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강은 침실에서 사용되는 용변기구로, 조던, 포티 팟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사용되었으며, 실내 수세식 변기의 등장으로 사용이 줄었지만,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는 부유층의 사치품으로 금 요강이 사용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실내 배관 시설이 없는 지역, 유아용 배변 훈련, 환자용으로 사용되며, 형태 및 관련 물품으로 코모드, 부르달루 등이 있다. 문화적으로는 17세기 민요, 필리핀 신화, 토마스 모어의 소설 등에서 언급된다.
"침실"은 침실을 뜻하는 오래된 용어이다. 요강은 '''조던''',[1][2] '''제리''', '''구전더''', '''포'''(pot de chambre|포 드 샹브르프랑스어에서 유래), '''포티 팟''', '''포티''', '''썬더 팟''' 또는 '''썬더 머그'''라고도 알려져 있다. 또한 '''침실 용품''' 또는 '''침실 용기'''라고도 알려져 있었다.
19세기에 실내 수세식 변기가 도입되면서 요강은 점차 대체되기 시작했지만, 20세기 중반까지 흔히 사용되었다.[8] 요강 대신 뒷간을 사용하기도 했다.
현대에는 실내 배관 시설이 없는 지역에서 요강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필리핀에서는 요강을 소변기로 사용하며, 세부아노어[10], 타갈로그어를 포함한 대부분의 필리핀 언어에서 ''아리놀라''(arinola)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겨울철 추위를 피하기 위해 실내 배관 시설이 없는 사람들이 사용했다.
2. 명칭 및 어원
3. 역사
3. 1. 고대
고대 그리스에서는 기원전 6세기부터 요강이 사용되었으며, ἀμίς|amisgrc[3], οὐράνη|ouranēgrc[4], οὐρητρίς|ourētrisgrc[5] (οὖρον|ourongrc, "소변"[6]에서 유래), σκωραμίς|skōramisgrc, χερνίβιον|chernibiongrc[7]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중국에서는 요강(便壶, biàn hú)이 흔히 사용되었다. 양저우의 한 부유한 소금 상인은 너무 커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야 사용할 수 있는 금으로 만든 요강을 주문하여 과시적인 사치의 상징이 되었다.[9]
3. 2. 중세 및 근대
고대 그리스에서는 기원전 6세기부터 요강이 사용되었으며, ἀμίς|아미스grc[3], οὐράνη|우라네grc[4], οὐρητρίς|우레트리스grc[5] (οὖρον|우론grc, "소변"[6]에서 유래), σκωραμίς|스코라미스grc, χερνίβιον|케르니비온grc[7] 등으로 불렸다.
19세기에 실내 수세식 변기가 도입되면서 요강은 점차 대체되기 시작했지만, 20세기 중반까지 흔히 사용되었다.[8] 요강 대신 뒷간을 사용하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요강(便壶, biàn hú)이 흔히 사용되었다. 양저우의 한 부유한 소금 상인은 너무 커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야 사용할 수 있는 금으로 만든 요강을 주문하여 과시적인 사치의 상징이 되었다.[9]
3. 3. 중국
중국에서는 요강(便壶, biàn hú)이 흔히 사용되었다. 양저우의 한 부유한 소금 상인은 너무 커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야 사용할 수 있는 금으로 만든 요강을 주문하여 과시적인 사치의 상징이 되었다.[9]
3. 4. 한국
19세기에 실내 수세식 변기가 도입되면서 요강은 점차 대체되기 시작했지만, 20세기 중반까지 흔히 사용되었다.[8] 요강을 사용하는 대신 뒷간에 가기도 했다.
4. 현대적 사용
"요강"이라는 용어는 배변 훈련에 사용되는 어린이용 변기를 지칭하기도 한다.[11] 이 변기는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등받이와 앞면이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있고, 쉽게 비울 수 있도록 손잡이가 있으며, 미끄럼 방지 바닥이 있기도 하다. 밝은 색상이나 그림, 만화 캐릭터 등으로 장식되기도 한다.[12]
4. 1. 일반적인 사용
요강은 2008년 현재 실내 배관 시설이 없는 지역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필리핀에서는 요강이 소변기로 사용되며, 세부아노어[10], 타갈로그어를 포함한 대부분의 필리핀 언어에서 ''아리놀라''(arinola)라고 불린다.
한국에서는 요강을 겨울철 추위를 피하기 위해 실내 배관 시설이 없는 사람들이 사용했다.
