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구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구르어는 튀르크어족의 카를루크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주로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위구르족을 중심으로 사용되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지에서도 사용된다. 차가타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위구르어는 다양한 문자를 사용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것은 아랍 문자를 개량한 위구르 아랍 문자이며, 라틴 문자, 키릴 문자도 사용된다. 문법적으로는 교착어이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른다. 어휘는 튀르크어 어계가 기본이나, 페르시아어, 러시아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들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구르어 - 마니 문자
마니 문자는 마니교 경전 기록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중앙아시아에서 발견된 마니 문헌에 사용되었으며 위구르족의 공식 문자로서 실크로드를 따라 확산되어 2014년 유니코드에 추가되었다. - 키르기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키르기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 파키스탄의 언어 - 파슈토어
파슈토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 언어로,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파키스탄 일부 지역의 지방 공용어이며, 다양한 방언과 페르시아-아랍 문자 변형을 사용하고, 파슈툰 민족주의와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며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진다. - 파키스탄의 언어 - 다리어
다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페르시아어의 한 종류로, 행정, 정부, 미디어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며, 사산 왕조 시대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하여 이란 페르시아어와 차이를 보이고, 아프가니스탄 내 다양한 방언 중 카불 방언이 표준으로 간주된다.
위구르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위구르어 |
고유어 이름 (아랍 문자) | ئۇيغۇر تىلى |
고유어 이름 (키릴 문자) | Уйғур тили |
고유어 이름 (라틴 문자) | Uyghur tili, Uyƣur tili, Uyğur tili |
발음 | [ʊj.ʁʊɾˈtʃɛ], [ʊjˈʁʊɾ.tɪ.lɪ] |
![]() | |
사용 국가 | 중국,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
사용자 민족 | 위구르족 |
사용자 수 | 800만 ~ 1300만 명 (2021년 기준) |
어족 | 알타이어족 |
어파 | 튀르크어족 |
어군 | 카를루크어군 |
방언 | 중앙 위구르어 호탄어 로프 방언 |
조어 | 카라한어 |
계승어 1 | 차카타이어 |
계승어 2 | 동부 투르크어 |
문자 | 위구르 문자: 페르시아-아랍 문자 (중국 공식), 키릴 문자, 라틴 문자, 위구르 신자 |
공용어 지정 국가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중국) |
언어 관리 기관 | 신장 민족 언어 및 문자 작업 위원회 |
ISO 639-1 | ug |
ISO 639-2 | uig |
ISO 639-3 | uig |
Glottolog | uigh1240 |
Glottolog 이름 | Uighur |
![]() | |
위구르족 관련 정보 | |
관련 민족 | 위구르족 |
관련 항목 | 연표 역사 신장 동튀르키스탄 국기 민족주의 문학 위구르족 목록 |
언어 관련 항목 | 문자 방언 아랍 문자 키릴 문자 라틴 문자 문법 신자 음운론 |
문화 관련 항목 | 데르비쉬 도파 문화 축제 에틀레스 실크 다반청의 소녀 너의 베일을 들어라 메쉬레프 무캄 쿠르툴루시 욜리다 톈산 설련 그룹 위구르인 |
음식 관련 항목 | 초르바 컷 케이크 다판지 조쉬파라 라그만 만티 난 삼사 상자 탄드르 난 요우타지 |
인권 탄압 관련 항목 | 중국의 위구르족 탄압 차이나 케이블 공무원-가족 결연 신장 재교육 수용소 강력 타격 캠페인 위구르족 재판소 |
해외 거주 위구르족 | 베이징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파키스탄 튀르키예 미국 |
위구르족 관련 단체 | 동튀르키스탄 망명 정부 동튀르키스탄 국가 각성 운동 미국 위구르 협회 위구르 인권 프로젝트 세계 위구르 회의 |
2. 역사
현대 위구르어는 위구르 카간국의 고대 위구르어와 직접적인 계통 관계가 아니며, 카라한 칸국에서 사용된 카를루크어를 계승한 차가타이어에서 유래했다. 언어학적으로는 우즈베크어 등과 함께 카를루크어파로 분류된다. 고대 위구르어의 직접적인 후계 언어는 서부 유구르어로 여겨진다.[7][9][10][11]
중세 카라한 칸국 시기에는 마흐무드 알-카슈가리의 ''디반 루가트 앗 투르크''나 유수프 카스 하지브의 쿠타드구 빌리크와 같이 카를루크계 언어로 중요한 저작들이 편찬되었다.[15][16][17][18][19] 당시 사람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주로 '투르키'나 '카슈가르어' 등으로 불렀다.[12][13]
13세기 이후 카를루크어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차가타이어로 발전했으며, 이는 20세기 초까지 중앙아시아의 중요한 문어 역할을 했다. 이 시기 차가타이어로는 이슬람 성인 전기인 타즈키라나 역사서 등 다양한 문학 작품이 쓰였다.[20][21][22][23][24] 청나라 시대에는 오언어 사전과 같이 차가타이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의 사전이 편찬되기도 했다.
'위구르어'라는 명칭은 근대에 들어 소련의 민족학자 세르게이 말로프 등의 제안으로 당시 '동투르키어'로 불리던 언어를 지칭하는 데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27], 1920년대와 1930년대에 걸쳐 소련과 신장 지역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25][26] 그러나 이러한 명칭을 역사적으로 소급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일부 학자들 사이에서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4][28][29][30]
현대 위구르어는 9세기에서 16세기경 사용된 고대 위구르어와는 언어학적으로 다른 계통에 속하며, 이러한 구분을 위해 '현대 위구르어' 또는 '신 위구르어'로 불리기도 한다.
