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배드민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배드민턴은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처음 선보였으며, 1992년 하계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남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단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등 5개의 세부 종목으로 구성되며, 3전 2선승제, 랠리 포인트 방식의 21점 게임으로 진행된다. 역대 올림픽에서 중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총 20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3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1992년 대회부터 2020년 대회까지 꾸준히 선수단을 파견하여 모든 올림픽 배드민턴 대회에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드민턴 대회 -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세계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는 1977년부터 세계 배드민턴 연맹(BWF)이 주최하는 배드민턴 대회이며, 21개국이 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총 61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배드민턴 대회 - 우버컵
여자 배드민턴 국가대항전인 우버컵은 세계선수권대회와 함께 배드민턴 최고 권위 대회 중 하나이며, 중국이 최다 우승국이고 대한민국도 우버컵 강국 중 하나이다. - 올림픽 배드민턴 - 2012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2012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은 49개국에서 선수들이 참가했으며, 중국이 가장 많은 선수를 파견했고, 대한민국은 12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 올림픽 배드민턴 -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경기는 2008년 8월 9일부터 17일까지 베이징 공업대학 체육관에서 5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올림픽 배드민턴에 관한 - 2012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2012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은 49개국에서 선수들이 참가했으며, 중국이 가장 많은 선수를 파견했고, 대한민국은 12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 올림픽 배드민턴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200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 경기는 2008년 8월 9일부터 17일까지 베이징 공업대학 체육관에서 5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올림픽 배드민턴 | |
---|---|
올림픽 배드민턴 | |
일반 정보 | |
종목 코드 | BDM |
스포츠 | 배드민턴 |
세부 종목 | |
남자 종목 수 | 2 |
여자 종목 수 | 2 |
혼합 종목 수 | 1 |
올림픽 역사 | |
하계 올림픽 참가 연도 | 1896 1900 1904 1908 1912 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
동계 올림픽 참가 연도 | 해당 없음 |
2. 역사
1972년 하계 올림픽과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이었던 배드민턴은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처음에는 남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단식, 여자 복식의 네 종목으로 시작하여 각 종목마다 금, 은, 동메달 2개씩 총 4개의 메달을 수여했다. 이후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 혼합 복식이 추가되어 총 다섯 종목이 되었고, 준결승 패자 간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동메달 수상자를 결정하는 방식이 도입되어 2024년 하계 올림픽까지 이어지고 있다.[1]
올림픽 | 연도 | 세부 종목 | 최고 국가 |
---|---|---|---|
XXV | 1992 | 4 | |
XXVI | 1996 | 5 | |
XXVII | 2000 | 5 | |
XXVIII | 2004 | 5 | |
XXIX | 2008 | 5 | |
XXX | 2012 | 5 | |
XXXI | 2016 | 5 | |
XXXII | 2020 | 5 | |
XXXIII | 2024 | 5 | |
XXXIV | 2028 | 5 | |
XXXV | 2032 | 5 |
2. 1. 정식 종목 채택 이전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 배드민턴이 시범 종목으로 처음 개최되었다. 20년 후,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성공적인 시범 경기를 거친 후, 1989년에 정식 종목으로 올림픽에 도입되었다.[1]종목 | 72 | 88 |
---|---|---|
남자 단식 | (d) | (e) |
남자 복식 | (d) | (e) |
여자 단식 | (d) | (e) |
여자 복식 | (e) | |
혼합 복식 | (d) | (e) |
(d) = 시범 종목 (e) = 전시 경기 |
2. 2. 정식 종목 채택 이후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처음 선을 보인 배드민턴은,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다시 한번 시범 경기를 성공적으로 치렀다. 이후 1989년에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 남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단식, 여자 복식의 4개 세부 종목으로 정식 데뷔하였다. 당시에는 각 종목별로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2개씩 총 4개의 메달이 수여되었다.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혼합 복식 종목이 추가되면서 총 5개의 세부 종목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1996년 대회부터는 준결승에서 패배한 두 선수(또는 팀)가 동메달 결정전을 치러 동메달 수상자를 가리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러한 경기 방식은 2024년 올림픽까지 계속 유지되고 있다.
다음은 정식 종목 채택 이후 올림픽 배드민턴의 세부 종목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종목 / 연도 | 92 | 96 | 00 | 04 | 08 | 12 | 16 | 20 | 24 | 합계 |
---|---|---|---|---|---|---|---|---|---|---|
남자 단식 | 9 | |||||||||
남자 복식 | 9 | |||||||||
여자 단식 | 9 | |||||||||
여자 복식 | 9 | |||||||||
혼합 복식 | 8 | |||||||||
종목 수 | 4 | 5 | 5 | 5 | 5 | 5 | 5 | 5 | 5 |
올림픽 배드민턴의 세부 종목은 남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단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의 5가지로 구성된다.
