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루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루레스는 고대 웨일스에 거주했던 철기 시대 부족으로, 로마 제국의 지배에 격렬하게 저항했다. 이름의 기원은 켈트어 어근에서 유래되었으며, '친족' 또는 '혈통'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 이전 시대에는 어두운 피부색과 곱슬머리를 가진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언덕 요새와 원형 가옥과 같은 유물을 남겼다. 로마의 침공에 맞서 카라타쿠스의 지휘 아래 게릴라전을 펼쳤으나, 결국 섹스투스 율리우스 프론티누스에 의해 진압되었다. 로마 지배 이후에는 벤타 실루룸을 수도로 삼아 로마화되었으며, 문화적 연속성을 유지하며 웬트 왕국 등으로 발전했다. 지질 시대의 실루리아기는 이들의 땅에서 발견된 암석을 기반으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일스의 고대사 - 오르도비케스
오르도비케스족은 고대 브리타니아의 "망치로 싸우는 전사들"을 뜻하는 켈트족 부족으로, 그들의 옛 영토에서 유래된 오르도비스기의 명칭과 카라타쿠스의 피신, 로마에 대한 반란과 진압 등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 고대 켈트족 - 브리간테스
브리간테스는 고대 브리타니아 북부를 지배한 켈트족의 일파로, 로마의 브리타니아 침공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여왕 카르티만두아와 그녀의 남편 베누티우스 간의 갈등과 로마에 대한 저항으로 알려져 있다. - 고대 켈트족 - 리구리아인
리구리아인은 고대 로마 시대 이전에 이탈리아 북서부와 프랑스 남부에 거주하며 농업, 상업 활동을 하였고, 켈트족의 영향을 받았으며, 로마에 복속되어 로마 군대의 보조병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 브리튼인 - 오르도비케스
오르도비케스족은 고대 브리타니아의 "망치로 싸우는 전사들"을 뜻하는 켈트족 부족으로, 그들의 옛 영토에서 유래된 오르도비스기의 명칭과 카라타쿠스의 피신, 로마에 대한 반란과 진압 등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 브리튼인 - 헨 오글레드
헨 오글레드는 5세기 후반부터 7세기까지 잉글랜드 북부와 스코틀랜드 남부에 존재했던 브리튼족의 왕국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로마 제국 멸망 후 브리튼족이 앵글로색슨족 등의 침입에 맞서 유지했던 알트 클루트, 엘멧, 고도딘, 레게드 등의 왕국으로 구성되었으며 웨일스 전통, 문헌 자료 등을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실루레스 | |
---|---|
개요 | |
![]() | |
위치 | 현재의 웨일스 남부와 잉글랜드 국경 지역 |
주요 거점 | 불라에움 (Burrium, 현재의 Usk) 벤타 실루룸 (Venta Silurum, 현재의 카에르웬트) |
명칭 | |
로마자 표기 | Silures |
어원 | 아마도 "승리" 또는 "영웅"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 |
역사 | |
기원 | 철기 시대에 웨일스 남부에 거주 벨가에족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 존재 |
로마의 침공 | 서기 48년경, 로마 제국의 침공에 격렬하게 저항 카락타쿠스의 지휘 하에 저항 |
주요 전투 | 서기 51년, 로마군에게 패배 카락타쿠스는 로마에 포로로 잡힘 |
로마의 지배 | 로마의 지배 하에 놓임 로마화 과정 겪음 |
반란 | 여러 차례 반란 발생 특히 서기 69~70년 사이에 큰 반란 발생 |
로마 제국 멸망 이후 | 웨일스 지역의 일부로 남음 이후 웨일스 왕국들의 형성에 영향 |
문화 | |
언어 | 켈트어 계통의 언어 사용 (구체적인 언어는 불명) |
사회 | 전사 중심의 사회 부족 단위로 생활 |
종교 | 켈트 신화를 믿었을 것으로 추정 |
유적 | |
주요 유적지 | 카에르레온 (로마군 요새) 카에르웬트 (로마 시대 도시) |
기타 | |
관련 인물 | 카락타쿠스 |
2. 명칭의 기원
라틴어 Silures|실루레스la는 켈트어 기원으로, 아마도 공통 켈트어 어근 에서 파생되었을 것이다. 이 어근에서 파생된 켈트어족 단어들 (예: 고대 아일랜드어 síl|실sga, 웨일스어 hil|힐cy)은 '혈통, 후손, 계보, 자손'을 의미하며, 식물학적 의미의 '씨앗'도 뜻한다. 따라서 실루레스는 '친족, 혈통'을 의미할 수 있으며, 아마도 기원 조상으로부터의 혈통에 대한 부족의 믿음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6] 파트리치아 데 베르나르도 스템펠은 실루레스가 원래 으로 불렸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카투벨라우니의 군사 지도자이자 왕자였던 카라타쿠스는 자신의 부족이 패배한 후 동쪽으로 도망쳐 와, 서기 48년경부터 실루레스를 지원하며 로마의 정복에 격렬하게 저항했다.
