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갈로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의 주요 언어 중 하나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필리핀의 국어인 필리피노어의 기초가 된다. 19세기 후반까지 바이바인이나 아랍 문자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타갈로그어는 21개의 음소를 가지며, 스페인어, 영어, 말레이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다. 필리핀 내에서는 중부 및 남부 루손 지역을 중심으로 사용되며, 필리핀 외 지역에서도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교육 및 공용어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갈로그어 - 바이바이인
    바이바인은 필리핀 토착 문자를 총칭하는 용어로, 언어학자들은 수야트라는 용어를 선호하며, 아부기다 체계에 속하고 대인도 문화의 영향을 받아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나 스페인 식민 지배 하에 쇠퇴 후 현대에 부활을 모색하며 유니코드에도 등재되었다.
  • 타갈로그어 - 타갈로그어 위키백과
    타갈로그어 위키백과는 2003년 3월 25일에 시작되어 필리핀 관련 주제를 다루는 타갈로그어 백과사전으로, 2024년 5월 현재 16만 개 이상의 문서를 보유하고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 중앙필리핀어군 - 비콜어군
    비콜어군은 필리핀 비콜 지방의 언어 집합으로, 민족어, Ethnologue, McFarland (1974), Lobel (2000) 등의 분류 기준에 따라 언어와 방언이 다양하게 구분되며 라틴 문자로 표기되고 독특한 음운 및 형태론적 특징을 갖는다.
  • 중앙필리핀어군 - 비사야어군
    비사야어군은 필리핀 중부 비사야 제도와 민다나오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어군으로,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와라이어를 포함한 약 36개의 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부, 세부, 중부, 반톤, 서부의 다섯 주요 분파로 나뉜다.
  • OVS형 언어 - 클링온어
    클링온어는 스타 트렉 시리즈의 클링온족이 사용하는 인공어로, 특이한 음운론적, 문법적 특징과 OVS 어순을 가지며, 소수의 사용자들이 학습 및 연구를 진행하고, 언어 학습 플랫폼에서도 강좌를 제공한다.
  • OVS형 언어 - 셀크남어
    셀크남어는 남부 촌어족에 속하며 하우쉬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가진 멸종 위기 언어로, OVS 어순을 사용하고 티에라델푸에고 제도의 셀크남족이 사용했으나 앙헬라 로이의 사망 후 멸종 위기에 놓여 현재 언어 부활 운동이 진행 중이며, /a, ɪ, ʊ/ 모음과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가진다.
타갈로그어
지도
필리핀에서 타갈로그어를 사용하는 주요 지역
언어 정보
이름타갈로그어
고유 이름
사용 국가필리핀
사용 지역카타갈루간; 메트로 마닐라, 중앙루손 일부, 칼라바르손 대부분, 미마로파 일부, 비콜 지방 북서부
사용자타갈로그인
모국어 화자2921만 1970명 (2010년)
제2 언어 화자5414만 6000명 (2020년)
총 화자8335만 7970명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필리핀어군?
하위 어군대중앙필리핀어군
분기군중앙필리핀어군
조어카시구라닌어-타갈로그어
조상어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조상어 2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
조상어 3원시 필리핀어
조상어 4고대 타갈로그어
방언바타안
바탕가스
불라칸
루방
마닐라
마린두케
푸라이
타나이-파에테 (동부 리잘-북부 라구나)
타야바스
소크사르겐 타갈로그어 (민다나오)
표준어필리핀어
문자필리핀 문자 (라틴 문자)
필리핀 점자
(개발 중)
공용어필리핀 (필리핀어로서)
아세안 (필리핀어로서)
소수 언어필리핀 (주로 타갈로그어를 사용하는 필리핀 지역의 지역 언어 및 보조 공용어)
관리 기관Komisyon sa Wikang Filipino
ISO 639-1tl
ISO 639-2tgl
ISO 639-3tgl
Linguasphere31-CKA
Glottologtaga1280
Glottolog 이름타갈로그어족
Glottolog 2taga1269
Glottolog 이름 2타갈로그어-필리핀어
Glottolog 3taga1270
Glottolog 이름 3타갈로그어
발음

2. 음운・문자

같은 자음의 표기 예


과거에는 인도 기원의 음절 문자인 알리바타나 아랍 문자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주로 라틴 문자(로마자)를 사용한다. 타갈로그어의 모음은 '''a''', '''e''', '''i''', '''o''', '''u'''의 5개이고, 자음은 '''p''', '''t''', '''k''', ''' ' '''(성문 폐쇄음), '''b''', '''d''', '''g''', '''m''', '''n''', '''ng''', '''s''', '''h''', '''l''', '''r''', '''w''', '''y'''의 16개이다. 다만, 스페인어, 영어에서 유래한 고유 명사에는 '''c''', '''f''', '''j''', '''q''', '''v''', '''x''', '''z'''도 사용된다.

타갈로그어 로마자 표기는 "아바카다"라고 불리며, 1987년에 제정되었다. "아바카다"라는 이름은 영어의 ABCD(A, B, C, D)에 해당하는 앞 4글자가 ABKD(A, B, K, D)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표기는 거의 발음대로이지만, ng가 단독 자음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외적으로, 접미사 ng는 nang(/naŋ/), 복수를 나타내는 mga는 manga(/maˈŋa/)로 발음된다. 또한, 스페인어, 영어에서 유래한 고유 명사는 타갈로그어 본래의 철자 발음과 다른 경우가 있다.

억양의 구분이 있지만, 사전 등을 제외하고는 표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so'는 'a'에 억양을 두면 "", 'o'에 억양을 두면 "연기"를 의미한다.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고유 명사의 경우, 스페인어 원어에 억양 기호가 있어도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예: San Jose (←San José), Corazon (←Corazón) Aquino)

타갈로그어에는 알파벳으로 표시되지 않는 자음인 성문 폐쇄음이 있다. 성문 폐쇄음은 단어의 어두, 어중, 어말 모든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어두 모음 앞이나 단어 중간 모음 사이에서는 표시하지 않고,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하이픈(-)으로 표시한다. 어말 모음 뒤에서는 해당 모음 위에 그레이브 악센트(`)를 붙여 나타낸다. 억양이 있는 모음 뒤에서는 억양 기호(´)와 합쳐 서컴플렉스 악센트(^)로 표시한다.[79]

2. 1. 개요



타갈로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중앙 필리핀 제도 언어 중 하나이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기 때문에 말라가시어, 자바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테툼어(티모르), 야미어(타이완)와 같은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와 관련이 있다.[4] 비콜 지방비사야 제도에서 사용되는 언어, 예를 들어 비콜어군과 와라이와라이어, 힐리가이논어, 세부아노어를 포함한 비사야어군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4]

19세기 후반까지는 바이바이인이나 아랍 문자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라틴 문자(로마자)만을 사용한다. 타갈로그어의 로마자는 아바카다라고 불리며, 1987년에 제정되었다. 아바카다라는 이름의 유래는, 영어의 ABCD에 해당하는 선두의 4문자가 ABKD인 것에 의한다. 표기는 거의 발음대로이지만, ng이 단독 자음인 것에 주의해야 한다. 스페인어, 영어에서 유래한 고유 명사는 타갈로그어 본래의 철자 발음과 다른 경우가 있다.

억양의 구별이 있지만, 사전 등을 제외하고는 표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so는 a에 억양을 두면 "", o에 억양을 두면 "연기"를 의미한다.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고유 명사에서 스페인어 원래 철자에 억양 기호가 붙는 경우에도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예: San Jose(←San José), Corazon (←Corazón) Aquino).

타갈로그어에는 알파벳 문자로 표시되지 않는 자음이 하나 있다. 일본어로 "하잇"이라고 할 때의 "ッ" 부분에 해당하는 소리로, 성문 폐쇄음이라고 불린다. 이 성문 폐쇄음은 단어의 어두, 어중, 어말의 모든 위치에 나타나며, 어두에서 모음 앞에, 단어 중간에서 모음과 모음 사이에 나타나는 것은 표시되지 않고, 단어 중간에서 자음과 모음 사이에 나타나는 것은 기호(-)로 표시된다. 어말에서 모음 뒤에 나타나는 것은 해당 모음 위에 (`)를 붙여 나타낸다. 해당 모음 위에 억양이 있는 경우에는 억양 기호 (´)와 조합하여 (^)로 표시된다.[79]

2. 2. 모음

타갈로그어는 '''a''', '''e''', '''i''', '''o''', '''u''' 5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원래 타갈로그어는 /a/, /i/, /u/의 세 가지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었으나, 스페인어에서 /o/와 /e/ 두 개의 주변 음소가 도입되면서 현재는 다섯 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는 것으로 간주된다.

타갈로그어의 5개 모음
전설 모음중앙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u
중모음eo
저모음a


  • a: 영어 "f'''a'''ther"와 비슷한 개방 중앙 무원순 모음. 단어 중간에서는 영국식 발음 "c'''u'''p"와 비슷하거나, 영국식 발음이나 캘리포니아 영어 "h'''a'''t"와 비슷한 소리가 난다.
  • e: 미국 일반 영어 "b'''e'''d"와 비슷한 개방 중설 무원순 모음.
  • i: 영어 "mach'''i'''ne"와 비슷한 고 전설 무원순 모음.
  • o: 미국 일반 영어 "s'''o'''ul"이나 필리핀 영어 "f'''o'''rty"와 비슷한 중 후설 원순 모음.
  • u: 영어 "fl'''u'''te"와 비슷한 고 후설 원순 모음.


