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흥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 흥종은 요 성종의 장남으로, 1031년 성종의 뒤를 이어 요나라의 황제가 되었다. 즉위 초 흠애황후의 섭정과 권력 투쟁으로 혼란을 겪었으며, 친정 이후 군사력 증강과 서하 정벌 등의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으나, 잦은 전쟁과 사치로 국력을 쇠퇴시켰다. 1055년 사망했으며, 그의 치세는 요나라 멸망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55년 사망 - 교황 베네딕토 9세
교황 베네딕토 9세는 투스쿨룸 백작 가문 출신으로, 1032년부터 1048년까지 세 차례 교황으로 재임하며 성직 매매와 방탕한 생활로 비판받고 재임과 사임을 반복하는 혼란스러운 행보로 교회의 권위를 실추시킨 인물이다. - 1055년 사망 - 브르제티슬라프 1세
브르제티슬라프 1세는 11세기 보헤미아의 공작으로, 유디트 납치 결혼, 모라비아 탈환, 헝가리 확장 저지 등 군사적 업적과 일부다처제 금지, 장자 상속제 도입 시도 등 국내적 업적을 남겼다. - 1016년 출생 - 덕종 (고려)
덕종은 고려 제10대 임금으로, 천리장성 축조 시작과 국사 편찬 완료 등의 치적을 남겼으나 아들이 없어 동생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1016년 출생 - 미나모토노 쓰네노부
미나모토노 쓰네노부는 헤이안 시대에 종2위 곤노다이나곤까지 오른 공경이자 가인으로, 고이치조 천황부터 시라카와 천황 시대에 걸쳐 활약하며 시라카와 천황의 신임을 받았고, 시가와 관현, 유직고실에 능통했으며, 후지와라노 킨토에 비견될 정도로 다재다능하여 수많은 가합에 참가해 이름을 알렸고, 『오구라 백인일수』에 와카가 수록되어 있으며, 가론서인 『후습유 문답』과 『난후습유』를 통해 자신의 가론을 펼쳤다.
요 흥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거란 이름) | 야율 지골(耶律只骨) |
휘 (한명) | 야율 종진(耶律宗眞) |
묘호 | 흥종(興宗) |
시호 | 신성효장황제(神聖孝章皇帝) |
존호 | 흠천봉도우세흥력무정문성성신인효황제(欽天奉道祐世興曆武定文成聖神仁孝皇帝) |
출생일 | 1016년 4월 3일 |
사망일 | 1055년 8월 28일 |
매장지 | 영흥릉(永興陵) (현재 내몽골 자치구 바린우기) |
통치 정보 | |
재위 기간 | 1031년 6월 25일 ~ 1055년 8월 28일 |
연호 | 경복(景福): 1031년 ~ 1032년 중희(重熙): 1032년 ~ 1055년 |
계승 순서 | 요나라 황제 |
이전 | 성종(聖宗) |
이후 | 도종(道宗)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성종(聖宗) |
어머니 | 소누근(蕭耨斤) |
배우자 | 소달리 |
이름 정보 | |
성 | 야율(耶律) |
씨족 | 야율(耶律) |
기타 정보 | |
시대 | 요나라(遼) |
2. 생애
흥종은 요 성종의 장남으로, 궁녀 소누근(흠애황후)에게서 태어났지만 성종의 정비 인덕황후에게 친자식과 다름없는 사랑을 받으며 성장했다.[5] 3세에 양왕(梁王)에 책봉되었고, 1021년 6세의 나이에 황태자가 되었다.[5] 1031년 아버지 성종이 죽자 황제 자리에 올랐다.
어린 나이였기에 처음에는 생모인 흠애태후가 섭정을 하였다. 성년이 된 후 흠애태후를 유폐하고 친정을 시작했다. 이 시기 거란은 국력 쇠퇴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지만, 흥종은 군사력을 증강하여 북송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세폐를 증가시키는 데 성공했다. 또한, 신흥 세력인 서하에 대해서도 군대를 보내 굴복시키고 조공을 받는 데 성공하는 등 거란의 재건을 이루었다. 문화와 내정 면에서도 번영을 이룬 거란은 전성기를 맞이했다.
