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귀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귀인은 소설 《봉신연의》에 등장하는 요괴로, 달기의 동생이자 호희미의 언니이다. 여와의 명을 받아 주왕을 유혹하여 상나라를 멸망시키는 데 기여했다. 강자아에게 정체를 간파당해 죽임을 당했지만, 달기의 도움으로 부활하여 주왕을 다시 미혹했다. 이후 서기 군대에 맞서 싸우다 붙잡혀 처형당했다. 왕귀인은 옥석비파정으로, 상나라의 멸망을 초래하는 악녀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요괴 - 손오공
    손오공은 《서유기》의 주인공인 원숭이 요괴로, 미후왕에서 제천대성을 거쳐 투전승불이 되기까지 불경을 구하는 여정 속에서 성장하는 자아 성찰과 사회적 책임의 상징이며, 전 세계 대중문화에서 사랑받는 캐릭터이다.
  • 중국의 요괴 - 구미호
    구미호는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 요괴로, 동아시아 설화에 등장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상서로운 존재, 인간을 유혹하는 존재, 악한 요괴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 봉신연의의 등장인물 - 여와
    여와는 중국 신화에서 뱀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천지창조 및 인류를 탄생시킨 여신으로, 무너진 하늘을 보수하고 홍수를 막았으며 복희와 남매이자 배우자로 묘사되기도 한다.
  • 봉신연의의 등장인물 - 주 무왕
    주 무왕은 서주를 건국하고 상나라를 멸망시켜 천자가 된 왕으로, 강태공, 주공단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은나라 유민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쳐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사후 성왕으로 추앙받고 도교에서는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 문화에 관한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문화에 관한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왕귀인
인물 정보
이름비파정 (琵琶精)
별칭왕귀인 (王貴人)
종족요괴 (비파)
등장 작품봉신연의
역할악역
주요 활동주왕을 유혹하여 나라를 혼란에 빠뜨림
봉신연의 내의 행적
정체옥석비파가 요괴로 변한 존재
주왕과의 관계달기의 자매로 변신하여 주왕을 유혹
아름다운 외모와 뛰어난 재능으로 주왕의 총애를 받음
최후강자아에게 정체가 발각되어 본모습을 드러냄
강자아의 조요경에 의해 원래 모습이 탄로나고 처단됨
기타
관련 인물달기 (자매로 변신), 주왕 (유혹 대상), 강자아 (적대자)
능력요술, 변신술, 뛰어난 미모와 재능

2. 봉신연의에서의 행적

달기의 동생이자 호희미의 언니로, 여와를 섬기던 비파 요괴였다. 여와의 밀명을 받아 주왕을 유혹해 상나라를 멸망시키려 했으나, 강자아에게 정체를 간파당해 죽임을 당했다. 이후 달기의 도움으로 부활하여 다시 주왕을 돕지만, 결국 주나라와의 싸움에서 패배하여 처형당했다.

2. 1. 여와의 밀명

여와의 밀명을 받아 달기, 호희미와 함께 주왕(紂王)을 유혹하여 상나라를 멸망시킨 요괴이다.[3] 헌원묘(軒轅廟)에 사는 비파 요괴로, 달기의 동생이자 호희미의 언니로 등장한다.[6] 주왕이 여와의 궁전에서 여와를 능멸하는 를 쓰자, 분노한 여와는 세 요괴에게 주왕을 유혹하여 상나라를 멸망시키라는 밀명을 내렸다.

2. 2. 강자아와의 대결

강자아는 점술사로 명성을 얻고 있었는데, 어느 날 왕귀인이 강자아에게 점을 보러 갔다. 그러나 강자아는 왕귀인이 변장한 요괴임을 간파했다.[3] 강자아는 손금을 봐주는 척하며 왕귀인의 손을 잡고 놓아주지 않았고, 왕귀인이 비명을 지르며 도움을 요청하자 벼루로 머리를 때려 쓰러뜨렸다.

강자아는 왕귀인의 정체가 드러나지 않도록 손을 놓지 않은 채, 주왕(紂王)의 궁궐로 끌고 갔다. 왕귀인은 시체처럼 연기했지만, 강자아는 이를 간파하고 불을 피워 왕귀인을 태웠다. 왕귀인의 머리카락조차 타지 않자, 강자아는 삼중 신성한 불과 번개를 쏟아부어 마침내 비파 요괴의 정체를 드러냈다.[4]

2. 3. 부활과 최후

달기의 도움으로 녹대(鹿臺)에서 일월의 정기와 천지의 영기를 흡수해 부활한다.[3] 이후 주나라에 대항하여 싸우지만, 결국 강자아에게 붙잡혀 달기, 호희미와 함께 처형당한다.[4][5]

3. 평가

왕귀인은 봉신연의에서 주왕(紂王)을 타락시키는 요괴로 등장한다. 하지만 주나라 입장에서는 강자아에 의해 정체가 드러나고 처형되는 과정이 강조되기도 한다.[1]

달기의 동생이자 호희미의 언니로, 여와를 섬기고 있었으나 주왕이 여와를 능멸하는 를 쓴 것에 분노한 여와의 밀명으로 달기, 호희미와 함께 주왕을 유혹하여 상나라를 멸망시키는 계기를 제공한다.[1]

이후 강자아에게 정체가 들켜 공격당해 쓰러진 뒤 시체처럼 연기하였으나, 강자아에게 간파당하고 불태워져 비파 요괴라는 정체가 공개되었다. 녹대에서 다시 부활했지만, 역성혁명이 끝난 후 강자아에게 붙잡혀 달기, 호희미와 함께 처형당했다.[1]

4. 대중문화 속 왕귀인

왕귀인은 봉신연의를 원작으로 하는 다양한 작품(만화, 게임, 드라마 등)에 등장한다. 각색 과정에서 외모, 성격, 능력 등에 변화가 있을 수 있지만, 대체로 주왕을 유혹하는 요염한 여성 캐릭터로 묘사된다. 몇몇 작품에서는 왕귀인이 달기, 호희미와 함께 '삼미(三美)' 또는 '삼요(三妖)'로 불리며, 주왕의 총애를 받는 후궁으로 등장한다.[6]

참조

[1] 서적 Investiture of the Gods; Fengshen Yanyi https://archive.org/[...]
[2] 서적 Fantastic Fearsome Beasts https://books.google[...] Amber Books Ltd 2015-12-16
[3] 서적 跟著廟口說書人看廟趣: 聽!郭喜斌戲說彩繪╳剪黏╳交趾╳木雕╳石雕經典裝飾故事 https://books.google[...] Morning Star Publishing Inc (晨星出版有限公司) 2021-12-05
[4] 서적 封神演義(封神榜): 媲美哈利波特的超凡想像力,更勝哈利波的曲折鬥法 https://books.google[...] 谷月社 2015-04-28
[5] 서적 香港影片大全 https://books.google[...] 香港電影資料館 1997
[6] 문서 ヒスイでできた琵琶の妖怪。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