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와는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인류 창조와 하늘을 수리한 업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름은 '녀'라는 접두사와 '와' 또는 '과'로 읽히는 글자로 구성되며, '와황'(여황)이라는 존칭으로 불린다.

전설에 따르면, 여와는 천지가 혼란에 빠졌을 때 오색 돌을 녹여 하늘을 기워내고, 큰 거북의 다리를 기둥으로 세워 세상을 구원했다. 또한 황토로 사람을 빚어 인류를 창조하고, 복희와 함께 부부 또는 남매로서 묘사되기도 한다.

여와의 신앙은 한국에도 영향을 미쳐, 일본서기 기록을 통해 율령 시대에 인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대에는 소설 《봉신연의》에서 상나라 멸망의 원인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환경 보호를 상징하는 조각상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족의 신 - 마케마케 (신화)
    마케마케는 부활절 섬의 새 인간 숭배와 관련된 종교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신이며, 하우아와 함께 활동하고 티베, 로라이, 호바, 아랑기-코테-코테 등의 자녀를 두었으며, 2000년에는 다큐멘터리로 제작되기도 했다.
  • 종족의 신 - 프로메테우스
    프로메테우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인간에게 불을 선물하고 제우스에게 반항한 티탄 신으로, 문명 발전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고난을 겪었으며, 다양한 예술과 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치고 현대 사회에서 저항과 진보의 상징으로 해석된다.
  • 창조의 여신 - 설문대할망
    설문대할망은 제주도의 창조와 지형 형성에 관련된 거대한 여신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치마에 흙을 담아 제주도와 오름을 만들었다는 전설과 함께 여러 죽음에 대한 전설이 전해진다.
  • 창조의 여신 - 이시스
    이시스는 고대 이집트 신화의 여신으로, 오시리스의 아내이자 호루스의 어머니이며, 오시리스의 죽음과 부활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헌신적인 아내이자 어머니, 강력한 마법사이자 지혜의 여신으로 숭배받았다.
  • 불의 여신 - 조왕신
    조왕신은 한국 전통 신앙에서 부엌을 지키며 가정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신으로, 농업 사회에서 풍흉을 좌우하는 존재로 여겨져 숭배되었고, 현대에도 그 정신이 이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 불의 여신 - 베스타
    베스타는 로마 신화에서 화로, 가정, 순결을 상징하는 여신으로, 다른 신들의 싸움에 관여하지 않으며, 국가의 공공 화로를 관리하는 베스타 여사제를 통해 숭배되었다.
여와
기본 정보
샤오 윤총(1596–1673)의 그림, 여와가 하늘 기둥을 수리하고 있다.
중국어 간체女娲
중국어 번체女媧
병음Nǚwā
웨이드-자일스Nü³-wa¹
민난어Lú-o
광둥어 예일Néuih Wō
광둥어Neoi5 Wo1
미얀어Nỳwá
중고 한어nrɨaX kwue
신화적 정보
역할중국 신화의 모신

2. 이름

'녀'(女)라는 글자는 여신 이름 앞에 흔히 붙는 접두사이다. 본명은 '와'(媧) 또는 '과'(媧)로 읽으며, 이 한자는 이 이름에만 쓰인다. 버렐(Birrell)은 이를 '아름다운'으로 번역하지만, 여와의 수중 신화와 일치하는 '개구리'로 해석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9] 중국어에서 '소용돌이'를 뜻하는 단어는 '와'(渦)이며, '달팽이'(蝸)와 같은 발음을 공유한다. 이 글자들은 모두 오른쪽 부분이 '와'(咼)라는 글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명사로는 '나선형' 또는 '나사선'으로, 동사로는 '회전' 또는 '회전하다'로 번역할 수 있어 '나선형 운동'을 묘사한다. 이 신화적인 의미는 나침반을 손에 든 모습으로 상징적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여와와 관련된 많은 그림과 초상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여와의 존칭은 '''와황'''(媧皇, 여황)이다.[10] 뱀의 몸에 사람의 머리를 가진 모습(혹은 용의 몸에 사람의 머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는 문헌이 남아 있으며, 한(漢)나라 시대의 그림 등에서도 그렇게 그려져 있다.[40] 생(笙)황(簧)(笙簧)이라는 악기의 발명가이기도 하다고 여겨진다.[46]