타갈로그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거나, 외딴 지역 및 노동 계급의 화자들은 [o ~ u]와 [ɛ ~ i] 쌍을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다.

장모음은 교육용 자료를 제외하고는 따로 적지 않으며, aguda 악센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50]

2. 2. 1. 이중모음

타갈로그어는 5개의 모음과 4개의 이중모음을 가지고 있다.[44][45][46][47][48] 네 개의 이중모음은 ajtl, ujtl, awtl, iwtl이다.

스페인어에서 차용한 단어의 이중 모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약모음 + 강모음의 경우, 그 음절에 강세가 있으면 반모음 자 "w", "y"를 삽입한다. 강세가 없으면 약모음 자 "i", "u"를 "y", "w"로 바꾼다. 발음 또한 타갈로그어의 철자법에 따른다. 따라서 강세가 있는 경우 원어보다 음절이 하나 늘어난다.
  • -itl는 스페인어에서 어중간에는 "-i", 어말에는 "-y"로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타갈로그어에서는 어중간에도 "-y"로 쓰는 경우가 있다.

2. 3. 자음

타갈로그어의 자음은 p, t, k, ' (성문 폐쇄음), b, d, g, m, n, ng, s, h, l, r, w, y의 16개이다. 단, 스페인어, 영어에서 유래한 인명·지명 등의 고유 명사에는 c, f, j, q, v, x, z도 사용되고 있다.[4]

타갈로그 자음 음소[50][51]
colspan="2" |양순음치경음/치아음경구개후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무성음
유성음
마찰음무성음()()
유성음()()
마찰음()
유사음
설측음


  • b
  • c (+i,e ), (+a,o,u )
  • d : dz
  • f (/p/로 대용되는 경우도 있다.)
  • g : "ge" "gi" , 단 스페인어 유래의 고유명사에서는 "ge" "gi" , "gue" "gui"
  • h
  • j (스페인어 유래), (영어 유래)
  • k
  • l
  • m
  • n
  • p
  • q: que , qui (스페인어 유래), qu- (영어 유래)
  • r : 치경 전동음 또는 치경 탄음. 스페인어로부터의 차용어의 경우, 스페인어의 규칙을 따른다.
  • s
  • t : ts
  • v : 영어 유래의 낱말에는 라고도 발음된다.
  • w
  • x 또는 또는
  • y
  • z


성문 폐쇄음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50]

  •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예: '''''a'''so'' (개)
  • 단어에 하이픈 다음에 모음이 오는 경우, 예: ''mag-'''a'''ral'' (공부하다)
  • 단어에 두 개의 모음이 연속으로 오는 경우, 예: ''pa'''a'''no'' (어떻게)
  • 접두사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동사가 오는 경우, 예: ''mag-aayos'' ([수리할])

2. 4. 스페인어 철자의 타갈로그어화

19세기 후반까지는 바이바이인이나 아랍 문자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현재는 라틴 문자(로마자)만을 사용한다.

타갈로그어의 로마자는 아바카다라고 불리며, 1987년에 제정되었다. 아바카다라는 이름의 유래는, 영어의 ABCD에 해당하는 선두의 4문자가 ABKD인 것에 의한다. 표기는 거의 발음대로이지만, ng이 단독 자음인 것에 주의해야 한다. 또, 스페인어, 영어에서 유래한 고유 명사는, 타갈로그어 본래의 철자 발음과 다른 경우가 있다.

억양의 구별이 있지만, 사전 등을 제외하고는 표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so는 a에 억양을 두면 "", o에 억양을 두면 "연기"를 의미한다. 또한,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고유 명사에서 스페인어 원래 철자에 억양 기호가 붙는 경우에도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예: San Jose (←San José), Corazon (←Corazón) Aquino

스페인어 철자가 타갈로그어화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스페인어 철자타갈로그어 철자
ca, co, cuka, ko, ku
jh
que, quike, ki
vb
zs
ñny
llly
chts


2. 5. 억양

타갈로그어는 강세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대조적 특징을 보인다. 주 강세는 단어의 마지막 음절이나 그 앞 음절에 온다. 모음의 길이는 단어 끝에 강세가 오는 경우를 제외하고 주 강세나 부 강세가 있을 때 길어진다.

타갈로그어 단어는 강세 위치나 마지막 성문 폐쇄음 유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공식적이거나 학술적인 환경에서는 강세 위치와 성문 폐쇄음을 마지막 모음 위에 구별 부호(`tuldík`)로 표시한다.[52] 다만,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주 강세가 오는 경우(`malumay`)는 기본적인 강세 유형이므로 사전을 제외하고는 표시하지 않는다.

강세와 최종 성문 폐쇄음에 따른 타갈로그어 동형이의어 비교
일반적인 철자강세가 없는 마지막 이전 음절
(구별 부호 없음)
강세가 있는 마지막 음절
(악센트 ´)
강세가 없는 마지막 음절에 성문 폐쇄음
(그래브 악센트 `)
강세가 있는 마지막 음절에 성문 폐쇄음
(서컴플렉스 악센트 ^)
babababa (아버지)babá (업히다)babà (턱)babâ (내려가다 [명령형])
bakabaka (소)baká (혹시)
batabata (목욕 가운)batá (참다)batà (아이)
bayaranbayaran (지불하다 [명령형])bayarán (임대용)
labi/ labì (입술)/ labî (남은 것)
pitopito (호루라기)pitó (일곱)
salasala (거실)salá (대나무 조각 엮은 것)salà (죄)salâ (거르다)



억양 표시는 사전 등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so'는 'a'에 억양을 두면 "", 'o'에 억양을 두면 "연기"를 뜻한다.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고유 명사의 경우, 스페인어 원어에 억양 기호가 있어도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예: San Jose (←San José), Corazon (←Corazón) Aquino)

타갈로그어에는 알파벳으로 표시되지 않는 자음인 성문 폐쇄음이 있다. 성문 폐쇄음은 단어의 어두, 어중, 어말 모든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어두 모음 앞이나 단어 중간 모음 사이에서는 표시하지 않고,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하이픈(-)으로 표시한다. 어말 모음 뒤에서는 해당 모음 위에 그레이브 악센트(`)를 붙여 나타낸다. 억양이 있는 모음 뒤에서는 억양 기호(´)와 합쳐 서컴플렉스 악센트(^)로 표시한다.[79]

3. 문법

타갈로그어는 동사가 문장 맨 앞에 오는 VSO형 어순을 가진다. 주어, 목적어 등은 '표지'라는 낱말을 동반하여 동사 뒤에 놓인다. 표지에는 화제를 나타내는 'ang', 주어나 목적어를 나타내는 'ng', 장소 등을 나타내는 'sa' 등이 있다. 타갈로그어는 주제 우세 언어에 속한다.

동사에는 초점접사가 붙는데, 이는 'ang'형이 붙은 화제 요소가 주어, 목적어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보여준다. 초점에는 행위자 초점, 목표 초점, 장소 초점 등이 있으며, 행위자 초점을 능동태, 목표 초점을 수동태라고도 한다. 타갈로그어는 행위자 초점보다 목표 초점이 일반적이며, 이를 두고 '수동태가 빈번히 사용된다'고도 한다.

동사는 이 외에도 4개의 문법상으로 변화한다. 단순한 과거나 미래를 나타내는 시제는 없다.


  • '''부정상''': 부정사나 명령으로 사용한다.
  • '''완망상''': 개시되어 완료된 사건을 나타낸다.
  • '''미연상''': 아직 시작되지 않은 사건을 나타낸다.
  • '''미완료상(비완망상)''': 개시되었으나 아직 완료되지 않은 사건을 나타낸다. (예: 습관, 진행 중인 사건)


명사를 수식할 때는 수식어와 피수식어 사이에 계사를 둔다. 계사는 모음 뒤에서는 'ng', 자음 뒤에서는 'na'이다.

3. 1. 표지

타갈로그어에서 주어, 목적어 등의 항은 '표지'라고 불리는 낱말을 앞에 동반하여 동사 뒤에 놓인다. 표지에는 화제를 나타내는 'ang'(한국어의 '은/는'에 해당), 주어나 목적어를 나타내는 'ng'('이/가', '을/를' 등에 해당), 장소 등을 나타내는 'sa'('에' 등에 해당) 등이 있다. 타갈로그어는 주제 우세 언어에 속한다.[79]

표지의 형태는 명사의 종류(일반 명사, 인명)와 수에 따라 달라지며, 대명사는 표지가 붙지 않고 자체적으로 형태가 변화한다.