2. 1. 명칭
이름과 달리 위구르어는 위구르 카간국에서 사용되던 고대 위구르어에서 직접적으로 유래한 언어가 아니며, 카라한 칸국의 언어를 이어받은 차가타이 칸국의 차가타이어에서 유래했다. 이 계통은 언어학계에서 카를루크어파라고 불리며 위구르어 외에는 우즈베크어가 여기에 속한다. 한편 고대 위구르어의 실제 후계 언어는 오늘날 간쑤성의 일부 위구족이 사용하는 소수 언어인 서부 유구르어로 추정되고 있다.중세에 위구르인들은 자신들의 민족이나 언어를 "위구르"라고 부르지 않았으며 단순히 "투르키"나 "카슈가르" 등으로 불렀다. 중세 튀르크어는 카를루크어의 직접적인 조상으로 여겨지며, 현대 위구르어는 고대 위구르어에서 파생된 것이 아니라 카라한 칸국에서 사용된 카를루크어의 후손이다.[7] 이는 1077년경[15] 튀르크 언어 학자 마흐무드 알-카슈가리가 저술한 ''디반 루가트 앗 투르크''(تۈركى تىللار دىۋانى|튀르키 틸라르 디와니ug, ''튀르크 방언 총람'')에서도 설명된다. 이 책은 당시 여러 튀르크어의 지리적 분포와 풍부한 문학 전통을 담고 있어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16][17][18][19] 로버트 댕코프 역시 카슈가르에서 사용되고 카라한 시대 작품에 쓰인 튀르크어는 (고대) 위구르어가 아닌 카를루크어였다고 지적했다.[12] 카라한 왕조 시기에는 유수프 카스 하지브가 쿠타드구 빌리크를 쓰는 등 카를루크-카라한 언어로 된 작품 활동이 있었다.
중세 튀르크어는 13세기 이후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차가타이어로 발전했고, 20세기 초까지 중앙아시아 전역에서 문어로 사용되었다. 차가타이어가 언어 소멸된 후, 위구르어와 우즈베크어의 표준어는 차가타이어 사용 지역의 방언에서 발전했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 때문에 현대 위구르어에는 페르시아어에서 온 차용어가 많다.[20]
근대에 들어 '위구르'라는 이름은 소련의 민족학자 세르게이 말로프 등에 의해 "동투르키어"를 지칭하는 데 다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27] 위구르어라는 명칭이 확립되었다. 역사적 용어 "위구르"는 1922년 소련과 1934년 신장 정부 관료들에 의해 공식적으로 동투르키어로 알려진 언어에 적용되었다.[25][26]
하지만 이러한 명칭 사용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로버트 바클리 쇼는 카슈가르와 야르칸드의 주민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단순히 '튀르키'라고 부르며, '위구르어'라는 명칭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13] 스벤 헤딘 역시 동투르키 문학 언어를 '위구르어'로 규정하는 것은 카슈가르 튀르크족과 직접 관련 없는 고대 위구르족의 흔적을 지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14] 제임스 A. 밀워드는 그의 저서에서 의도적으로 위구르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기도 했다.[29] 일부 학자들은 카라한 시대의 언어를 소급하여 '위구르어'라고 부르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고 비판한다.[12][30] 카라한 왕조 스스로도 자신들의 언어를 '튀르크어' 또는 '카슈가르어'라고 불렀으며, '위구르어'는 비무슬림의 언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30]
제라르 클로슨과 같은 학자들은 서부 유구르어가 고대 위구르어의 진정한 후손이며 "신 위구르어"라고도 불린다고 본다. 프레데릭 코엔에 따르면, 현대 위구르어와 서부 유구르어는 각각 튀르크어족의 남동 튀르크어(카를루크어)와 북동 튀르크어(시베리아 튀르크어) 분파에 속하여 계통이 다르다.[9][10] 서부 유구르어는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시베리아의 시베리아 튀르크어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11]
9세기부터 16세기 무렵까지 위구르 문자로 표기된 고대 위구르어는 현대 위구르어와는 다른 언어이다. 이러한 이유로 고대 위구르어와 구별하기 위해 현재의 위구르어를 '''현대 위구르어''' 또는 '''신 위구르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언어학자들은 두 언어가 같은 튀르크어족에 속하지만 계통이 다르며, 사용 지역 분포도 약간 다르다고 본다. 현대 위구르어 화자는 20세기에 이르러 위구르인이라고 불리게 된 민족이며, 고대 위구르어와 현대 위구르어 사이에는 단절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2. 2. 발전
현대 위구르어는 위구르 카간국에서 사용된 고대 위구르어에서 직접 유래한 것이 아니라, 카라한 칸국의 언어였던 카를루크어를 계승한 차가타이어에서 발전했다. 언어학적으로 카를루크어파(남동 튀르크어파)로 분류되며, 우즈베크어와 매우 가깝다.[9][10] 고대 위구르어의 실제 후계 언어는 오늘날 간쑤성의 일부 위구족이 사용하는 소수 언어인 서부 유구르어로 여겨진다.[7] 제라르 클로슨과 같은 학자들은 서부 유구르어를 고대 위구르어의 진정한 후손으로 간주하며 "신 위구르어"라고도 부른다.[9][10] 프레데릭 코엔에 따르면 현대 위구르어와 서부 유구르어는 각각 남동 튀르크어파와 북동 튀르크어파에 속하여 계통적으로 구분된다.[9][10] 서부 유구르어는 지리적으로는 가깝지만 언어학적으로는 시베리아의 시베리아 튀르크어파 언어들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11]중세 시대에 위구르인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위구르어"라고 부르지 않았으며, 주로 "투르키"나 "카슈가르어" 등으로 지칭했다.[12][13] 로버트 댕코프는 카슈가르에서 사용되고 카라한 시대 문헌에 쓰인 언어는 카를루크어이며, (고대) 위구르어가 아니었다고 지적했다.[12]
카라한 칸국 시대인 1077년경,[15] 튀르크 언어학자 마흐무드 알-카슈가리는 ''디반 루가트 앗 투르크''(튀르크어 방언 사전)를 저술했다. 이 책은 당시 카슈가르 등지에서 사용되던 여러 튀르크계 언어(현대 위구르어의 조상인 카를루크어를 포함하여)의 어휘, 분포, 문학 자료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7] 튀르크 언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16][17][18][19] 이 시기에는 유수프 카스 하지브의 쿠타드구 빌리크, 아흐마드 빈 마흐무드 유케나키(Edip Ahmet Yükneki)의 ''히바트 알-하카이크''(هبة الحقايقara) 등 카를루크계 언어로 쓰인 중요한 문학 작품이 창작되었다.