설문해자(說文解字)의 설명을 비롯하여, 여신으로 여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세본(世本)』「씨성편(氏姓篇)」처럼 성별을 남자로 하는 예(「아우(弟)」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여(女)」라는 씨족이기 때문에 「여황(女皇)」이라고 불렸다는 것)도 보이고, 복희의 배우자이자 여신으로 묘사되는 문헌이 확인되는 시대가 새로운 것이었던 점에서, 「성별은 원래 남자였다」는 설이 중국 등 학자들 사이에서 강하게 존재했으나, 고고학 측면에서의 분묘(墳墓)의 벽화(壁畫)나 석관(石棺)·백화(帛畫) 등의 발견과 인류학 측면에서의 전승 수집에 의해, 여와는 여신으로서 존재했다는 설이 주류가 되고 있다.[41][42]

혼인 제도를 만들었다고도 하며, 남녀를 결혼시켜 자손을 번창시킨 것으로부터 혼인의 여신, 악기를 만들었다는 것으로부터 음악의 여신으로도 여겨진다.[43]

3. 기록 및 묘사

여와는 '와'(媧) 또는 '과'(媧)로 읽히는 이름을 가진 여신으로, '녀'(女)는 여성 이름 앞에 붙는 접두사이다. 이 한자는 '아름다운'으로 번역되기도 하지만, '개구리'로 해석될 수도 있다.[9] '소용돌이'를 뜻하는 단어와 '달팽이'와 같은 발음을 공유하며, 이는 나침반을 든 여와의 모습으로 상징적으로 표현된다. 여와의 존칭은 '''와황'''(媧皇, 여황)이다.[10]

회남자(淮南子)는 여와가 천지가 혼란에 빠졌던 시대에 오색 돌을 녹여 푸른 하늘을 기워내고, 큰 거북의 다리를 잘라 네 기둥으로 세웠으며, 흑룡을 죽여 제(冀)주를 구원하고, 갈대와 재를 쌓아 넘실대는 물을 막았다고 기록한다. 이 재앙들은 신들 공공(共工)과 전욱(顓頊) 사이의 싸움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여겨진다. 이후 여와와 복희(伏羲)는 도와 그 능력을 따름으로써 천하에 질서를 세웠다.

산해경(山海經)은 여와의 창자가 열 개의 영혼으로 흩어졌다고 묘사한다.[11] 열자(列子)는 여와가 오색 돌을 사용하여 하늘을 수리하고, 거북의 다리를 잘라 하늘을 받치는 지지대로 사용했다고 묘사한다.[12] 초사(楚辭)에서 굴원(屈原)은 여와가 황토로 인물을 만들어 생명과 자녀를 낳을 수 있는 능력을 부여했고, 하늘의 기둥이 부서지자 오색 돌을 녹여 하늘을 수리했다고 썼다.[13]

설문해자(說文解字)는 여와를 복희(伏羲)의 누이이자 아내로 묘사한다. 독의지(獨異志)는 여와와 그의 오빠가 곤륜산(崑崙山)에 살았으며, 부부가 되기 위해 하늘에 기도하여 안개가 모이는 것을 보고 결합했다는 이야기를 전한다.[14] 여와를 복희의 배우자로 여기는 이야기도 있다.[2]

사고전서(四庫全書)에서 사마진(司馬貞)은 사기(史記) 주석에서 삼황 중 여와와 복희가 같은 성인 풍(風)을 가진다고 기록했다. 태평어람(太平御覽)에는 여와가 황토로 사람을 만들었고, 흙이 약해 밧줄을 넣어 몸을 세웠다는 이야기가 있다.