3. 1. 1. 표지의 변화

주어목적어 등의 항은 표지(마커)라고 불리는 낱말을 앞에 동반해서 동사의 뒤에 놓인다. 표지에는 화제를 보이는 '''ang'''(한국어의 "은/는"에 해당), 주(격)어나 목적어를 나타내는 '''ng'''("이/가", "을/를" 등에 해당), 장소 등을 나타내는 '''sa'''("에" 등에 해당)가 있다. ng은 nang라고 발음한다. 문장에는 화제를 보이는 ang이 포함되는 것이 보통이며, 타갈로그어는 주제 우세 언어에 포함된다.[79]

이 표지들의 모양은 일반명사인지 인명인지에 따라, 그리고 수에 따라 변화한다. 대명사에는 표지가 붙지 않고, 표지의 구별에 따라 대명사 자체의 모양이 변화한다. 변화는 다음과 같다. 복수를 나타내는 mga는 manga라고 발음한다.[79]

표지의 변화
ang형ng형sa형
일반명사(단수) 앞angngsa
일반명사(복수) 앞ang mgang mgasa mga
인명(단수) 앞sinikay
인명(복수) 앞sinaninakina


3. 1. 2. 인칭대명사

(문두에서는 ikaw)mo(sa) iyo3인칭 단수siyaniya(sa) kaniya1인칭 복수
제외형(듣는 사람을 포함하지 않는다)kaminamin(sa) amin1인칭 복수
포함형(듣는 사람을 포함한다)tayonatin(sa) atin2인칭 복수kayoninyo(sa) inyo3인칭 복수silanila(sa) kanila



2인칭 복수는 1명에 대한 경칭으로서 손윗사람이나 노인에 대해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3. 1. 3. 지시대명사

지시대명사
ang형ng형sa형
근칭(이것에 해당)itonitodito
중칭(그것에 해당)iyanniyandiyan
원칭(저것에 해당)iyonniyon/noondoon


3. 2. 초점

동사에는 초점접사라고 불리는 요소가 붙는다. 이것은 ang형이 붙은 화제의 요소가 주어, 목적어 등 어느 것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보이는 활용이다. ng형이 붙은 요소의 역할도 이것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정해진다. 초점에는 행위자초점, 목표초점, 장소초점 등이 있다. 행위자초점을 능동태, 목표초점을 수동태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79]

초점
행위자초점mag-; -um-; ma-
목표초점-in; -an; i-
장소초점-an; pag- -an
은혜초점i-; ipag-
도구초점ipang-



'''ang형'''이 화제 표지라면, 목표 초점은 한국어의 “저 케익'''은''' 철수가 먹었다”같은 말투에 해당한다. 또한, '''ang형'''을 화제 표지가 아니고 격 표지로 간주하는 관점도 존재한다. 타갈로그어에서는 행위자 초점보다도 목표 초점쪽이 일반적인 표현법으로, 이 점에서 “수동태가 빈번히 사용된다”라고 해왔다. 그런데 '''ang형'''을 격 표지라고 보면, 이것을 절대격으로 보며, 또 '''ng형'''을 능격으로 보고, 타갈로그어를 능격언어로 간주하는 경우가 가능하다.[79]

3. 3. 시제와 상

동사는 4개의 문법상으로 변화한다. 단순하게 과거나 미래를 나타내는 시제는 없다.

3. 4. 계사

명사수식에는 계사라고 불리는 요소를 수식어와 피수식어 사이에 두는 것으로 보인다(어느 곳을 오른쪽으로, 어느 곳을 왼쪽으로 둘지는 꼭 일정하다고는 할 수 없다). 계사는 모음 뒤에서는 ng, 자음 뒤에서는 na이다.[79]

영어에서는 기본적인 문장이 주어와 술어로 구성되지만, 타갈로그어는 주제와 서술로 이루어진다. 주제는 화자와 청자에게 있어서 화제가 되는 것으로, 명사 또는 명사구, 또는 형용사이다. 서술은 주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동사, 형용사, 전치사구 등이다. 타갈로그어의 기본 문장은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79]
: Mataba ang nanay ko. (내 어머니는 뚱뚱하다.)
: Ang mga bata ay natutulog. (아이들이 자고 있다.)
: Masarap ang mangga. (망고가 맛있다.)

4. 어휘

타갈로그어 어휘는 고유의 것 외에도 역사적인 이유로 스페인어와 최근에는 영어에서 온 외래어가 많다. 보통 타갈로그어식으로 철자를 바꾸고, 발음도 원래 언어와 다소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다만, 스페인어나 영어에서 유래된 지명이나 인명은 스페인어나 영어 본래의 철자를 사용한다. 이 외에도, 민어, 말레이어, 아랍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54]

타갈로그어는 오늘날 다른 필리핀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쓰인다. 1521년 스페인이 필리핀에 도착하고 1565년 식민지화가 시작되기 전에는 바이바인이라는 문자로 쓰였다. 이 문자 체계는 스페인이 도입한 라틴 문자의 사용과 보급으로 점차 사라졌다.

19세기 후반, 많은 필리핀 지식인들이 타갈로그어에 사용되던 문자 체계 개정을 제안했다. 1884년 필리핀 의사이자 언어학자인 트리니다드 파르도 데 타베라는 고대 타갈로그 문자에 대한 연구를 출판했고, 1887년에는 자신이 개발한 새로운 문자 체계를 사용한 에세이를 출판했다. 호세 리살도 파르도 데 타베라에게 영감을 받아 새로운 문자 체계를 개발하기 시작했다.[53] 이들이 제안한 철자법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는 음소 를 나타내는 데 ⟨c⟩와 ⟨q⟩ 대신 ⟨k⟩를 사용한 것이다.

1889년, 이사벨로 데 로스 레이스가 편집장으로 있던 새로운 스페인어-타갈로그어 이중 언어 신문 ''La España Oriental''은 새로운 철자법을 사용하여 출판을 시작했다. 이 새로운 철자법은 지지자도 있었지만, 처음에는 여러 작가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Revista Católica de Filipina''는 새로운 철자법과 그 지지자들을 공격하는 기사를 싣기도 했다. "k"와 "w" 문자의 사용이 독일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간주되어 비애국적인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1890년, 교사인 페드로 라크타우는 새로운 철자법을 사용한 최초의 스페인어-타갈로그어 사전을 출판했다.[53]

1890년 4월, 호세 리살은 La Solidaridad에 ''Sobre la Nueva Ortografia de la Lengua Tagalog''라는 기사를 작성하여 새로운 문자 체계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철자법의 단순성을 다루었다. 리살은 파르도 데 타베라가 제안한 철자법이 자신이 개발한 것보다 "더 완벽하다"고 평가했다.[54] 그러나 새로운 철자법은 처음에는 널리 채택되지 않았고, 20세기 초까지 마닐라의 이중 언어 정기 간행물에서 일관되지 않게 사용되었다. 혁명 단체인 카티푸난은 k 철자법을 사용했으며, k 문자는 그들의 깃발과 휘장에 자주 등장했다.[53]

1937년, 타갈로그어는 필리핀 국어의 기초로 선정되었다. 1940년, 문법학자 로페 K. 산토스는 아바카다 알파벳을 도입했다. 이 알파벳은 20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국어의 표준 알파벳이 되었다. 타갈로그어에 사용된 철자법은 다른 필리핀 언어에 사용되는 문자 체계에도 영향을 주었다. 1987년, 아바카다는 폐지되고 확장된 필리핀 알파벳으로 대체되었다.

소유격 조사 ''ng''와 복수 접미사 ''mga''는 ''nang'' 과 ''mangá'' 로 발음되는 축약형이다. ''Ng''는 대부분 "의"로 번역된다. 반면 ''nang''은 보통 "때"를 의미하거나 어떤 일이 어떻게 행해졌는지 또는 어느 정도인지를 설명할 수 있다.



타갈로그어 어휘는 대부분 고유한 오스트로네시아어 또는 타갈로그어 어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iw로 끝나는 대부분의 단어나 중복을 보이는 단어가 그렇다. 타갈로그어는 또한 많은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식민지 시대 이전에는 무역 말레이어가 동남아시아 해양 국가들 전역에서 널리 알려지고 사용되었으며, 타갈로그어에 상당수의 말레이어 어휘를 제공했다.

타갈로그어에는 인도 언어(주로 산스크리트어타밀어), 중국어(주로 복건어, 광둥어, 표준 중국어), 일본어, 아랍어페르시아어에서 온 차용어도 포함되어 있다.

영어는 타갈로그어에서 일부 단어를 차용했다.

영어에서 사용되는 타갈로그어 단어
예시정의
빈민가(boondocks)"시골" 또는 "오지"를 의미하며, 필리핀-미국 전쟁 당시 필리핀에 주둔한 미국 병사들을 통해 "산"을 의미하는 타갈로그어 bundok에서 유래
코곤(cogon)지붕을 이는 데 사용되는 한 종류의 풀, 타갈로그어 kugon에서 유래
일랑일랑(ylang-ylang)향기로운 꽃이 향수에 사용되는 나무
아바카(abacá)바나나과 식물에서 만들어지는 한 종류의 삼 섬유, 타갈로그어 abaká에서 유래
마닐라 삼(Manila hemp)아바카 삼으로 만든, 파일과 종이에 사용되는 연한 갈색 판지 재료, 필리핀의 수도인 마닐라에서 유래
카피스(capiz)창문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창틀 조개"



타갈로그어는 필리핀 스페인어에 여러 단어를 제공했다.

타갈로그어 단어의미관련어가 있는 언어철자
bakit팜팡가obakit
akyát오르다팜팡가ukyát/mukyát
bundók팜팡가bunduk
at그리고팜팡가, 팡가시난at, tan
aso팜팡가, 마구인다나오, 팡가시난, 일로카노, 마라나오asu, aso
huwág하지 마라팡가시난ag
tayo우리(포함)팡가시난, 일로카노, 팜팡가, 타우스그, 마구인다나오, 마라나오, 이바탄, 이바나그, 요가드, 가당, 트볼리sikatayo, datayo, ikatam, kitaniyu, tanu, tano, yaten, sittam, sikitam, ikkanetam, tekuy
itó, nitó이것, 그것의일로카노, 비콜to, iyó/ini
ng~의세부아노, 힐리가이논, 와라이, 팜팡가, 팡가시난, 비콜, 일로카노sa/og, sang/sing, han/hin/san/sin, ning, na, kan/nin, a
araw태양; 날비사야, 팜팡가, 팡가시난, 비콜(중앙/동미라야)과 일로카노, 린코나다 비콜, 이바탄, 이바나그, 요가드, 가당, 트볼리adlaw, aldo, agew, aldaw, aldəw, araw, aggaw, agaw, aw, kdaw
ang정관사비사야(와라이어 제외), 비콜와라이ang, an


5. 기본 표현

타갈로그어의 기본적인 표현은 다음과 같다. 윗사람이나 연장자에게는 문장 끝에 "po"를 붙여 존경을 표하며, 이때 2인칭은 복수형을 사용한다.