3. 세부 종목
종목 / 연도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합계 남자 단식 9 남자 복식 9 여자 단식 9 여자 복식 9 혼합 복식 8 종목 수 4 5 5 5 5 5 5 5 5 3. 1. 남자 단식
올림픽 배드민턴 남자 단식은 1972년 하계 올림픽과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1992년 하계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3. 2. 남자 복식
1972년과 1988년에는 시범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1992년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이후 2016년 대회까지 총 7번의 대회가 개최되었다.3. 3. 여자 단식
1972년과 1988년 시범 종목을 거쳐, 1992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2016년까지 7번의 대회가 개최되었다.
역대 올림픽 여자 단식 메달 기록을 보면, 중국이 금메달 5개, 은메달 3개, 동메달 4개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로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는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하였다. 스페인은 금메달 1개, 인도는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기록했다. 덴마크, 네덜란드, 중화 타이베이는 각각 은메달 1개씩을, 일본은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3. 4. 여자 복식
1988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에서 여자 복식은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1992년 하계 올림픽 배드민턴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3. 5. 혼합 복식
혼합 복식은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처음 선보였고,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도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이후 1996년 하계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역대 혼합 복식 메달 기록을 보면 중국이 금메달 6개, 은메달 5개, 동메달 4개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 뒤를 이어 대한민국이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4개를 획득하였다. 인도네시아와 일본은 각각 금메달 1개씩을 획득했다.
4. 역대 메달 집계
[1]
올림픽 배드민턴의 역대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순위는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획득 수 순으로 정해진다.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20 | 12 | 15 | 47 | |
2 | 8 | 6 | 7 | 21 | |
3 | 6 | 7 | 7 | 20 | |
4 | 2 | 3 | 4 | 9 | |
5 | 1 | 1 | 2 | 4 | |
6 | 1 | 1 | 0 | 2 | |
7 | 1 | 0 | 0 | 1 | |
8 | 0 | 6 | 3 | 9 | |
9 | 0 | 1 | 2 | 3 | |
0 | 1 | 2 | 3 | ||
11 | 0 | 1 | 0 | 1 | |
12 | 0 | 0 | 1 | 1 |
4. 1. 국가별 메달 순위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계 |
---|---|---|---|---|---|
1 | 중화인민공화국 | 20 | 12 | 15 | 47 |
2 | 인도네시아 | 8 | 6 | 7 | 21 |
3 | 대한민국 | 6 | 7 | 7 | 20 |
4 | 덴마크 | 2 | 3 | 4 | 9 |
5 | 일본 | 1 | 1 | 2 | 4 |
6 | 중화 타이베이 | 1 | 1 | 0 | 2 |
7 | 스페인 | 1 | 0 | 0 | 1 |
8 | 말레이시아 | 0 | 6 | 3 | 9 |
9 | 영국 | 0 | 1 | 2 | 3 |
인도 | 0 | 1 | 2 | 3 | |
11 | 네덜란드 | 0 | 1 | 0 | 1 |
12 | 러시아 | 0 | 0 | 1 | 1 |
계 | 39 | 39 | 43 | 121 |
중화인민공화국은 올림픽 배드민턴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국가로,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전 종목을 석권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인도네시아는 중화인민공화국 다음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대한민국은 금메달 6개, 은메달 7개, 동메달 7개로 총 20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3위를 기록하고 있다.
5. 참가국
다음은 역대 올림픽 배드민턴 경기에 참가한 국가들의 목록이다. 표의 숫자는 해당 연도 올림픽에 각 국가에서 파견한 선수 수를 나타낸다.
