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명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명원은 청나라 황실의 별궁으로, 1707년 강희제가 옹정제에게 정원을 하사하면서 시작되었다. 건륭제 시대에 장춘원, 기춘원 등이 건설되었고, 예수회 선교사들이 설계에 참여한 서양풍 건물과 분수가 설치되었다. 1856년 제2차 아편전쟁 중 영국·프랑스 연합군에 의해 약탈 및 파괴되었으며, 이후 의화단 운동과 문화 대혁명을 거치며 폐허로 방치되었다. 현재는 유적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중국 정부는 약탈된 문화재 반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25년 완공된 건축물 - 스페인 계단
스페인 계단은 18세기 초 교황 클레멘스 11세의 의뢰로 프란체스코 데 산티스가 설계하여 트리니타 데이 몬티 교회와 스페인 광장을 연결하는 바로크 양식과 정원 디자인이 결합된 계단으로, 주변 명소와 영화 로마의 휴일 배경으로 문화적 상징성이 크다. - 1725년 완공된 건축물 - 산타 체칠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
산타 체칠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은 3세기경에 건립되어 체칠리아 성녀를 수호성인으로 모시고, 스테파노 마데르노의 조각상, 피에트로 카발리니의 성화 등 미술 작품과 건축 유물을 소장하며, 역대 명의 추기경으로 교황 스테파노 3세 등이 있었고 현재 괄티에로 바세티가 명의 추기경으로 있는 로마의 성당이다. - 중국의 궁전 - 자금성
자금성은 명, 청나라 황제들이 거주했던 베이징의 거대한 궁궐로, 황실의 권력과 위엄을 상징하며 현재 고궁박물원으로 개장되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중국의 궁전 - 대명궁
대명궁은 당나라 수도 장안에 위치했던 궁궐로, 당 고종 때 완공되어 당나라 정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으며, 주요 전각과 호수를 갖추고 안사의 난 이후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낙양 천도와 함께 소멸되었고, 현재는 대명궁 국가유적공원으로 조성되어 실크로드의 일부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원명원 | |
---|---|
개요 | |
위치 | 중국 베이징 하이뎬 구 |
좌표 | 39°59′39″N 116°17′26″E |
별칭 | 만원지원(간체: 万园之园/정체: 萬園之園, 모든 정원의 정원) |
종류 | 궁궐, 정원 |
역사 | |
건설 시작 | 1707년 |
완공 | 1739년 |
파괴 | 1860년 (대부분)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원명원 공식 웹사이트 |
참고 | 여름 궁전도 베이징에 위치함 |
2. 역사
원명원의 역사는 1707년(강희제 48년) 청나라 제4대 황제 강희제가 황자 시절의 옹정제(당시 옹친왕 윤진)에게 하사한 정원에서 시작되었다.[11] 옹정제가 즉위한 후 1725년부터 정원을 확장하고 여러 건물을 증축하였다.[11]
건륭제 시대에 이르러 원명원은 크게 확장되었다. 기존 원명원의 동쪽에는 장춘원(長春園|창춘위안중국어), 남동쪽에는 기춘원(綺春園|치춘위안중국어, 후에 만춘원(萬春園)으로 개칭)이 추가로 건설되었다. 이 세 정원을 합한 전체 면적은 3.5km2에 달했다. 특히 장춘원 북쪽에는 예수회 선교사 카스틸리오네와 브누아 등이 설계에 참여한 서양식 건물군인 서양루(西洋樓)가 세워졌다.[10] 이후 가경제 시대에도 대규모 수리가 이루어졌고, 문원각(文源閣)에는 사고전서 정본이 보관되기도 했다.
