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토두스 오리큘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토두스 오리큘러스는 멸종된 상어의 한 종으로, 메갈로돈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매우 크고 날카로운 삼각형의 이빨과 거친 절삭날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이빨의 톱니 유무에 따라 속(genus) 분류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몸길이는 최대 9.5m에 달하는 대형 상어였다. 신생대 에오세와 올리고세 시기에 대서양과 인도양을 중심으로 서식했으며, 미국, 영국, 카자흐스탄 등지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오세의 어류 - 옛개복치
    옛개복치는 신생대 에오세에 북극해나 대서양에 살았던 멸종된 어종으로, 현생 개복치보다 가슴지느러미가 위로 솟고 몸 색깔이 푸르며 고대 해파리와 작은 물고기를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에오세의 어류 - 오토두스 악수아티커스
    오토두스 악수아티커스는 약 5000만 년 전에서 4000만 년 전 사이 신생대 에오세 시기에 북부 대서양에 서식했던 멸종된 거대한 이빨을 가진 상어로, 메갈로돈과 가까운 친척이며 해양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추정된다.
  • 올리고세의 어류 - 곤살레스잠꾸러기상어
    곤살레스잠꾸러기상어는 현재 알려진 정보가 없어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운 항목이다.
  • 올리고세의 어류 - 오토두스 앵거스티덴스
    오토두스 앵거스티덴스는 올리고세와 마이오세에 살았던 멸종된 상어 종으로, 백상아지와 비슷하지만 더 크고 톱니 모양의 이빨을 가진 강력한 포식자였으며, 메갈로돈과 관련이 있고 전 세계에서 화석이 발견되지만 한반도에서는 현재 서식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 1928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에드몬토니아
    에드몬토니아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몸 전체가 골편과 가시로 덮인 6.6m의 대형 초식 노도사우루스과 공룡으로, 앨버타 주 에드먼턴 지층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두개골과 갑옷 형태에 따라 두 종으로 나뉜다.
  • 1928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캄필로그나토이데스
    캄필로그나토이데스는 약 1억 8천만 년 전 초기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익룡의 한 속으로, 짧은 주둥이, 큰 눈구멍, 짧고 뭉툭한 이빨을 가진 것이 특징이며, "구부러진 턱"이라는 의미의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오토두스 오리큘러스
기본 정보
크레이븐 카운티, 노스캐롤라이나에서 발견된 이빨
오토두스
오리큘라투스
아종오토두스 오리큘라투스 디사우리스 (아가시, 1835)
오토두스 오리큘라투스 오리큘라투스? (블랭빌, 1818)
명명자블랭빌, 1818
이명오토두스 섭세라투스
카르카로클레스 아리큘라투스
카르카로클레스 오리큘라타
화석 범위후기 에오세 - 초기 올리고세 (~35-25 백만 년 전)
최대 추정 길이약 9.5 m (31 ft)
최대 이빨 크기약 130 mm (5.1 in)

2. 특징

오토두스 오리큘러스는 메갈로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멸종한 대형 상어이다. 가장 큰 특징은 매우 크고 날카로운 삼각형 모양의 이빨로, 가장자리에는 거친 세레이션(톱니 모양 구조)이 발달해 있다. 이러한 이빨 형태는 오토두스 소콜로비와 함께 다른 오토두스과 상어들과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이지만, 정확한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주요 먹이는 당대의 고래, 해양 포유류, 바다거북과 같은 해양 파충류, 물고기, 두족류, 갑각류 등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당시 해양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였을 것으로 보인다.