3. 역사
서기 48년경 레가투스 푸블리우스 오스토리우스 스카풀라는 웨일스 부족에 대한 첫 번째 공격으로 현재 웨일스 북동부에 있는 데케앙글리를 공격했지만, 이 분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실루레스와 오르도비케스를 상대로 몇 년 동안 작전을 수행했다. 로마인들에게 정복당했을 때 남동쪽(현재 잉글랜드)에서 도망쳐 온 카라타쿠스는 먼저 실루레스를 이끌었고, 그 후 오르도비케스의 영토로 이동하여 서기 51년에 오스토리우스에게 패배했다.
그러나 실루레스는 진압되지 않았고, 로마군에 대해 효과적인 게릴라전을 벌였다. 오스토리우스는 그들이 너무 위험하여 섬멸하거나 이주시켜야 한다고 발표했다. 그의 위협은 실루레스의 저항 의지를 더욱 높였다. 그들은 자신들의 영토에 로마 요새를 건설하는 데 몰두해 있는 대규모 군단을 포위 공격했으며, 다른 병력이 간신히, 그리고 상당한 손실을 입고서야 구출되었다. 실루레스는 또한 로마 포로를 인질로 잡아 인접 부족에게 분산시켜 그들을 결속하고 저항을 장려했다.
오스토리우스는 실루레스가 여전히 정복되지 않은 채 사망했다. 그의 사후, 그들은 제2 군단을 격파했다. 실루레스가 군사적으로 패배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협상에 동의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로마 자료에 따르면 서기 78년경 일련의 작전에서 섹스투스 율리우스 프론티누스에 의해 결국 진압되었다고 모호하게 시사하고 있다. 로마의 타키투스는 실루레스에 대해 ''non atrocitate, non clementia mutabatur'' - "부족은 잔혹함으로도, 관대함으로도 변하지 않았다"라고 썼다.
로마 행정부는 지역 반대 세력을 억누르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부족 영토 한가운데 군단 요새(이후 카엘레온)를 건설했다.
서기 75년에 벤타 실루룸(케르웬트, 쳅스토우에서 서쪽으로 약 9.66km 떨어진 곳)이 건설되었다. 1세기 말과 2세기 초에 실루레스는 명목상의 독립과 지역 행정에 대한 책임을 부여받았다.
케르웬트는 로마 시대 이후에도 종교 중심지로 계속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실루레스의 영토는 이후 5세기의 웨일스 왕국인 웬트 왕국, 브리체이니오그, 그윈루그로 발전했다. 아서 왕에 대한 몇몇 이론은 그를 이 지역의 지도자로 본다.