그러나 원명원의 화려함은 오래가지 못했다. 1856년 발발한 애로호 전쟁(제2차 아편 전쟁) 중 1860년, 베이징까지 침입한 영국·프랑스 연합군에 의해 약탈당했다. 프랑스군이 먼저 귀중품을 약탈한 후, 영국 원정군 사령관 엘긴 경은 청나라 군대가 영국과 프랑스 사절단 포로를 학대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원명원을 불태우라는 명령을 내렸다.[21][22] 이 명령으로 3,500명의 영국군이 동원되어 3일 밤낮으로 원명원을 불태웠고,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어 폐허로 변했다. 이 파괴 행위는 빅토르 위고와 같은 유럽의 지식인들에게도 큰 비판을 받았다.[30][31]
이후 원명원은 1900년 의화단 운동 진압 과정에서 8개국 연합군에 의해 다시 약탈당하고 파괴되었으며,[23] 중화민국 시대와 1966년 시작된 문화 대혁명을 거치면서 더욱 황폐해져 오랫동안 방치되었다.[27]
1984년부터 유적 공원 건설이 시작되어 일부 지역이 복원 및 정비되었고, 1988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 중점 보호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재 원명원은 역사 유적 공원으로 남아 있으며, 폐허 상태로 보존할 것인지 일부라도 복원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또한, 약탈된 문화재의 반환 문제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2. 1. 건설과 확장
1707년(강희제 48년) 청나라 4대 황제 강희제가 당시 황자였던 옹친왕 윤진(훗날의 옹정제)에게 하사한 정원에서 시작되었다.[11] 옹정제가 즉위한 후인 1725년(옹정 3년)부터 여러 건물이 증축되고 정원이 확장되었으며,[11] 호수, 개울, 연못 등 수리 시설을 도입하고 정원 내 28곳의 경승지를 지정했다.[11] 또한 환관들이 농부나 상인 역할을 하며 황실 가족이 교류할 수 있는 '살아있는 풍경'을 만들기도 했다.[11]건륭제 시대에는 대대적인 확장이 이루어져 원명원 동쪽으로 장춘원(長春園|Chángchūn Yuán중국어), 남동쪽으로 기춘원(綺春園|Qǐchūn Yuán중국어, 후에 만춘원(萬春園)으로 개칭)이 건설되었다. 이 세 정원(원명원, 장춘원, 기춘원)을 합한 전체 면적은 3.5km2에 달했으며, 이는 자금성의 약 5배, 바티칸 시국의 8배 크기였다. 정원 안에는 수백 채의 전각, 누각, 사찰 등 다양한 건축물이 있었고, 중국 남부의 유명 풍경을 재현하기도 했다. 또한 수많은 미술품, 골동품, 희귀 서적들이 보관되었다. 건륭제는 경승지를 50곳으로 늘렸으며,[12] 1744년에는 궁정 화가들에게 명하여 ''원명원 사십경'' 앨범을 제작하게 했다.[12]



특히 장춘원 북쪽에는 1747년부터 예수회 선교사 브누아(Michel Benoist)와 카스틸리오네(Giuseppe Castiglione) 등이 설계에 참여하여 분수가 설치된 서양식 건물군인 서양루(西洋樓)가 건설되었다.
가경제 시대에도 대규모 수리가 이루어졌으며, 양저우에서 최고급 가구를 들여왔다. 또한 문원각(文源閣)에는 사고전서 정본이 보관되었다.
원명원은 베이징 서북쪽, 옥천산 인근의 물이 풍부하고 경치가 아름다운 지역에 자리 잡았다. 이 지역은 원나라 시대부터 별장이 들어서기 시작했으며, 명나라 때인 16세기에는 이위가 청화원(清華園)이라는 별장을 지었던 곳이다.[9]
2. 2. 서양루(西洋樓) 건설
건륭제 시대에 원명원의 확장 과정에서 장춘원(長春園) 북쪽 지역에 서양루(西洋樓)가 건설되었다. 이는 예수회 소속 선교사인 주세페 카스틸리오네가 계획하고 설계했으며, 분수와 수경 시설은 미셸 베누아가 담당하여 만들어진 서양식 건물 및 정원 구역이다. 건륭제는 유럽 분수의 조각을 본 후 서양식 건축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국적인 건물과 물건에 대한 자신의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카스틸리오네와 베누아를 고용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했다.[10]서양루 구역은 18세기 유럽풍의 궁전, 정자, 조류 사육장, 미로, 분수, 연못, 수경 시설뿐만 아니라 야외 극장 무대처럼 구성된 원근법 회화 등으로 건설되었다. 부분적으로 돌로 지어졌지만 주로 목재 기둥, 채색 타일, 벽돌 벽으로 된 중국식 기반 시설을 갖춘 구조물이었다.
가장 큰 궁전인 해안당(海晏堂) 앞에는 인상적인 시계 분수가 설치되었다. 이 분수에는 12개의 중국 십이지신 동물이 있었는데, 각 동물은 2시간마다 번갈아 물을 뿜어냈지만 정오에는 모두 함께 물을 뿜어냈다.[10]
하지만 이러한 유럽 스타일의 건물들은 정원의 전체 면적에 비해 작은, 장춘원 뒤쪽의 일부 지역만을 차지했다. 제국 정원의 95% 이상은 중국식 건물로 구성되었다. 또한 청나라 제국의 다양성을 반영하는 티베트와 몽골 양식의 건물도 일부 있었다.