13세기 이후 카를루크어는 페르시아어의 강한 영향을 받아 차가타이어로 발전했다. 차가타이어는 20세기 초까지 중앙아시아 전역에서 널리 사용된 중요한 문어였다. 현대 위구르어와 우즈베크어의 표준어는 차가타이어 사용 지역의 방언들을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때문에 현대 위구르어에는 차가타이어를 통해 유입된 페르시아어 차용어가 많이 남아있다.[20] 후대에는 차가타이어로 이슬람 성인들의 전기인 타즈키라(Tazkira)가 다수 저술되었는데, ''4명의 순교한 이맘의 타즈키라''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21][22][23] 또한 무사 사이라미와 같은 인물들은 ''타리흐-i 암니야'', ''타리흐-i 함디'' 등의 역사서를 남기기도 했다. 청나라 시기에는 오언어 사전과 같이 차가타이 튀르크어를 포함한 주요 언어 사전을 편찬하기도 했다.
근대에 들어 "위구르"라는 명칭은 소련의 민족학자 세르게이 말로프 등의 제안으로[27] 기존에 "동투르키어"로 불리던 언어를 지칭하는 데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25][26], 1922년 소련과 1934년 신장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25][26] 그러나 이러한 명칭의 소급 적용은 역사적 맥락에서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28] 카라한 왕조 시기 사람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위구르어"라고 부르지 않았으며[30], 일부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혼동을 피하기 위해 '위구르어'라는 용어 사용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29]
이처럼 현대 위구르어는 9세기에서 16세기경 사용된 고대 위구르어와는 계통적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구분을 위해 '현대 위구르어' 또는 '신 위구르어'로 불리기도 한다.
3. 분류
위구르어는 튀르크어족의 카를루크어파에 속한다. 같은 카를루크어파 내에서는 아이누어, 로프어, 일리 튀르키어 및 사멸한 차카타이어(동 카를루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우즈베크어(서 카를루크어)와도 어느 정도 관련성을 가진다.
위구르어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1,1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며, 구 소련 지역이었던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에 거주하는 수만에서 수십만 명의 위구르인들도 사용한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튀르키예 등으로 이주한 위구르인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어휘 면에서는 아랍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 등에서 들어온 차용어가 많다. 유럽에 거주하는 위구르인들의 언어에는 튀르키예어로부터의 차용어도 나타난다. 다른 튀르크계 언어들처럼 모음조화 현상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불규칙한 편이다.
중앙아시아에서 9세기부터 16세기경까지 위구르 문자로 쓰였던 고대 위구르어와는 다른 언어이다. 이 때문에 현대의 위구르어를 '현대 위구르어' 또는 '신 위구르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언어학적으로 고대 위구르어는 현대 위구르어와 같은 튀르크어족에 속하지만, 세부 계통은 다른 것으로 분류되며 사용 지역 분포도 약간 차이가 있다. 현대 위구르어를 사용하는 위구르인이라는 민족 명칭은 20세기에 들어 확립되었으며, 고대 위구르어와 현대 위구르어 사이에는 언어적 단절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4. 방언
위구르어는 지리적 분포를 기준으로 크게 세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뉜다. 이 주요 방언들은 각각 어느 정도 서로 알아들을 수 있는 하위 방언들을 포함한다.
- '''중앙 방언''': 쿠물에서 남쪽 야르칸드까지 이어지는 지역에서 사용된다.
- '''남부 방언''': 구마에서 동쪽 뤄창까지 이어지는 지역에서 사용된다.
- '''동부 방언''': 차르클리크에서 북쪽 琼库勒乡|충쿠러향중국어까지 이어지는 지역에서 사용된다.
중앙 방언은 전체 위구르어 사용 인구의 약 90%가 사용하며, 다른 두 방언은 상대적으로 소수가 사용한다.[33]
동부 방언에 속하는 롭 방언(Lop)은 유네스코에 의해 심각한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다.[32] 이 방언은 전체 위구르어 사용 인구의 0.5% 미만이 사용하지만, 언어 비교 연구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모음 축약 현상은 위구르어가 사용되는 북부 지역에서는 흔하게 나타나지만, 남부 지역에서는 그렇지 않다.[34]
5. 현황
위구르어는 약 800만 명에서 1,100만 명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 주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위구르족이 사용하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몽골 등에서도 상당수의 화자가 분포한다.[36] 그 외 알바니아, 호주, 벨기에, 캐나다, 독일,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사우디 아라비아, 스웨덴, 타지키스탄, 튀르키예, 영국, 미국 등지에도 소규모 위구르어 사용 공동체가 존재한다.[35]
위구르족은 중국 정부가 공인한 56개 민족 중 하나이며, 위구르어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표준 중국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학교, 정부 기관, 법원 등 신장 지역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위구르어가 사용된다.[36] 카자흐족이나 키르기스족과 같이 자치주를 가질 정도로 인구가 많은 소수 민족은 자신의 모국어로 교육 및 행정 서비스를 받을 수 있지만, 시버족, 타지크족, 다우르족, 러시아인 등 상대적으로 소수인 민족은 위구르어를 사용하는 학교에 다녀야 하는 경우가 많다.[37][38]
그러나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위구르족에게 표준 중국어를 배우도록 강요하는 캠페인을 시작하면서 위구르어 문자가 길거리 표지판과 벽화에서 지워졌다. 위구르 문화나 언어에 대한 관심은 구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39] 최근 뉴스 보도에 따르면, 아이들이 부모와 격리되어 위구르어를 사용하면 처벌을 받는 기숙학교가 존재하며, 이는 위구르어가 소멸될 위험이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40] 중국 정부는 신장의 대부분 지역에서 이중 언어 교육을 시행해 왔으나,[41] 위구르어와 중국어의 어순과 문법의 차이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이중 언어 교육 시스템에서 수학과 같은 과목을 배우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42]
