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러취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러취안은 1944년 산둥성 출생으로, 중국 공산당 중앙당교 대학원 과정을 수료했다. 1990년대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전출되어,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자치구 당위원회 서기를 역임하며, 위구르족의 독립 운동을 강하게 단속했다. 2002년과 2007년 중국 공산당 중앙 정치국 위원에 선출되었으나, 2009년 우루무치 폭동 이후 사임 요구를 받았다. 2010년 중앙정법위원회 부서기로 자리를 옮겼으며, 2013년 중국 법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 왕자루이
왕자루이는 지린성 창춘시 우체국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해 중국공산당 중앙대외연락부 부장,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등을 역임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1944년 출생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1944년 출생 - 펠레티 세벨레
펠레티 세벨레는 통가의 정치인으로, 캔터베리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통가 입법회 의원, 노동상공부 장관, 총리 권한대행 및 총리를 역임했으며, 종신 귀족 작위를 받았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왕러취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왕러취안 (王乐泉) |
국적 | 중국 |
출생일 | 1944년 12월 21일 |
출생지 | 쇼우광, 산둥 성, 중국 |
![]() | |
경력 |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1966년–2012년) |
주요 직책 | 신장 위구르 자치구 공산당 서기 (1994년 9월 24일 – 2010년 4월 24일) 신장 생산 건설 병단 제1정치위원 |
이전 직책 | 신장 위구르 자치구 공산당 서기 |
이후 직책 | 장춘셴 |
2. 생애 및 경력
왕러취안은 1944년 12월 산둥성 수광시에서 태어나 1966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중국 공산당 중앙당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수료한 후, 산둥성에서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을 이끌었고 1989년에는 산둥성 부성장이 되었다.[1]
이후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전출되어 자치구 당위원회 요직을 거쳐 1995년 자치구 당위원회 서기 및 신장 생산 건설 병단 제1정치위원에 취임하여 신장의 정치 지도자가 되었다.
1990년대는 위구르족의 동투르키스탄 독립 운동이 활발했던 시기였고, 2001년 9.11 테러 이후에는 테러 조직 침투 우려까지 더해졌다. 왕러취안은 "엄타" 캠페인을 통해 독립 운동을 강력하게 단속했다. 이러한 치안 강화 정책은 장쩌민에게 높이 평가받아 2002년과 2007년에는 중앙 정치국 위원에 선출되기도 했다. 2006년에는 3선 연임 제한 규정의 예외를 인정받아 자치구 당위원회 서기에 재선출되어 '신장 왕'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다.[5]
하지만 2009년 우루무치에서 발생한 대규모 폭동 사건으로 인해 한족들의 비난과 사임 요구를 받기도 했다.
2. 1. 초기 경력
왕러취안은 1944년 12월 산둥성 수광시에서 태어났다. 1966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중국 공산당 중앙당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수료했다.[1]문화 대혁명 당시에는 서우광 현의 후진 공사 부사장, 성관 공사의 당 위원회 부주임을 맡았고, 1975년 4월부터 서우광 현 당 위원회 부서기, 현 혁명위원회 부주임을 맡았다. 그 후, 서우광 현 당 위원회 서기, 현 혁명위원회 주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산둥성 위원회 부서기를 역임했다.
1983년부터는 당 고급 간부 양성 기관인 중국 공산당 중앙당교에서 교육을 받고, 산둥성 랴오청시 위원회 부서기, 서기를 역임했다. 1989년 2월부터는 산둥성 부성장을 역임했다.[1]
2. 2. 신장 위구르 자치구
왕러취안은 1994년부터 2010년까지 중국 공산당 신장 위원회 서기를 역임했다. 그는 신장의 현대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산업화, 상업 발전을 장려했으며, 도로와 철도에 대한 투자를 유치했다. 또한 이 지역의 석유 및 가스전 개발과 카자흐스탄에서 중국 동부로 이어지는 파이프라인 연결 사업을 추진했다.[1]반면, 왕러취안은 지역 문화와 종교를 억압하고, 초등학교에서 위구르어 대신 만다린어를 사용하도록 강요했다. 또한, 정부 공무원들의 수염과 머리카락 착용, 단식, 근무 중 기도 등을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하여 위구르인들과 외국 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1][2]
1990년대는 중국 안팎에서 위구르족의 동투르키스탄 독립 운동이 활발해진 시기였다. 2001년 9.11 테러 사건 이후, 아프가니스탄과 중앙아시아에 인접한 신장에서도 알 카에다의 영향을 받은 테러 조직이 침투할 것이 우려되었다. 이에 왕러취안은 "엄타"라는 치안 강화 캠페인을 전개하여 독립 운동을 강력하게 단속했다.
