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이겐 하다모프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이겐 하다모프스키는 독일의 나치당 당원이자 선전 전문가로, 1930년 나치당에 입당하여 요제프 괴벨스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라디오 청취자 제국 협회 설립, 아돌프 히틀러의 선거 유세 중계, 독일 방송국의 획일화에 기여했으며, 제국선전부 국장, 제국방송협회 국장, 텔레비전 방송국 국장 등을 역임하며 나치 정권 하에서 방송을 장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라디오 부서장을 맡았으나 괴벨스와의 불화로 전선에 투입되어 1945년 전사했다. 그는 여러 선전 관련 서적을 저술했으며, 사후 그의 저서들은 소련 점령군 지역에서 금서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선전가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알프레트 로젠베르크는 발트 독일인 출신 나치 이론가이자 정치가로, 인종주의, 반유대주의, 레벤스라움, 베르사유 조약 폐기 등을 주창하며 나치 이데올로기에 영향을 미쳤고, 나치당 외교정책국장, 동부 점령 지역 장관 등을 역임하며 전쟁 범죄로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다.
  • 독일의 선전가 - 요제프 괴벨스
    요제프 괴벨스는 나치 독일의 선전장관이자 정치가로서 뛰어난 선전 능력으로 나치당의 권력 장악에 기여하고 국민계몽선전부 장관으로서 독일의 문화와 언론을 통제하며 전쟁 선동에 앞장섰으나, 극단적인 반유대주의와 홀로코스트에 대한 책임으로 평가받고 베를린 함락 직전 가족과 함께 자살했다.
  • 나치 당원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는 1889년에 태어나 1976년에 사망한 독일의 철학자이며, 현상학과 실존주의, 언어와 기술 비판을 탐구했고, 대표작으로 『존재와 시간』이 있으며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나치즘 협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나치 당원 - 카를 슈미트
    카를 슈미트는 20세기 정치사상에 큰 영향을 미친 독일 법학자이자 정치철학자로, 나치 정권에 협력한 과거에도 불구하고 주권, 독재, 전쟁 등에 대한 독창적인 분석을 담은 저서를 통해 현대 정치 이론에 다양한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독일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오토 카리우스
    오토 카리우스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150대 이상의 적 전차를 격파한 독일 국방군의 전차 에이스였으며, 종전 후 약학을 공부하여 약국을 운영하다 2015년에 사망했다.
  • 독일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발두어 폰 시라흐
    발두어 폰 시라흐는 나치 독일 시대 히틀러 유겐트의 국가 지도자였던 독일 정치인으로, 나치즘에 심취하여 히틀러 유겐트를 합법적인 청소년 단체로 성장시키고 빈의 가우라이터 겸 제국총독으로 활동했으며,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반인륜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오이겐 하다모프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이겐 하다모프스키
출생 이름오이겐 파울 하다모프스키
출생일1904년 12월 14일
사망일1945년 3월 1일
출생지베를린, 프로이센 왕국, 독일 제국
사망지횔케비제, 나치 독일
사망 원인전사
군사 경력
계급오버슈투름퓌러
군종[[File:Flag Schutzstaffel.svg|23px]] 슈츠슈타펠
부대제4 SS 경찰 기갑척탄병 사단
전투/작전제2차 세계 대전
훈장철십자 1급, 전쟁 공로 훈장 1급

2. 초기 생애 및 나치당 입당

오이겐 하다모프스키는 베를린에서 화학기계공학을 공부하였고, 1921년부터 1928년까지는 외국에서 자동차 기계공으로 일했다.[7]

2. 1. 베를린에서의 성장과 자유군단 활동

하다모프스키는 베를린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중고등학생 시절 준군사 조직인 ''자유군단''에 입대했다. 1921년 ''자유군단''이 해산된 후 그의 삶은 불안정해져 여러 곳에서 자물쇠 수리공과 정비공으로 일했다.

2. 2. 나치당 입당과 초기 활동

하다모프스키는 베를린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중고등학생 시절 준군사 조직인 ''자유군단''에 입대했다. 1921년 ''자유군단''이 해산된 후 그의 삶은 불안정해져 여러 곳에서 자물쇠 수리공과 정비공으로 일했다. 1928년 베를린으로 돌아온 그는 초창기 나치 지지자가 되었으며, 나치 라디오 청취자를 조직하고 아돌프 히틀러의 대규모 집회에서 기술적인 세부 사항을 처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하다모프스키는 1930년 나치당(NSDAP)에 정식으로 입당했다.[7] 입당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당의 선전 지도자인 요제프 괴벨스의 주목을 받았다. 괴벨스는 1931년에 그에게 우익 단체인 '독일 라디오 참가자 제국 연합' (Reichsverband Deutscher Rundfunkteilnehmer|de, "제국 독일 방송 참가자 협회") 설립을 지시하였다.[7]

3. 나치 정권 하의 활동

오이겐 하다모프스키는 1930년 나치당에 가입한 후, 당시 당 선전부장이던 요제프 괴벨스의 주목을 받아 나치 정권의 선전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그는 괴벨스의 지시에 따라 라디오 청취자 조직을 결성하고[7], 1932년에는 제국선전부 국장으로 임명되어 아돌프 히틀러의 연설을 라디오로 중계하는 등 초기 선전 활동에 깊이 관여했다.