2. 3. 제2차 아편 전쟁과 파괴
1856년(함풍 6년)에 발발한 애로호 전쟁(제2차 아편전쟁) 당시, 톈진(天津, 천진) 해안에서 내륙으로 진격한 영국·프랑스 연합군은 베이징(北京, 북경)에 도착했다.9월 중순, 영국 특사 헨리 로크와 해리 파크스는 휴전 깃발을 들고 이친왕 등 청나라 대표들과 퉁저우(通州, 통주)에서 협상을 진행했다. 이 대표단에는 ''The Times'' 기자 토머스 윌리엄 볼비와 소규모 영국 및 인도군 호위대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9월 18일 회담이 끝나갈 무렵, 연합군은 청나라 군대를 공격했고, 청나라 측은 영국군이 톈진 지사를 구금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청나라 장군 승격린친은 협상을 마치고 돌아가려던 영국-프랑스 대표단 일행을 포로로 잡았다. 이들은 베이징의 형부(刑部, 형벌부)로 끌려가 감금되고 고문을 당했으며, 그 결과 19명의 영국, 프랑스, 인도인 포로가 사망했다. 파크스와 로크 등 14명은 2주 후에 풀려났다.[17][18][19]



thumb
10월 5일 밤, 프랑스군이 원명원에 먼저 도착했다. 당시 함풍제와 주요 수행원들은 이미 허베이(河北) 성의 청더 산장으로 피난한 상태였고, 궁궐에는 소수의 환관과 궁녀들만 남아 있었다. 프랑스 사령관 샤를 쿠쟁몽토방은 영국 측 지휘관 제임스 호프 그랜트에게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았다"고 말했지만, 실제로는 프랑스군을 중심으로 한 연합군 병사들에 의해 광범위한 약탈이 자행되었다.[20] 주변에 청나라 군인들이 있었음에도 약탈에 대한 별다른 저항은 없었다.[20]
10월 18일, 영국 원정군 사령관 엘긴 경은 포로로 잡혔던 대표단원들이 고문당한 것에 대한 보복이자, 향후 청나라가 외교적 수단으로 납치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경고하기 위해 원명원의 완전한 파괴를 명령했다.[21][22] 이에 3,500명의 영국군이 동원되어 원명원 곳곳에 불을 질렀고, 화재는 3일 동안 계속되었다. 이 과정에서 미처 피하지 못하고 숨어있던 환관과 궁녀 약 300명이 불타는 건물 속에서 목숨을 잃었다. 외딴 지역이나 호숫가에 있던 13개의 건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다.
당시 로열 엔지니어 소속 대위였던 찰스 조지 고든은 당시 상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우리는 밖으로 나가 약탈한 후 그 모든 곳을 불태워 400만 파운드로 대체할 수 없는 가장 가치 있는 재산을 파괴하는 반달적 행위를 저질렀습니다. 우리는 1인당 48파운드 이상의 상금을 받았습니다... 나는 잘했습니다. [현지] 사람들은 매우 친절하지만 저는 우리가 궁궐에서 했던 일 후에 그들이 우리를 싫어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불태운 장소의 아름다움과 웅장함을 상상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것들을 태우는 것은 마음이 아팠습니다. 사실, 이 장소들은 너무 컸고 우리는 시간이 너무 부족해서 조심스럽게 약탈할 수 없었습니다. 금 장식품이 놋쇠로 여겨져 불에 탔습니다. 군대에게는 끔찍하게 타락한 일이었습니다."[24]
영국군과 프랑스군은 주로 도자기류를 선호했으며, 중국 현지에서는 귀중하게 여겨지던 청동 유물들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었다.[29] 약탈된 보물 중에는 상 왕조, 주 왕조, 한 왕조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최대 3,600년 된 유물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해연당 앞에 설치되었던 분수 시계의 12지신 청동 두상도 이때 약탈된 것으로 알려졌으나[25], 실제로는 이때 파괴되지 않고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가 이후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 1930년경 베이징 근교에서 12개 조각상이 온전한 상태로 촬영된 사진이 남아 있으며, 이후 머리 부분이 잘려나가 해외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자세한 내용은 원명원 십이생초수수동상 참조).[45] 이때 원명원에서 약탈된 수많은 보물들은 대영 박물관을 비롯한 유럽 각지의 박물관이나 개인 소장가에게 넘어갔다. 가장 주목할 만한 보물 중 일부는 프랑스 퐁텐블로 궁전 내 중국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데, 이 박물관은 외제니 황후가 약탈품을 보관하기 위해 1867년에 특별히 설립한 것이다.
원명원을 파괴한 후, 연합군은 "이것이 배신과 잔혹함에 대한 보상이다"라는 문구가 적힌 표지판을 세웠다. 원명원의 소실은 제2차 아편 전쟁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사건이 되었다.[26]
프랑스의 저명한 작가 빅토르 위고는 이 사건을 강력히 비판하며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두 명의 강도가 박물관에 침입했습니다. 한 사람은 약탈했고, 다른 사람은 불태웠습니다. ... 두 정복자 중 한 명은 주머니를 채우고, 그것을 보고 다른 한 명은 금고를 채웠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손을 잡고 웃으며 유럽으로 돌아왔습니다. ... 역사 앞에서 한 명의 강도는 프랑스라고 불릴 것이고 다른 한 명은 영국이라고 불릴 것입니다."[30][31] 위고는 언젠가 프랑스가 잘못을 뉘우치고 약탈한 문화재를 중국에 반환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32]
원명원은 1860년의 파괴 이후에도 온전히 보존되지 못했다. 중국 인민대학의 왕다오청 교수에 따르면, 1860년 당시 16개의 경승지가 화재에서 살아남았다고 한다.[27] 그러나 이후 1900년 의화단 운동 진압을 위해 베이징을 점령한 8개국 연합군에 의해 다시 한번 약탈당했고,[23] 중화민국 시대와 문화 대혁명 시기를 거치면서 남아있던 구조물들마저 심하게 훼손되었다.[27] 청나라 황실이 몰락한 이후에는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궁궐 터의 나무들이 팔려나가고, 남은 건축 자재들은 인근 주민들이나 건축업자들에게 약탈되어 건물을 짓거나 집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로 인해 원명원은 거의 완전한 폐허로 변모했다.