하지만, 흥종의 통치 시기부터 요나라는 내란이 끊이지 않아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정부는 부패하였고 군대는 흩어졌다. 흥종은 서하를 여러 차례 공격하였고 송나라와도 전쟁을 벌여 중국의 정세를 어지럽혔다. 잦은 전쟁으로 백성들은 높은 세금을 내야 했고, 흥종은 불교를 국교로 지정하고는 사치를 일삼았다. 이로 인해 요나라는 국력이 쇠퇴하였고, 이는 1125년에 금나라에게 멸망하게 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된다.
1055년 4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흠애황후의 섭정과 권력 투쟁
흥종은 요 성종의 장남으로, 궁녀 소누근에게서 태어났지만 성종의 정비 인덕황후에게 친자식처럼 사랑받으며 자랐다.[5] 1021년, 6세의 나이에 황태자가 되었고 1031년 아버지 성종이 죽자 황제가 되었다. 흥종의 생모 흠애황후는 섭정을 하며 권력을 잡았고, 자신의 호위병 풍가노를 시켜 북부 재상 소착복과 인덕황후의 형제 소필적을 무고하게 했다.[5] 흥종은 인덕황후에 대한 효심이 지극하여 그녀를 용서해 달라고 청했지만, 흠애황후는 인덕황후를 상경(현재의 내몽골 자치구)으로 내쫓고 사람을 보내 억지로 자결하게 했다.[6]1034년 흠애황후는 아들인 흥종을 폐하고 다른 아들을 왕위에 세우려 했지만, 흥종은 이것을 미리 알고 어머니를 귀양보냈다.
2. 2. 친정과 외교적 성과
흥종은 요 성종의 장남으로, 궁녀 소누근(흠애황후)에게서 태어났지만 성종의 정비 인덕황후의 친자식과 다름없는 사랑을 받으며 성장했다.[5] 1021년, 6세의 나이로 황태자가 되었고 1031년 아버지 성종이 사망하자 황제 자리에 올랐다. 성년이 된 후 흠애태후를 유폐하고 실권을 되찾아 친정을 시작했다.흥종은 군사력을 증강하여 북송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세폐를 증가시키는 데 성공했다. 또한, 신흥 세력인 서하에 대해서도 군대를 보내 굴복시키고 조공을 받는 데 성공하는 등 거란의 재건을 이루었다. 문화와 내정 면에서도 번영을 이룬 거란은 전성기를 맞이했다.
2. 3. 내치와 한계
흥종은 요 성종의 장남으로, 궁녀 소누근에게서 태어났지만 성종의 정비 인덕황후에게 친자식처럼 사랑받으며 자랐다.[5] 1021년 6세에 황태자가 되었고, 1031년 아버지 성종이 죽자 황제 자리에 올랐다. 흥종의 생모 소누근(흠애왕후)은 섭정을 하며 권력을 잡았고, 자신의 호위병 풍가노를 시켜 북부 재상 소착복과 인덕황후의 형제 소필적을 모함하게 했다.[5] 흥종은 인덕황후를 향한 효심이 깊어 그녀를 용서해 달라고 청했지만, 흠애왕후는 인덕황후를 상경(현재의 내몽골 자치구)으로 내쫓고 사람을 보내 억지로 자결하게 만들었다.[6]1034년 흠애왕후는 아들인 흥종을 몰아내고 다른 아들을 왕위에 앉히려 했지만, 흥종은 이를 미리 알고 어머니를 귀양보냈다. 이처럼 흥종의 통치 시기부터 요나라는 내란이 끊이지 않아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정부는 부패하였고 군대는 흩어졌다.