나치가 정권을 장악한 1933년 이후, 하다모프스키는 독일 방송계의 핵심 인물로 급부상했다. 그는 도이칠란트젠더의 프로그램 이사[1]를 거쳐 제국송신책임자 및 국영화된 제국 방송 협회의 국장으로 승진하며, 괴벨스가 주도한 방송 통제 정책인 글라이히샬퉁(획일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1] 또한 제국 문화 회의소 산하 방송 회의소 부회장직을 맡아 방송 관련 산업 전반에 대한 통제권을 행사했다.[7]

1935년에는 독일 최초의 텔레비전 방송국인 페르젠젠더 파울 닙코프 설립을 주도하고 국장직을 맡으며 활동 영역을 넓혔다.[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에는 라디오를 통해 전황을 보고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1940년에는 제국선전부의 라디오 부서 책임자로 임명되었다.[1]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괴벨스와의 관계가 악화되었고[5], 결국 1942년 라디오 부서장 자리에서 밀려나 당 중앙 선전 사무소의 참모장으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다. 이는 실질적인 좌천이었으며, 방송계에서의 영향력을 상실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불만을 느낀 하다모프스키는 1943년 국방군에 자원 입대하여[4]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소속 오버슈투름퓌러 계급으로 동부 전선에 참전했다. 그는 1945년 3월 1일, 포메라니아 지방에서 소련군과의 전투 중 심장에 총을 맞고 전사했다.[5][6]

3. 1. 요제프 괴벨스와의 만남과 라디오 방송 장악

1930년 나치당에 가입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당시 당 선전부장이었던 요제프 괴벨스는 하다모프스키를 주목했다. 괴벨스는 1931년 하다모프스키에게 우익 성향의 라디오 청취자 조직인 "라디오 청취자 제국 협회" 설립을 지시했다. 1년 후인 1932년, 하다모프스키는 나치당 제국선전부의 국장으로 임명되었다.[7] 그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1930년대 선거 운동 기간 동안 아돌프 히틀러의 연설을 전국 라디오 방송망을 통해 중계하는 것이었다.

나치가 정권을 장악한 직후인 1933년 1월, 하다모프스키는 독일 방송국 Deutschlandsender|도이칠란트젠더de의 전국 프로그램 담당 이사로 임명되었다.[1] 같은 해 요제프 괴벨스는 그를 잠시 독일 방송국의 송신책임자로 임명했고, 몇 달 지나지 않아 제국송신책임자이자 국영화된 Reichs-Rundfunk-Gesellschaft의 국장으로 승진시켰다. 이 자리에서 하다모프스키는 괴벨스가 주도한 독일 내 방송국 통제 정책인 Gleichschaltung|글라이히샬퉁de(획일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 또한 같은 해(1933년) 하다모프스키는 제국 문화 회의소 산하 방송 회의소의 부회장직도 맡아, 방송 관련 산업 전반의 편집자들을 통제하는 권한을 가졌다.[7]

3. 2. 방송국 국영화 및 통제

나치스의 권력 장악 이후 1933년, 하다모프스키는 요제프 괴벨스에 의해 독일 방송국 ''도이칠란트젠더''의 송신책임자 겸 전국 프로그램 담당 이사로 임명되었다.[1] 몇 달 후, 그는 제국송신책임자, 제국 제작 이사, 그리고 국영화된 ''제국 방송 협회''의 국장으로 발령받았다. 이 지위에서 하다모프스키는 괴벨스가 추진한 독일 내 지역 방송국들의 획일화 작업, 즉 굄하일퉁(Gleichschaltungger)에 결정적으로 참여하였다.

같은 해인 1933년, 그는 제국 문화 회의소 산하 제국방송회의소의 부사장이 되어, 방송과 관련된 모든 산업 분야의 편집자들을 통제하였다.[7] 1935년부터는 제국송신책임자로서 최초의 독일 텔레비전 방송국인 ''페르젠젠더 파울 닙코프''의 설립을 주도하고 국장이 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에는 라디오 방송에서 전황 보고를 담당하는 역할을 맡았다. 1940년 초, 괴벨스는 그를 제국 대중 계몽 및 선전부의 방송국대대 책임자 겸 라디오 부서장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괴벨스는 하다모프스키의 업무 수행에 완전히 만족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전해진다.[1]

3. 3. 텔레비전 방송 개척

1935년부터 하다모프스키는 제국송신책임자로서 최초의 독일 텔레비전 방송국(Fernsehsender Paul Nipkowdeu)의 국장 고용주가 되었다.