국가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참가 연도 |
---|---|---|---|---|---|---|---|---|---|---|
알제리 | – | – | – | – | – | 1 | – | – | – | 1 |
오스트레일리아 | 2 | 8 | 7 | 6 | 6 | 5 | 5 | 4 | 3 | 9 |
오스트리아 | 2 | 1 | – | – | – | 2 | 2 | 1 | 1 | 6 |
아제르바이잔 | – | – | – | – | – | – | – | 1 | 2 | 2 |
벨라루스 | – | 2 | – | – | 1 | 1 | – | – | – | 3 |
벨기에 | 1 | – | 1 | – | – | 2 | 2 | 1 | 2 | 6 |
브라질 | – | – | – | – | – | – | 2 | 2 | 2 | 3 |
브루나이 | – | – | – | – | – | – | 1 | – | – | 1 |
불가리아 | 7 | 3 | 4 | 2 | 1 | 1 | 3 | 3 | 3 | 9 |
캐나다 | 6 | 7 | 6 | 7 | 4 | 4 | 2 | 8 | 4 | 9 |
중국 | 13 | 20 | 17 | 19 | 19 | 17 | 14 | 14 | 16 | 9 |
중화 타이베이 | – | 6 | 5 | 5 | 4 | 8 | 4 | 5 | 6 | 8 |
쿠바 | – | – | – | – | – | – | 1 | – | – | 1 |
체코 | – | – | – | – | 2 | 2 | 2 | – | 4 | 4 |
체코슬로바키아 | 2 | 체코 공화국과 슬로바키아로 분리 | 1 | |||||||
덴마크 | 12 | 16 | 18 | 12 | 10 | 9 | 8 | 9 | 7 | 9 |
이집트 | – | – | – | – | 1 | 1 | – | 3 | – | 3 |
엘살바도르 | – | – | – | – | – | – | – | – | 1 | 1 |
에스토니아 | – | – | – | – | 2 | 1 | 2 | 2 | 1 | 5 |
핀란드 | 2 | 2 | 2 | 3 | 2 | 2 | 1 | 1 | 1 | 9 |
프랑스 | 4 | 2 | 3 | 3 | 2 | 2 | 2 | 4 | 9 | 9 |
독일 | 4 | 6 | 6 | 6 | 5 | 6 | 7 | 5 | 4 | 9 |
영국 | 12 | 11 | 12 | 11 | 6 | 4 | 8 | 7 | 3 | 9 |
그리스 | – | – | – | 2 | – | – | – | – | – | 1 |
과테말라 | – | 1 | – | 1 | 1 | 1 | 1 | 2 | 1 | 7 |
홍콩 | 5 | 3 | 4 | 5 | 3 | 4 | 7 | 4 | 6 | 9 |
헝가리 | 3 | 1 | – | – | – | – | 1 | 2 | – | 4 |
아이슬란드 | 3 | 1 | – | – | 1 | 1 | – | – | – | 4 |
인도 | 3 | 2 | 2 | 3 | 2 | 5 | 7 | 4 | 7 | 9 |
인도네시아 | 13 | 20 | 19 | 14 | 11 | 9 | 10 | 11 | 9 | 9 |
이란 | – | – | – | – | 1 | – | – | 1 | – | 2 |
아일랜드 | – | – | 1 | – | 2 | 2 | 2 | 1 | 2 | 6 |
이스라엘 | – | – | – | – | – | 1 | 1 | 2 | 1 | 4 |
이탈리아 | – | – | – | – | 1 | 1 | 1 | – | 1 | 4 |
자메이카 | – | – | – | 1 | – | – | – | – | – | 1 |
일본 | 11 | 7 | 9 | 11 | 10 | 11 | 9 | 13 | 12 | 9 |
카자흐스탄 | – | – | – | – | – | – | – | – | 1 | 1 |
리투아니아 | – | – | – | – | 2 | 1 | – | – | – | 2 |
말레이시아 | 6 | 7 | 6 | 9 | 9 | 6 | 8 | 8 | 8 | 9 |
몰디브 | – | – | – | – | – | 1 | – | 1 | 1 | 3 |
몰타 | – | – | – | – | – | – | – | 1 | – | 1 |
모리셔스 | 3 | 4 | 5 | – | 1 | – | 1 | 1 | 1 | 7 |
멕시코 | – | – | – | – | 1 | 1 | 1 | 2 | 1 | 5 |
미얀마 | – | – | – | – | – | – | – | 1 | 1 | 2 |
네팔 | – | – | – | – | – | – | – | – | 1 | 1 |
네덜란드 | 3 | 5 | 8 | 4 | – | 1 | 3 | 4 | 2 | 8 |
뉴질랜드 | 4 | 2 | – | 2 | 3 | – | – | – | – | 4 |
나이지리아 | – | 2 | – | – | 1 | – | – | 3 | 1 | 4 |
노르웨이 | 1 | – | – | 1 | – | 1 | – | – | – | 3 |
파키스탄 | – | – | – | – | – | – | – | 1 | – | 1 |
페루 | – | 1 | – | 1 | 1 | 2 | – | 1 | 1 | 6 |
필리핀 | – | 1 | – | – | – | – | – | – | – | 1 |
폴란드 | 6 | 1 | 3 | 3 | 5 | 6 | 5 | – | – | 7 |
포르투갈 | 2 | – | 1 | 1 | 2 | 2 | 2 | – | – | 6 |
난민 | – | – | – | – | – | – | – | 1 | 1 | 2 |
루마니아 | 1 | – | – | – | – | – | – | – | – | 1 |
러시아 | – | 5 | 3 | 2 | 2 | 6 | 4 | – | – | 6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 – | 4 | – | 1 | ||||||
세이셸 | – | – | – | – | 2 | – | – | – | – | 1 |
싱가포르 | 3 | 1 | – | 3 | 5 | 4 | 2 | 2 | 4 | 8 |
슬로바키아 | – | – | – | – | 1 | 1 | – | 1 | – | 3 |
슬로베니아 | – | – | 1 | – | 1 | 1 | – | – | – | 3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 | – | – | 6 | 5 | 4 | 1 | – | 1 | 6 |
