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526년~156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526년~1568년)은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왕가 간에 벌어진 일련의 무력 충돌로, 헝가리 왕국의 분할과 합스부르크 왕가의 헝가리 지배권 다툼을 주요 배경으로 한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헝가리가 패배한 후,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를 점령하고, 합스부르크 왕가는 헝가리 왕위 계승을 주장하며 전쟁이 시작되었다. 빈 공방전, 쾨세그 포위전 등 주요 전투를 거치며 헝가리는 오스만 제국령, 합스부르크령,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분할되었다. 1568년 에디르네 조약으로 휴전이 이루어졌지만, 국경 분쟁은 지속되었으며, 이 전쟁은 유럽 세력 균형에 영향을 미치고 헝가리에 인구 감소, 문화적 변화, 종교적 갈등을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 1527년 헝가리 전역
1527년 헝가리 전역은 모하치 전투 이후 루이 2세 사망으로 헝가리 왕위 계승을 놓고 페르디난트 1세와 서포여이 야노시가 쟁탈전을 벌이면서 헝가리가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 트란실바니아로 분열된 사건이다. -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 세상이 망할지라도 정의를 행하라
세상이 망할지라도 정의를 행하라는 정의를 옹호하는 격언으로, 다양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나타나 사회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관련 논쟁이 존재한다. - 17세기 - 17세기 철학
17세기 철학은 새로운 자연과학의 등장으로 인간관과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기계론적 자연관이 발전하고 대륙합리론과 경험론으로 대표된다. - 17세기 - 장기전 (오스만 전쟁)
1593년부터 1606년까지 합스부르크 군주국과 오스만 제국 간에 벌어진 장기전은 비하치 함락으로 시작되어 비엔나 점령을 노린 오스만과 헝가리 왕국 탈환을 시도한 합스부르크 간의 충돌로, 왈라키아의 미하이 용감공 활약, 바나트 봉기, 신성 동맹 결성 등을 거쳐 지트바토로크 조약으로 합스부르크-오스만 국경 안정 및 트란실바니아 독립 확인으로 마무리되었다. - 헝가리가 참전한 전쟁 - 대튀르크 전쟁
대튀르크 전쟁(1683년-1699년)은 오스만 제국과 신성 동맹 간의 전쟁으로, 신성 동맹의 승리로 오스만 제국은 유럽에서 상당한 영토를 상실하고 쇠퇴의 길로 접어들었으며 유럽의 세력 균형을 재편하고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서막을 알렸다. - 헝가리가 참전한 전쟁 - 테러와의 전쟁
"테러와의 전쟁"은 9·11 테러 이후 미국과 동맹국들이 특정 테러 집단 및 정권에 대해 벌인 군사 작전을 지칭하는 용어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광범위한 군사 개입과 안보 강화 노력을 포함하지만, 테러 조장 우려와 논란으로 사용이 줄고 있으며, 정의와 효과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1526년~1568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분쟁 개요 | |
관련 전투 목록 | |
2. 헝가리 분할과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의 서막 (1526년-1527년)
1526년 이전까지 합스부르크 가문은 오스만 제국과 직접적인 충돌이 없었다. 헝가리 왕국이 1366년부터 1526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진격을 막아내고 있었기 때문이다.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헝가리 왕국이 패배하면서 헝가리는 권력 공백 상태에 놓였다. 헝가리 귀족들은 서포여이 야노시를 헝가리 왕으로 추대했지만, 합스부르크 가문의 페르디난트 1세도 헝가리 왕위를 요구했다.
1537년, 오스트리아군은 헝가리를 점령하기 위해 침입했지만 다코보 전투에서 재앙과 같은 패배를 당했고, 1538년에 새로운 나기바라드 조약이 체결되었다.[4] 1540년 야노슈 사포야이 사후 그의 영토는 야노슈 지그몬드에게 상속되었다. 조약을 이끌어내기 위해 오스트리아군은 부다로 진격했지만, 1541년 부다 공방전 (1541년)에서 오스만군에게 패배한다.[4]
1556년, 오스만 제국의 부다 총독 알리 파샤는 시게트바르를 포위 공격했지만, 성주 마르코 호르바트 스탄치치(Marko Horvat Stančićhr)는 이를 막아냈다.[17] 7월 18일, 합스부르크 군대는 시게트바르 서쪽 45km 지점에 있는 바보차의 오스만 요새를 포위했다. 헝가리 팔라티누스(부관) 타마스 나다스디와 크로아티아 반(총독) 니콜라 IV 즈린스키가 지휘를 맡았다. 알리 파샤는 병력을 이끌고 바보차로 향했지만, 7월 23~24일 리냐 강 전투에서 즈린스키에게 패배했다. 이후 오스만군은 시게트바르 포위를 풀고 퇴각했다.[18]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이 헝가리 왕국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헝가리는 혼란에 빠졌다. 헝가리 귀족들은 서포여이 야노시를 왕으로 추대했지만, 합스부르크 가문의 페르디난트 1세 역시 헝가리 왕위를 요구하며 헝가리를 침공했다.
[1]
지도
https://ujkor.hu/wp-[...]