3. 4. 제2차 세계 대전과 몰락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하다모프스키는 라디오 방송에서 전황 보고를 담당하며 새로운 활동 영역을 맡게 되었다. 1940년 초, 그는 요제프 괴벨스에 의해 제국선전부(정식 명칭: 제국 대중 계몽 선전부)의 라디오 부서 책임자로 임명되었다.[1] 그러나 괴벨스는 하다모프스키의 업무 수행에 완전히 만족하지 못했으며, 이는 괴벨스의 일기 여러 곳에서 확인된다.[5]

결국 1942년, 하다모프스키는 괴벨스와의 마찰 끝에 라디오 부서장 자리에서 교체되었고, 베를린에 있는 나치 당 중앙 선전 사무소(Reichspropagandaleitung|라이히스프로파간다라이퉁de)의 참모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는 이전 직책에 비해 영향력이 줄어든 것이었으며, 사실상 방송 관련 업무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1943년, 이러한 상황에 싫증을 느낀 하다모프스키는 국방군에 자원 입대하였다.[4] 그는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소속의 오버슈투름퓌러( Obersturmführer|오버슈투름퓌러de, 선임 중위) 계급으로 동부 전선에 참전했다. 1945년 3월 1일, 포메라니아 지방 룸멜스부르크( Rummelsburg|룸멜스부르크de, 당시 힌터포메른) 인근 횔케비제( Hölkewiese|횔케비제de)에서 부대를 지휘하던 중 소련군의 역습으로 심장에 총을 맞고 전사했다.[5][6]

그의 사후, 괴벨스는 일기에 하다모프스키를 "최고의 동지 중 한 명이자, 정력적이고 충성스러운 동료이며 오랜 친구"였다고 기록했다.[5] 하다모프스키의 모든 저서는 전후 소련 점령군 지역에서 제거되어야 할 문학 목록으로 지정되었다.[8] 그는 현재 폴란드 스타레 차르노보 근처 독일군 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묘지 정보: Endgrablage: Block 3 Reihe 31 Grab 1533 - 1548de).[6]

4. 저술 활동

하다모프스키는 총 7권의 선전 관련 서적을 저술했다. 그중 가장 중요한 저서는 1933년에 출간된 Propaganda und nationale Macht|프로파간다 운트 나치오날레 마흐트deu (선전과 국가 권력)이다. 이 책은 제3제국 시대에 출판된 선전의 일반 원리를 다룬 유일한 책으로 평가받는다.[2][3]

다른 주요 저서로는 1939년 폴란드 침공 직전에 출판된 Weltgeschichte im Sturmschritt|벨트게쉬히테 임 슈투름슈리트deu (행진하는 세계 역사)가 있다. 이 책에서 하다모프스키는 나치 독일과 메멜 지역의 반환을 긍정적으로 묘사했다. 메멜 지역은 아돌프 히틀러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리투아니아에 할양되었던 영토 중 마지막으로 협상을 통해 되찾은 곳이다.

또한 하다모프스키는 1939년 폴란드 침공 당시의 경험을 담은 Blitzmarsch bis Warschau: Fronterlebnisse eines politischen Soldaten|블리츠마르쉬 비스 바르샤우: 프론테를레프니세 아이네스 폴리티셴 졸다텐deu (바르샤바까지의 번개 행진: 정치적 군인의 전선 보고서)를 저술하기도 했다.

5. 죽음

1943년, 요제프 괴벨스와의 마찰로 실권 없는 직위로 밀려난 것에 싫증을 느낀 하다모프스키는 국방군에 자원했다.[4]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에 입대하여 ''오버슈투름퓌러'' (선임 중위) 계급으로 복무했다. 1945년 3월 1일, 동부 전선의 힌터포메른 포메라니아 지방 룸멜스부르크 근처 횔케비제에서 부대를 지휘하던 중, 소련군의 역습으로 심장에 총을 맞아 전사했다.[5] 그의 사후, 괴벨스는 하다모프스키를 "최고의 동지 중 한 명이자, 정력적이고 충성스러운 동료이며 오랜 친구였다"고 기록했다.[5] 하다모프스키는 폴란드 스타레 차르노보 근처 독일군 묘지에 안장되었다.[6] 그의 모든 저서들은 소련 점령군 지역에서 제거되어야 할 문학 목록으로 규정되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Eugen Hadamovsky https://research.cal[...]
[2] 서적 Propaganda and National Power https://books.google[...]
[3] 웹사이트 Propaganda and National Power https://research.cal[...]
[4] 웹사이트 Eugen Hadamovsky https://www.dhm.de/l[...]
[5] 서적 Tagebücher Piper Verlag 1999
[6] 웹사이트 Volksbund Deutsche Kriegsgräberfürsorge listing for Eugen Hadamowsky http://www.volksbund[...]
[7] 서적 Das Kulturlexikon zum Dritten Reich. Wer war was vor und nach 1945 S. Fischer, Frankfurt am Main 2007
[8] 웹사이트 Buchstabe H, Liste der auszusondernden Literatur. Herausgegeben von der Deutschen Verwaltung für Volksbildung in der sowjetischen Besatzungszone. Vorläufige Ausgabe nach dem S... http://www.polunbi.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