3. 1. 로마 이전 시대
타키투스가 쓴 아그리콜라 전기에 따르면, 실루레스는 일반적으로 어두운 피부색과 곱슬머리를 가지고 있었다. 타키투스는 그들의 외모를 보고 그들이 더 이른 시기에 스페인에서 건너왔다고 믿었다.[3] 요르다네스는 그의 저서 고트족의 기원과 행적에서 실루레스를 "검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곱슬 검은 머리를 가지고 태어났다"라고 묘사했다.
철기 시대의 언덕 요새인 란멜린은 케르벤트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때때로 로마 이전의 부족 중심지라고 추정되었다.[4] 그러나 일부 고고학자들은 실루레스로 알려진 사람들은 중앙 집권 사회라기보다는 일부 공통된 문화적 가치를 공유하는 느슨한 집단 네트워크였다고 믿는다. 실루레스의 가장 명백한 물리적 유물은 란멜린과 서드브룩과 같은 언덕 요새이지만, 게헬로그, 손웰 (체프스토) 등의 원형 가옥과 골드클리프를 비롯한 저지대 점령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도 있다.[5]
철기 시대 부족 중 오늘날 가장 잘 알려진 웨일스의 부족은 웨일스 선(先) 켈트족(Goidelic) 실루레스 부족이다. 기원전 800년부터 거의 천 년 동안 같은 지역에 거주했으며, 이는 로마의 침공보다 여러 세기 앞선 시기였다. 웨일스 부족의 초기 기록된 지도자는 카라타쿠스로, 그는 카투벨라우니 부족 출신이었다. 그는 현재 잉글랜드에서 도망쳐 자신의 부족이 전투에서 패배한 로마에 대항하기 위해 실루레스 부족과 연합했다. 그러나 남동 웨일스에서 또 다른 패배를 겪은 후 그는 다시 도망쳐 북웨일스의 오르도비체스 부족과 동맹을 맺었다. 웨일스 실루레스 부족은 말번 언덕에 거주했으며, 푸블리우스 오스토리우스 스카풀라와 로마군에 대항하기 위해 토루를 건설했다. 그러나 서기 78년, 프론티누스와 그의 군대가 이끌던 로마군은 언덕 요새를 침공하여 실루레스 부족을 격파했고, 아리코니움 로마 요새에서 300년 더 거주했다.[7][8][9] 5세기에 왕으로 등장한 사람은 클리도그였다.[10]
3. 2. 로마와의 항쟁
카라타쿠스의 지원을 받은 실루레스는 서기 48년경 로마의 정복에 격렬하게 저항했다. 카라타쿠스는 카투벨라우니의 군사 지도자이자 왕자였으며, 자신의 부족이 패배한 후 동쪽으로 도망쳐 왔다.[7][8][9]
서기 48년경 레가투스 푸블리우스 오스토리우스 스카풀라는 웨일스 부족에 대한 첫 번째 공격으로 현재 웨일스 북동부에 있는 데케앙글리를 공격했지만, 이 분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실루레스와 오르도비케스를 상대로 몇 년 동안 작전을 수행했다. 그들의 저항은 로마인들에게 정복당했을 때 남동쪽(현재 잉글랜드)에서 도망쳐 온 카라타쿠스가 이끌었는데, 그는 먼저 실루레스를 이끌었고, 그 후 오르도비케스의 영토로 이동하여 서기 51년에 오스토리우스에게 패배했다.[7][8][9]
그러나 실루레스는 진압되지 않았고, 로마군에 대해 효과적인 게릴라전을 벌였다. 오스토리우스는 그들이 너무 위험하여 섬멸하거나 이주시켜야 한다고 발표했다. 그의 위협은 실루레스의 저항 의지를 더욱 높였다. 그들은 자신들의 영토에 로마 요새를 건설하는 데 몰두해 있는 대규모 군단을 포위 공격했다. 다른 병력이 간신히, 그리고 상당한 손실을 입고서야 구출되었다. 실루레스는 또한 로마 포로를 인질로 잡아 인접 부족에게 분산시켜 그들을 결속하고 저항을 장려했다.[7][8][9]
오스토리우스는 실루레스가 여전히 정복되지 않은 채 사망했다. 그의 사후, 그들은 제2 군단을 격파했다. 실루레스가 군사적으로 패배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협상에 동의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로마 자료에 따르면 서기 78년경 일련의 작전에서 섹스투스 율리우스 프론티누스에 의해 결국 진압되었다고 모호하게 시사하고 있다. 로마의 타키투스는 실루레스에 대해 ''non atrocitate, non clementia mutabatur'' - "부족은 잔혹함으로도, 관대함으로도 변하지 않았다"라고 썼다.[7][8][9]
3. 3. 로마의 지배와 동화
지역 반대 세력을 억누르기 위해 부족 영토 한가운데 군단 요새(이후 카엘레온)가 건설되었다.