상나라에서 주나라로의 변천에 관한 명나라 신화에서는 여와가 주왕(紂王)의 방탕을 조장하기 위해 여우귀신을 보냈다고 한다.[15] 다른 이야기에서는 그녀와 복희가 인류의 "위대한 온화한 보호자"로 묘사된다.[16] 여와와 복희는 비단의 신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7]

청나라 진몽뢰(陳夢雷)가 저술한 구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에 나오는 여와의 이미지


무량묘(武梁祠) 벽화(탁본)에 그려진 여와와 복희, 한나라(기원전 206년 – 기원후 220년)


아스타나 무덤에서 출토된 누와와 복희의 고대 그림.


복희와 여와의 상징적 표현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다.[18] 중국 무덤 벽화와 상징화된 그림에서 복희와 여와는 일반적으로 뱀과 같은 몸에 사람의 얼굴이나 머리를 가지고 있다.[18][19][20] 여와는 종종 나침반이나 여러 개의 나침반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전통적인 중국에서 돔 모양의 하늘을 상징하는 것이었다.[1] 그녀는 또한 별과 하늘의 화신[1] 또는 별의 신으로 여겨졌다. 복희와 여와는 대칭적인 한 쌍의 개별 인물로 묘사되거나, 서로 얽힌 뱀 모양의 몸을 가진 이중 인물로 묘사될 수 있다.[18]

서한 후기에 만들어진 뤄양 지역의 벽화에서는 복희와 여와가 일반적으로 개별 인물로 묘사된다.[18] 동한 중엽부터 그들의 꼬리가 얽히기 시작했다.[18] 위진남북조 시대의 위와 서진 시대의 간쑤 벽화에서는 복희가 "산자형(山字形)" 모자를 쓰고, 여와는 한족 여성의 특징적인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하고 있다.[18]

여와는 생(笙)황(簧)(笙簧)이라는 악기의 발명가이기도 하다.[46] 『설문해자(說文解字)』의 설명을 비롯하여, 여신으로 여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혼인 제도를 만들었다고도 하며, 남녀를 결혼시켜 자손을 번창시킨 것으로부터 혼인의 여신, 악기를 만들었다는 것으로부터 음악의 여신으로도 여겨진다.[43] 무량사(武梁祠) 등의 석실에 그림이 그려져 있다(무씨묘군석각). 하반신이 뱀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여와와 복희가 서로 얽혀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41]

도교(道教)에 수용된 후 불교(佛教)의 신불습합(神佛習合) 이론에서는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에 의해 보내어져 갓 나타난 지상의 세계를 창조한 중국의 전설적인 존재로 복희와 함께 설명되었다.

4. 복희와의 관계

여와는 뱀의 몸에 사람의 머리를 가진 모습(혹은 용의 몸에 사람의 머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며, 한(漢)나라 시대의 그림 등에서도 그렇게 그려진다.[40] 생(笙)황(簧)(笙簧)이라는 악기의 발명가로도 알려져 있다.[46]

여와와 복희


무량사(武梁祠) 등의 석실에는 여와와 복희가 서로 얽혀 있는 모습이 뱀의 하반신을 가진 형상으로 그려져 있다.[41]

복희와 함께 현재 인류를 탄생시킨 존재라는 신화 전설도 중국 대륙에 구전 등의 형태로 남아 있다. 옛날 천하에 대홍수가 일어났지만, 표주박 등으로 만든 배를 통해 남매가 살아남아 인류의 시작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남매가 바로 복희와 여와이다. 이러한 전설은 묘족과 장족 등에도 남아 있다.[40] 문일다는 복희와 여와라는 이름이 표주박(葫蘆)을 의미하는 말에서 유래했으며, 표주박이 재료로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생황(笙簧)"의 발명자라는 요소도 유도된 것이 아닐까 추론하고 있다.[47]