대한민국 | 12 | 17 | 12 | 15 | 13 | 12 | 14 | 10 | 12 | 9 |
스페인 | 2 | – | – | 2 | 2 | 2 | 2 | 2 | 2 | 7 |
스리랑카 | 1 | – | – | – | 1 | 2 | 1 | 1 | 1 | 6 |
수리남 | – | 1 | – | – | – | 1 | 1 | – | 1 | 4 |
스웨덴 | 8 | 10 | 6 | 3 | 1 | 1 | 1 | 1 | – | 8 |
스위스 | 2 | 2 | – | – | 2 | 1 | 1 | 1 | 2 | 7 |
태국 | 8 | 7 | 6 | 8 | 4 | 6 | 7 | 7 | 9 | 9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 1 | – | – | – | – | – | – | – | 1 |
튀르키예 | – | – | – | – | – | 1 | 1 | 1 | 1 | 4 |
우간다 | – | – | – | – | 1 | 1 | – | – | – | 2 |
우크라이나 | – | 3 | 3 | – | 2 | 2 | 2 | 2 | 1 | 7 |
통합팀 | 2 | 해체 | 1 | |||||||
미국 | 6 | 3 | 1 | 2 | 5 | 3 | 7 | 4 | 7 | 9 |
베트남 | – | – | – | – | 2 | 1 | 2 | 2 | 2 | 5 |
잠비아 | – | – | – | – | 1 | – | – | – | – | 1 |
국가 | 36 | 37 | 28 | 32 | 50 | 51 | 46 | 49 | 49 | 74 |
연도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9 |
대한민국은 1988년 시범 종목으로 채택된 올림픽부터 2024년 올림픽까지 총 9번의 올림픽 배드민턴 경기에 모두 참가하였으며, 특히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로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6. 경기 방식
올림픽 배드민턴은 조별 리그와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구성된다. 각 경기는 3전 2선승제로 진행된다. 각 게임은 21점까지 진행되며, 랠리 포인트 방식을 사용하여 득점을 위해 서브를 넣을 필요는 없다. 2점 차로 이기거나, 30점에 먼저 도달해야 한다.[1]
7. 올림픽 배드민턴과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배드민턴이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을 때 처음 올림픽 무대에 등장했다. 당시 여자 복식에서 김연자/정소영 조가 금메달, 황혜영/정소영 조가 은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배드민턴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배드민턴이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대한민국은 본격적으로 메달 사냥에 나섰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여자 복식에서 황혜영/정소영 조가 금메달, 길영아/심은정 조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남자 복식에서도 박주봉/김문수 조가 금메달을 따내며 대한민국 배드민턴의 전성기를 알렸다.
이후 대한민국은 꾸준히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서는 여자 단식에서 방수현이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여자 배드민턴의 저력을 과시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남자 복식에서 하태권/김동문 조, 여자 복식에서 정재희/나경민 조, 혼합 복식에서 김동문/나경민 조가 동메달을 획득하며 전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남자 복식에서 하태권/김동문 조가 금메달, 이동수/유용성 조가 은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남자 복식의 강세를 이어갔다. 또한, 여자 단식에서 손승모가 은메달, 혼합 복식에서 김동문/나경민 조가 동메달을 추가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혼합 복식에서 이용대/이효정 조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배드민턴의 새로운 스타 탄생을 알렸다. 남자 복식에서는 정재성/이용대 조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남자 복식에서 정재성/이용대 조가 동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배드민턴의 명맥을 이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여자 복식에서 정경은/신승찬 조가 동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여자 배드민턴의 꾸준함을 보여주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여자 복식에서 김소영/공희용 조가 동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배드민턴의 미래를 밝혔다.
참조
[1]
웹사이트
Olympic Analytics - Medals by Countries
http://olympanalyt.c[...]
2022-01-31
[2]
웹인용
배드민턴
http://www.olympic.o[...]
국제 올림픽 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