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혼성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혼성 선수단은 여러 국가의 선수들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한 팀을 의미한다. 1896년과 190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1900년 하계 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1900년과 1904년 올림픽의 혼성팀 메달을 개별 국가에 재분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혼성 선수단 | |
---|---|
올림픽 혼성팀 | |
NOC 코드 | ZZX |
올림픽 참가 | 올림픽 |
금메달 | 4 |
은메달 | 2 |
동메달 | 4 |
순위 | 해당 없음 |
메달 합계 | |
금메달 | 11 |
은메달 | 6 |
동메달 | 8 |
총합 | 25 |
하계 올림픽 참가 연도 | |
관련 정보 | |
참고 문헌 | Horne, J.와 Whannel, G.의 "Understanding the Olympics. 2nd edition", Routledge, 2016, p.179 |
웹사이트 | 아테네 1896 남자 복식 테니스 결과 - 올림픽 Olympedia의 혼성팀 올림픽 참가 |
2. 역대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근대 올림픽 초기에는 여러 국가 출신 선수들이 한 팀을 이루어 경기에 참가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이러한 혼성팀은 1896 아테네 올림픽, 1900 파리 올림픽, 1904 세인트루이스 올림픽에 참가하여 메달을 획득했다.[29][30][31][32] 이 세 번의 올림픽 대회에서 혼성팀이 획득한 메달은 총 25개(금메달 11개, 은메달 6개, 동메달 8개)이다.
혼성팀은 주로 테니스와 같은 단체 경기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 종목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러나 1908년 런던 올림픽부터는 올림픽 참가가 각국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규정이 변경되면서, 여러 국가 선수들로 구성된 혼성팀은 더 이상 올림픽에 참가할 수 없게 되었다.
2. 1. 대회별 메달 집계
역대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문서에서 혼성팀의 메달 기록은 다음과 같다.대회명 | 금 | 은 | 동 | 계 |
---|---|---|---|---|
1896 아테네[29][30] | 1 | 0 | 1 | 2 |
1900 파리[31] | 8 | 5 | 6 | 19 |
1904 세인트루이스[32] | 2 | 1 | 1 | 4 |
합계 | 11 | 6 | 8 | 25 |
혼성팀은 주로 단체 경기, 특히 테니스 종목의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1908년 런던 올림픽부터는 올림픽 참가가 국가 올림픽 위원회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규정이 변경되면서, 여러 국가 선수들로 구성된 혼성팀은 더 이상 참가할 수 없게 되었다.
2. 2. 종목별 메달 집계
2024년, IOC는 1900년 파리 올림픽과 1904년 세인트루이스 올림픽에서 혼성팀이 획득했던 일부 메달을 선수들의 국적에 따라 개별 국가의 메달로 재분배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당시 선수들의 국적을 명확히 하고 올림픽 역사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한 조치였다.
혼성팀은 단체 경기, 특히 테니스의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서 두드러졌다. 그러나 1908년 런던 올림픽부터 올림픽 참가가 각국의 올림픽 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지면서, 국경을 넘나드는 혼성팀은 사라지게 되었다.
3. 2024년 메달 재분배
초기 올림픽의 혼성팀은 주로 단체 경기, 특히 테니스의 남자 복식과 혼합 복식 종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러나 1908년 런던 올림픽부터는 각국 올림픽 위원회를 통해 올림픽 참가가 이루어지도록 규정이 변경되면서, 여러 국가 선수들로 구성된 혼성팀은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28]
3. 1. 재분배 결과
wikitext
팀 | 경기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혼성팀 | 1900년 하계 올림픽 | -7 | -3 | -3 | -13 |
프랑스 | 3 | 2 | 2 | 7 | |
영국 | 3 | 1 | 0 | 4 | |
네덜란드 | 1 | 0 | 0 | 1 | |
벨기에 | 0 | 0 | 1 | 1 | |
혼성팀 | 1904년 하계 올림픽 | -1 | -1 | -1 | -3 |
미국 | 1 | 1 | 1 | 3 | |
다음 표는 IOC가 2024년에 메달을 재분류한 메달리스트만 나열한다.