위구르어는 2020년 2월부터 구글 번역에서 지원하고 있다.[43][44] 약 80개의 신문과 잡지가 위구르어로 발행되고 있으며, 5개의 TV 채널과 10개의 출판사가 위구르 대중 매체 역할을 한다. 중국 외에서는 자유 아시아 방송에서 위구르어로 뉴스를 제공한다. 시인 겸 활동가 무예세르 압둘에헤드는 해외 거주 어린이들에게 온라인으로 위구르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어린이들을 위한 어린이 저술 잡지를 위구르어로 출판하고 있다.[45]
5. 1. 국제적 지원
순음 | 치음 | 후치경음/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비음 | width=20px style="border-right:0;"| | m | width=20px style="border-right:0;"| | n̪ | colspan=2| | width=20px style="border-right:0;"| | ŋ | colspan=2| | colspan=2| | |||
파열음 | p | b | t̪ | d̪ | tʃ | dʒ | k | ɡ | q | width=20px style="border-left:0;"| | ʔ | width=20px style="border-left:0;"| |
마찰음 | (f) | (v) | s̪ | z̪ | ʃ | ʒ | colspan=2| | χ | ʁ | style="border-right:0;"| | ɦ | |
전동음 | colspan=2| | style="border-right:0;"| | r̪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colspan=2| | |||||
접근음 | colspan=2| | style="border-right:0;"| | l̪ | style="border-right:0;"| | j | style="border-right:0;"| | w | colspan=2| | colspan=2| |
위구르어의 무성 파열음(성대가 울리지 않는 파열음)은 단어의 시작이나 모음 사이에서 공기가 더 많이 터져 나오는 소리, 즉 기식음(氣息音)으로 발음된다.[51] /p, b/, /t, d/, /k, ɡ/, /q, ʁ/와 같이 쌍을 이루는 자음들은 특정 환경에서 교체된다. 이 중 유성음(성대가 울리는 소리)은 단어의 첫 음절을 제외하고 음절 끝 위치에 올 때 무성음(성대가 울리지 않는 소리)으로 변하는 경향(무성음화)이 있다. 이러한 무성음화 현상은 일반적으로 공식 표기법에도 반영되지만, 최근 페르시아어나 아랍어에서 빌려온 일부 차용어에서는 예외적으로 유성음이 유지되기도 한다.[52] 표준 위구르어에서는 무성음이 유성음으로 바뀌는 유성음화는 일어나지 않는다.[53]
단어 끝에 붙는 접미사에서는 약간 다른 유형의 자음 교체 현상이 나타난다. 접미사 내의 음소 /ɡ/와 /ʁ/는 모음 조화 규칙에 따라 교체되어, /ɡ/는 전설 모음(혀 앞쪽에서 나는 모음)과 함께 사용되고, /ʁ/는 후설 모음(혀 뒤쪽에서 나는 모음)과 함께 사용된다. 접미사 첫소리가 무성음화되는 경우는 /d/ → [t], /ɡ/ → [k], /ʁ/ → [q]의 경우에만 해당하며, 이는 바로 앞의 자음이 무성음일 때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g/는 전설 모음과 함께, /ʁ/는 후설 모음과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는 모음 조화 규칙은, 접미사 첫소리인 [k] 또는 [q]가 선행 자음의 영향으로 다른 자음과 비슷하게 동화될 때 깨질 수 있다.[54]
다른 언어에서 들어온 차용 음소는 위구르어 음운 체계에 다양한 정도로 통합되었다. /d͡ʒ/와 /χ/는 아랍어에서 차용되어 토착화되었고, /ʒ/는 페르시아어에서 차용되었지만 상대적으로 덜 정착되었다. /f/ 음소는 과거 페르시아-아랍어, 러시아어, 중국어 차용어의 /f/가 위구르어에서는 /p/로 대체되었기 때문에, 매우 최근의 러시아어 및 중국어 차용어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페르시아-아랍어 차용어의 영향으로 /k, ɡ/와 /q, ʁ/ 사이의 대립이 음소적으로 구별되게 되었는데, 본래 토착어에서는 이들이 각각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 환경에서 나타나는 변이음 관계였다. 일부 위구르어 화자는 러시아어 차용어에서 /v/와 /w/를 구분하지만, 대부분의 표기법에는 이것이 반영되지 않는다. 그 외 다른 음소들은 제한된 환경에서만 나타난다. 예를 들어, /h/는 몇몇 감탄사에서만 발견되고, /d/, /ɡ/, /ʁ/는 단어 첫소리로는 드물게 나타나며, /z/는 형태소 경계의 끝에서만 나타난다. 따라서 /t͡ʃ, d͡ʒ/, /ʃ, ʒ/, /s, z/ 쌍은 유성음-무성음 교체 현상을 보이지 않는다.[55][56]
6. 문자
위구르어는 여러 문자 체계를 사용하여 표기된다. 가장 널리 쓰이고 중국 내 위구르족 사이에서 유일한 공식 표준으로 인정받는 것은 수정된 아랍 문자에 기반한 페르시아식 문자 체계이다. 이 아랍 문자 기반 표기법은 20세기에 이루어진 개량을 통해 모든 모음을 의무적으로 표기하는 특징을 가진다.[67] 이는 대부분의 다른 아랍 문자 파생 문자 체계와 구별되는 점이다.
아랍 문자 외에도 두 종류의 라틴 문자 기반 표기법과 한 종류의 키릴 문자 기반 표기법이 역사적 또는 보조적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아랍 문자에 비해 사용 빈도는 현저히 낮다.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 기반의 알파벳은 각각 32개의 문자로 구성되며, 키릴 문자 체계는 여기에 추가로 두 개의 요오테이션 모음 문자(Ю, Я)를 사용한다.
현재 사용되는 주요 위구르어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 위구르 아랍 문자 (Uyghur Ereb Yëziqi, UEY)
- 위구르 키릴 문자 (Uyghur Kiril Yëziqi, USY)
- 위구르 신 문자 (Uyghur Yëngi Yëziqi, UYY) - 과거 공식 사용되었던 라틴 문자 기반 표기법
- 위구르 라틴 문자 (Uyghur Latin Yëziqi, ULY) - 현재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라틴 문자 기반 보조 표기법
각 문자 체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역사, 문자표 등은 하위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6. 1. 아랍 문자
수정된 아랍 문자에서 파생된 페르시아식 문자 체계는 중국 위구르족 사이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유일한 표준으로 사용된다. 다른 문자 체계도 보조 및 역사적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아랍어 파생 문자와 달리 위구르 아랍 알파벳은 20세기에 이루어진 수정에 따라 모든 모음을 표기하는 것이 특징이다.현대 위구르어에서 사용하는 개량 아랍 문자(중국어: 老維文, 라오웨이원)는 모음을 구분하는 부호를 추가하고 페르시아 문자와 동일한 소리를 내는 자음을 일부 제거하여, 하나의 소리에 하나의 문자가 대응하도록 만들어졌다. 이 문자 체계는 다른 아랍 문자와 같은 압자드가 아니라 라틴 문자와 같은 알파벳의 특징을 가진다.