서기 75년에 벤타 실루룸(케르웬트, 쳅스토우에서 서쪽으로 약 9.66km 떨어진 곳)이 건설되었다. 이곳은 칼레바 아트레바텀(실체스터)과 유사하지만 더 작은 로마화된 도시였다.[2] 명문에 따르면 로마 제국 시대에 이곳은 실루레스의 수도였으며, ''ordo''(지역 의회)가 지방 정부를 제공했다.[2] 거대한 로마 성벽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발굴을 통해 포럼, 신전, 목욕탕, 원형 극장, 상점, 모자이크 바닥이 있는 편안한 주택 등이 발견되었다.[2] 1세기 말과 2세기 초에 실루레스는 명목상의 독립과 지역 행정에 대한 책임을 부여받았다. 명문에서 드러나듯이 로마인들은 그들의 신을 지역의 실루리아 신들과 일치시켰으며, 지역 신 오셀루스는 로마의 전쟁 신인 마르스와 동일시되었다.[5]
케르웬트는 로마 시대 이후에도 종교 중심지로 계속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실루레스의 영토는 이후 5세기의 웨일스 왕국인 웬트 왕국, 브리체이니오그, 그윈루그로 발전했다. 아서 왕에 대한 몇몇 이론은 그를 이 지역의 지도자로 본다. 실루레스에서 특히 웬트 왕국에 이르기까지 로마 시대 전반에 걸쳐 문화적 연속성이 있다는 증거가 있는데, 이는 웬트의 지도자들이 영국 영웅 카라타쿠스를 기리기 위해 "카라독"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것에서 나타난다.[5]
4. 유산
이 시기의 켈트족 역사를 "실루리안"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언급하기도 한다. 남웨일스 출신 시인 헨리 본은 자신을 "실루리스트"라고 불렀다.
지질 시대 실루리아기는 원래 실루레스족의 땅에서 발견된 암석에서 로데릭 머치슨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1] 실루리아기는 캄브리아기와 오르도비스기 이후의 시대로, 이들의 이름 역시 고대 웨일스에서 유래되었다.[1]
참조
[1]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Pearson Longman
2008-04-03
[2]
간행물
Silures
[3]
서적
The Agricola and Germany of Tacitus, and the Dialogue on Oratory
https://archive.org/[...]
Macmillan & Co.
1899
[4]
웹사이트
Roman-Britain.co.uk on Llanmelin
https://www.roman-br[...]
[5]
서적
Gwent In Prehistory and Early History: The Gwent County History Vol.1
2004
[6]
서적
Continental Celtic Word Formation: the Onomastic Data
Ediciones Universidad de Salamanca
[7]
서적
Royal Wales
University of Wales Press
[8]
서적
The history of Ewias Harold
https://www.ewyaslac[...]
Jakeman & Carver
1861
[9]
웹사이트
Hill forts on the Malvern hills
https://malvernmuseu[...]
2024-11-04
[10]
서적
A Welsh Classical Dictionary: People in History and Legend Up to about A.D. 1000
https://www.library.[...]
National Library of Wal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