그러나 1526년, 오스만 제국은 모하치 전투에서 로요슈 2세가 이끄는 헝가리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의 패배로 헝가리 왕국의 독립은 끝이 났다. 오스만군은 부더에 입성하여 주변 지역을 약탈했지만, 이후 그곳에서 철수했다. 헝가리는 권력 공백 상태에 놓였다.
헝가리 귀족들은 서포여이 야노시를 헝가리 왕으로 추대했다. 그러나 야기에우워 왕가와 합스부르크 가문은 1515년 이후 혼인 관계로 연결되어 있었다. 따라서 페르디난트 1세는 헝가리의 성관을 요구할 수 있었다.
보헤미아, 실레지아, 모라바, 크로아티아 일부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통치 하에 있었다. 이듬해 페르디난트 1세는 왕위를 요구하며 헝가리를 침입했다.
3. 초기 전역 (1527년-1532년)
1527년, 페르디난트 1세는 헝가리를 침공하여 죄르, 코마롬, 에스테르곰, 부더, 세케슈페헤르바르 등 주요 도시를 점령했다.[2] 서포여이 야노시는 폴란드로 망명하여 도움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하고, 오스만 제국의 슐레이만 대제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오스만 제국의 봉신이 되기로 약속했다.
1529년, 슐레이만 대제는 헝가리를 지원하고 오스트리아를 견제하기 위해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원정을 시작했다. 슐레이만 대제는 서포여이 야노시와 합류하여 부더를 탈환하고 빈을 포위했다.[2] 그러나 때 이른 폭설과 보급 문제로 인해 오스만군은 빈 함락에 실패하고 퇴각했다.
1530년, 페르디난트 1세는 반격을 시작하여 헝가리 내 몇몇 도시들을 재탈환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532년, 슐레이만 대제는 다시 한번 빈을 포위하기 위해 진군했으나, 쾨세그에서 니콜라 유리시치가 이끄는 소규모 수비대의 저항에 막혀 시간을 허비하고 퇴각했다.[2]
1533년, 콘스탄티노플 조약이 체결되어 서포여이 야노시는 오스만 제국의 봉신으로서 헝가리 왕으로 인정받았고, 오스만 제국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헝가리 내 영토를 인정했다.[4]
4. 중기 전역 (1537년-1552년)
1543년 4월, 슐레이만은 헝가리에 대한 새로운 전역을 시작했다. 오스만군은 브란(Bran)과 몇몇 요새들을 점령했고 이로써 헝가리 대부분이 오스만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1543년 8월, 오스만군은 에스테르곰 공방전에서 승리했다. 이어 1543년 9월에는 헝가리 왕의 대관식이 거행되는 곳인 세케슈페헤르바르를 점령했다.[11] 오스만군은 전역 중 부다의 방어를 위해 시클로스, 세게드를 점령했다.[10][12] 1547년, 에디르네 조약 (1547년)이 체결되었고 합스부르크령 헝가리의 국경선은 약간 뒤로 이동했다.
1550년, 트란실바니아의 실질적 지배자인 마르티누지는 오스트리아와 오스만을 헝가리에서 쫓아내기 위한 협정을 맺었다. 전역 초기에 동맹군은 성공을 거두었지만 이후 더 많은 패배를 겪는다. 1551년 12월, 마르티누지가 오스만 제국에 대한 조공을 다시 시작하자 페르디난트는 그를 암살했다.
전쟁은 합스부르크군이 에게르 공방전에서 중요한 상징적 승리를 거둔 뒤 끝이 났다. 1552년, 두 개의 오스만 군대가 헝가리 왕국으로 국경을 넘었다. 하딤 알리 파샤가 이끄는 군대는 국가의 서부와 중부를 상대로 작전을 시작했으며, 카라 아흐메드 파샤가 이끄는 두 번째 군대는 바나트 지역의 요새를 공격했다. 하딤 알리 파샤는 베스프렘 성을 포위하여 6월 2일에 점령했다. 알리 파샤의 군대는 7월 6일 아침에 드레겔리 성 아래에 도착했다. 드레겔리의 함락은 혼트와 노그라드 주의 성들이 연쇄적으로 패배하는 시발점이 되었다.
오스만 군대는 두 주에 걸쳐 있는 성의 90%를 단기간에 정복했다. 작전 중에 그들은 티미쇼아라, 베스프렘, 세체니, 홀로쾨, 부야크, 리파, 루고스, 카란세베스, 드레겔리, 그리고 몇 개의 작은 요새들을 점령했다. 이 이끄는 합스부르크 군대는 플라슈토브체에서 오스만 군대를 막으려고 늦게 시도했지만, 이틀간의 전투에서 완전히 패배했고, 4,000명의 독일 및 이탈리아 포로들이 이스탄불로 강제 이송되었다. 두 군대는 졸노크 아래에서 합류하여 졸노크 성을 포위하고 점령한 후, 상 헝가리의 관문인 에게르를 향했다. 1552년에 술레이만의 연합군은 에게르를 포위했지만, 이슈트반 도보가 이끄는 수비대는 공격을 격퇴하고 에게르 성을 방어했다.