2. 1. 형태

''오토두스 오리큘러스''는 메갈로돈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상어로, 몸길이가 9.5m에 달하는 대형 람나상어였다.[3] 작은 개체는 길이가 약 4m였다.[5]

이빨은 매우 크고 날카로운 삼각형 모양이며, 거친 절삭날에 세레이션(톱니 모양 구조)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치아 길이는 비교적 커서 25mm에서 114mm에 달한다.[4] 이는 메갈로돈 (38mm에서 178mm)이나 ''오토두스 안구스티덴스'' (25mm에서 117mm)보다는 작은 크기이다.[4]

''오토두스 오리큘러스''는 오토두스 소콜로비와 함께 카르차로클래스속과 매우 가까운 근연 관계에 있는 종으로 여겨지며, 치아 세레이션의 유무가 다른 오토두스과 상어와 확연히 구분되는 특징이다. 다만 ''오토두스 오리큘러스''도 오토두스과에 속하는 어종인 만큼, 속(genus)의 분류와 그 수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제1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는 매우 크지만 제2등지느러미, 배지느러미, 항문지느러미는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른 오토두스과 상어들과는 달리 몸의 등쪽이 완전한 검은색이라는 차이점도 있다.

2. 2. 분류학적 특징

오토두스 오리큘러스는 메갈로돈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상어로, 이빨이 매우 큰 것이 특징이다. 이빨은 매우 크고 날카로운 삼각형 모양이며, 거친 절삭날에는 세레이션(톱니 모양 구조)이 발달해 있다. 오토두스 소콜로비와 함께 카르차로클래스속과 매우 가까운 근연 관계에 있는 종으로 여겨진다. 치아 세레이션의 유무는 다른 오토두스과 상어들과 오토두스 오리큘러스를 구분하는 중요한 특징이다. 다만, 오토두스 오리큘러스도 오토두스과에 속하는 어종이므로, 속(genus)의 이름과 수는 학계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제1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는 매우 크지만 제2등지느러미, 배지느러미, 항문지느러미는 작은 편이다. 또한 다른 오토두스과 상어들과는 달리 몸의 등쪽이 완전한 검은색인 점도 차이점이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당대에 살았던 고래, 해양 포유류, 바다거북과 같은 해양 파충류, 물고기, 두족류, 갑각류를 주로 잡아먹는 육식성 어종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근연종들과 함께 당시 바다에서 최상위 포식자로서 군림했을 것으로 보인다.

3. 속(Genus) 분류 논쟁

''Megachasma alisonae''와 ''Otodus auriculatus''


오토두스과(Otodontidae)에 속하는 상어들의 속 분류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이견이 존재한다. 최소한 ''오토두스''(Otodus) 속 하나는 인정되지만, 속의 이름과 정확한 수는 논란의 대상이며, 분류 체계는 지역별 고생물학자들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난다.[2] 주요 쟁점 중 하나는 이빨의 톱니 유무가 속을 나누는 기준이 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예를 들어 미국과 영국에서는 톱니 있는 이빨을 가진 상어를 ''카르카로클레스''(Carcharocles) 속으로, 톱니 없는 상어를 ''오토두스''(Otodus) 속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우크라이나러시아 등 구 소련 국가의 학자들은 톱니 유무가 별개의 분류군으로 나눌 만큼 중요한 특징이 아니라고 보아, 이들을 모두 ''오토두스''(Otodus) 속에 포함시키기도 한다.[2]

3. 1. 카르카로클레스(Carcharocles) 속 주장



오토두스과(Otodontidae)에는 적어도 하나의 속, 즉 ''오토두스''(Otodus)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오토두스과 내 속의 이름과 수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이 과의 인정된 계통 발생은 전 세계의 고생물학자들 사이에서 다르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톱니 모양의 이빨을 가진 오토두스과 상어에 대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속 이름은 ''카르카로클레스''(Carcharocles)이며, 톱니가 없는 상어의 이름은 ''오토두스''(Otodus)이다. 우크라이나러시아와 같은 구 소련 국가에서는 젤레즈코(Zhelezko)와 코즐로프(Kozlov)[2]와 같은 과학자들이 이빨의 톱니 유무가 이 상어들을 다른 분류군에 배치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 모든 속을 ''오토두스''(Otodus)에 귀속시켰다.