자금성과 마찬가지로 원명원은 청나라 황실 전용 공간이었기에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금지되었다.[28] 원명원의 파괴와 약탈은 오늘날 중국에서 여전히 민감한 역사적 사건으로 여겨지며, 제국주의 침략의 상징적인 사례로 기억되고 있다.[29]
2. 4. 의화단 운동과 문화대혁명
1860년 제2차 아편 전쟁 당시 영국-프랑스 연합군에 의해 심하게 약탈되고 불타 폐허가 된 원명원은 이후에도 온전히 보존되지 못하고 추가적인 파괴를 겪었다.1900년 의화단 운동 진압을 위해 베이징에 진주한 8개국 연합군은 남아있던 원명원의 건물과 정원을 다시 약탈하고 파괴했다.[23] 일부 역사 기록에 따르면, 제2차 아편 전쟁의 파괴 이후에도 정원의 일부 구조물은 살아남았으나, 의화단 운동과 청나라 멸망(1912년)을 전후한 혼란기에 대부분 파괴되었다고 한다.[27]
이후 중화민국 시대와 1966년에 시작된 문화 대혁명 시기를 거치면서 원명원은 더욱 황폐해졌다.[27] 특히 문화 대혁명 당시에는 많은 역사 유물이 파괴되었는데, 원명원 역시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방치되거나 남아있던 건축 자재들이 다른 용도로 유용되면서 완전한 폐허 상태에 이르렀다. 수십 년간 폐허로 방치되었던 원명원은 1984년에 들어서야 유적 공원 건설이 시작되어 일부 복원 및 정비 작업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3. 복원과 보존
원명원 약탈 이후 청나라 황실은 자금성으로 거처를 옮겼다. 1873년 어린 동치제는 원명원을 재건하여 자안태후와 서태후를 위한 은퇴 장소로 삼으려 했으나, 황실의 재정 부족으로 1874년 사업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인접한 황실 정원인 청의원(현재의 이화원)이 서태후의 새로운 여름 별장으로 복원되었지만, 그 규모는 원명원에 비해 작았다. 1900년에는 의화단 운동 진압을 위해 파견된 8개국 연합군에 의해 남아있거나 복원되었던 일부 건물마저 다시 불타는 수난을 겪었다.
오랫동안 대부분의 부지가 방치되어 농지로 사용되다가, 1980년대에 들어서야 중국 정부가 부지를 회수하여 역사 유적지로 관리하기 시작했다. 현재 원명원은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어 유적 공원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파괴된 폐허 상태 그대로 보존하여 역사적 교훈으로 삼아야 할지, 아니면 일부라도 복원해야 할지를 두고 중국 내에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47] (하위 섹션 '유적 공원 조성', '복원 논쟁' 참조)
한편, 애로우 전쟁(제2차 아편 전쟁) 당시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에 의해 약탈당한 수많은 문화재를 회수하려는 노력이 중국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계속되고 있다. 실제로 일부 유물이 중국으로 반환되는 성과도 있었다. 노르웨이 베르겐의 KODE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던 원명원 기둥 7개가 2014년 베이징 대학에 반환되었고,[37][38] 프랑스의 개인 소장품이었던 십이지신상 머리 조각상 중 토끼머리와 쥐머리가 2013년 중국 국가박물관에 기증 형식으로 돌아왔다.[57]
원명원의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 신청 여부에 대해서는 중국 내에서 여전히 논쟁이 진행 중이다.[39]
3. 1. 유적 공원 조성
1980년대 이전까지 대부분의 부지는 버려진 채 현지 농민들이 농지로 사용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야 중국 정부가 부지를 회수하여 역사 유적지로 만들었다.1984년 유적 공원 건설이 시작되어 일부 지역이 수복되고 정비되었다. 1988년에는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었고, 애국 교육의 상징이자 관광 자원으로서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원명원 자체의 입장료는 10CNY, 서양루 유적 지구의 입장료는 15CNY이다.
