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원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원대군은 경순왕후 박씨의 소생으로, 완창대군, 환조대왕, 완천대군, 완성대군, 문혜공주, 문숙공주, 문의공주와 형제이다. 봉양대군 왕부의 딸을 배우자로 개흥군 이원, 개령군 이지, 개원군 이매 등을 두었다. 이복 동생으로는 이완자불화와 이나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56년 사망 - 기철
기철은 고려 말 원나라 기황후의 오빠로서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며 친원 세력을 구축해 국정을 농단했으나, 공민왕의 반원 정책으로 인해 처형당하며 고려의 자주적인 국가로의 전환에 기여했다. - 1356년 사망 - 조반니 그라데니고
조반니 그라데니고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도제였으며, 제노바와의 전쟁을 종식시키고 공화국 경제 회복을 위해 노력했으나 재임 기간 중 전쟁이 발발했고 1356년에 사망했다. - 1331년 출생 - 이지란
이지란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으로, 건주여진 출신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이성계와 의형제를 맺고 왜구 토벌과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해군에 봉해졌으며 태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 1331년 출생 - 남을진
남을진은 고려 말 현량과에 급제하여 참지문하부사를 지냈으나, 우왕의 혼미함과 조정의 혼란을 개탄하며 은거했고 조선 건국 후에도 이성계의 출사 권유를 거절하며 절의를 지킨 인물로, 사후 문안의 시호가 추서되고 정절사에 배향되었다. - 조선 도조의 자녀 - 완창대군
완창대군은 고려 말 도조 이춘의 장남이자 태조 이성계의 백부로, 아버지 사후 천호직 계승 과정에서 이복 형제들과 갈등을 겪었으며,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고 이천계를 양자로 들였다. - 조선 도조의 자녀 - 환조 (조선)
환조 이자춘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로, 원나라 쌍성총관부의 천호를 지내다 고려 공민왕의 반원 정책에 따라 고려에 귀순하여 동북면 영토 수복에 기여했으며, 사후 환왕, 환조 연무성환대왕으로 추존되었다.
완원대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 완원대군 |
한자 | 完原大君 |
로마자 표기 | Wanwon Daegun |
자(字) | 성수(聖受) |
시호(諡號) | 정효(貞孝) |
가계 | |
아버지 | 조선 도조 |
어머니 | 경순왕후 문주 박씨 |
형제 | 완창대군(형), 조선 환조(형), 완천대군(동생) 등 |
배우자 | 부부인 (개성 왕씨 왕부의 딸) |
자녀 | 개흥군(開興君), 개령군(開寧君), 개원군(開源君) |
생애 | |
출생 | 1331년 (고려) |
사망 | 1356년 (고려) |
2. 가계
완원대군 이교의 가계는 고려 왕실 및 조선 왕실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혼인 관계를 통해 복잡하게 얽혀 있다. 아버지는 도조이며, 어머니는 정비 박씨이다. 환조 이자춘을 포함한 여러 이복 형제자매가 있었는데, 이는 도조가 여러 부인을 두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복동생인 환조는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로, 완원대군은 조선 왕실의 직계 조상과 형제 관계에 해당한다.
부인은 고려 왕족인 봉양대군 왕부(王浮)의 딸 개성 왕씨로, 이를 통해 고려 왕실과도 인척 관계를 맺었다. 개성 왕씨와의 사이에서 개흥군 이원, 이지, 개원군 이매 등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이들은 고려 말부터 조선 초기에 걸쳐 활동하며 가계를 이어갔다.
2. 1. 형제
- '''계모''' : 경순왕후 박씨(敬順王后 朴氏)
- * 이복 동생 : 완창대군 이자흥(完昌大君 李子興), 이탑사불화(李塔思不花)
- * 이복 동생 : 환조(桓祖) 이자춘(李子春)
- * 이복 동생 : 완천대군 이평(完川大君 李平)
- * 이복 동생 : 완성대군 이종(完城大君 李宗)
- * 이복 누이 : 문혜공주(文惠公主) / 문인영(文仁永)
- * 이복 누이 : 문숙공주(文淑公主) / 김방괘(金方卦)
- * 이복 누이 : 문의공주(文懿公主) / 허중(許重)
2. 2. 자손
개성 왕씨와의 사이에서 개흥군 이원(李元), 이지(李枝), 개원군 이매(李枚) 등 여러 자녀를 두었다. 이들은 고려 말부터 조선 초기에 활동하며 가계를 이어갔다.2. 2. 1. 개성 왕씨 소생
- 개성 왕씨(王氏) : 봉양대군(鳳陽大君) 왕부(王浮)의 딸
- * 개흥군 이원(李元)
- ** 손 : 동양군 이춘(李春)
- * 이지(李枝, 1349~1427) : 조선 개국 이후 영돈녕부사 역임[3][4]
- * 자부 : 해안 백씨(解安 白氏) - 감찰 규정(監察糾正) 백희관(白希琯)의 딸
- ** 손 : 동선군 이상흥(李尙興, ~1433) - 의주목사·경창부윤
- ** 손 : 동원군 이상항(李尙恒) - 첨지돈녕부사
- ** 손 : 이상진(李尙珍)
- ** 손 : 이상신(李尙新)
- * 자부 : 김씨(金氏)
- * 개원군 이매(李枚) : 충청우도 수군도만호(忠淸右道 水軍都萬戶)
- * 자부 : 청주 한씨
- ** 손 : 동하군 이억천(李億千)
2. 3. 기타
- 이복동생 : 이완자불화(李完者不花) - 도조의 후궁 조씨(趙氏) 소생
- 이복동생 : 이나해(李那海) - 도조의 후궁 조씨(趙氏) 소생
참조
[1]
뉴스
완원대군(完原大君)
http://people.aks.ac[...]
한국학중앙연구원
[2]
실록
고종실록 9권 9년(1872) 12월 3일 계축 2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1872-12-03
[3]
문서
이자선의 생몰년과 그의 아들들 나이를 고려할 때 이지는 이자선의 아들이 맞다고 본다
[4]
웹인용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완원대군파 약사
http://www.rfo.co.kr[...]
2010-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