이 개량 아랍 문자를 "위구르 문자"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고대 위구르어에서 사용된 역사적인 위구르 문자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20세기 초 이전에는 아랍 문자(페르시아 문자)가 아랍어나 페르시아어 철자에 더 가까운 형태로 사용되었다.
개량 아랍 문자의 문자 코드 세트는 중국의 국가 표준 규격[67]에 규정되어 있다.
위구르어 표기에는 아랍 문자 외에도 두 가지의 라틴 문자 체계와 한 가지의 키릴 문자 체계가 사용되지만, 아랍 문자에 비해 사용 빈도는 훨씬 낮다. 라틴 문자 기반과 아랍 문자 기반의 위구르어 알파벳은 각각 32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위구르 키릴 문자는 여기에 두 개의 요오테이션 모음 문자(Ю, Я)를 추가로 사용한다.
아랍 문자 | 라틴 문자 | 키릴 문자 | 아랍 문자 | 라틴 문자 | 키릴 문자 |
---|---|---|---|---|---|
ئا | A a | А а | ق | Q q K̡ k̡ | Қ қ |
ئە | E e Ə ə | Ә ә | ك | K k | К к |
ب | B b | Б б | ڭ | Ng ng | Ң ң |
پ | P p | П п | گ | G g | Г г |
ت | T t | Т т | ل | L l | Л л |
ج | J j | Җ җ | م | M m | М м |
چ | C̈ c̈ Q q | Ч ч | ن | N n | Н н |
خ | X x H h | Х х | ه | H h H̡ h̡ | Х х |
د | D d | Д д | ئو | O o | О о |
ر | R r | Р р | ئۇ | U u | У у |
ز | Z z | З з | ئۆ | Ö ö Ɵ ɵ | Ө ө |
ژ | Z̈ z̈ Z̡ z̡ | Ж ж | ئۈ | Ü ü | Ү ү |
س | S s | С с | ۋ | V v | В в |
ش | S̈ s̈ X x | Ш ш | ئې | É é E e | Е е / Э э |
غ | Ğ ğ Ƣ ƣ | Ғ ғ | ئى | I i | И и / Ы ы |
ف | F f | Ф ф | ي | Y y | Й й |
6. 2. 라틴 문자 및 키릴 문자
수정된 아랍 문자에서 파생된 페르시아식 문자 체계가 중국 위구르족 사이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유일한 표준이지만, 다른 문자 체계도 보조 및 역사적 목적으로 사용된다.라틴 문자 기반의 두 가지 표기법과 키릴 문자 기반의 한 가지 표기법도 사용되지만, 그 사용 빈도는 아랍 문자보다 훨씬 적다.
주요 라틴 문자 표기법에는 세 가지가 있다.
- 위구르 라틴 문자(Uyghur Latin Yëziqiuig, ئۇيغۇر لاتىن يېزىقىuig ; 拉丁维文zho; 약칭 ULY): 2001년에 제정된 후, 2008년에 개정되었다. 현재 신장 위구르 자치구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보조 문자이다.
- 위구르 신 문자(Uyghur Yëngi Yëziqiuig ; 新维文zho; 약칭 UYY): 1965년부터 1982년까지 중국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된 로마자 기반 표기법이다. 기존의 아랍 문자와 당시 소비에트 연방에서 사용되던 키릴 문자(1956년부터 신장에서도 시범 사용)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중국어 병음 방안, 통일 튀르크 문자, 그리고 소련식 키릴 문자의 영향을 받았다. 1982년 아랍 문자 기반 표기법이 부활하면서 공식적인 지위를 잃었다.
- 위구르 컴퓨터 문자(Uyghur Kompyuter Yeziqiuig, ئۇيغۇر كومپيۇتېر يېزىقىuig): 서유럽식 로마자 알파벳과 동일한 자판 배열을 사용하는 비공식 표기법이다. 컴퓨터 입력의 편의성 때문에 널리 사용되며, 위구르 라틴 문자(ULY) 제정 시 참고되었다.
키릴 문자(Уйғур Кирил Йезиқиuig, ئۇيغۇر كىرىل يېزىقىuig)는 주로 구소련 국가에 거주하는 위구르족이 사용한다. 1947년 소련에서 공식 채택되었으며,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도 1956년부터 잠시 시범적으로 사용된 바 있다. 라틴 문자의 yu 및 ya에 해당하는 ю 및 я도 사용된다.
아래는 주요 문자 체계 비교표이다.
아랍 문자 | ULY (괄호 안은 2001년판) | UYY | 키릴 문자 | 아랍 문자 | ULY (괄호 안은 2001년판) | UYY | 키릴 문자 | |
---|---|---|---|---|---|---|---|---|
ئا | A a | A a | А а | ق | Q q | Ⱪ ⱪ | Қ қ | |
ئە | E e | Ə ə | Ә ә | ك | K k | K k | К к | |
ب | B b | B b | Б б | ڭ | NG ng | NG ng | Ң ң | |
پ | P p | P p | П п | گ | G g | G g | Г г | |
ت | T t | T t | Т т | ل | L l | L l | Л л | |
ج | J j | J j | Ж ж | م | M m | M m | М м | |
چ | CH ch | Q q | Ч ч | ن | N n | N n | Н н | |
خ | X x | H h | Х х | ھ | H h | Ⱨ ⱨ | Һ һ | |
د | D d | D d | Д д | ئو | O o | O o | О о | |
ر | R r | R r | Р р | ئۇ | U u | U u | У у | |
ز | Z z | Z z | З з | ئۆ | Ö ö | Ɵ ɵ | Ө ө | |
ژ | ZH zh (ZH J 又は J j) | Ⱬ ⱬ | Җ җ | ئۈ | Ü ü | Ü ü | Ү ү | |
س | S s | S s | С с | ۋ | V v | V v | В в | |
ش | SH sh | X x | Ш ш | ئې | Ë ë (É é) | E e | Е е / Э э | |
غ | GH gh | Ƣ ƣ | Ғ ғ | ئى | I i | I i | И и / Ы ы | |
ف | F f | F f | Ф ф | ي | Y y | Y y | Й й |
- 아랍 문자 표기의 경우, 모음을 나타내는 문자가 단어의 시작 부분이나 다른 모음 바로 뒤에 올 때는 앞에 함자(ئـ)가 붙는다. 자음 바로 뒤에 올 때는 함자가 붙지 않는다.
