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창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창령은 경조부 출신의 당나라 시인으로, 727년에 진사가 되었다. 그는 비서성 교서랑을 거쳐 박학굉사과에 급제하여 현위로 임명되었으나, 방탕한 생활로 좌천되었다. 안록산의 난 당시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가 살해당했다. 왕창령은 가오스, 왕지환과 교류하며 칠언절구에 능했고, 변새시에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그의 시는 "시의 실마리가 촘촘하고 생각이 맑다"는 평을 받았으며, 시집 5권과 시론서를 저술하여 "시가의 천자"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98년 출생 - 아베노 나카마로
아베노 나카마로는 8세기 견당사로 당나라에 건너가 과거에 급제 후 당 현종의 총애를 받으며 관리로 활동하고 이백, 왕유 등과 교류하며 문학 활동을 펼쳤으나, 귀국에 실패하고 안남 도호를 지내다 장안에서 사망한 일본인 유학생이다. - 755년 사망 - 아부 무슬림 이븐 무슬림
아부 무슬림 이븐 무슬림은 8세기 아바스 혁명의 주역이자 호라산 총독으로, 우마이야 왕조에 대항하여 혁명을 일으켜 아바스 왕조 건국에 기여하고 탈라스 전투에서 당나라 군대를 격파했으나, 칼리프 알 만수르와의 갈등으로 암살당하여 호라산 지역 반란을 촉발하고 페르시아 민족주의 상징이 되었다. - 지식을만드는지식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지식을만드는지식 공개자료를 인용한 문서 - 욘 포세
욘 포세는 미니멀한 문체와 침묵을 활용해 인간의 불안과 고독을 탐구하는 노르웨이 소설가, 극작가, 시인으로, 202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며 "입센의 재림"이라 불린다.
왕창령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생애 | |
출생 | 698년, 산서성 타이위안 |
사망 | 756년, 안휘성 박주 |
직업 | 시인 |
2. 생애
경조부에서 태어났다.[6] 개원 15년(727년)에 진사가 되었고, 비서성의 교서랑을 지냈다. 개원 22년 (734년)에 박학굉사과에 급제하여 사수현위가 되었으나, 방탕한 생활로 인해 강녕(현재의 장쑤성난징시강녕구) 현승, 용표(현재의 후난성회화시즈장 둥족 자치현) 현위로 좌천되었다.[6]
왕창령은 당나라 때 "시가의 천자"라고 불렸으며, 가오스, 왕지환과 교류하였다. 칠언절구에 특히 뛰어났고, 변새시에 걸작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 규원시와 송별시에도 재능을 보였으며, "시의 실마리가 촘촘하고 생각이 맑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시집 5권을 남겼고, 시론가로서 『시격』, 『시중밀지』 등 여러 저술을 남겼다.[1]
천보 14재 (755년), 안록산의 난 때 관직을 사임하고 고향으로 돌아갔으나, 박주자사 闾丘晓|여구효중국어에게 미움을 받아 살해당했다.[6]
이후 여구효는 안록산 군의 침공에 대해 당나라 측의 장순을 구원하지 않은 죄로, 당나라 장호에게 곤장으로 맞아 죽었다.[6] 이때, 여구효는 "친족이 있으니 목숨을 살려주십시오"라고 말했지만, 장호는 "왕창령의 친족은 누가 돌봐야 하는가?"라고 반박했고, 여구효는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고 전해진다.[6]
3. 작품 세계
3. 1. 대표작
당시에는 "시가의 천자"라고 불렸으며, 가오스, 왕지환과 교류하였다. 특히 칠언절구에 뛰어나 변새시에 걸작이 많다고 여겨진다. 규원시, 송별시에도 재능을 보였다. "시의 실마리가 촘촘하고 생각이 맑다"라는 평을 받는다. 시집 5권이 있으며, 시론가로서 『시격』, 『시중밀지』, 『치앙 악부 고금제해』, 『속악부고해제』를 저술했다.
