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하네스 부겐하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하네스 부겐하겐은 1485년 포메라니아에서 태어나 1558년 사망한 종교 개혁가이다. 그는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사제 서품을 받은 후, 루터의 신학을 접하고 종교 개혁에 참여했다. 북독일과 스칸디나비아 지역에 개신교 교회 규정을 만들고, 덴마크-노르웨이의 크리스티안 3세 대관식에 참여하여 "북방의 두 번째 사도"라는 별칭을 얻었다. 또한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강의하며 마르틴 루터의 목사이자 고해 신부가 되었고, 루터의 성경 번역에 기여했다. 그는 교회 제도 정비, 교육 개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루터 사후에는 그의 가족을 돌보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 개혁가 - 토마스 뮌처
    토마스 뮌처는 독일의 급진적인 종교 개혁가이자 1525년 독일 농민 전쟁의 주요 지도자로, 종말론적이고 혁명적인 사회 변혁을 주장하며 농민들을 규합했으나 프랑켄하우젠 전투에서 패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사상은 초기 공산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종교 개혁가 - 구스타브 1세 바사
    구스타브 1세 바사는 스웨덴을 칼마르 동맹으로부터 독립시키고 바사 왕조를 창시한 국왕으로, 반란을 통해 덴마크의 지배를 종식시키고 루터파 교리 인정 및 강력한 중앙집권 통치를 시행하여 스웨덴의 독립과 발전에 기여했으나 잔혹한 면모도 보였다.
  • 1485년 출생 - 조반니 다 베라차노
    조반니 다 베라차노는 16세기 이탈리아 탐험가이자 항해사로 프랑수아 1세의 지원을 받아 북아메리카 동부 해안을 탐험하며 뉴욕 만을 포함한 지역을 상세히 기록하여 유럽 지도 제작에 기여했으나, 태평양 항로를 찾던 중 1528년 카리브해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1485년 출생 - 에르난 코르테스
    에르난 코르테스는 16세기 스페인의 콘키스타도르로, 멕시코 원정을 통해 아즈텍 제국을 정복했지만, 정복 과정에서의 잔혹 행위와 아즈텍 문명 파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독일의 복음주의자 - 필리프 멜란히톤
    필리프 멜란히톤은 마르틴 루터의 동료로서 종교 개혁 운동에 기여한 독일의 종교 개혁가, 신학자, 교육자, 인문주의자이다.
  • 독일의 복음주의자 - 디트리히 본회퍼
    독일의 루터교 목사이자 신학자, 반나치 운동가였던 디트리히 본회퍼는 나치즘에 저항하다 처형되었으며, 그의 저서와 '값싼 은혜' 비판, '고난을 함께하는 신학'은 현대 기독교 윤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요하네스 부겐하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537년 루카스 크라나흐가 그린 부겐하겐
1537년 루카스 크라나흐가 그린 부겐하겐
직업사제, 신학자
종교루터교
인물 정보
출생일1485년 6월 24일
출생지볼린, 포메라니아, 신성 로마 제국 (현재 볼린, 폴란드)
사망일1558년 4월 20일
사망지비텐베르크, 작센, 신성 로마 제국 (현재 독일)
배우자발푸르가 부겐하겐 (1522년 10월 13일 결혼)
자녀요하네스 (1531/2–1592, 비텐베르크 대학교 신학 교수)
마르타
사라
부모게르하르트 부겐하겐
서명
기타
영향종교 개혁

2. 생애

2. 1. 초기 생애

요하네스 부겐하겐은 1485년 6월 24일 포메라니아 공국 볼린에서 지역 라트스헤르 게르하르트 부겐하겐의 세 자녀 중 한 명으로 태어났다.[4] 1502년부터 1504년까지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에서 아르테스를 공부했다. 1504년, 트레프토프 안 데어 레가(현재 트셰비아투프)로 이주하여 지역 학교의 교장이 되었다.[4] 그는 신학을 공부하지 않았지만, 1509년 트레프토프의 성 마리아 교회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으며, 이후 그 교회의 교구 사제로 봉사했다.[1]