1990년대에는 복원 및 개발 문제를 둘러싼 논쟁이 있었고, 이후 환경 문제와 결부되어 원명원은 중국의 "국가의 상처"를 상징하는 장소로 여겨지게 되었다.[35] 한편, 1999년에는 광둥성 주하이시에 원명원을 본뜬 테마파크인 원명신원이 완공되어 영화 촬영지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성인식과 같은 행사의 장소로도 이용되기 시작했다.[46] 하지만 파괴된 상태 그대로 보존할 것인지, 일부라도 복원할 것인지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었다.[47] 결국 2007년 중국 당국은 2008년부터 200억위안을 투입하여 일부 복원 사업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48] 발표 다음 달에는 원명원 유적 보호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는데, 여기에는 정각사 재건, 장춘원 궁문구 보호 등 8가지 중점 사업과 함께, 수백만 입방미터에 달하는 경관 용수를 재생수로 활용하고 최신 수질 정화 기술을 적용하는 계획도 포함되었다.[49]
2015년에는 저장성의 지방 기업인 헝뎬 집단이 300억위안(약 5조 2,400억 원)을 투자하여 저장성 둥양시 헝뎬진에 6,200무(畝, 약 4.14km2) 규모로 조성한 또 다른 원명신원을 5월 10일에 정식 개장했다.[58] 이 공사는 2012년 5월에 시작되었다.

3. 2. 복원 논쟁
원명원을 과거의 모습으로 복원해야 할지, 아니면 파괴된 폐허 상태로 보존하여 역사적 교훈으로 삼아야 할지에 대한 논쟁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47] 1990년대부터 복원 및 개발 문제가 논의되었으며,[35] 특히 환경 논란 등은 원명원이 가진 '국가의 상처'라는 상징성과 맞물려 새로운 정치적 의미를 부여받기도 했다.[35]현재 중국 내에서는 여러 재건 계획이 존재하지만, 현대 중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유적을 훼손할 수 있다는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다. 완전한 지상 구조물의 복원은 승인되지 않았으나, 일부 복원 및 정비 작업은 진행되었다. 2007년 중국 당국은 2008년부터 200억위안을 투입하여 일부 복원 공사를 시작한다고 발표했으며,[48] 이후 원명원 유적 보호 프로젝트를 통해 정각사 재건, 장춘원 궁문구 보호 등 일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49] 정원 동쪽의 호수와 수로를 다시 파고 물을 채웠으며, 호수 주변의 덤불을 제거하여 과거의 풍경을 일부 재현했다. 부지 내 일부 사찰도 개보수 및 재건되었다.
복원 과정에서 환경 문제는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2005년 2월, 물 손실을 줄이기 위해 호수와 운하 바닥 총 1.33km2 면적에 방수막을 설치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공원 관리국은 이를 통해 물 보충 횟수를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란저우 대학의 장정춘 교수 등 반대 측에서는 이 조치가 호수와 지하수 간의 자연적인 순환을 막아 공원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이미 심각한 베이징의 지하수 고갈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지정된 유산인 정원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훼손한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이 문제는 원명원 파괴로 대표되는 외세 침략의 아픈 기억과 연결되면서 중국 내 여론의 즉각적인 관심을 끌었고, 인터넷에서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베이징시 환경보호국(BEPB)이 환경 영향 평가를 실시하게 되었다.[35] 또한, 경관 용수를 재생수로 대체하려는 계획도 추진 중인데, 수백만 입방미터에 달하는 재생수를 정화하여 사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수질 및 생태계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49]
원명원의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 신청 여부 역시 중국 내에서 여전히 논의 중인 사안이다.[39]
3. 3. 원명신원(圓明新園)
2015년 저장성의 지방 기업인 헝뎬(橫店) 집단이 2012년 5월 공사를 시작해 300억위안(약 5.24조원)을 들여 저장성 둥양(東陽)시 헝뎬 진에 6,200무(畝, 약 4.14km2) 규모로 원명신원을 조성했다. 이 원명신원은 2015년 5월 10일에 정식으로 개장했다.[58]4. 문화재 환수
중국 정부는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당시 프랑스와 영국 군대에 의해 약탈된 원명원의 수많은 문화재를 회수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대표적인 대상은 원명원 서양루(西洋樓) 정원의 해안당(海晏堂) 분수 시계에 설치되었던 십이지 동물 머리 조각상이다.[45]
일부 조각상은 중국 기업의 구매 후 기증[50]이나 프랑스 기업가의 기증[57] 등을 통해 중국으로 돌아왔으며, 십이지신상 외 다른 유물의 반환 사례도 있다.[37][38] 하지만 제2차 아편전쟁과 이후 혼란기에 약탈되고 유실된 원명원의 문화재 상당수는 여전히 대영 박물관 등 해외에 남아 있으며,[29] 중국 정부는 이들 문화재의 행방 추적 및 반환 요구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55][56]
문화재 환수와 관련된 구체적인 현황 및 중국 정부의 노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4. 1. 약탈 문화재 현황
중국 정부는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당시 프랑스와 영국 군대에 의해 약탈된 수많은 문화재를 회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원명원 해안당(海晏堂)의 분수 시계에 설치되었던 십이지신상 머리 조각상이 있다. 이 중 소(丑), 원숭이(申), 호랑이(寅), 돼지(亥), 말(午) 조각상은 중국 기업이 약 10.34억위안으로 구입하여 중국 정부에 반환했다.2009년 2월, 디자이너 이브 생 로랑의 유품 경매에서 토끼(卯)와 쥐(子) 조각상이 프랑스 파리의 크리스티 경매에 나왔다. 중국 측은 구매 협상에 나섰으나 실패했고, 결국 2월 25일 경매에서 각각 1570만유로에 '해외유출문화재 환수기금'(海外流出文化財救出基)의 고문을 자칭하는 차이밍차오(蔡銘超)에게 낙찰되었다. 그러나 그는 "돈을 지불할 생각은 없다. 중국인으로서의 애국적인 책임을 완수했을 뿐이다"라고 밝히며 대금 지불을 거부하여 최종적으로 유찰되었다.[51] 이러한 행동은 국외는 물론 중국 내에서도 비판을 받았으며, 중국 국가문물국은 차이밍차오의 행동이 '개인적인 행위'라며 국가의 개입을 부정했다.[52]
한편, 조각상의 소유자였던 이브 생 로랑의 파트너 피에르 베르제(Pierre Bergé)는 중국의 인권 문제와 달라이 라마 14세의 티베트 귀환 문제를 거론하며, 이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조각상을 중국 정부에 인도할 수 있다고 발언하여 중국 측의 강한 반발을 샀다.[53][59] 이 조각상들은 한동안 베르제가 계속 소유하고 있었다.