Pô/hôtl는 "Panginoontl"과 "Poontl"("주님")에서 유래했다. 기본적인 긍정 표현 Ootl "예"(원시말레이폴리네시아어 *heqe에서 유래)와 결합하면 opòtl와 ohòtl가 된다.

"Pôtl"와 "opòtl"는 부모, 친척, 선생님, 가족 친구와 같이 친밀한 관계의 연장자에게 높은 존경을 표현할 때 특히 사용된다. "Hôtl"와 "ohòtl"는 일반적으로 나이 많은 이웃, 낯선 사람, 공무원, 상사, 유모에게 정중하게 말을 걸 때 사용되며, 상대방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결정되는 사회적 관계와 존경심에서 거리를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존경심을 높이기 위해 "pôtl"와 "opòtl"를 어떤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긍정문에서 사용되는 예:

Pô/Hôtl는 부정문에도 사용될 수 있다.

'타글리시'(Taglish)와 '엥글로그(Englog)'는 영어와 타갈로그어가 섞인 말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영어 대 타갈로그어의 비율은 영어 외래어를 가끔 사용하는 정도에서 문장 중간에 언어를 바꾸는 경우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코드 전환은 필리핀 전역과 타갈로그어 이외의 다양한 필리핀 언어에서 흔히 볼 수 있다.[65]

코드 섞어 쓰기에는 동사 활용과 같이 필리핀어 규칙을 사용하여 외래어를 필리핀어화하는 것도 포함된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먼저 떠오르는 단어나 사용하기 더 쉬운 필리핀어 또는 영어 단어를 사용한다.

도시 거주자들이 이런 식으로 말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이러한 관행은 텔레비전, 라디오 및 인쇄 매체에서도 일반적이다.[65] 웰스파고, 월마트, 알버트슨, 맥도날드, 웨스턴유니온과 같은 회사의 광고에도 타글리시가 포함되어 있다.

타갈로그어로 된 주기도문은 그 시작구절인 ''Amá Namin''(직역하면 "우리 아버지")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세계인권선언(Pangkalhatang Pagpapahayag ng Karapatang Pantao) 제1조이다.

; 타갈로그어(라틴 문자)

Bawat tao'y isinilang na may layà at magkakapantáy ang tagláy na dangál at karapatán. Silá'y pinagkalooban ng pangangatwiran at budhî, na kailangang gamitin nilá sa pagtuturingan nilá sa diwà ng pagkakapatiran.tl

; 타갈로그어(바이바이인 문자)

; 영어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에 있어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74]

타갈로그어의 월과 요일은 스페인어의 월과 요일에서 유래한 지역화된 형태이다. 타갈로그어에서 "달"은 ''buwán''(또한 )이고 "날"은 ''araw''(이 단어는 태양을 의미하기도 함)이다. 그러나 스페인어와 달리 타갈로그어의 월과 요일은 항상 대문자로 표기된다.

원래 스페인어타갈로그어 (약어)
1월eneroEnero (Ene.)
2월febreroPebrero (Peb.)
3월marzoMarso (Mar.)
4월abrilAbríl (Abr.)
5월mayoMayo (Mayo)
6월junioHunyo (Hun.)
7월julioHulyo (Hul.)
8월agostoAgosto (Ago.)
9월septiembreSetyembre (Set.)
10월octubreOktubre (Okt.)
11월noviembreNobyembre (Nob.)
12월diciembreDisyembre (Dis.)



요일원래 스페인어타갈로그어
일요일domingoLinggó
월요일lunesLunes
화요일martesMartes
수요일miércolesMiyérkules / Myérkules
목요일juevesHuwebes / Hwebes
금요일viernesBiyernes / Byernes
토요일sábadoSábado



시간영어원래 스페인어타갈로그어
1시간one houruna horaIsáng oras
2분two minutesdos minutosDalawáng sandalî/minuto
3초three secondstres segundosTatlóng saglít/segundo
scope="row" |morningmañanaUmaga
scope="row" |afternoontardeHápon
scope="row" |evening/nightnocheGabí
scope="row" |noonmediodíaTanghalì
scope="row" |midnightmedianocheHatinggabí
새벽 1시one in the morninguna de la mañanaIka-isá ng umaga
저녁 7시seven at nightsiete de la nocheIkapitó ng gabí
1시 15분quarter past one
one-fifteen
una y cuartoKapat makalipas ika-isá
Labínlimá makalipas ika-isá
Apatnapú't-limá bago mag-ikalawá
Tatlong-kapat bago mag-ikalawá
2시 30분half past two
two-thirty
half-way to/of three
dos y mediaKalahatì makalipas ikalawá
Tatlumpû makalipas ikalawá
Tatlumpû bago mag-ikatló
Kalahatì bago mag-ikatló
3시 45분three-forty-five
quarter to/of four
tres y cuarenta y cinco
cuatro menos cuarto
Tatlóng-kapat makalipas ikatló
Apatnapú't-limá makalipas ikatló
Labínlimá bago mag-ikaapat
Kapat bago mag-ikaapat
4시 25분four-twenty-five
twenty-five past four
cuatro y veinticincoDalawampút-limá makalipas ikaapat
Tatlumpú
t-limá bago mag-ikaapat
5시 35분five-thirty-five
twenty-five to/of six
cinco y treinta y cinco
seis menos veinticinco
Tatlumpút-limá makalipas ikalimá
Dalawampú
t-limá bago mag-ikaanim



영어타갈로그어 (발음 포함)
필리피노어Pilipinotl
영어Ingléstl
타갈로그어Tagálogtl
스페인어Espanyoltl/Españoltl/Kastilatl
똑똑Táo pôtl
제발동사의 성격에 따라 접두사로 pakí-tl 또는 makí-tl가 동사에 붙는다. Ngâtl는 정중함을 더하기 위해 동사 뒤에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 Pakipasa ngâ ang tinapay.tl ("빵 좀 건네주시겠어요?"))
이것Itótl
저것 (듣는 사람 가까이)Iyántl
저것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모두에게서 멀리)Iyóntl
여기Ditotl
바로 저기Diyántl
저쪽Doóntl
얼마입니까?Magkano?tl
몇 개입니까?Ilán?tl
모르겠습니다Hindî ko alámtl
왜냐하면Kasítl 또는 dahiltl
서둘러!Dalî!tl, Bilís!tl
다시Mulîtl, ulíttl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Hindî ko naíintindihántl 또는
뭐라고요?Anó?tl
어디?Saán?tl, Nasaán?tl (문자 그대로 – "어디에?")
왜?Bakit?tl
언제?Kailán?tl (문자 그대로—"어떤 순서로? "/"몇 번째로?")
어떻게?Paánó?tl (문자 그대로—"무엇으로?")
화장실이 어디입니까?Nasaán ang banyo?tl
일반적인 건배Mabuhay!tl (문자 그대로—"만세")
사는 것이 즐겁습니다.Masayá ang mabuhay!tl 또는 Masaya'ng mabuhaytl (축약형)



숫자영어스페인어서수/분수/기수
1stfirstprimer, primero, primerauna / ikaisá
2ndsecondsegundo/aikalawá
3rdthirdtercero/aikatló
4thfourthcuarto/aikaapat
5thfifthquinto/aikalimá
6thsixthsexto/aikaanim
7thseventhséptimo/aikapitó
8theighthoctavo/aikawaló
9thninthnoveno/aikasiyám
10thtenthdécimo/aikasampû
scope="row" |halfmedio/a, mitadkalahatì
scope="row" |one quartercuartokapat
scope="row" |three fifthstres quintas partestatlóng-kalimá
scope="row" |two thirdsdos terciosdalawáng-katló
scope="row" |one and a halfuno y medioisá't kalahatì
scope="row" |two and two thirdsdos y dos terciosdalawá't dalawáng-katló
0.5zero point fivecero punto cinco, cero coma cinco, cero con cincosalapî / limá hinatì sa sampû
0.05zero point zero fivecero punto cero cinco, cero coma cero cinco, cero con cero cincobagól / limá hinatì sa sandaán
0.005zero point zero zero fivecero punto cero cero cinco, cero coma cero cero cinco, cero con cero cero cincolimá hinatì sa sanlibo
1.25one point two fiveuno punto veinticinco, uno coma veinticinco, uno con veinticincoisát dalawampút limá hinatì sa sampû
2.025two point zero two fivedos punto cero veinticinco, dos coma cero veinticinco, dos con cero veinticincodalawát dalawampút limá hinatì sa sanlibo
25%twenty-five percentveinticinco por cientodalawampú't-limáng bahagdán
50%fifty percentcincuenta por cientolimampúng bahagdán
75%seventy-five percentsetenta y cinco por cientopitumpú't-limáng bahagdán


5. 1. 인사 표현

Pô/hôtl는 윗사람이나 연상인 사람과의 대화에서 문장 마지막에 붙여 존경을 표현한다. Pô/hôtl를 사용한 경어 표현에서는 상대가 1명이라도 반드시 2인칭 복수형을 사용한다.[81]

영어타갈로그어 (발음 포함)
이름이 무엇입니까?Anó ang pangálan ninyó/nilá*?tl (복수 또는 정중한 표현) , Anó ang pangálan mo?tl (단수)
어떻게 지내세요?Kumustátl (현대어), Anó pô ang lagáy ninyó/nilá?tl (구어체)
좋은 하루 되세요!Magandáng araw!tl
좋은 아침입니다!Magandáng umaga!tl
좋은 점심시간입니다!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까지)Magandáng tanghali!tl
좋은 오후입니다! (오후 1시부터 오후 6시까지)Magandáng hapon!tl
좋은 저녁입니다!Magandáng gabí!tl
안녕Paálamtl
감사합니다Salamattl
Ootl
아니요Hindîtl (멈춤이나 문장 끝에), 종종 dîtl 로 축약됨
죄송합니다Pasénsiya pôtl (문자 그대로 "인내"라는 단어에서 유래) 또는 paumanhín pôtl , patawad pôtl (문자 그대로—"용서를 구합니다")
영어를 하십니까?Marunong ka bang magsalitâ ng Inglés?tl



*niyótl (2인칭 복수)와 nilátl (3인칭 복수)와 같은 대명사는 공손하거나 정중한 언어에서 단수 2인칭에 사용됩니다. 타갈로그어 문법 참조.