2009년 7월 우루무치 폭동 이후, 한족들은 사회 질서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자 왕러취안의 리더십에 불만을 품고 공개 시위에서 그의 사임을 요구하기도 했다.[3]
2. 3. 2009년 우루무치 폭동
왕러취안은 강경 정책으로 인해 위구르인과 신장 문제에 대한 외국 학자들로부터 광범위한 비판을 받았다. 2009년 7월 우루무치 폭동 이후, 한족 또한 사회 질서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자 그의 리더십에 불만을 품게 되었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공개 시위에서 그의 사임을 요구하기 시작했다.[3]2009년 7월 5일, 우루무치에서 위구르족에 의한 대규모 폭동 사건이 발생했다. 한족들은 왕러취안을 비난하고, 사임 요구 시위를 벌였다. 민중으로부터 공개적으로 사임을 요구받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시위 당시, 왕러취안은 시위대를 앞에 두고 "저를 믿어주십시오"라고 호소했지만, 시위대로부터는 "믿을 수 없다", "신장 왕은 물러가라![5]" 등과 같은 욕설을 받았다.
2. 4. 퇴임 이후
2010년 4월, 장춘셴에게 신장 당 서기직을 물려주고 저우융캉 휘하의 부서기로 중앙 정법위원회로 자리를 옮겼다.[4] 18차 당 대회까지 정법위원회에 머물렀고, 이때 정치 일선에서 물러났다. 2013년 11월 중국 법학회 회장이 되었다. 2019년 3월 중국 법학회에서 은퇴했다.2010년 4월, 위구르 자치구에서 물러나 중앙정법위원회 부서기로 전출되었다. 2009년에 발생한 폭동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실상 경질된 것으로 보인다. 4월 24일 당 중앙이 왕러취안의 서기 해임을 발표했을 때, 우루무치 각지에서는 해임을 축하하는 폭죽 소리가 울려 퍼졌다고 한다.[5] 5월 6일, 신장 생산건설병단 제1정치위원을 해임되었다. 후임은 모두 장춘셴이 되었다.
2013년 11월 30일, 중국 법학회 회장에 취임했다.[6]
3. 논란 및 비판
왕러취안은 소수 민족에 대한 강경 정책으로 유명하며, 이로 인해 위구르인과 신장 문제에 대한 외국 학자들로부터 광범위한 비판을 받았다.[1] 그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서기로 재임하면서 산업화, 상업 발전, 도로 및 철도 투자 유치, 석유 및 가스전 개발을 추진하는 등 현대화 프로그램을 실행했다.[1][2] 반면, 지역 문화와 종교를 억압하고, 초등학교에서 위구르어 대신 만다린어를 사용하도록 했으며, 정부 공무원들의 수염과 머리카락 착용, 단식, 근무 중 기도 등을 제한하거나 금지했다.[1][2]
2009년 7월 우루무치 폭동 이후, 한족 또한 사회 질서 회복의 더딘 진행으로 그의 리더십에 불만을 품게 되었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공개 시위에서 그의 사임을 요구하기 시작했다.[3]
참조
[1]
뉴스
A Strongman Is China’s Rock in Ethnic Strif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7-10
[2]
뉴스
Security chiefs failed to spot signs calling for Uighur revolt
http://www.timesonli[...]
The Sunday Times
2009-07-12
[3]
뉴스
New Protests Reported in Restive Chinese Regi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9-03
[4]
웹사이트
China replaces party boss in region hit by unrest
https://www.google.c[...]
2010-04-21
[5]
뉴스
分断の街から:ウルムチ暴動1年/中 漢族にも格差に不満 - 毎日jp(毎日新聞)
毎日新聞
2010-07-03
[6]
웹사이트
中国法学会第七次全国会员代表大会闭幕 王乐泉当选会长
http://news.xinhua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