메달 | 이름 | 대회 | 종목 | 세부 종목 | 메달리스트 | 참고 |
---|---|---|---|---|---|
영국 | 1900년 하계 올림픽 | 폴로 | 남자 팀 | 폭스헌터스 허링햄 | [14] |
프랑스 | 1900년 하계 올림픽 | 럭비 | 남자 팀 | 프랑스 럭비 연합 대표팀 | [15] |
프랑스 | 1900년 하계 올림픽 | 요트 | 2 - 3톤 레이스 1 | 윌리엄 엑쇼 (영국), 프레데릭 블랑쉬 (프랑스), 자크 르 라바쇠르 (프랑스) | [16] |
프랑스 | 1900년 하계 올림픽 | 요트 | 2 - 3톤 레이스 2 | 윌리엄 엑쇼 (영국), 프레데릭 블랑쉬 (프랑스), 자크 르 라바쇠르 (프랑스) | [17] |
네덜란드 | 1900년 하계 올림픽 | 조정 | 남자 유타페어 | 프랑수아 브란트 (네덜란드), 로엘로프 클라인 (네덜란드), 헤르마누스 브로크만 (네덜란드), 미상 소년 (프랑스) | [18] |
영국 | 1900년 하계 올림픽 | 육상 | 5000m 단체 | 스탠 롤리 (오스트레일리아), 알프레드 타이소 (영국), 시드니 로빈슨 (영국), 존 리머 (영국), 찰스 베넷 (영국) | [19] |
영국 | 1900년 하계 올림픽 | 수구 | 남자 팀 | 오스본 수영 클럽 오브 맨체스터 | [20] |
미국 | 1904년 하계 올림픽 | 체조 | 단체 종합, 기구 운동 및 필드 스포츠 남자 | 필라델피아 턴게마인데 | [21] |
영국 | 1900년 하계 올림픽 | 폴로 | 남자 팀 | BLO 폴로 클럽 럭비 | [14] |
프랑스 | 1900년 하계 올림픽 | 크리켓 | 남자 팀 | 프랑스 육상 클럽 연합 | [25] |
프랑스 | 1900년 하계 올림픽 | 줄다리기 | 남자 팀 | 레이싱 클럽 드 프랑스 | [9] |
미국 | 1904년 하계 올림픽 | 육상 | 4마일 단체 | 시카고 육상 협회 | [26] |
프랑스 | 1900년 하계 올림픽 | 폴로 | 남자 팀 | 바가텔 폴로 클럽 드 파리 | [14] |
벨기에 | 1900년 하계 올림픽 | 축구 | 남자 팀 | 브뤼셀 대학교 | [27] |
프랑스 | 1900년 하계 올림픽 | 수구 | 남자 팀 | 리벨륄 드 파리 | [20] |
미국 | 1904년 하계 올림픽 | 줄다리기 | 남자 팀 | 사우스웨스트 턴버라인 오브 세인트루이스 No. 2 | [28] |
4. 메달리스트 목록
프리츠 트라운 (독일)
오이겐 슈미트 (덴마크),
샤를레스 빈클레르 (덴마크),
아우구스트 닐손 (스웨덴),
구스타프 쇠데르스트룀 (스웨덴),
카를 스타프 (스웨덴)
마누엘 디아스 (쿠바),
앨버트슨 반 조 포스트 (미국)
배질 스팰딩 드 가멘디어 (미국)
해럴드 마호니 (영국)
조지 S. 로버트슨 (영국)
마누엘 데 에스칸돈 이 바론 (멕시코),
파블로 데 에스칸돈 이 바론 (멕시코),
기예르모 아이덴 리그트 (미국)
로렌스 도허티 (영국)
아치볼드 워든 (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