5. 2. 수사

타갈로그어의 숫자(''mga bilang''/''mga numero'')는 고유어와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단어, 두 가지 체계를 따른다. 예를 들어, "7"은 타갈로그어로 "''pitó''" 또는 "''siyete''" (sietees)로 표현할 수 있다.[82]

숫자기수스페인어 유래
(원래 스페인어)
서수
0sero / walâ (문자 그대로 "무")sero (ceroes)
1isáuno (unoes)una
2dalawádos (doses)pangalawá / ikalawá
3tatlótres (treses)pangatló / ikatló
4apatkuwatro (cuatroes)pang-apat / ikaapat
5limásingko (cincoes)panlimá / ikalimá
6animseis (seises)pang-anim / ikaanim
7pitósiyete (sietees)pampitó / ikapitó
8walóotso (ochoes)pangwaló / ikawaló
9siyámnuwebe (nuevees)pansiyám / ikasiyám
10sampû / pû (고어)diyés (diezes)pansampû / ikasampû
11labíng-isáonse (oncees)panlabíng-isá / pang-onse / ikalabíng-isá
12labíndalawádose (docees)panlabíndalawá / pandose / ikalabíndalawá
13labíntatlótrese (trecees)panlabíntatló / pantrese / ikalabíntatló
14labíng-apatkatorse (catorcees)panlabíng-apat / pangkatorse / ikalabíng-apat
15labínlimákinse (quincees)panlabínlimá / pangkinse / ikalabínlimá
16labíng-animdisisais (dieciséises)panlabíng-anim / pandyes-sais / ikalabíng-anim
17labímpitódisisiyete (diecisietees)panlabímpitó / pandyes-syete / ikalabímpitó
18labíngwalódisiotso (dieciochoes)panlabíngwaló / pandyes-otso / ikalabíngwaló
19labinsiyámdisinuwebe (diecinuevees)panlabinsiyám / pandyes-nwebe / ikalabinsiyám
20dalawampûbeynte (veintees)pandalawampû / ikadalawampû
21dalawampú't isábeynte y uno / beynte'y uno (veintiunoes)pang-dalawampút isá / ikalawamapút isá
30tatlumpûtreynta (treintaes)pantatlumpû / ikatatlumpû
40apatnapûkuwarenta (cuarentaes)pang-apatnapû / ikaapatnapû
50limampûsingkuwenta (cincuentaes)panlimampû / ikalimampû
60animnapûsesenta (sesentaes)pang-animnapû / ikaanimnapû
70pitumpûsetenta (setentaes)pampitumpû / ikapitumpû
80walumpûotsenta (ochentaes)pangwalumpû / ikawalumpû
90siyamnapûnobenta (noventaes)pansiyamnapû / ikasiyamnapû
100sándaán / daánsiyen (cienes)pan(g)-(i)sándaán / ikasándaán
200dalawandaándosyentos (doscientoses)pandalawándaán / ikadalawandaan
300tatlóndaántresyentos (trescientoses)pantatlóndaán / ikatatlondaan
400apat na raánkuwatrosyentos (cuatrocientoses)pang-apat na raán / ikaapat na raán
500limándaánkinyentos (quinientoses)panlimándaán / ikalimándaán
600anim na raánseissiyentos (seiscientoses)pang-anim na raán / ikaanim na raán
700pitondaánsetesyentos (setecientoses)pampitóndaán / ikapitóndaán
800walóndaánotsosyentos (ochocientoses)pangwalóndaán / ikawalóndaán
900siyám na raánnobesyentos (novecientoses)pansiyám na raán / ikasiyám na raán
1,000sánlibo / libomil / uno mil (miles)pan(g)-(i)sánlibo / ikasánlibo
2,000dalawánlibodos mil (dos miles)pangalawáng libo / ikalawánlibo
10,000sánlaksâ / sampúng libodiyes mil (diez miles)pansampúng libo / ikasampúng libo
20,000dalawanlaksâ / dalawampúng libobeynte mil (veinte miles)pangalawampúng libo / ikalawampúng libo
100,000sangyutá / sandaáng libosiyento mil (cien miles)
200,000dalawangyutá / dalawandaáng libodosyentos mil (doscientos miles)
1,000,000sang-angaw / sangmilyónmilyón (un millónes)
2,000,000dalawang-angaw / dalawang milyóndos milyónes (dos milloneses)
10,000,000sangkatì / sampung milyóndiyes milyónes (diez milloneses)
100,000,000sambahalà / sampúngkatì / sandaáng milyónsiyen milyónes (cien milloneses)
1,000,000,000sanggatós / sang-atós / sambilyónbilyón / mil milyón (mil milloneses)
1,000,000,000,000sang-ipaw / santrilyóntrilyón / bilyón (un billónes)


5. 2. 1. 시각 표현 (12시간제)

타갈로그어의 시간 표현은 스페인어에서 차용한 단어를 사용한다.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83][84][85]

6. 분류

타갈로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중앙 필리핀 제도 언어 중 하나이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기 때문에 말라가시어, 자바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테툼어(티모르), 야미어(타이완)와 같은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와 관련이 있다.[4] 비콜 지방비사야 제도에서 사용되는 언어, 예를 들어 비콜어군과 와라이와라이어, 힐리가이논어, 세부아노어를 포함한 비사야어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4]

타갈로그어는 원시 필리핀어의 중설 비원순 모음 ə의 처리 방식에서 중앙 필리핀 제도 언어의 다른 언어들과 다르다. 대부분의 비콜어와 비사야어에서는 이 소리가 /u/와 /o/로 합쳐졌지만, 타갈로그어에서는 /i/로 합쳐졌다. 예를 들어, 원시 필리핀어 *dəkət(붙이다, 달라붙다)은 타갈로그어로는 ''dikít''이고, 비사야어와 비콜어로는 ''dukót''이다.

원시 필리핀어 *r, *j, *z는 /d/로 합쳐졌지만, 모음 사이에서는 /l/이 된다. 원시 필리핀어 *ŋajan(이름)과 *hajək(키스)은 타갈로그어로 ''ngalan''과 ''halík''이 되었다. 그러나 접사 바로 옆에서는 /r/이 된다: ''bayád''(지불하다) → ''bayaran''(지불하다).

원시 필리핀어 *R은 /ɡ/로 합쳐졌다. *tubiR(물)과 *zuRuʔ(피)는 타갈로그어로 ''tubig''과 ''dugô''가 되었다.

7. 역사

타갈로그어의 원래 문자인 바이바인의 기본 자음과 모음


'타갈로그어'라는 단어는 "강가에 사는 사람"을 뜻하는 'taga-ilog'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tagá-'("~의 출신" 또는 "~에서 온")와 'ilog'("강")로 구성되어 있다. 혹은 'alog'("저지대의 물웅덩이")에서 유래한 'taga-alog'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 언어학자 데이비드 조크와 로버트 블러스트는 타갈로그인과 다른 중부 필리핀 민족언어 집단이 북동부 민다나오 또는 동비사야스에서 유래했다고 추측한다.[5][6]

10세기의 라구나 동판 비문에서 구타갈로그어 기원의 단어들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대부분 구말레이어로 쓰여져 있다.[7] 타갈로그어로 쓰인 최초의 완전한 책은 1593년에 인쇄된 ''도크트리나 크리스티아나''(그리스도교 교리)이다. ''도크트리나''는 스페인어와 두 가지 타갈로그어 표기법(당시 사용되던 바이바인 문자와 라틴식 철자법)으로 쓰여졌다.

1794년판 ''Vocabulario de la lengua tagala''


333년간의 스페인 통치 기간 동안 스페인 성직자들에 의해 다양한 문법과 사전이 쓰여졌다. 1610년, 도미니크 수도회 사제 프란시스코 블랑카스 데 산 호세는 ''Arte y reglas de la lengua tagala''를 출판했다. 1613년, 프란체스코 수도회 사제 페드로 데 산 부에나벤투라는 최초의 타갈로그어 사전인 ''Vocabulario de la lengua tagala''를 출판했다.

18세기 초 체코 예수회 선교사 파블로 클라인은 타갈로그어 사전을 준비하여 프란시스코 얀센스와 호세 에르난데스에게 넘겼다.[8] 이 사전은 후에 P. 후안 데 노세다와 P. 페드로 데 산루카르에 의해 ''Vocabulario de la lengua tagala''로 출판(1754년)되었고, 여러 번 재편집되었다.[9] (최신판은 2013년 출판)[10] 그 외에도 ''Arte de la lengua tagala y manual tagalog para la administración de los Santos Sacramentos''(1850)와 초기 연구[11] 등이 있다.