1517년, 수도원장 요한 볼데반은 부겐하겐을 벨부크 수도원에서 성경 강사로 불렀고, 그곳에서 두 사람은 인문주의자들의 핵심이 되었다.[1] 포메라니아 공작 보기슬라프 10세는 부겐하겐에게 라틴어로 포메라니아의 역사를 기록하도록 명령했다. 1518년은 포메라니아 통합 영토의 역사 기록의 시작이다.

부겐하겐은 1520년 개혁가의 ''교회의 바빌론 포로''에서 처음으로 루터의 신학을 접했다.[4] 처음에는 루터의 사상을 전혀 좋아하지 않았지만, 더 연구한 후 종교 개혁의 지지자가 되었고 1521년 비텐베르크로 이주했다.[4]

2. 2. 종교 개혁 참여

요하네스 부겐하겐은 함부르크 공동체에 보낸 편지에서 개혁 아이디어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북독일스칸디나비아에서 일어난 개신교 종교 개혁의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다.[6]
루카스 크라나후 장로가 1532년 그린 요하네스 부겐하겐
그는 힐데스하임 (1544),[6] 함부르크 (1528/29),[6][15] 뤼베크 (1530–1532),[6] 포메라니아 공국 (1534/5),[6] 동프리지아 (1534/5),[6] 슐레스비히-홀슈타인 (1542),[16] 브라운슈바이크 (1528),[6][15]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1543),[6] 그리고 덴마크-노르웨이 (1537)에 새로운 ''교회 규정''(Kirchenordnung)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16] 크리스티안 3세의 대관식을 거행했다.[17]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그는 "북방의 두 번째 사도"라는 별칭을 얻었다.[18] 그는 새로운 교회 규칙 제정뿐만 아니라, 정착과 준수를 위한 설득에도 힘썼다. 부겐하겐은 종교 의식, 학교 교육, 그리고 교회의 사회 문제에 대한 규칙과 규정을 만들었다. 1539년에 그는 작센 선제후국의 루터교회 감독관이 되었다.

또한 같은 해, 부겐하겐은 포메라니아의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를 개혁하여 비텐베르크 대학교를 모델로 한 개신교 대학교로 "재건"했다.[19]

2. 3. 비텐베르크에서의 활동

요하네스 부겐하겐은 1523년 10월 25일 비텐베르크의 교구 목사로 선출되어[5] 마르틴 루터의 목사이자 고해 신부가 되었다.[6] 그는 루터의 성경 번역 팀의 일원으로서 그리스어와 히브리어 성경을 독일어로 번역하는 데 기여했으며, 울리히 츠빙글리개혁 교회 개혁에 대한 논쟁을 시작했다.[6]

1523년부터 비텐베르크 대학교( ''로이코레아'', 오늘날 마르틴 루터 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다.[7] 1524년 3월 바젤의 인쇄업자 아담 페트리는 그의 "시편 해석"(''.''Librum Psalmorum interpretatio'')을 라틴어로 인쇄했다.[8] 표지는 한스 홀바인(2세)의 그림을 따라 다윗의 삶을 신약성서와 관련하여 묘사했다.[9] 이 책은 반년 안에 라틴어로 4번 더 출판되었고,[8] 2년 후에는 독일어 번역본도 인쇄되었다.[10] 부겐하겐은 비텐베르크 중심의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에서 성경 해석의 가장 중요한 교사이자 실천가 중 한 명으로, 이 대학에서 교육받은 한 세대의 루터교 목사들을 서품했다.[6]