7. 음운론
아랍 문자 | 라틴 문자 | 키릴 문자 | IPA | 아랍 문자 | 라틴 문자 | 키릴 문자 | IPA | |
---|---|---|---|---|---|---|---|---|
ئا | A a | А а | /a/ | ق | Q q K̡ k̡ | Қ қ | /q/ | |
ئە | E e Ə ə | Ә ә | /æ/ | ك | K k | К к | /k/ | |
ب | B b | Б б | /b/ | ڭ | Ng ng | Ң ң | /ŋ/ | |
پ | P p | П п | /p/ | گ | G g | Г г | /ɡ/ | |
ت | T t | Т т | /t/ | ل | L l | Л л | /l/ | |
ج | J j | Җ җ | /ʤ/ | م | M m | М м | /m/ | |
چ | C̈ c̈ Q q | Ч ч | /ʧ/ | ن | N n | Н н | /n/ | |
خ | X x H h | Х х | /x/ | ه | H h H̡ h̡ | Х х | /h/ | |
د | D d | Д д | /d/ | ئو | O o | О о | /o/ | |
ر | R r | Р р | /r/ | ئۇ | U u | У у | /u/ | |
ز | Z z | З з | /z/ | ئۆ | Ö ö Ɵ ɵ | Ө ө | /ø/ | |
ژ | Z̈ z̈ Z̡ z̡ | Ж ж | /ʒ/ | ئۈ | Ü ü | Ү ү | /y/ | |
س | S s | С с | /s/ | ۋ | V v | В в | /v/ | |
ش | S̈ s̈ X x | Ш ш | /ʃ/ | ئې | É é E e | Е е/Э э | /e/ | |
غ | Ğ ğ Ƣ ƣ | Ғ ғ | /ʁ/ | ئى | I i | И и/Ы ы | /i/ 또는 /ɨ/ | |
ف | F f | Ф ф | /f/ | ي | Y y | Й й | /j/ | |
위구르어의 주요 음절 구조는 CV(C)(C)이다.[35] 위구르어 음절 구조는 일반적으로 CV 또는 CVC이지만, 일부 단어에서는 CVCC도 나타날 수 있다. 음절 종결 자음군(CC)이 나타날 때, 일부 화자는 이를 CVC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첫 번째 자음이 공명음이 아닐 때 더욱 그렇다. 위구르어에서는 성문 파열음(/ʔ/)이 음절 초성에서만 나타나고, 연구개 비음(/ŋ/)은 단어 시작 부분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모든 자음 음소가 음절 종성 또는 초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위구르어 음운론은 탈락과 삽입을 통해 음소 자음군을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다.[57]
7. 1. 모음
위구르어는 7개의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i/와 /e/는 구별되지 않는다.[46] 위구르어의 모음 문자는 라틴 문자 알파벳 순서대로 'a', 'e', 'ë', 'i', 'o', 'ö', 'u', 'ü'이다. 이중모음은 없다. 음절 파열은 일부 외래어에서 발생한다.위구르어 모음은 높이, 후설성, 원순성을 기준으로 구별된다. 어휘 음운론 프레임워크 내에서 /e/는 후설 모음 /ɤ/에 해당하며, 현대 위구르어는 /i/와 /ɯ/를 명확하게 구별하지 못한다고 주장되어 왔다.
colspan="2" | | 전설 | 후설 | |||
---|---|---|---|---|---|
colspan="2" | | 비원순 | 원순 | 비원순 | 원순 | |
고모음 | 아랍 문자 | ئى / ى | ئۈ / ۈ | ئى / ى | ئۇ / ۇ |
라틴 문자 | I i | Ü ü | I i | U u | |
IPA | [ɪ] | [ʏ] | ([ɯ]) | [u] | |
중모음 | 아랍 문자 | ئې / ې | ئۆ / ۆ | ئو / و | |
라틴 문자 | Ë ë | Ö ö | O o | ||
IPA | [e] | [ø] | [o] | ||
저모음 | 아랍 문자 | ئە / ە | ئا / ا | ||
라틴 문자 | E e | A a | |||
IPA | [æ] | [ɑ] |
위구르어 모음은 기본적으로 단모음이지만, 역사적 모음 동화와 외래어를 통해 장모음도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장모음은 모음 축소와 무성음화에 저항하고, 비종결 강세를 유발하며, 일부 접미사 앞에서 |Vj| 또는 |Vr|로 분석된다. 그러나 실제로 단모음과 구별되어 발음되는 조건은 아직 완전히 연구되지 않았다.[47]
고모음은 치경음 (/s, z, r, l/), 구개음 (/j/), 치음 (/t̪, d̪, n̪/), 그리고 치경후 파찰음 (/t͡ʃ, d͡ʒ/)에 인접할 때 약간 긴장된다. 예: ''chiraq'' [t͡ʃʰˈiraq] '램프', ''jenubiy'' [d͡ʒɛnʊˈbiː] '남쪽', ''yüz'' [jyz] '얼굴; 백', ''suda'' [suːˈda] '물 안/에서 (그) 물'.
/i/와 /ɯ/는 모두 무강세 음절에서 치경-치음 연속 자음 뒤에서 설단음화된다. 예: ''siler'' [sɪ̯læː(r)] '너희 (복수)', ''ziyan'' [zɪ̯ˈjɑːn] '피해'. /χ/ 뒤 또는 /l/ 앞에 위치하면 중간화된다. 예: ''til'' [tʰɨl] '혀', ''xizmet'' [χɨzˈmɛt] '일; 직업; 서비스'. 연구개음, 구개수음 및 /f/ 뒤에서는 [e]로 실현된다. 예: ''giram'' [ɡeˈrʌm] '그램', ''xelqi'' [χɛlˈqʰe] '그의 [등] 국가', ''Finn'' [fen] '핀란드인'. 둥근 후설 모음을 포함하는 두 음절 사이에서는 후설 모음으로 실현된다. 예: ''qolimu'' [qʰɔˈlɯmʊ] '그의 [등] 팔도'.