프란시스코 발라가타스(1788~1862)는 타갈로그어 작가 중 가장 중요한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대표작은 19세기 서사시 ''플로란테 아트 라우라''이다.[12]

타갈로그어는 오늘날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여 쓰여진다. 1521년 스페인의 도착과 1565년 식민지화 이전에는 바이바인으로 쓰였다. 스페인은 스페인어 철자법을 따르는 문자 체계를 도입했고, 이는 수년에 걸쳐 개선되었다. 20세기 전반까지 대부분의 필리핀 언어는 스페인 철자법에 기반하여 널리 쓰였다.

19세기 후반, 트리니다드 파르도 데 타베라는 고대 타갈로그 문자를 연구하고(1884), 새로운 문자 체계를 사용한 에세이를 출판했다(1887). 호세 리살도 새로운 철자 체계를 개발했다.[54] 이들은 음소 /k/를 나타내는 데 ⟨c⟩와 ⟨q⟩ 대신 ⟨k⟩를 사용하는 변화를 주었다.

1889년, 이사벨로 데 로스 레이스의 이중 언어 신문 ''La España Oriental''은 새로운 철자법을 사용했다. 초기에는 여러 작가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나, 카티푸난은 k 철자법을 사용했다.[53] 1890년 4월, 호세 리살은 La Solidaridad에 ''Sobre la Nueva Ortografia de la Lengua Tagalog''라는 기사를 작성했다.[53]

1937년, 타갈로그어는 국가 국어의 기초로 선정되었다. 1940년, 로페 K. 산토스의 ''Balarilâ ng Wikang Pambansâ''는 아바카다 알파벳을 도입했다(20개 문자).[55] 1987년, 아바카다는 확장된 필리핀 알파벳으로 대체되었다.

타갈로그어로 된 십계명


종교 문헌은 타갈로그 문학에서 가장 역동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타갈로그어 성경은 ''Ang Biblia''[66](1905년, 현재는 ''Ang Dating Biblia''[67])이다. 1970년에는 성경을 현대 타갈로그어로 번역했다. 현재 최소 네 가지 타갈로그어 성경 번역본이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필리핀 가톨릭 주교회의는 로마 미사 경본을 타갈로그어로 번역했다(1982년).[68][69] 2024년 말롤로스 로마 가톨릭 교구는 "Ang Aklat ng Mabuting Balita"라는 타갈로그어 번역 로마 미사 경본을 사용한다.[70]

여호와의 증인은 1941년부터 타갈로그어 문헌을 인쇄해 왔으며,[71] ''파수대''는 1950년대부터 타갈로그어로 출판되었다. ''신세계역 성경''은 2019년에 타갈로그어로 출시되었다.[73]

과거에는 알리바타나 아랍 문자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주로 라틴 문자(로마자)를 사용한다. 모음은 a, e, i, o, u 5개, 자음은 p, t, k, ' (성문 폐쇄음), b, d, g, m, n, ng, s, h, l, r, w, y 16개이다. 스페인어, 영어에서 유래한 고유 명사에는 c, f, j, q, v, x, z도 사용된다. 타갈로그어 로마자 표기 "아바카다"는 1987년에 제정되었다. 표기는 거의 발음대로이지만, ng는 단독 자음이다. 접미사 ng는 nang/naŋ/, 복수 mga는 manga/maˈŋa/로 발음된다.

억양 구분이 있지만, 사전 등을 제외하고는 표기되지 않는다. aso는 a에 억양을 두면 "", o에 억양을 두면 "연기"를 의미한다. 타갈로그어에는 성문 폐쇄음이 있으며, 어말에서 모음 뒤에 나타나는 것은 해당 모음 위에 (`)를 붙여 나타낸다. 해당 모음 위에 억양이 있는 경우에는 (^)로 표시된다.[79]

7. 1. 공용어 지위

1882년에 창간된 필리핀 최초의 이중언어 신문인 Diariong Tagalog(타갈로그 신문)은 타갈로그어와 스페인어로 작성되었다.


타갈로그어는 1897년 필리핀 최초의 혁명 헌법인 비악나바토 헌법에 의해 공용어로 선포되었다.[13]

1935년 필리핀 헌법은 영어스페인어를 공용어로 지정했지만, 기존의 토착 언어 중 하나를 기반으로 공통 국가어를 개발하고 채택할 것을 의무화했다.[14] 연구와 심의 끝에 필리핀의 여러 지역을 대표하는 7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국어원(National Language Institute)은 필리핀 국가어의 발전과 채택을 위한 기초로 타갈로그어를 선택했다.[15][16] 그 후 마누엘 케손 대통령은 1937년 12월 30일 필리핀 국가어의 발전과 채택을 위한 기초로 타갈로그어를 사용할 것을 선포했다.[15] 1939년 케손 대통령은 제안된 타갈로그어 기반 국가어의 이름을 ''Wikang Pambansâ''(국가어)로 개명했다.[16] 케손 대통령 자신도 타갈로그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지역인 아우로라주 발레르에서 태어나 자랐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괴뢰 정부 하에서 타갈로그어는 국가어로서 강력히 장려되었고, 1943년 헌법에서는 "정부는 타갈로그어를 국가어로 개발하고 보급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1959년, 이 언어는 "필리피노어(Pilipino)"로 개명되었다.[16] 국가어는 영어와 함께 1973년 헌법( "필리피노어"로)[17] 그리고 현재의 1987년 헌법(필리핀어로)에 따라 공용어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7. 2. 논란

1937년 타갈로그어를 국어의 기초로 채택한 것은 논란이 있었다. 1939년 국어는 타갈로그어를 명시하는 대신 '위캉 팜반사'(Wikang Pambansâ, 국어)로 지정되었다.[15][18] 20년 후인 1959년 당시 교육부 장관 호세 에. 로메로(José E. Romero)는 민족적이라기보다는 국가적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필리피노어'(Pilipino)로 개명했다. 그러나 이름을 바꾼다고 해서 비타갈로그어 사용자들, 특히 타갈로그어 채택을 받아들이지 않은 세부아노인들의 수용을 가져온 것은 아니었다.[16]

국어 문제는 1971년 헌법 개정 회의에서 다시 한번 제기되었다. 대의원 대다수는 "국어"라는 개념 자체를 폐기하는 것에 찬성하기도 했다.[19] 타협안으로 "보편적" 접근 방식을 취한 국어, 즉 '필리피노어'가 아닌 '필리피노어'로 불리게 되었다. 1973년 헌법에는 타갈로그어에 대한 언급이 없다. 1987년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었을 때 필리피노어를 국어로 명명했다.[16] 헌법은 필리피노어가 발전함에 따라 기존의 필리핀 언어 및 기타 언어를 기반으로 더욱 발전되고 풍부해질 것이라고 명시했다.

필리핀의 많은 노년층은 대중 매체에서 영어를 타갈로그어로 대체한 것이 필리핀의 무역 및 해외송금 경쟁력에 심각한 경제적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20]

7. 3. 교육에서의 사용

1940년 4월 12일, 제263호 행정명령에 따라 전국의 모든 공립 및 사립학교에서 국어(타갈로그어 기반) 교육이 실시되었다.[21]

1987년 필리핀 헌법 제14조 제6항은 "법률의 규정에 따라 그리고 의회가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바에 따라 정부는 필리핀어를 공식적인 의사소통 수단 및 교육 체계의 교육 언어로 사용하는 것을 시작하고 유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22] 제7항에서는 지역 언어를 각 지역의 보조 공식 언어이자 보조 교육 언어로 사용하도록 규정한다.[22]

2009년, 필리핀 교육부는 모국어 기반 다중 언어 교육("MLE") 체계를 제도화하는 명령을 발표했다. 이 체계에서는 학생의 모국어(다양한 필리핀 지역 언어 중 하나)를 3학년까지 주된 교육 언어로 사용하고, 필리피노어와 영어와 같은 추가 언어는 2학년 이후 별도 과목으로 도입한다.[23] 중학교에서는 필리피노어와 영어가 주된 교육 언어가 되고, 학습자의 모국어는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23] 선정된 학교에서 시범 운영 후, MLE 프로그램은 2012-2013학년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24][25]

타갈로그어는 필리핀 인구의 4분의 1(특히 중부 및 남부 루손 지역)의 제1언어이며, 대다수에게는 제2언어이다.[26]

8. 지리적 분포

타갈로그어는 필리핀 루손 섬 중부와 남부 지역(카타갈루간(Katagalugan))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아우로라, 바탄, 바탕가스, 불라칸, 카비테, 라구나, 메트로 마닐라, 누에바 에시하, 케손, 리살 등을 포함한다. 마린두케, 민도로 섬, 팔라완 섬 주민들도 타갈로그어를 사용한다.