3. 2. 오토두스(Otodus) 속 주장

오토두스과(Otodontidae)에는 적어도 하나의 속, 즉 ''오토두스''(Otodus)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오토두스과 내 속의 이름과 수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이 과의 인정된 분류 체계는 전 세계의 고생물학자들 사이에서 다르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톱니 모양의 이빨을 가진 오토두스과 상어에 대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속 이름은 ''카르카로클레스''(Carcharocles)이며, 톱니가 없는 상어의 이름은 ''오토두스''(Otodus)이다. 우크라이나러시아와 같은 구 소련 국가에서는 젤레즈코(Zhelezko)와 코즐로프(Kozlov)[2]와 같은 과학자들이 이빨의 톱니 유무가 이 상어들을 다른 분류군에 배치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 모든 속을 ''오토두스''(Otodus)로 분류하였다.

4. 생태

메갈로돈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상어로, 매우 크고 날카로운 삼각형 모양의 이빨을 가졌다. 이빨의 거친 절삭날에는 세레이션(톱니 모양 구조)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오토두스 소콜로비와 함께 카르차로클래스속과 매우 가까운 근연 관계에 있으며, 치아 세레이션의 유무가 다른 오토두스과 상어들과 구별되는 점이다. 다만, 오토두스 오리큘러스도 오토두스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분류되지만, 속(genus)의 명칭과 포함되는 종의 수는 학계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제1등지느러미와 가슴지느러미는 매우 크지만 제2등지느러미, 배지느러미, 항문지느러미는 작은 편이다. 다른 오토두스과 상어들과는 달리 몸의 등쪽이 완전히 검은색인 점도 특징이다.

오토두스 오리큘러스는 육식성 어종으로, 당시 해양 생태계에서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로 군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된 먹이로는 당대에 살았던 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류, 바다거북과 같은 해양 파충류, 그리고 다양한 물고기, 두족류, 갑각류 등을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5. 분포 및 화석

오토두스 오리큘러스는 신생대의 에오세부터 올리고세까지, 약 4000만 년 전부터 2500만 년 전 사이에 생존했던 상어이다. 주로 대서양인도양을 중심으로 서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석은 미국, 영국, 카자흐스탄, 모로코, 남극 등 전 세계적으로 넓은 지역에서 발견되어[4][6], 당시 상당히 넓은 범위에 분포했음을 알 수 있다.

5. 1. 주요 발견 지역

오토두스 오리큘러스 화석은 1923년 미국영국에서 고생물학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어 명명되었다. 이후 중앙아시아카자흐스탄에서도 화석이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오토두스 오리큘러스 이빨 화석은 미국의 사우스캐롤라이나와 노스캐롤라이나에서 발견된다.[4] 하지만, 많은 에오세 시기의 상어 이빨이 모로코의 쿠리브가 고원과 남극의 세이모어 섬에서도 발견되었다. 화석 이빨은 영국카자흐스탄에서도 발견되었으며, 이는 이 상어가 상당히 넓은 범위에 걸쳐 분포했음을 시사한다.[6]

5. 2. 발견 시기

오토두스 오리큘러스 화석은 1923년 미국영국의 고생물학자들이 처음 발견하여 명명했다. 이후 중앙아시아카자흐스탄에서도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빨 화석은 주로 미국의 사우스캐롤라이나와 노스캐롤라이나에서 발견되지만[4], 모로코의 쿠리브가 고원, 남극의 세이모어 섬, 영국, 카자흐스탄 등지에서도 에오세 시기의 다른 상어 이빨과 함께 발견되었다.[6] 이는 오토두스 오리큘러스가 상당히 넓은 범위에 분포했음을 시사한다.[6]

참조

[1] 간행물 A new elusive otodontid shark (Lamniformes: Otodontidae) from the lower Miocene, and comments on the taxonomy of otodontid genera, including the 'megatoothed' clade
[2] 서적 Elasmobranch and biostratigraphy of Trans-Urals and Central Asia
[3] 간행물 Cenozoic megatooth sharks occupied extremely high trophic positions 2022-06-22
[4] 서적 Fossil Shark Teeth of the World
[5] 간행물 The first record of the giant shark ''Otodus megalodon'' (Agassiz, 1835) from Romania
[6] 서적 Fossil Teeth http://nutzstore.com[...] 2011-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