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두스 소콜로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토두스 소콜로비는 오토두스 오리큘러스와 오토두스 앵거스티덴스의 과도기적 특징을 가진 멸종된 상어 종으로, 메갈로돈과 근연 관계에 있다. 이빨은 크고 톱니 모양이며 직선 형태를 띤다. 신생대 에오세에 대서양과 지중해에서 서식했으며, 고래, 해양 포유류, 바다거북 등을 잡아먹는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석은 1895년 이집트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오세의 어류 - 옛개복치
옛개복치는 신생대 에오세에 북극해나 대서양에 살았던 멸종된 어종으로, 현생 개복치보다 가슴지느러미가 위로 솟고 몸 색깔이 푸르며 고대 해파리와 작은 물고기를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에오세의 어류 - 오토두스 악수아티커스
오토두스 악수아티커스는 약 5000만 년 전에서 4000만 년 전 사이 신생대 에오세 시기에 북부 대서양에 서식했던 멸종된 거대한 이빨을 가진 상어로, 메갈로돈과 가까운 친척이며 해양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추정된다. - 189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벨렘나이트
벨렘나이트는 중생대에 번성한 멸종된 두족류로, 오징어와 유사한 몸체와 칼집, 분할 원뿔, 전갑으로 이루어진 껍질을 가졌으며, 특히 칼집은 화석 연구와 고수온 복원 등에 활용되는 맹렬한 육식 동물이었다. - 1895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샤스타사우루스
샤스타사우루스는 트라이아스기 말기에 살았던 어룡으로, 가늘고 긴 몸과 짧고 이빨 없는 주둥이를 가졌으며, 최대 21m에 달하는 종도 존재하고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화석이 발견된다. - 고대 상어 - 넓은이빨청상아리
넓은이빨청상아리는 마이오세에서 플라이오세 시기에 전 세계 바다에 서식했던 멸종된 악상어목 상어로, 현생 청상아리와 유사하나 톱니가 있는 이빨을 가졌으며 고래, 해양 포유류 등을 먹이로 삼았을 것으로 추정되고 넓은이빨 형태는 백상아리의 조상으로 여겨지지만 속의 분류는 불확실하다. - 고대 상어 - 독수리상어
독수리상어는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멸종된 상어의 한 종류로, 독수리 날개와 유사한 넓은 가슴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으며, 플랑크톤을 여과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화석 연구 과정에서 과학적 식민주의 논란이 있다.
| 오토두스 소콜로비 | |
|---|---|
| 화석 범위 | |
| 화석 범위 | 뤼테트절-루펠절 |
| 분류 | |
![]() | |
| 속 | 오토두스 |
| 종 | sokolovi |
| 명명자 | Jaekel, 1895 |
| 아종 분류 | 아종 |
| 아종 | O. s. caspiensis (Zhelezko in Zhelezko & Kozlov, 1999) O. s. sokolovi? (Zhelezko in Zhelezko & Kozlov, 1999) |
| 동의어 | Carcharocles sokolovi |
| 크기 | |
2. 특징
오토두스 소콜로비는 큰 몸집과 강력한 턱, 톱니 모양의 이빨을 가진 상어였다. 등지느러미는 2개로, 제1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는 매우 컸지만 제2등지느러미, 배지느러미, 항문지느러미는 작았다. 당대에 서식했던 고래, 해양 포유류, 바다거북과 같은 해양 파충류, 물고기, 두족류, 갑각류를 먹이로 삼아 육식성 먹이 사슬의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
2. 1. 분류학적 논쟁
오토두스 오리큘러스와 오토두스 앵거스티덴스의 과도기적인 특징을 가진 어종으로 메갈로돈과도 가까운 근연 관계에 있다. 오토두스 소콜로비는 덜 꺾여진 곡선의 방식과 함께 더 눈에 잘 띄는 곡선의 커프를 가지며 후자에서 전자와 다른 종인데, 때로는 오토두스 오리큘러스와 차이가 미묘하게 적기 때문에 오토두스 오리큘러스와 혼동되기도 한다. 다른 오토두스과의 어종처럼 때로는 카르차로클레스속에 속하는 어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2. 2. 이빨 형태
오토두스 소콜로비의 이빨은 매우 크고 톱니 모양을 가지고 있다. 보통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꺾이는 다른 오토두스속 상어들과는 달리 이빨이 곧게 뻗은 직선 형태를 띠는 것이 특징이다.[1]3. 생태
오토두스 소콜로비는 당시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4. 생존 시기 및 서식지
오토두스 소콜로비는 다른 크로노종들과 유사하여 정확한 발생 및 멸종 시기를 특정하기 어렵다. 다만, 신생대 에오세(약 5000만 년 전 ~ 3500만 년 전)에 주로 서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석은 1895년 이집트에서 처음 발견되어 명명되었다.[1]
4. 1. 주요 서식지
신생대 에오세에 주로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어종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5000만 년 전~3500만 년 전에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주요 서식지로는 대서양과 지중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5. 화석 발견
1895년에 고생물학자인 다클라, 모로코, 퍄암에 의해 이집트에서 화석이 처음 발견되어 명명된 종이며, 현대 시대의 많은 퇴적층에서 발견되고 있다.[1]
참조
[1]
논문
Eocene (Lutetian) Shark-Rich Coastal Paleoenvironments of the Southern North Sea Basin in Europe: Biodiversity of the Marine Fürstenau Formation Including Early White and Megatooth Sharks
[2]
논문
A new elusive otodontid shark (Lamniformes: Otodontidae) from the lower Miocene, and comments on the taxonomy of otodontid genera, including the 'megatoothed' clade
[3]
논문
Ultimate Eocene (Priabonian) Chondrichthyans (Holocephali, Elasmobranchii) of Antarctica
2016
[4]
논문
The first record of the giant shark ''Otodus megalodon'' (Agassiz, 1835) from Roman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다클라, 서사하라|다클라]], [[서사하라]]에서 발견된 ''Otodus sokolovi'' 이빨](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