도교(道教)에 수용된 후 불교(佛教)의 신불습합(神佛習合) 이론에서는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에 의해 보내어져 갓 나타난 지상의 세계를 창조한 중국의 전설적인 존재로 복희와 함께 설명되었다. 일본에서도 불교 측 입장에서 편찬된 신도론집 중 하나인 『제신본회집(諸神本懷集)』(14세기)에는 여와의 본지는 보길상보살(寶吉祥菩薩)(세지보살(勢至菩薩)·월천자)이라는 당(唐)대의 설이 수록되어 있다.[48]

여와와 복희의 조합이 지상 최초의 남녀라는 정의는 중국의 민간 종교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용화경(龍華經)』에서도 인간들의 조상으로 창조된 세상의 시작인 음양 한 쌍의 존재의 이름으로 장여와(張女媧)와 이복희(李伏羲)[49]라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5. 주요 업적

여와는 인류 창조, 하늘 수리(보천), 악기 발명 등의 업적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하늘 수리와 관련된 이야기는 중국 문화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 하늘 수리 (보천): 회남자(淮南子)에 따르면, 아주 먼 옛날 하늘을 받치는 네 기둥이 부러지고 세상이 큰 혼란에 빠졌을 때, 여와는 오색 돌을 녹여 하늘을 깁고, 큰 거북의 다리를 잘라 기둥을 세우는 등 세상을 구원했다. 공공(共工)과 전욱(顓頊)의 싸움, 또는 공공이 불주산(不周山)에 머리를 부딪힌 사건 등이 이러한 재앙의 원인으로 언급된다.
  • 인류 창조: 인간을 창조한 존재로 여겨진다.
  • 악기 발명: 생(笙)황(簧)(笙簧)이라는 악기를 발명했다고 여겨지며, 음악의 여신으로도 여겨진다.


이 외에도 여와는 혼인 제도를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남녀를 결혼시켜 자손을 번창시킨 공로로 혼인의 여신으로도 숭배받는다. 묘족과 장족 등 중국 소수민족 사이에서는 대홍수에서 살아남은 남매가 인류의 시조가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데, 이 남매가 바로 복희와 여와라고 한다.

5. 1. 인류 창조

여와는 깊은 외로움을 느껴 누런 흙(또는 누런 점토)으로 사람 모양을 빚어 인류를 창조했다고 알려져 있다. 여와가 직접 손으로 만든 이들은 사회의 부유한 귀족이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인류는 여와가 진흙 속에 실을 끌어 대량 생산했는데, 이는 모든 사람을 손으로 만드는 것이 너무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모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창조 이야기는 고대 중국 사회 계층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귀족들은 여와가 그들을 만들기 위해 시간을 들였고, 직접 손길이 닿았기 때문에 대량 생산된 대다수의 인류보다 더 중요하다고 믿었다.[25]

인류 창조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여와와 복희(Fuxi)가 대홍수의 생존자였다고 한다. 하늘의 신의 명령으로 그들은 결혼했고, 여와는 고깃덩어리 하나를 낳았다. 이 고깃덩어리는 작은 조각으로 잘렸고, 조각들은 세상에 흩어져 인간이 되었다.[24]

후한 시대에 편찬된 『풍속통의』에 따르면, 처음 만들어진 인간 중 황토를 정성껏 빚어 만든 자들이 후대의 귀인이 되었고, 이후 수를 늘리기 위해 땔나무(縄)로 흙탕물을 튀겼는데 그 물방울에서 태어난 인간들이 평범한 사람들이 되었다고 한다.[44][45] 『초사(楚辭)]』「

5. 2. 하늘 수리 (보천)