50만 명 이상 사용 국가:#FF0000, 10만 명~50만 명 사용 국가:#FA8077, 소수 집단 사용 국가:#FFC0CB


필리핀 외 지역에서는 해외 필리핀계 이민자들이 타갈로그어를 사용하며, 주로 필리핀 민족 집단 간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된다. 타갈로그어 화자가 많은 국가로는 미국을 비롯하여, 사우디아라비아, 캐나다, 일본,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말레이시아 등이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170만 명 이상의 타갈로그어 화자가 있으며, 캘리포니아, 네바다, 워싱턴 주 등에서 스페인어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비영어권 언어이다. 캘리포니아샌프란시스코에서는 타갈로그어가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시 정부 서비스를 타갈로그어로 받을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독액에 대한 타갈로그어 설명(왼쪽 아래)

8. 1. 필리핀 내

2020년 필리핀 통계청(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필리핀에는 1억 900만 명이 거주하며, 대다수는 필리피노어 때문에 기본적인 수준의 언어 이해력을 갖고 있다.[27] 타갈로그어의 고향인 카타갈루간(Katagalugan)은 루손 섬의 중부와 남부 지역, 특히 아우로라, 바탄, 바탕가스, 불라칸, 카비테, 라구나, 메트로 마닐라(수도권), 누에바 에시하, 케손, 리살을 포함한 지역을 대략적으로 덮고 있다. 마린두케민도로 섬, 그리고 팔라완 섬 주민들도 타갈로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만 팔라완의 경우 그 비중은 적다.

팜팡가타락 (중부 루손의 다른 지역), 카마리네스 노르테와 카마리네스 수르(비콜 지방) , 코르디예라 행정구바기오시, 그리고 민다나오의 여러 지역,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상당한 소수민족이 필리피노어 형태로 타갈로그어를 사용하고 있다. 타갈로그어 또는 필리피노어는 민다나오의 코타바토 시의 주요 언어이기도 하며, 이는 루손 이외 지역에서 타갈로그어 또는 필리피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다수가 있는 유일한 곳이다. 또한 방사모로 자치구(Bangsamoro Autonomous Region in Muslim Mindanao)의 주요 공용어이기도 하지만, 더 정확하게는 필리피노어 형태로 사용된다.[27]

2000년 필리핀 인구 조사에 따르면, 학교에 다닐 수 있었던 가구 인구의 약 96%가 타갈로그어 또는 필리피노어를 사용할 수 있었고,[28] 전체 인구의 약 28%가 모국어로 사용했다.[29]

다음은 필리핀의 타갈로그어 또는 필리피노어 사용 다수 지역 및 주를 나타낸 표이다. (북쪽에서 남쪽 순서)

지역
중부 루손 지방
메트로 마닐라(수도권)
남부 루손
방사모로
다바오 지역메트로 다바오 (세부아노어가 이 지역의 주요 언어이지만, 지역 주민들이 필리피노어로 전환하거나, 세부아노어에 타갈로그어 용어와 문법을 상당히 섞어서 사용하는 언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구세대가 자녀들에게 가정에서 타갈로그어 또는 필리피노어를 사용하고, 일상생활에서는 세부아노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며, 타갈로그어 또는 필리피노어가 보조 공용어가 되고 있다. 또한 타갈로그어 사용 지역에서의 이주 또한 원인 중 하나이다.)
소크사르젠북 코타바토, 남 코타바토, 술탄 쿠다라트 (힐리가이논어가 지역의 주요 공용어이지만, 루손과 비사야 (타갈로그어 사용 지역 이주민 포함)에서 북 코타바토, 남 코타바토, 술탄 쿠다라트로의 이주로 인해, 필리피노어의 지역 방언 형태인 타갈로그어가 다양한 언어 집단 사이에서 일상적인 보조 공용어가 되었습니다. 특히 힐리가이논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 사이에서 그렇습니다. 이 지역의 표지판은 종종 필리피노어의 지역 방언 형태인 타갈로그어로 쓰여 있습니다. 또한, 이 언어는 지방 정부의 행정 기능, 교육 및 지역 언론에서 사용되지만, 특히 필리피노어의 지역 방언 형태로 사용됩니다. 타갈로그어 또는 전통적인 타갈로그어 방언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타갈로그어 사용자들은 필리핀의 다른 지역에서도 발견되며, 특히 표준화되고, 규범화되고, 국가적으로 인정되고, 지식화되고, 언어적으로 더 포괄적이며, 언어적으로 더 역동적이며, 확장된 필리피노어 형태로 공식적, 사회언어학적, 언어정치적으로 더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필리피노어를 통해 사용되고 있으며, 필리피노어는 국가 공용어로 기능한다.

라구나 고속도로변의 쓰레기 투기 금지 표지판


누에바 에시하의 환영 아치

8. 2. 필리핀 외

2020년 필리핀 통계청(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조사에 따르면, 필리핀 인구 1억 900만 명 대다수는 필리핀어 덕분에 타갈로그어를 기본적인 수준으로 이해할 수 있다.[27] 2000년 인구 조사에서는 학교에 다닐 수 있었던 가구 인구의 약 96%가 타갈로그어 또는 필리피노어를 사용할 수 있었고,[28] 전체 인구의 약 28%가 모국어로 사용했다.[29]

타갈로그어는 해외 필리핀계 이민자들 사이에서 공통어 역할을 하지만, 해외에서의 사용은 주로 필리핀 민족 집단 간의 의사소통으로 제한된다. 필리핀 외 타갈로그어 화자의 가장 큰 집중 지역은 미국이며, 2020년 미국 인구조사국이 2018년에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고한 바에 따르면, 가정에서 사용되는 비영어권 언어 중 스페인어, 프랑스어, 중국어(광둥어와 표준중국어를 합한 수치)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 170만 명이 넘는 화자가 있다.[31]

미국 인구조사국의 2015년 미국 소비자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타갈로그어는 캘리포니아주, 네바다주, 워싱턴주에서 스페인어 다음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비영어권 언어이다.[32]

타갈로그어는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스페인어와 중국어와 함께 세 가지 공인 언어 중 하나이며, 영어와 함께 모든 필수적인 시정 서비스를 이들 언어로 제공한다.[33] 한편, 타갈로그어와 일로카노어(주로 필리핀 북부에서 사용됨)는 하와이주의 비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 주 정부 기관과 주 정부 지원 단체는 주민들에게 구두 및 서면 번역을 제공해야 한다.[34][35] 네바다주에서는 투표 용지에 타갈로그어로 작성된 안내문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처음 도입되었다.[36]

해외 필리핀인과 타갈로그어 화자가 상당수 거주하는 다른 국가로는 사우디아라비아(938,490명), 캐나다(676,775명), 일본(313,588명), 아랍에미리트(541,593명), 쿠웨이트(187,067명), 말레이시아(620,043명) 등이 있다.[37]

타갈로그어와 여러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의 13개 단어 비교
영어하나사람코코넛우리(포괄적)무엇
타갈로그어isádalawátatlóapattaobahayasoniyógarawbagotáyoanóapóy
톰불루어 (미나하사)esazua/ruateluepattouwaléasupo'po'endowerukai/kitaapaapi
중앙 비콜어sarôduwatuloapattawoharongayamniyogaldawbâgokitaanokalayo
동미라야 비콜어əsadduwatuloəpattawbalayayam/idonuyogaldawbâgokitaunu/unokalayō
린코나다 비콜어əsaddarwātolōəpattawōbaləyayamnoyogaldəwbāgokitāonō
와라이어usáduhátulóupáttawobaláyayám/idôlubíadlawbag-okitáanú/nanokalayo
세부아노어usá/isá (민다나오 세부아노어)duhátulóupáttawobaláyirôlubíadlawbag-okitáunsakalayo
힐리게이논어isáduhá/duátatloapattawobaláyidôlubíadlawbag-okitáanokalayo
키나라이아어isásaratatloapattawobaláyayamniyogadlawbag-okitáanokalayo
악라논어isáisaea/sambilogtatloap-attawobaeayayamniyogadlawbag-okitáanokaeayo
타우스그어isa/hambuukduwatuupattaubayiru'niyugadlawba-gukitaniyuunukayu
마구인다나오어isaduatelupattauwalayasuniyuggaybagutanunginapuy
마라나오어isadowat'lophattawwalayasoneyoggawi'ebagotanotonaaapoy
팜팡가어isa/metungadwaatluapattaubaleasungungutaldobayuikatamunanuapi
팡가시난어sakeydua/duaratalo/taloraapat/apatiratooabongasoniyogageo/agewbalosikatayoantopool
일로카노어maysaduatallouppattaobalayasoniogaldawbarodatayoaniaapoy
이바탄어asadadowatatdoapattaovahaychitoniyoyarawva-yoyatenangoapoy
이바나그어taddayduatalluappa'tolaybalaykituniukaggawbagusittamanniafi
요가드어taddaytatatalluappattolaybinalayatuiyyogagawbagusikitamganiafuy
가당어taddayantettalloappattolaybalayatuayogawbawuikkanetamsanenayafuy
트볼리어sotulewutlufattaugunuohulefokdawlomitekuyteduofih
카다잔어isoduvotohuapattuhunhamintasupiasautadauvagutokouonutapui
인도네시아어/말레이어satuduatigaempatorangrumah/balaianjingkelapa/nyiurharibaru/baharukitaapaapi
자바어sijilorotelupapatuwongomah/baleasuklapa/kambilhari/dina/dintenanyar/enggalkitaapa/anugeni
아체어saduwalhèëpeuëtureuëngrumoh/balèëasèëuuroëbarôkita(geu)tanyoëpeuëapuy
람풍어saikhuatelupakjelemalambanasunyiwikhanibarukhamapiapui
부기스어saise'ditelueppa'taubolaasukalukuessobaruidi'agaapi
바탁어sadase'ditoluopathalakjabuasuharambiriaribaruhitaahaapi
미낭카바우어ciekduotigoampekurangrumahanjingkarambiaaribarukitoapoapi
테툼어idaruatoluhaatemaumaasunuuloronfounitasaidaahi
마오리어tahiruatoruwhatangatawharekurikokonatirahoutauaahaahi
투발루어tahiluatolutokofalekurimokuasofoutāuaāafi
하와이어kahiluakolukanakahale'īlioniuaohoukākouahaahi
반자르어asaduataluampaturangrumahhadupankalapaharihanyarkitaapaapi
말라가시어isaroateloefatraolonatranoalikavoanioandrovaovaoisikainonaafo
두순어isoduotoluapattulunwalaitasupiasautadauwagutokouonu/nutapui
이반어sa/sanduandangkudangkanorangrumahukui/uduknyiurharibarukitainamaapi
멜라나우어sa/sansatutelouempatapahlebokasounyiorlaubaewteleunamaapui