5. 시게트바르 공방전과 이후 (1556년-1593년)
1561년 마르크 호르바트가 사망하자, 니콜라 IV. 즈린스키가 시게트바르 성의 사령관이 되었다. 1566년 늦여름, 술탄 쉴레이만 1세는 10만 명의 정규군을 이끌고 시게트바르를 포위했다.[19][20] 즈린스키는 약 2,500명의 병사로 34일 동안 저항했다. 1566년 9월 7일, 즈린스키와 남은 병사 300명은 돌파를 시도했지만, 모두 영웅적인 죽음을 맞이했다("즈린스키의 돌격").
쉴레이만 1세가 사망한 후, 메흐메드 소콜루는 한 달 동안 그 사실을 숨기고 셀림 2세에게 비밀 서신을 보냈다. 병사들은 셀림이 베오그라드에서 군대에 합류할 때까지 쉴레이만의 사망 사실을 몰랐고, 그를 쉴레이만의 후계자로 지지했다.
1568년 에디르네 조약이 체결되었고, 1576년, 1584년, 1591년에 갱신되었다. 합스부르크 가문과 오스만 제국 간의 전쟁은 1593년 오랜 전쟁까지 다시 발발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평화 기간에도 "소규모 전쟁"(Kleinkriegde)으로 알려진 국경 분쟁이 지속되었다.[21] 1571년 튀르크군은 호데요프 성을 파괴했고, 1575년에는 모드리 카메니 성을 정복했다. 1588년에는 식소 마을 근처에서 헝가리군이 튀르크군을 격파하는 전투가 벌어졌다.
6. 전쟁의 결과와 영향
페르디난트 1세는 초반에 죄르, 코마롬, 에스테르곰, 부더, 세케슈페헤르바르를 점령하며 성공을 거두었지만, 서포여이 야노시는 슐레이만 대제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오스만 제국의 봉신이 되었다. 이후 헝가리는 합스부르크령 헝가리와 오스만 제국령 헝가리로 나뉘게 되었다.[21]
1529년 슐레이만 대제는 헝가리를 완전히 장악하고, 빈까지 공격했지만, 빈 공방전은 실패로 끝났다. 1540년 야노슈 사포야이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야노슈 지그몬드가 왕위를 계승했지만, 오스트리아군은 부다를 공격했다가 1541년 부다 공방전 (1541년)에서 패배했다. 1543년 슐레이만은 다시 헝가리를 공격하여 헝가리 대부분을 점령하고, 에스테르곰 공방전과 세케슈페헤르바르 점령에서 승리했다.
결국 1547년 에디르네 조약 (1547년)이 체결되어 합스부르크령 헝가리의 국경선이 뒤로 이동했다. 오스만 제국은 1699년까지 헝가리 대부분을 점령했고, 동헝가리(트란실바니아)는 오스만 제국의 봉신이 되었다. 오스트리아는 헝가리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1568년 에디르네에서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갱신되었다. 비록 평화 기간 동안에도 "소규모 전쟁"(Kleinkrieg|클라인크리크de)이라 불리는 국경 분쟁이 계속되었지만, 양측 모두 평화를 원했다.[21] 1571년 튀르크군은 호데요프 성을 파괴했고, 1575년에는 모드리 카메니 성을 정복했다. 1588년에는 식소 마을 근처에서 헝가리군이 튀르크군을 격파하기도 했다.
참조
[2]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1699
Osprey
[3]
서적
Das Reich im Kampf um die Hegemonie in Europa 1521–1648
https://books.google[...]
Oldenbourg Wissenschaftverlag GmbH
[4]
서적
The Ottoman Empire 1326–1699
Osprey
[5]
서적
Balkan Wars: Habsburg Croatia, Ottoman Bosnia, and Venetian Dalmatia, 1499–1617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6]
지도
https://4.bp.blogspo[...]
[7]
서적
The Ottoman Empire and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04-25
[8]
서적
Firearms of the Islamic World: In the Tareq Rajab Museum, Kuwai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995-11-15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10]
서적
Ground Warfare: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2
[11]
서적
Slovak History: Chronology & Lexicon
https://books.google[...]
Bolchazy-Carducci Publishers
2002
[12]
지도
https://4.bp.blogspo[...]
[13]
간행물
" La correspondencia de un soldado español de las guerras de Hungría a mediados del siglo XVI. Comentarios al diario de Bernardo de Aldana (1548–1552)"
[14]
서적
The histories of Emperor Charles V: nationale Perspektiven von Persönlichkeit und Herrschaft
Aschendorff
[15]
웹사이트
Map of the champaig
http://tortenelemcik[...]
2022-04-25
[16]
서적
Balkan Wars: Habsburg Croatia, Ottoman Bosnia, and Venetian Dalmatia, 1499–1617
Rowman & Littlefield
[17]
웹사이트
Stančić, Marko Horvat
http://www.enciklope[...]
2023-10-03
[18]
서적
Život Nikole Zrinjskoga Sigetskoga junaka
Matica ilirska
[19]
문서
[20]
문서
[21]
서적
The Administration of Warfare: The Ottoman Military Campaigns in Hungary, 1593–1606
VWGÖ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