이후 PPR 그룹(현 케링)의 창업자 프랑수아 앙리 피노가 베르제로부터 토끼와 쥐 조각상의 소유권을 확보하여, 2013년 6월 28일에 중국 국가박물관에 기증했다.[57] 현재 이 두 조각상은 중국 국가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원명원에서 약탈된 다른 많은 보물들은 대영 박물관을 비롯한 유럽 각지의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중국 정부는 이러한 유물들의 행방을 추적하고 반환을 요구하는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일례로 중국 원명원 관리처가 미국 내 박물관들을 순회하며 원명원 유물을 추적하는 것에 대해, 미국의 뉴욕 타임스는 이것이 중국 국민을 의식한 정치적 행위일 수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55] 2012년 11월에는 영국의 경매 회사 본햄스가 원명원 유물 2점의 경매를 중국 측의 요구 등을 고려하여 중단하기도 했다.[56]
4. 2. 중국 정부의 노력
중국 정부는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당시 프랑스와 영국 군대에 약탈당한 원명원의 수많은 문화재를 회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해안당(海晏堂)의 분수 시계에 설치되었던 십이지 동물 머리 조각상 회수에 집중하고 있다.지금까지 회수된 십이지신상은 다음과 같다.
동물 | 간지 | 회수 경위 | 비고 |
---|---|---|---|
소 | 축(丑) | 중국 기업이 구매하여 정부에 반환[50] | 총 구매액 약 10.34억위안에 포함 |
원숭이 | 신(申) | 중국 기업이 구매하여 정부에 반환[50] | 총 구매액 약 10.34억위안에 포함 |
호랑이 | 인(寅) | 중국 기업이 구매하여 정부에 반환[50] | 총 구매액 약 10.34억위안에 포함 |
돼지 | 해(亥) | 중국 기업이 구매하여 정부에 반환[50] | 총 구매액 약 10.34억위안에 포함 |
말 | 오(午) | 중국 기업이 구매하여 정부에 반환[50] | 총 구매액 약 10.34억위안에 포함 |
토끼 | 묘(卯) | 프랑수아 앙리 피노가 중국 국가박물관에 기증 (2013년)[57] | 이브 생 로랑 소장품 경매 관련 |
쥐 | 자(子) | 프랑수아 앙리 피노가 중국 국가박물관에 기증 (2013년)[57] | 이브 생 로랑 소장품 경매 관련 |
2009년 2월, 패션 디자이너 이브 생 로랑이 소장하고 있던 토끼상(묘)과 쥐상(자)이 프랑스 파리의 크리스티 경매에 나왔다. 중국 측은 구매를 위해 교섭에 나섰지만 실패했다.[50] 결국 2월 25일, 두 조각상은 각각 1570만유로에 '해외유출문화재 환수기금'(海外流出文化財救出基)의 고문을 자처한 중국인 차이밍차오(蔡銘超)에게 낙찰되었다. 그러나 그는 "돈을 지불할 생각은 없다. 중국인으로서의 애국적인 책임을 완수했을 뿐"이라고 밝히며 대금 지불을 거부했다.[51] 이 행동은 중국 내외에서 비판을 받았고, 중국 국가문물국은 국가의 개입이 아닌 '개인적인 행위'라고 선을 그었다.[52]
한편, 조각상의 소유자였던 이브 생 로랑의 파트너 피에르 베르제는 "중국이 인권을 보호하고 달라이 라마 14세가 티베트로 돌아갈 수 있다면 조각상을 중국 정부에 인도하겠다"고 발언하여 중국의 강한 반발을 샀다.[53][59] 결국 조각상은 베르제의 수중에 남게 되었다. 이후 PPR 그룹의 창업자 프랑수아 앙리 피노가 협상을 통해 베르제로부터 소유권을 확보했고, 2013년 6월 28일 두 조각상을 중국 국가박물관에 기증했다.[57]
십이지신상 외에도 다른 유물 회수 노력도 진행 중이다. 2014년에는 노르웨이 베르겐의 KODE 미술관에 있던 원명원 기둥 21개 중 7개가 베이징 대학 동문인 부동산 개발업자 황누보(黃怒波)가 박물관에 1000만노르웨이 크로네(160만달러)를 기부하는 조건으로 베이징 대학에 반환되었다.[37][38]
중국 정부는 미국 등 해외 박물관을 순회하며 원명원 유물의 행방을 추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의 뉴욕 타임스는 중국 정부가 유물 '탈환'을 꾀하거나 중국 국민을 의식한 정치적 행보를 보이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55] 2012년 11월에는 영국의 경매 회사 본햄스가 원명원 유물 2점의 경매를 예정했다가 중국 측의 항의 등으로 중지하는 일도 있었다.[56]
현재까지 원명원에서 약탈된 많은 유물이 여전히 해외 박물관이나 개인 소장품으로 남아 있으며, 중국 정부의 회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4. 3. 반환된 문화재
중국 정부는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중 프랑스·영국 연합군에 의해 약탈된 수많은 문화재를 회수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원명원 해안당(海晏堂)의 분수 시계에 설치되었던 십이지신상 머리 동상 회수에 집중하고 있다.지금까지 반환된 십이지신상은 다음과 같다.