어떤 모음이든 구개수음 (/q/, /ʁ/, /χ/) 및 인두 (성문) (/ɦ/, /ʔ/) 환경에서 발생하면 이완되고 후설화된다. 예: ''qiz'' [qʰɤz] '소녀', ''qëtiq'' [qʰɤˈtɯq] '요거트', ''qeghez'' [qʰæˈʁæz] '종이', ''qum'' [qʰʊm] '모래', ''qolay'' [qʰɔˈlʌɪ] '편리한', ''qan'' [qʰɑn] '피', ''ëghiz'' [ʔeˈʁez] '입', ''hisab'' [ɦɤˈsʌp] '숫자', ''hës'' [ɦɤs] '추측', ''hemrah'' [ɦæmˈrʌh] '파트너', ''höl'' [ɦœɫ] '젖은', ''hujum'' [ɦuˈd͡ʒʊm] '공격', ''halqa'' [ɦɑlˈqʰɑ] '반지'.
음절 종결 유음이 그들에게 동화될 때 비고모음에 하강이 적용되는 경향이 있다. 예: ''kör'' [cʰøː] '봐!', ''boldi'' [bɔlˈdɪ] '그는 [등] 되었다', ''ders'' [dæːs] '수업', ''tar'' [tʰɑː(r)] '좁은'.
공식 위구르어 정서법은 모음 길이를 표시하지 않으며 /ɪ/ (예: بىلىم /bɪlɪm/ '지식')과 후설 /ɯ/ (예: تىلىم /tɯlɯm/ '내 언어')를 구별하지 않는다. 이 두 소리는 상보적 분포에 있지만, 음운론적 분석은 이들이 모음 조화에 역할을 하고 별개의 음소라고 주장한다.[48] /e/는 비튀르크어 기원의 단어에서만 발생하며 모음 상승의 결과로 나타난다.[49]
위구르어는 체계적인 모음 축소 (또는 모음 상승)뿐만 아니라 모음 조화도 가지고 있다. 단어는 일반적으로 모음 후설성에 동의하지만, 합성어, 차용어 및 기타 몇 가지 예외는 종종 모음 조화를 깨뜨린다. 접미사는 줄기에서 가장 오른쪽의 [후설] 값을 가지고 나타나며, /e, ɪ/는 투명하다 (후설성에 대해 대조되지 않기 때문에). 위구르어는 또한 원순 조화를 가지고 있다.[50]
7. 2. 자음
아랍 문자 | 라틴 문자 (ULY) | 키릴 문자 | IPA |
---|---|---|---|
ب | B b | Б б | |
پ | P p | П п | |
ت | T t | Т т | |
ج | J j | Ж ж | |
چ | CH ch | Ч ч | |
خ | X x | Х х | |
د | D d | Д д | |
ر | R r | Р р | |
ز | Z z | З з | |
ژ | ZH zh | Җ җ | |
س | S s | С с | |
ش | SH sh | Ш ш | |
غ | GH gh | Ғ ғ | |
ف | F f | Ф ф | |
ق | Q q | Қ қ | |
ك | K k | К к | |
گ | G g | Г г | |
ڭ | NG ng | Ң ң | |
ل | L l | Л л | |
م | M m | М м | |
ن | N n | Н н | |
ھ | H h | Һ һ | |
ۋ | V v | В в | |
ي | Y y | Й й |
- 키릴 문자 표기의 경우, 라틴 문자 표기의 yu 및 ya에 해당하는 ю 및 я도 사용된다.
8. 문법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위구르어는 후치사 교착어이며,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이다. 명사는 수와 격에 따라 굴절되지만, 다른 많은 언어와 달리 성과 정해짐에 따라 굴절되지는 않는다. 단수와 복수의 두 가지 수가 있으며, 주격, 대격, 여격, 처격, 탈격, 속격의 여섯 가지 격이 있다.[58][59] 동사는 시제, 현재와 과거; 능동태와 수동태; 진행과 양상, 예를 들어 능력과 같은 법에 따라 활용된다. 동사는 부정될 수도 있다.[58]
9. 어휘
위구르어의 핵심 어휘는 튀르크어족에 속하지만, 역사적으로 다양한 언어 접촉을 통해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카자흐어, 우즈베크어, 차카타이어와 같은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들이 위구르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아랍어에서 유래한 많은 단어들은 페르시아어와 타지크어를 거쳐 유입되었고, 이는 다시 우즈베크어와 차카타이어를 통해 들어온 경우도 있다. 또한, 10세기경 이슬람이 전파된 이후 이슬람 문학을 통해 아랍어 어휘가 직접 들어오기도 했다.
신장 지역에서는 중국어가, 다른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는 러시아어가 위구르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언어이다. 이들 언어에서 온 차용어는 비교적 최근의 것이 많지만, 중앙아시아의 둥간족이 사용하는 만다린 중국어인 둥간어에서 온 단어처럼 더 오래된 차용어도 존재한다. 독일어에서 유래한 단어 중 일부는 러시아어를 통해 위구르어에 들어오기도 했다.[60]
언어 전환 현상은 구어체 위구르어에서 표준 중국어와 함께 자주 나타나지만,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신장 텔레비전과 같은 대중 매체에서는 흔히 쓰이는 중국어 차용어 'juze' (橘子|쥐쯔zho) 대신, '오렌지'를 뜻하는 단어로 드물게 사용되는 러시아어 차용어 'aplisin' (апельсин|아펠신rus)을 사용하기도 한다. 문장 속에서 이러한 혼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61]
> مېنىڭ تەلەفونىم گۇئەنجى، شۇڭا سىزگە دۇئەنشىن ئەۋەتەلمىدىم.|메닝 텔레포نیم 구엔지, 슝가 시즈게 두엔신 에웨텔미딤.uig
> (내 (휴대) 전화기가 꺼져서(关机; guānjī), 문자 메시지(短信; duǎnxìn)를 보낼 수 없었어요.)
다음은 위구르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차용어의 몇 가지 예시이다.