4. 2. 유아용 요강
"요강"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배변 훈련이라고도 불리는, 화장실 사용 훈련을 받는 어린이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작은 변기 모양의 장치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11] 이러한 "요강"은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등받이와 앞면을 갖춘 큰 플라스틱 그릇이다. 쉽게 비울 수 있도록 뒤쪽에 손잡이나 손잡이가 내장되어 있고, 사용 중 아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 바닥이 있을 수 있다. 어떤 것은 밝은 색상으로 제공되며, 다른 것은 부드럽거나 무해한 그림이나 만화 캐릭터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아이들이 일반 변기에 스스로 올라가기가 어렵기 때문에 사용된다. 또한 일반 변기의 더 큰 구멍은 아이가 편안하게 앉기에 너무 넓고 처음 배우기 시작할 때 위협적일 수 있다.[12] 요강의 크기는 어린 아이들과 함께 외출하거나 캠핑을 갈 때 가방에 넣어 보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3. 환자용 요강
요강은 2008년 현재 실내 배관 시설이 없는 지역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
필리핀에서는 요강이 소변기로 사용되며, 세부아노어arinola|ceb, 타갈로그어arinola|tl를 포함한 대부분의 필리핀 언어에서 ''아리놀라''(arinola)라고 불린다.[10]
한국에서는 요강을 ''요강''이라고 부른다. 실내 배관 시설이 없는 사람들이 겨울철 추위를 피하기 위해 사용했다.
5. 형태 및 관련 물품
요강은 일종의 의자(클로즈 스툴)에 숨겨지거나, 문이 달린 캐비닛에 보관되기도 했다. 이러한 침대 옆 탁자를 코모드라고 불렀으며, 이는 "화장실"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가구가 없는 집에서는 침대 밑에 보관했다.
현대의 이동식 변기와 병기는 요강의 변형된 형태이다.
관련 물품으로 17세기와 18세기 프랑스에서 여성들이 사용한 ''부르달루''가 있다.[13]
5. 1. 형태
요강은 일종의 의자(클로즈 스툴)에 숨겨질 수도 있었다. 또한 요강을 숨기기 위해 문이 달린 캐비닛에 보관할 수도 있었는데, 이러한 종류의 침대 옆 탁자를 코모드라고 불렀으며, 이 단어는 "화장실"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이러한 가구가 없는 집에서는 요강을 침대 밑에 보관했다.현대의 이동식 변기와 병기, 즉 침대에 누워 있거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변기는 요강의 변형된 형태이다.
17세기와 18세기 프랑스에서는 여성들이 편리하게 소변을 볼 수 있도록 작고 손으로 들 수 있는 타원형 세라믹 냄비인 ''부르달루''를 사용했다. 이 물건은 깊은 소스 보트와 모양이 비슷하며, 서 있거나 쪼그리고 앉아 다리 사이에 잡고 소변을 볼 수 있어 옷을 더럽힐 위험이 거의 없었다. 당시 여성들은 오늘날처럼 다리가 두 개인 속옷을 일반적으로 착용하지 않았다.[13]
5. 2. 부르달루
'''부르달루'''(Bourdaloue) 또는 '''부르달루에'''는 17세기와 18세기 프랑스에서 여성들이 편리하게 소변을 볼 수 있도록 사용된 작고 손으로 들 수 있는 타원형 세라믹 냄비이다. 깊은 소스 보트와 모양이 비슷하며, 서 있거나 쪼그리고 앉아 다리 사이에 잡고 소변을 볼 수 있어 옷을 더럽힐 위험이 거의 없었다. 당시 여성들은 오늘날처럼 다리가 두 개인 속옷을 일반적으로 착용하지 않았다.[13]
6. 문화적 참조
게는 어리석은 어부가 요강에 보관한 것으로 보이는 유럽 바다가재에 관한 17세기 민요이다. 이 노래의 교훈은 요강을 사용하기 전에 안을 살펴보라는 것이다.
필리핀 신화에는 신혼부부에게 요강을 주면 번영을 보장한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엘피디오 키리노 필리핀 대통령은 자신에 대한 흑색 선전의 일환으로, 금으로 된 "아리놀라"를 소유하고 있다는 거짓 소문이 돌았다.[14]
토마스 모어는 자신의 풍자 소설인 ''유토피아''에서 요강을 금으로 만들었다.
참조
[1]
OED2
jordan
[2]
웹사이트
Shakespeare's World in a 100 Objects: Number 1, a "jordan"
http://findingshakes[...]
2010-12-13
[3]
LSJ
ἀμίς
[4]
LSJ
οὐράνη
[5]
LSJ
οὐρητρίς
[6]
LSJ
οὖρον
[7]
LSJ
χερνίβιον
[8]
서적
Boy: Tales of Childhood
Penguin Group
[9]
논문
The Salt Merchants of Yang-Chou: A Study of Commercial Capitalism in Eighteenth-Century China
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10]
백과사전
arinúla
http://seapdatapaper[...]
[11]
웹사이트
Chamber Pot
https://www.agecroft[...]
2024-08-19
[12]
웹사이트
What to Know About Potty Chairs
https://www.webmd.co[...]
2024-08-19
[13]
서적
La société française au XVIIe siècle
Fayard
2006
[14]
뉴스
'Mambo Magsaysay' and Quirino's golden 'orinola
http://opinion.inqui[...]
2013-09-26
[15]
웹인용
사라져가는 풍물, 풍습들-요강
http://kale.com.ne.k[...]
2011-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