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귀비 소초로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귀비 소초로씨는 만주 양백기 소초로 씨족 출신으로, 함풍제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완빈, 완비, 완귀비로 봉해졌다. 1852년 함풍제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자녀는 없었으며, 함풍제가 사망한 후 동치제와 광서제 치세에 황실 여인으로서 예우를 받았다. 1894년 사망하여 청 동릉의 비원침에 부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 정백기인 - 완룽
다우르족 출신인 완룽은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의 황후였으나, 정략결혼과 불행한 삶, 아편 중독, 수감 생활 끝에 사망했다. - 만주 정백기인 - 효숙예황후 (청나라)
청나라 가경제의 황후 효숙예황후는 도광제의 생모로, 가경제 즉위 후 황후에 책봉되었으나 곧 병사했으며, 황제의 생모가 된 유일한 청나라 황후이다. - 창춘시 출신 - 황석영
황석영은 만주 출생으로 한국 전쟁을 겪고 성장하여 사회 현실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소설을 쓴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창춘시 출신 - 아사오카 루리코
아사오카 루리코는 만주국 출신으로 1954년 데뷔하여 닛카쓰 액션 영화의 대표적인 히로인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영화와 더불어 "사랑의 화석" 등의 히트곡을 남긴 가수 활동과 '남자는 힘들어' 시리즈의 '릴리' 역, 1980년대 이후 무대 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은 일본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완귀비 소초로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완귀비 |
한자 표기 | 婉貴妃 |
중국어 병음 | Wǎn Guìfēi |
만주어 | ᠨᡝᠮᡤᡳᠶᡝᠨ ᡤᡠᡳᡶᡝᡳ (nemgiyen guifei) |
원래 이름 | 완귀비 소초로씨 |
휘 | 색작락 요혜 (索綽絡 嶢兮) |
생애 | |
출생 | 1835년 11월 17일 |
출생지 | 지린성 이퉁 |
사망 | 1894년 6월 20일 |
사망지 | 쯔진청 |
묻힌 곳 | 딩릉 |
가문 | |
성씨 (출생 시) | 소초로 (索绰罗) |
성씨 (결혼 후) | 아이신 교로 (Aisin Gioro) |
아버지 | Kuizhao (奎照) |
어머니 | 미상 |
혼인 | |
배우자 | 함풍제 |
결혼 시기 | 1858년 |
결혼 종료 시기 | 1861년 (사망) |
자녀 | 없음 |
기타 | |
종교 | 미상 |
2. 생애
1852년 함풍제의 후궁으로 간택되었으며, 함풍제와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1861년 부군 함풍제의 상(喪)을 치렀다. 이후 광서제 치세기에는 청나라 황실 여인의 원로로서 예우를 받다가 1894년 5월 17일 사망하였다.
동치제 즉위 후 완비로, 광서제 즉위 후 완귀비로 존봉되었다. 정릉의 비원침에 부장되었다.
2. 1. 가계
완귀비는 만주족 양백기 소초로 씨족 출신으로, 개인 이름은 자오거(招格)였다.[1] 아버지는 퀴자오(奎照)로, 1814년 군기처의 일원이었으며 1842년에는 정일품 문관(左都御史)을 지냈다.[2]항목 | 내용 |
---|---|
외조부 | 잉허(英和). 1793년 황태자의 스승이었으며, 군기처의 일원 및 호부의 비서였다.[3] |
외조모 | 사크다 부인 |
고모할머니 | 귀인 윈 |
여동생 | 부국장군 자이쿤(辅国将军 载坤)의 아내 |
오빠 | 시즈(锡祉). 관리(官员) |
2. 2. 함풍제 시대
1851년 자금성에 입궁하여 '완상재(婉常在)'라는 칭호를 받았다. '완(婉)'은 '총명함'을 의미한다.[4] 1852년 함풍제의 후궁으로 간택되었으며, 함풍제는 소초로씨가 훌륭하고 명망 있는 가문 출신임에도 '귀인(貴人)' 작위를 받을 자격이 없다고 판단하여, 이전 애첩이었던 우기야씨(烏雅氏)에게 '귀인' 작위를 내렸다. 소초로씨는 운빈(雲嬪)의 감독 하에 承乾宮(승건궁)에서 거주했다.1852년 6월, 시녀들과 함께 원명원으로 이동했다.[4] 당시 궁정 화가들은 황실 후궁들의 초상화를 그리도록 명령받았고, 그녀의 초상화는 정원의 如意館(여의관)으로 보내졌다. 같은 해 10월, '완귀인(婉貴人)'으로 진봉되었다.[5] 1855년 '완빈(婉嬪)'으로 격상되었지만, 강자황태후의 애도 기간으로 인해 책봉식은 1856년까지 연기되었다.[6] 진봉 이후 景仁宮(경인궁)으로 거처를 옮겼다.[7]
종1품 좌도어사 규조의 딸로, 함풍 2년(1852년) 후비 선발 면접 시험인 '선수녀'에 합격하여 '상재'(신분이 낮은 비빈)가 되었다. 같은 해, 귀인으로 진봉되었다. 함풍 4년 12월 24일(서기로 1855년), '완빈'으로 봉해졌다. 함풍제 시대 동안 그녀는 자녀를 낳지 못했다.
2. 3. 동치제, 광서제 시대
1861년 동치제가 즉위하면서 소초로씨는 완비(婉妃)로 진봉되었다.[8] 1874년에는 완귀비(婉貴妃)로 진봉되었다.[9] 1894년 5월 17일 완귀비 소초로씨는 사망하였으며, 1897년 청 동릉의 정릉(定陵)에 안장되었다.[10]3. 품계
시기 | 품계 | 비고 |
---|---|---|
도광제 재위 (1820–1850) | 소초로씨 부인 | 1835년 11월 17일부터 |
함풍제 재위 (1850–1861) | 완 상재 (婉常在중국어) | 7품, 1851년부터 |
완 귀인 (婉贵人중국어) | 6품, 1852년 10월부터 | |
완 빈 (婉嬪중국어) | 5품, 1855년부터 | |
동치제 재위 (1861–1875) | 완 비 (婉妃중국어) | 4품, 1861년부터 |
완 귀비 (婉貴妃중국어) | 3품, 1874년부터 |
참조
[1]
서적
石氏家譜
[2]
서적
《清史稿》列传一百五十 / "Draft History of Qing", chapter 150
[3]
서적
《清史稿》列传一百五十/"Draft History of Qing", chapter 150
[4]
서적
《宮中雜件》/"Records of central palace"
[5]
서적
《锡祉呈请代为具折叩谢胞妹婉常在晋封婉贵人天恩事》/"A memorial giving thanks for the promotion of younger sister, First Class Female Attendant Wan"
[6]
서적
《清實錄‧文宗顯皇帝實錄》, book 155
[7]
웹사이트
景仁宫
http://www.dpm.org.c[...]
2020-08-28
[8]
서적
《清實錄‧穆宗毅皇帝實錄》, book 6
[9]
서적
《清實錄‧穆宗毅皇帝實錄》, book 373
[10]
서적
《清實錄‧德宗景皇帝實錄》, book 408
[11]
서적
『英和年譜』(英和は婉貴妃の祖父)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