기원 | 원어 | 위구르어 단어 | 한국어 뜻 |
---|---|---|---|
페르시아어 | افسوس|아프수스fas | epsus ئەپسۇس|엡수스uig | 연민 |
گوشت|고슈트fas | gösh گۆش|괴시uig | 고기 | |
ساعت|사아트fas | saet سائەت|사엣uig | 시(時) | |
러시아어 | велосипед|벨로시페트rus | wëlsipit ۋېلسىپىت|웰시피트uig | 자전거 |
доктор|독토르rus | doxtur دوختۇر|도흐투르uig | 의사 (의료) | |
поезд|포예스트rus | poyiz پويىز|포이즈uig | 기차 | |
область|오블라스티rus | oblast ئوبلاست|오블라스트uig | 주(州), 지역 | |
телевизор|텔레비조르rus | tëlëwizor تېلېۋىزور|텔레비조르uig | 텔레비전 | |
중국어 | 凉粉|량펀zho | lempung لەڭپۇڭ|렘풍uig | 량펀(차가운 젤리 국수) |
豆腐|더우푸zho | dufu دۇفۇ|두푸uig | 두부 | |
书记|수지zho | shuji شۇجى|슈지uig | 중국공산당 서기[62] | |
桌子|줘쯔zho | joza جوزا|조자uig | 탁자[61] | |
冰箱|빙샹zho | bingshang بىڭشاڭ|빙샹uig | 냉장고[61] |
참조
[1]
논문
Chinese Language Policy and Uyghur Youth: Examining Language Policies and Language Ideologies
https://www.tandfonl[...]
2022-11-04
[2]
뉴스
China
http://www.ethnologu[...]
2015-06-03
[3]
간행물
Uyghur
[4]
웹사이트
Uyghur
https://www.ethnolog[...]
2022-12-30
[5]
문서
Engesæth 2009, p. 7
[6]
문서
Hamut, Joniak-Lüthi 2015
[7]
서적
One Thousand Languages: Living, Endangered, and Lo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8]
논문
Review An Eastern Turki-English Dictionary by Gunnar Jarring
1965
[9]
서적
The Caucasu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3-10
[10]
서적
The Caucasu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9
[11]
문서
Hahn 1998, pp=83–84
[12]
서적
Early Mystics in Turk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6
[13]
서적
A Sketch of the Turki Language: As Spoken in Eastern Turkistan ...
https://books.google[...]
1878
[14]
서적
Scientific Results of a Journey in Central Asia 1899–1902: Lop-Nor, by Sven Hedin [1905
https://books.google[...]
Lithographic institute of the General staff of the Swedish army [K. Boktryckeriet, P.A. Norstedt & söner
1905
[15]
간행물
Inner Asian Wisdom Traditions in the Pre-Mongol Period
American Oriental Society
1981-03
[16]
간행물
The Turkic languages
Taylor & Francis
2010-03-08
[17]
서적
Animal and Shaman: Ancient Religions of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00
[18]
간행물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Motilal Banarsidass
2002
[19]
뉴스
Türki tillar diwani pütün türkiy xelqler ücün engüshterdur
http://www.rfa.org/u[...]
2010-02-15
[20]
간행물
Farhang-i wāžahā-i fārsī dar zabān-i ūyġūrī-i Čīn
Bunyād-i Nīšābūr
1997
[21]
논문
Modular History: Identity Maintenance before Uyghur Nationalism
https://www.academia[...]
2014-09-29
[22]
서적
The Sacred Routes of Uyghur Histor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10-13
[23]
서적
A Sketch of the Turki Language: As Spoken in Eastern Turkistan ...
https://books.google[...]
1878
[24]
서적
Persian Literature: A Bio-Bibliographical Surve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2-02
[25]
간행물
Uyghur
Elsevier
2009
[26]
문서
Hahn 1998, p=379
[27]
서적
Journal of the Institute of Muslim Minority Affairs, Volumes 12–13
https://books.google[...]
King Abdulaziz University
1991
[28]
서적
The ETIM: China's Islamic Militants and the Global Terrorist Threat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
[29]
서적
Education in Xinjiang, 1884–1928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2006
[30]
서적
The Age of the Seljuqs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4-11-30
[31]
서적
Uyghur Na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04-04
[32]
웹사이트
Did you know Lopnor Uighur is critically endangered?
http://www.endangere[...]
2020-08-10
[33]
문서
Yakup 2005, p=8
[34]
문서
Hahn 1991, p=53
[35]
웹사이트
Uyghur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2-04-06
[36]
서적
2005
[37]
논문
Smith in Beijing, Stalin in Urumchi: Ethnicity, Political Economy, and Violence in Xinjiang, 1759–2009
2011
[38]
서적
The Xinjiang Conflict: Uyghur Identity, Language Policy, and Political Discourse
http://www.eastwestc[...]
East-West Center
2010-02-04
[39]
뉴스
The 'Patriotism' of Not Speaking Uyghur
https://supchina.com[...]
2019-01-03
[40]
뉴스
China Separating Muslim Children from Families
https://www.bbc.com/[...]
2019-07-05
[41]
논문
Bilingual Education in Xinjiang in the Post-2009 Period
https://www.research[...]
2020-08-10
[42]
논문
The Research on the Language Problems in Xinjiang Uyghur-Han Bilingual Teaching of Mathematics
2013-05-28
[43]
웹사이트
Google Translate supports new languages for the first time in four years, including Uyghur
https://www.theverge[...]
2020-03-30
[44]
웹사이트
Google Translate adds five languages
https://blog.google/[...]
2020-03-30
[45]
웹사이트
Uighur Poets on Repression and Exile
https://www.nybooks.[...]
2020-08-13
[46]
서적
Locality in Vowel Harmony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23-10-23
[47]
서적
1998
[48]
서적
1991
[49]
서적
2001
[50]
서적
2001
[51]
서적
1991
[52]
서적
1991
[53]
서적
1991
[54]
서적
1991
[55]
서적
1998
[56]
서적
1991
[57]
서적
1991
[58]
서적
2009
[59]
서적
1991
[60]
서적
1998
[61]
논문
Our 'Messy' Mother Tongue: Language Attitudes Among Urban Uyghurs and Desires for 'Purity' in the Public Sphere
University of Kansas
2013
[62]
간행물
[63]
웹사이트
http://el.minoh.osak[...]
[64]
문서
[65]
문서
[66]
문서
[67]
문서
[68]
논문
『바부르나마』의 현대 우즈벡어 및 위구르어 번역 비교 연구 - 어휘의미론적 관점에서
https://www.kci.go.k[...]
2021
[69]
논문
Chinese Language Policy and Uyghur Youth: Examining Language Policies and Language Ideologies
https://www.tandfonl[...]
2020-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