- 축(丑, 소상), 신(申, 원숭이상), 인(寅, 호랑이상), 해(亥, 돼지상), 오(午, 말상): 중국 기업이 약 10억 3400만 위안으로 구입하여 중국 정부에 기증했다.
- 묘(卯, 토끼상), 자(子, 쥐상): 2009년 2월, 디자이너 이브 생 로랑의 유품으로 프랑스 파리의 크리스티 경매에 나왔다. 중국 측은 구매 협상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2월 25일, 경매에서 '해외유출문화재 환수기금'(海外流出文化財救出基)의 고문을 자칭하는 차이밍차오(蔡銘超)가 각각 1570만유로에 낙찰받았다. 그러나 그는 "돈을 지불할 생각은 없다. 중국인으로서의 애국적인 책임을 완수했을 뿐"이라고 밝히며 대금 지불을 거부하여 결국 유찰되었다.[51][52] 당시 소유자였던 이브 생 로랑의 파트너 피에르 베르제(Pierre Bergé)는 중국의 인권 문제 개선과 달라이 라마 14세의 티베트 귀환이 이루어진다면 동상을 중국 정부에 인도할 수 있다고 발언하여 중국 측의 강한 반발을 샀다.[53][59] 이후 이 두 동상은 PPR 그룹의 창업자 프랑수아 앙리 피노가 베르제로부터 소유권을 확보하여 2013년 6월 28일 중국 국가박물관에 기증했다.[57]
십이지신상 외에도 일부 유물이 반환된 사례가 있다. 2014년, 노르웨이 베르겐의 KODE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던 만춘원(万春园)의 기둥 21개 중 7개가 베이징 대학에 반환되었다. 이는 베이징 대학 동문인 부동산 개발업자 황누보(黄怒波)가 해당 미술관에 1000만노르웨이 크로네 (160만달러)를 기부하는 조건으로 성사되었다.[37][38]
그러나 아직 많은 원명원 유물이 외국 박물관이나 개인 소장품으로 남아 있으며, 중국 정부는 지속적으로 반환을 추진하고 있다.
5. 교통
원명원 유적은 대중에게 공개되어 있으며, 하이뎬 구에서 중요한 관광 명소인 원명원 공원이다. 베이징 지하철 4호선의 원명원 공원역에서 접근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Yuanmingyuan Park official website
http://www.yuanmingy[...]
[2]
서적
Impact of English on Chinese mainland: From historical, educational and political dimensions
https://files.eric.e[...]
US-China Education Review
2021-01-13
[3]
웹사이트
Dagu Fort
https://www.topchina[...]
2021-01-13
[4]
문서
[5]
뉴스
The palace of shame that makes China angry
https://www.bbc.com/[...]
2015-02-02
[6]
문서
[7]
웹사이트
The loot from China's old Summer Palace in Beijing that still rankles
https://web.archive.[...]
2018-06-30
[8]
웹사이트
Old Summer Palace marks 157th anniversary of massive loot
http://www.chinadail[...]
2018-06-30
[9]
서적
Paradise Lost: The Imperial Garden Yuanming Yu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10]
서적
Ai Weiwei: Circle of Animals
Prestel Publishing
[11]
웹사이트
The Garden of Perfect Brightness, a Life in Ruins
http://www.eastasian[...]
2016-03-13
[12]
웹사이트
The 40 Scenes
http://ocw.mit.edu/a[...]
MIT Visualizing Culture
[13]
학위논문
Missed Opportunities: Late 18th Century Chinese Relations with England and the Netherlands
University of Washington
[14]
논문
The Last Dutch Embassy to the Chinese Court (1794–1795)
[15]
서적
Voyage de l'ambassade de la Compagnie des Indes Orientales hollandaises vers l'empereur de la Chine, dans les années 1794 et 1795
http://ebook.lib.hku[...]