참조

[1] 서적 A Lexicographic Study of Tayabas Tagalog of Quezon Province https://books.google[...] Diliman Review 2024-02-24
[2] 웹사이트 The Morphology of Sox-Tagalog https://medium.com/@[...] 2024-11-03
[3] 웹사이트 Tagalog http://www.merriam-w[...]
[4] 웹사이트 Tagalog http://www.ethnologu[...] 2015-07-30
[5] 서적 The Bisayan Dialects of the Philippines: Subgrouping and Reconstruction https://archive.org/[...]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77
[6] 학술지 The Greater Central Philippines Hypothesis 1991
[7] 학술지 The Laguna Copper-Plate Inscription: Text and Commentary https://philippinest[...] 2022-04-13
[8] 서적 Vocabulario de la lengua tagala Komisyon sa Wikang Filipino 2013
[9] 서적 Vocabulario de la lengua tagala: compuesto por varios religiosos doctos y graves, y coordinado https://books.google[...] Ramirez y Giraudier 1860
[10] 서적 Vocabulario de la lengua tagala Komisyon sa Wikang Filipino 2013
[11] 학술지 A Contribution to Asian Historiography: European Studies of Philippines Languages from the 17th to the 20th Century 1992
[12] 서적 Kun Sino ang Kumathâ ng̃ "Florante": Kasaysayan ng̃ Búhay ni Francisco Baltazar at Pag-uulat nang Kanyang Karunung̃a't Kadakilaan https://books.google[...] Librería "Manila Filatélico" 1906
[13] 기타 1897 Constitution of Biak-na-Bato, Article VIII https://thecorpusjur[...] 2022-04-13
[14] 기타 1935 Philippine Constitution (amended), Article XIV, Section 3 https://www.official[...] 2022-04-13
[15] 연설 Speech of His Excellency Manuel L. Quezon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on Filipino National Language http://www.quezon.ph[...] 2010-03-26
[16] 학술지 The Language Planning Situation in the Philippines http://www.multiling[...] 1998
[17] 기타 1973 Philippine Constitution, Article XV, Sections 2–3 https://www.official[...] 2022-04-13
[18] 웹사이트 Mga Probisyong Pangwika sa Saligang-Batas http://wika.pbworks.[...] 2012-06-07
[19] 웹사이트 What the PH Constitutions Say About the National Language https://www.rappler.[...] 2022-04-13
[20] 뉴스 E for English: The Cost of Being Tongue-Tied in The Colonisers' Tongue https://www.economis[...] 2022-04-14
[21] 웹사이트 Filipino Language in the Curriculum https://web.archive.[...] 2018-08-21
[22] 기타 1987 Philippine Constitution, Article XIV, Sections 6–9 https://www.official[...] 2022-04-13
[23] 기타 Order No. 74 http://www.deped.gov[...] 2009
[24] 기타 DO 16, s. 2012 http://www.deped.gov[...] 2018-02-07
[25] 뉴스 K+12 to Use 12 Mother Tongues https://www.philstar[...] 2022-04-13
[26] 통계자료 Philippine Census, 2000. Table 11. Household Population by Ethnicity, Sex and Region: 2000
[27] 서적 Muslim Rulers and Rebels: Everyday Politics and Armed Separatism in the Southern Philippines https://publishing.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0-05-03
[28] 웹사이트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ilipinos (Results from the 200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NSO) https://web.archive.[...] 2008-01-21
[29] 보도자료 Philippines: Population Expected to Reach 100 Million Filipinos in 14 Years (Results from the 200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NSO) https://web.archive.[...]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8-01-21
[30] 뉴스 Filipino or Tagalog Now Dominant Language of Teaching for Maguindanaons https://newsinfo.inq[...] 2022-04-14
[31] 웹사이트 Detailed Languages Spoken at Home and Ability to Speak English for the Population 5 Years and Over for United States: 2014-2018 https://web.archive.[...]
[32] 뉴스 Study: Tagalog California's Most Commonly Spoken Foreign Language After Spanish https://www.cbsnews.[...] 2022-04-13
[33] 뉴스 Tagalog Certified As Third Language To Be Used In SF City Services Communications https://sanfrancisco[...] 2022-04-13
[34] 웹사이트 Office of Language Access: Find a Law https://web.archive.[...] State of Hawaii 2021-09-07
[35] 웹사이트 Office of Language Access: "Free Interpreter Help" in Multi-Languages https://health.hawai[...] State of Hawaii 2021-09-07
[36] 뉴스 Tagalog Was on the Ballot for the First Time in Nevada https://www.cnn.com/[...] 2021-09-07
[37] 웹사이트 Distribution on Filipinos Overseas https://dfa.gov.ph/d[...] 2022-06-14
[38] 웹사이트 Discovering Aurora https://web.archive.[...] 2024-01-31
[39] 서적 The Dialects of Marinduque Tagalog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80
[40] 웹사이트 On Writing in Hybrid Language: An Interview with Gerald Galindez https://www.yadukaru[...] 2024-10-28
[41] 간행물 Pagsusuri sa Varayti at Varyasyon ng Sox-Tagalog: Isang Komparatibong Pag-aaral
[42] 논문 Mga Tula sa Filipino-SOX na Zines: Túngo sa Pagpapakilala ng Multilingguwal at Multikultural na Komunidad sa Timog Mindanao 2023
[43] 웹사이트 The Morphology of Sox-Tagalog https://medium.com/@[...] 2024-10-28
[44]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Routledge
[45] 서적 Tagalog-English, English-Tagalog Dictionary Hippocrene Books, Inc.
[46] 서적 Facts about the world's languages : an encyclopedia of the world's major languages, past and present New England Publishing Associates
[47] 서적 Scientific and Humanistic Dimensions of Language: Festschrift for Robert Lado Benjamins
[48] 서적 Tagalog Reference Gramma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9] 서적 Filipino: An Essential Grammar Routledge 2023-10-31
[50] ELL2 Tagalog
[51] 논문 Revisiting population size vs. phoneme inventory size http://dx.doi.org/10[...] 2012-06-13
[52]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Routledge 2005
[53] 논문 K is for De-Kolonization: Anti-Colonial Nationalism and Orthographic Reform 2007
[54] 웹사이트 Is 'K' a Foreign Agent? Orthography and Patriotism: Accusations of Foreign-ness of the Revista Católica de Filipina http://www.espanito.[...] 2018-06-02
[55] 웹사이트 Ebolusyon ng Alpabetong Filipino http://wika.pbworks.[...] 2010-06-22
[56]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the Native Tagalog Alphabet http://emanila.com/n[...] 2010-08-03
[57] 논문 The Evolution and Disappearance of the "Ğ" in Tagalog Orthography since the 1593 Doctrina Christiana http://cat.inist.fr/[...] 2010-08-03
[58] 서적 Contemporary Asian American Communities: Intersections and Divergences https://archive.org/[...] Temple University Press 2002
[59] 논문 Philippine Journal of Education https://books.google[...] 1971
[60] 서적 Diksiyunaryong Adarna: Mga Salita at Larawan para sa Bata https://books.google[...] Children's Communication Center 1986
[61] 서적 Contemporary Asian American Communities: Intersections and Divergences https://books.google[...] 2002
[62] 서적 Pocket Tagalog Dictionary: Tagalog-English/English-Tagalog https://books.google[...] Periplus Editions 2005
[63] 서적 Undoing and Redoing Corpus Planning https://books.google[...] Mouton de Gruyter 1997
[64] 웹사이트 English Words Used in Filipino https://www.filipino[...] 2022-07-19
[65] 논문 Tagalog-English Code Switching as a Mode of Discourse https://files.eri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4-06
[66] 서적 Biblical Studies on the Internet: A Resource Guide McFarland 2008
[67] 웹사이트 Genesis 1 http://adb.scripture[...] Bible Hub 2022-04-14
[68] 뉴스 Manila Archdiocese starts seminars for new translation of Roman Missal https://www.gmanetwo[...] GMA Integrated News 2024-04-27
[69] 뉴스 Church revises Roman Missal https://globalnation[...] Philippine Daily Inquirer 2024-04-27
[70] 웹사이트 Sandigan https://dioceseofmal[...] Roman Catholic Diocese of Malolos 2024-04-27
[71] 서적 2003 Yearbook of Jehovah's Witnesses Watch Tower Society
[72] 웹사이트 Watchtower Online Library http://wol.jw.org/tl[...] Watch Tower Society 2014-11-03
[73] 웹사이트 'New World Translation' Released in Tagalog https://www.jw.org/e[...] 2019-01-21
[74] 웹사이트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ohchr.or[...]
[75] 백과사전 billón https://dle.rae.es/b[...] Real Academia Española and ASALE 2019
[76] 백과사전 billón https://www.rae.es/d[...] Real Academia Española 2005
[77] 백과사전 trillón https://dle.rae.es/t[...] Real Academia Española and ASALE 2019
[78] 백과사전 coma https://www.rae.es/d[...] Real Academia Española 2005
[79] 기타
[80] 기타
[81] 기타
[82] 기타
[83] 기타
[84] 기타
[8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