1879년, 영국의 선구적인 지질학자 찰스 랩워스는 자신이 연구하던 암석이 웨일스 북부의 오르도비케스족의 옛 영토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 부족의 이름을 따서 오르도비스기 지질 시대의 이름을 지었다.
[1]
웹사이트
A History of Wale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dwardian conquest - National Library of Wales
https://www.library.[...]
2024-01-31
3. 영역
4. 역사
서기 70년대에 오르도비케스는 로마의 지배에 반기를 들고 로마 기병대를 섬멸하는 전과를 올렸다. 이들의 저항은 당시 브리타니아 총독이었던 아그리콜라의 강력한 군사적 대응을 불러왔다.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는 아그리콜라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오르도비케스를 공격하여 부족 거의 전체를 학살했다고 기록했다.[5] 아그리콜라는 이어서 앵글시 섬까지 정복했다. 이 결정적인 전투가 벌어진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메나이 해협 근처의 언덕 요새 디나스 디노르위그가 관련 유적으로 추정된다.[6]
5. 지질학
참조
[2]
간행물
Some Welsh place-names containing elements which are found in Continental Celtic
https://www.persee.f[...]
1972
[3]
논문
Ptolemy's Britain and Ireland: A New Digital Reconstruction
https://www.research[...]
2018-05
[4]
문서
J.E.Lloyd and his intellectual legacy; the tribes of Wales reconsidered
https://www.library.[...]
2015
[5]
웹사이트
Cornelius Tacitus, the Life of Cnæus Julius Agricola, chapter 18
https://www.perseus.[...]
[6]
웹사이트
Dinas Dinorwig Hillfort
https://coflein.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