회남자(淮南子)는 여와를 천지가 혼란에 빠졌던 시대와 관련짓는다. 아주 먼 옛날, 하늘을 받치는 네 기둥이 부러지고, 9주는 찢겨졌다. 하늘은 땅을 완전히 덮지 못했고, 땅은 하늘을 온전히 받치지 못했다. 사방에서 불이 꺼지지 않고 타올랐고, 물은 넓게 범람하여 물러가지 않았다. 사나운 짐승들이 무고한 사람들을 잡아먹었고, 맹금들은 노인과 약자를 낚아챘다.[45]

그러자 여와는 오색의 돌을 녹여 푸른 하늘을 기워내고, 큰 거북의 다리를 잘라 네 기둥으로 세우고, 흑룡을 죽여 제(冀)주를 구원하고, 갈대와 재를 쌓아 넘실대는 물을 막았다. 푸른 하늘은 기워졌고, 네 기둥은 세워졌고, 넘실대는 물은 빠졌고, 제주는 평온해졌고, 교활한 벌레들은 죽었고, 무고한 사람들은 [목숨을] 보전했다. 오색의 돌은 오행(목, 화, 토, 금, 수)을 상징하며, 흑룡은 물의 정수이자 홍수의 원인이었고, 제(冀)주는 중원(중국 세계)을 은유적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재앙들은 신들 공공(共工)과 전욱(顓頊) 사이의 싸움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여겨진다. 열자(列子)에서 저자 열유구(列御寇)는 여와가 오색 돌을 사용하여 원래 불완전했던 하늘을 수리하고, 하늘을 받치는 지지대로 사용하기 위해 거북의 다리를 잘랐다고 묘사한다.

초사(楚辭)에서 저자 굴원(屈原)은 여와가 황토로 인물을 만들어 생명과 자녀를 낳을 수 있는 능력을 부여했다고 썼다. 악마들이 싸워 하늘의 기둥을 부수자, 여와는 쉬지 않고 오색 돌을 녹여 하늘을 수리했다.

'''여와의 하늘 기르기'''는 중국 문화에서 잘 알려진 주제이다. 여와의 용기와 지혜는 고대 중국인들에게 자연의 요소를 제어하도록 영감을 주었으며, 시, 그림, 조각 등 많은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회남자는 하늘을 받치는 네 기둥이 무너진 고대 이야기를 전한다. 다른 자료들은 공공전욱 또는 주융의 싸움과 같이 그 원인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공공은 자신의 패배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고의로 네 기둥 중 하나인 불주산(不周山)에 머리를 부딪쳤다. 하늘의 절반이 무너져 거대한 구멍이 생겼고, 지구 자체도 갈라졌다. 지구의 천축은 남동쪽으로 기울었고 하늘은 북서쪽으로 치솟았다. 이것이 중국 서부 지역이 동부보다 높고 대부분의 강이 남동쪽으로 흐르는 이유라고 한다. 같은 설명이 태양, 달, 별들이 북서쪽으로 이동한 것에도 적용된다. 산불이 숲을 태우고 야생 동물들이 난폭하게 돌아다니며 사람들을 공격했고, 땅 갈라짐에서 나오는 물은 멈추지 않았다.

여와는 자신이 만든 인간들을 불쌍히 여겨 하늘을 수리하려 했다. 그녀는 강바닥에서 오색 돌(빨강, 노랑, 파랑, 검정, 흰색)을 모아 녹여 하늘을 깁는 데 사용했다. 그 이후로 하늘(구름)은 다채로워졌다. 그런 다음 거대한 거북(혹은 거북이)을 죽였는데, 어떤 버전에서는 그 거북이를 아오라고 부르며, 그 생물의 네 다리를 잘라 하늘을 받치는 새로운 기둥으로 사용했다. 하지만 여와는 완벽하게 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리의 길이가 불균일하여 하늘이 기울어졌다. 일이 끝난 후 여와는 야생 동물들을 몰아내고 불을 끄고 타고 남은 갈대의 재로 홍수를 제어하여 세상은 이전처럼 평화로워졌다.