서궁야정백화향 | 서궁의 밤은 고요하고 백 가지 꽃 향기가 나는데 |
욕권주렴춘한장 | 주렴을 걷으려 하니 봄날의 한이 길어지네 |
사포운화심견월 | 비스듬히 운화(瑟)를 안고 깊이 달을 바라보니 |
몽롱수색은소양 | 몽롱한 나무 그림자에 소양궁이 숨겨져 있네 |
부용불급미인장 | 부용은 미인의 화장에 미치지 못하고 |
수전풍래주취향 | 수전에 바람이 불어와 구슬과 비취의 향이 나네 |
각한함정엄추선 | 도리어 한스러워, 정을 머금고 가을 부채를 덮어놓고 |
공현명월대군왕 | 헛되이 밝은 달을 걸어놓고 군왕을 기다리네 |
4. 평가
당시에는 "시가의 천자"라고 불렸으며, 가오스, 왕지환과 교류가 있었다. 칠언절구에 특히 뛰어나며, 변새시에 걸작이 많다고 여겨진다. 규원시・송별시에도 시재를 발휘했다. "시의 실마리가 촘촘하고 생각이 맑다"라는 평이 있다. 시집 5권과 시론가로서 『시격』, 『시중밀지』, 『치앙 악부 고금제해』, 『속악부고해제』가 있다.
{| class="wikitable"
|+ 왕창령의 시
|-
! 제목
! 내용
|-
| '''서궁춘원'''
|
서궁의 밤은 고요하고 백 가지 꽃 향기가 나는데 |
주렴을 걷으려 하니 봄날의 한이 길어지네 |
비스듬히 운화(瑟)를 안고 깊이 달을 바라보니 |
몽롱한 나무 그림자에 소양궁이 숨겨져 있네 |
|-
| '''서궁추원'''
|
부용은 미인의 화장에 미치지 못하고 |
수전에 바람이 불어와 구슬과 비취의 향이 나네 |
도리어 한스러워, 정을 머금고 가을 부채를 덮어놓고 |
헛되이 밝은 달을 걸어놓고 군왕을 기다리네 |
|}
5. 관련 자료
- 王昌齡중국어의 시는 당시 "시가의 천자"라고 불렸으며, 가오스, 왕지환과 교류가 있었다.
- 칠언절구에 특히 뛰어나며, 변새시에 걸작이 많다고 여겨진다. 규원시, 송별시에도 시재를 발휘했다.
- "시의 실마리가 촘촘하고 생각이 맑다"라는 평을 받았다.
- 시집 5권, 시론서로 『시격』, 『시중밀지』, 『치앙 악부 고금제해』, 『속악부고해제』가 있다.
- 구당서 권 190 열전 140 하 문원 하 「왕창령전」
- 신당서 권 202 열전 128 문예 하 「왕창령전」
원문 | 해석 |
---|---|
西宮夜静百花香 | 서궁의 밤은 고요하고 백 가지 꽃 향기가 나는데 |
欲捲珠簾春恨長 | 주렴을 걷으려 하니 봄날의 한이 길어지네 |
斜抱雲和深見月 | 비스듬히 운화(瑟)를 안고 깊이 달을 바라보니 |
朧々樹色隠昭陽 | 몽롱한 나무 그림자에 소양궁이 숨겨져 있네 |
원문 | 해석 |
---|---|
芙蓉不及美人妝 | 부용은 미인의 화장에 미치지 못하고 |
水殿風來珠翠香 | 수전에 바람이 불어와 구슬과 비취의 향이 나네 |
却恨含情掩秋扇 | 도리어 한스러워, 정을 머금고 가을 부채를 덮어놓고 |
空懸明月待君王 | 헛되이 밝은 달을 걸어놓고 군왕을 기다리네 |
참조
[1]
시
[2]
서적
[3]
서적
1970
[4]
웹사이트
Song of the Spring Palace – Wang Changling
https://100tangpoems[...]
2018-08-10
[5]
서적
1972
[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