흥종은 서하를 여러 번 공격하였고 송나라와도 전쟁을 벌여 중국의 정세를 어지럽혔다. 잦은 전쟁으로 백성들은 높은 세금을 내야 했고, 흥종은 불교를 국교로 지정하고는 사치를 일삼았다. 이로 인해 요나라는 국력이 쇠퇴하였고, 이는 1125년에 금나라에게 멸망하게 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된다.
2. 4. 죽음
중희 24년(1055년)에 40세로 붕어하였고, 태자인 야율사라가 황위를 계승했다.[5] 흥종은 죽기 전 요나라의 쇠퇴를 가져온 여러 원인을 제공했는데, 정부는 부패했고 군대는 붕괴되기 시작했다.[5] 잦은 전쟁으로 백성들은 높은 세금을 내야 했고, 불교를 국교로 지정하고 온갖 사치를 일삼은 것도 국력 쇠퇴의 원인이었다.[5]3. 존호
1032년에 '''문무인성소효황제'''(文武仁聖昭孝皇帝)라는 존호를 받았고, 1042년에 '''총문성무영략신공예철인효황제'''(聰文聖武英略神功睿哲仁孝皇帝)로 존호를 고쳤다. 1054년에는 '''흠천봉도우세흥력무정문성성신인효황제'''(欽天奉道祐世興曆武定文成聖神仁孝皇帝)로 존호를 더하였다.
4. 가계
요 흥종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 '''후궁'''
:* 귀비 소씨(蕭氏) - 이름은 삼전(三蒨)이다.[2]
- '''자녀'''
:* 예율보신노(耶律寶信奴) - 1035년 출생.[3]
4. 1. 조부모와 부모
4. 2. 황후
4. 3. 황자
순번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
---|---|---|---|---|---|---|---|
1 | 연조국왕(燕趙國王) | 야율 홍기(耶律 洪基) | 1032년 ~ 1101년 | 인의황후 소달리 | [10] | 제8대 황제 도종. | |
2 | 야율 보신노(耶律 寶信奴) | 1035년 ~ ? | |||||
3 | 황태숙(皇太淑) | 인성(仁聖) | 야율 화로알(耶律 和魯斡) | 1041년 ~ 1110년 | 인의황후 소달리 | [11] | |
4 | 진위국왕(秦魏國王) | 야율 아련(耶律 阿璉) | ? ~ 1087년 | 인의황후 소달리 | [12] |
4. 4. 황녀
요 흥종에게는 두 명의 황녀가 있었다.
5. 기년
흥종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
서력 | 1031년 | 1032년 | 1033년 | 1034년 | 1035년 | 1036년 | 1037년 | 1038년 | 1039년 | 1040년 |
간지 | 신미 | 임신 | 계유 | 갑술 | 을해 | 병자 | 정축 | 무인 | 기묘 | 경진 |
연호 | 경복 원년 | 중희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흥종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서력 | 1041년 | 1042년 | 1043년 | 1044년 | 1045년 | 1046년 | 1047년 | 1048년 | 1049년 | 1050년 |
간지 | 신사 | 임오 | 계미 | 갑신 | 을유 | 병술 | 정해 | 무자 | 기축 | 경인 |
연호 | 10년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흥종 | 21년 | 22년 | 23년 | 24년 | 25년 | |||||
서력 | 1051년 | 1052년 | 1053년 | 1054년 | 1055년 | |||||
간지 | 신묘 | 임진 | 계사 | 갑오 | 을미 | |||||
연호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24년 |
참조
[1]
서적
Liao Shi
[2]
기타
[3]
기타
[4]
기타
『[[遼史]]』聖宗本紀に、「開泰五年二月戊戌、皇子宗真生」との記述がある。[[ユリウス暦]]に換算すれば1016年4月3日となる。
[5]
서적
중국역사박물관7
범우사
2004
[6]
서적
중국사 열전 후비(황제를 지배한 여인들)
달과소
2008
[7]
기타
[8]
기타
[9]
기타
[10]
기타
[11]
기타
[12]
기타
[13]
기타
[1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