5. 3. 악기 발명

한(漢)나라 시대의 그림 등에서 뱀의 몸에 사람의 머리를 가진 모습(혹은 용의 몸에 사람의 머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었다.[40] 생(笙)황(簧)(笙簧)이라는 악기를 발명했다고 여겨지며, 음악의 여신으로도 여겨진다.[46][43]

6. 여와 신앙과 한국

도교에 통합된 여와·복희 신앙의 일본 전래는, 이른 시기로 기원전 1세기(야요이 시대 중기)설이 있다. 돗토리현국부정 소재 이마키 신사가 소장한 선각된 돌에 그려진 몸통이 긴 사람 그림이 여와·복희에 해당한다고 한다(돌의 크기는 지름 75cm, 단경 63cm). 조사에 따르면 "조(鳥)", "호(虎)"라고 읽을 수 있는 한자도 새겨져 있으며, 그 서체는 중국 산동성에 남아 있는 "노효왕각석(魯孝王刻石)"(기원전 56년 성립)에 있는 "봉(鳳)" 속의 새와 가장 유사하며, 예서체 중에서도 오래된 시대의 고예체로 생각된다. 『회남자』(기원전 2세기 성립)에서는 "조(鳥)"는 무도·살륙의 신을, "호(虎)"는 병전의 신을 나타낸다. 이로부터 "천지 재생·인류 창조의 신인 복희와 여와에게 기도하고, 병전의 신(호)과 무도·살륙의 신(조)을 멀리하고, 재액의 제거를 기원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 신의 성격이 병전의 신(호)과 무도·살륙의 신(조)일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각석 자체가 龜甲과 형태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갑골을 이용한 점과 공통되며, 『회남자』의 지식을 가진 무당이나 왕이 사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50]

7. 현대적 의의

여와는 현대에 들어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 명나라 시대의 판타지 소설 《봉신연의》(1567)에서는 여와가 상나라 멸망의 원흉으로 묘사된다. 여와는 여우 요괴 달기를 보내 상왕을 타락시켰는데, 그 이유는 상왕이 사당에서 그녀의 상을 모독하는 말을 했기 때문이다.
  • 청나라 시대의 소설 《홍루몽(1754)에서는 여와가 하늘을 기르기 위해 3만 6,501개의 돌을 모았지만 하나를 남겨두었다고 전한다. 이 남은 돌은 소설의 줄거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2012년 4월 19일 지구의 날을 기념하여 뉴욕 타임스퀘어에 원시군(Yuan Xikun)의 '하늘을 기르는 여와'라는 제목의 여와 조각상이 전시되었다. 이는 오존층 보호의 중요성을 상징한다.[37] 이 조각상은 높이가 3.9미터이며, 이전에 베이징에 전시되었고, 2012년 11월 21일부터 비엔나 비엔나 국제센터에 위치해 있다.[38]
  • 캐롤 천(Carol Chen)은 맹헌룡(Meng Xianlong)의 그림과 함께 《여신 여와가 하늘을 기른다》(Goddess Nuwa Patches Up the Sky, 2014)라는 책에서 여와가 하늘을 기른 이야기를 다시 들려주었다.[39]