[16]
서적
Voyage à Pékin, Manille et l'Île de France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서적
How we got to Pekin: A Narrative of the Campaign in China of 1860
https://books.google[...]
[21]
논문
Lord Elgin and the Burning of the Summer Palace
1960-07
[22]
서적
A biographical sketch-book of early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火燒圓明園 (Huoshao Yuanmingyuan Burning the Yuanmingyuan)
http://big5.china.co[...]
China.com
[24]
서적
The Story of Chinese Gordon
https://books.google[...]
Remington and Co.
1884
[25]
뉴스
Chinese lawyers apply for injunction to stop sale of stolen relics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09-02-22
[26]
서적
Britain's Forgotten Wars
[27]
웹사이트
Should Yuanmingyuan Be Rebuilt?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Online
[28]
서적
Personal narrative of occurrences during Lord Elgin's second embassy to China, 1860
[29]
웹사이트
The palace of shame that makes China angry
https://www.bbc.com/[...]
BBC
2015-02-02
[30]
웹사이트
Letter of Victor Hugo on the Summer Palace
http://chine.in/mand[...]
chine.in
[31]
뉴스
The sack of the summer palace
https://archive.toda[...]
1985-11
[32]
웹사이트
Splendors of a Bygone Age
http://taipei.tzuchi[...]
Tsu Chi Foundation
[33]
웹사이트
Redención
http://espanol.cri.c[...]
CRI español
[34]
뉴스
SongZhuang Remembers
http://beijingtoday.[...]
2013-10-27
[35]
논문
The Ruins of Yuanmingyuan
http://mcx.sagepub.c[...]
2009-03-01
[36]
웹사이트
New Yuanming Palace at travelchinaguide.com
http://www.travelchi[...]
[37]
뉴스
Despite Frigid Relations, Chinese Relics Coming Home From Norway
http://sinosphere.bl[...]
2014-02-09
[38]
웹사이트
Return of Old Summer Palace relics delayed
http://www.iiss.com/[...]
IISS
2015-01-12
[39]
웹사이트
Old palace, new status - China.org.cn
http://www.china.org[...]
[40]
웹사이트
Old Summer Palace
https://www.lonelypl[...]
Lonely Planet
2017-01-15
[41]
웹사이트
Portuguese Empire / China / Beijing, Xiyanglou Pavilions, Yuanmingyuan Gardens | Colonial Architecture Project
https://www.colonial[...]
[42]
웹사이트
北京市海淀区圆明园景区
https://www.mct.gov.[...]
中華人民共和国文化観光部
2021-07-22
[43]
간행물
"The sack of the summer palace,"
UNESCO Courier
1985-11
[44]
웹사이트
"Splendors of a Bygone Age,"
https://web.archive.[...]
Tsu Chi Foundation
[45]
서적
「愛国心オークション」
岩波書店
2009-07
[46]
뉴스
"日本人だったら広島の慰霊碑でこんな格好はしない!"中国高校生の国辱成人式がネット炎上―香港紙
https://web.archive.[...]
2013-10-21
[47]
웹사이트
円明園は復元すべきかどうか
https://web.archive.[...]
北京週報
[48]
뉴스
中国・清朝の円明園、3000億円投じて復元へ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7-12-08
[49]
웹사이트
北京の円明園、景観用水に再生水利用へ 来年から
http://japanese.beij[...]
北京週報
2007-12-21
[50]
뉴스
アヘン戦争で略奪の十二支像、中国が奪還に期待
https://web.archive.[...]
朝鮮日報
2008-10-29
[51]
뉴스
支払い拒否の中国人の言い分「中国人としての責任を果たしただけ」
https://web.archive.[...]
MSN産経ニュース
2009-03-02
[52]
뉴스
<動物像競売>世界に恥さらす「愛国」、当局も「国ぐるみ」否定―中国人ブロガー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09-02-24
[53]
뉴스
<中仏>「ダライ・ラマを戻せ」、動物像の返還要求に「政治的恐喝」—中国紙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09-02-24
[54]
뉴스
十二支動物像復元、150年ぶりに時を告げ始める-北京
https://www.excite.c[...]
サーチナ
2009-08-11
[55]
뉴스
なぜ中国は流出文化財の「追跡調査」するの?国民へのポーズに過ぎないのでは―米紙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09-12-20
[56]
뉴스
英オークション会社、円明園の文化財2点の出展を中止=中国との摩擦恐れてー中国メディア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12-11-04
[57]
웹사이트
話題の十二支像が寄贈される
http://www.chinapict[...]
中国画報
2013-09-05
[58]
뉴스
중국 외세수탈 피해 상징 '원명원', 저장성서 실제규모로 복원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5-04-18
[59]
뉴스
中 청동상 경매 제 발등 찍어…낙찰 경쟁자 中반환 계획
http://media.daum.ne[...]
뉴시스
2009-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