참조

[1] 서적 Ancient China: Chinese Civilization from the Origins to the Tang Dynasty Barnes & Noble
[2] 서적 The Secrets of the Universe in 100 Symbols Chartwell Books
[3] 웹사이트 Nügua http://www.oxfordref[...] 2017-11-18
[4] 학술지 Divinity and Salvation: The Great Goddesses of China 1990
[5] 서적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Penguin Random House UK
[6] 서적 World Religions: Eastern Trad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A Chinese Theory of Fiction: A Non-Western Narrative System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2-12-02
[8] 서적 The Flood Myths of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2-12-02
[9] 서적 The Classic of Mountains and Seas Penguin Books
[10] 웹사이트 http://www.zdic.net/[...] Handian 2017-11-18
[11] 서적 http://ctext.org/sha[...]
[12] 서적 TAOIST TEACHINGS Translated from the Book of Lieh-Tzü https://www.sacred-t[...] London: John Murray 2023-04-19
[13] 서적 The Songs of Chu: An Anthology of Ancient Chinese Poetry by Qu Yuan and Other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7
[14] 서적
[15] 서적 Chinese Myths: From Cosmology and Folklore to Gods and Immortals Amber Books
[16] 서적 Chinese Myths & Tales Flame Tree Publishing
[17] 서적 The Silk Road: Two Thousand Years in the Heart of A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학술지 Transmission of Han Pictorial Motifs into the Western Periphery https://revije.ff.un[...] 2019-06-28
[19] 학술지 Chinese-Buddhist Encounter: Synthesis of Fuxi-Nüwa and the Cintamani in Early Medieval Chinese Art https://revije.ff.un[...] 2019-06-28
[20] 서적 Shamanism and the origin of states: spirit, power, and gender in East Asia Routledge 2019
[21] 웹사이트 Painting of Fuxi and Nüwa Highlights https://www.museum.g[...] 2021-12-04
[22] 서적 The shape of the turtle: myth, art, and cosmos in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1
[23] 서적 Chinese Gods and Myths https://books.google[...] Chartwell Books 1999
[24] 학술지 Water in Traditional Chinese Culture 1993
[25] 서적 Introduction to mythology: contemporary approaches to classical and world myths Oxford University Press
[26] 논문 From the Slate to the Web: Technology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Springer New York 2012
[27] 서적 The Magic Square: Cities in Ancient China Edition Axel Menges
[28] 웹사이트 NUWA REPAIRS THE HEAVENS (Nüwa Bu Tian) http://www.chinaonyo[...] China on Your Mind 2015-11-15
[29] 웹사이트 Goddess Nu Wa Patching the Sky https://www.panorami[...] 2015-11-15
[30] 웹사이트 Nüwa Patching the Sky http://www.dreamstim[...] Dreamstime 2015-11-15
[31] 웹사이트 The Nüwa Sacrificial Ceremonies http://www.chinese.c[...] Confucius Institute Online 2009-10-26
[32] 웹사이트 Nüwa Repairs the Heavens http://chinesegeogra[...] 2013-02-05
[33] 서적 China's Imperial Past: An Introduction to Chinese History and Culture Stanfo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Chinese civilization in a new light Commercial press publishing
[35] 학술지 The Three August Ones https://uhawaii-prim[...] 2015-11
[36] 웹사이트 Flood Stories from Around the World http://www.talkorigi[...] 2002-09-02
[37] 웹사이트 Unveiling Goddess Nüwa in NY Times Square and Beijing http://www.unep.org/[...]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2012-04-22
[38] 웹사이트 Ozone statue unveiled in Vienna to mark Montreal Protocol anniversary http://www.unido.org[...] UNIDO 2012-11-22
[39] 웹사이트 Goddess Nuwa Patches Up the Sky – the Chinese Library Series (Paperback) http://www.abebooks.[...]
[40] 서적 中国の神話伝説 上 青土社 1993
[41] 서적 中国の神話伝説 上 青土社 1993
[42] 서적 中国神話 平凡社 1989
[43] 웹사이트 創世神話(5) ─ 女娲―中国の創生女神─ https://older.minpak[...] 2022-01-23
[44] 위키소스 太平御覽/0078
[45] 서적 中国神話伝説集 社会思想社 1976
[46] 서적 中国の神話伝説 上 青土社 1993
[47] 서적 中国神話 平凡社 1989
[48] 서적 中世神道論 岩波書店 1977
[49] 서적 校注 破邪詳弁 道教刊行会 1972
[50] 간행물 月刊 文化財発掘出土情報 1999 9 通巻208号 (株)ジャパン通信情報センタ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