루카스 크라나흐(대)의 ''비텐베르크 시립 교회의 제단 정면 오른편 날개의 설교''. 부겐하겐의 손에 있는 천국의 열쇠에 주목하라


1533년 3월 17일,[11] 요하네스 아에피누스, 카스파 크루치거와 함께 비텐베르크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1][12] 이 승진은 필리프 멜란히톤의 논문을 토대로 마르틴 루터가 감독하고,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가 자금을 지원하고 참석했으며, 유스투스 요나스가 수여했다.[11] 비텐베르크의 성 교회(''Schloßkirche'')에서의 행사로[11] 아에피누스, 부겐하겐, 크루치거는 최초의 세 명의 프로테스탄트 신학 박사가 되었다.[12] 함부르크의 부르주아들이 새로운 감독관이 박사 학위를 갖기를 요구함에 따라 아에피누스의 승진이 필요하게 되었고,[12][14] 멜란히톤은 요나스를 위한 연설을 작성하여 프로테스탄트 박사 학위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프리드리히 3세는 후속 축하 행사를 후원했다.[11]

2. 4. 종교 개혁 확산



부겐하겐은 함부르크 공동체에 보낸 편지에서 개혁 아이디어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북독일스칸디나비아에서 일어난 개신교 종교 개혁의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다.[6] 그는 힐데스하임 (1544),[6] 함부르크 (1528/29),[6][15] 뤼베크 (1530–1532),[6] 포메라니아 공국 (1534/5),[6] 동프리지아 (1534/5),[6] 슐레스비히-홀슈타인 (1542),[16] 브라운슈바이크 (1528),[6][15]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1543),[6] 그리고 덴마크-노르웨이 (1537)에 새로운 ''교회 규정''(Kirchenordnung)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16] 그곳에서 크리스티안 3세의 대관식을 거행했다.[17]

이로 인해 그는 나중에 "북방의 두 번째 사도"라는 별칭을 얻었다.[18] 그는 새로운 규칙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정착시키고 사람들이 따르도록 설득했다. 부겐하겐은 종교 의식, 학교 교육, 그리고 교회의 사회 문제에 대한 규칙과 규정을 만들었다. 1539년에 그는 작센 선제후국의 루터교회 감독관이 되었다.

또한 1539년에 부겐하겐은 포메라니아의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를 개혁하여 비텐베르크 대학교를 모델로 한 개신교 대학교로 "재건"했다.[19]

2. 5. 말년

1546년 마르틴 루터가 사망한 후, 부겐하겐은 루터의 미망인과 자녀들을 돌보았다. 부겐하겐은 1558년 비텐베르크에서 사망했으며 성 마리아 교회에 묻혔다.
요하네스 부겐하겐의 묘, 성 마리아 교회, 비텐베르크
이 교회에는 또한 루카스 크라나흐 더 영거가 그린 부겐하겐 기념 그림이 있으며, 여기에는 세례자 요한이 요르단 강에서 예수를 세례하는 모습(부겐하겐 가족 전체가 지켜보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부겐하겐은 신학적 견해 외에도 그의 조직 능력으로도 잘 알려졌다. 부겐하겐은 1534년 루터의 성경을 중 저지 독일어로 번역한 그의 업적으로도 높이 평가받았다.

요하네스 부겐하겐은 항상 마음속으로 목사였으며, 음악에 대한 그의 사랑 때문에 그의 가문의 문장에는 하프가 그려져 있다.

3. 업적

요하네스 부겐하겐은 함부르크 공동체에 보낸 편지에서 개혁 아이디어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북독일스칸디나비아에서 일어난 개신교 종교 개혁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6] 그는 힐데스하임 (1544),[6] 함부르크 (1528/29),[6][15] 뤼베크 (1530–1532),[6] 포메라니아 공국 (1534/5),[6] 동프리지아 (1534/5),[6] 슐레스비히-홀슈타인 (1542),[16] 브라운슈바이크 (1528),[6][15]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1543),[6] 그리고 덴마크-노르웨이 (1537)에 새로운 ''교회 규정''(Kirchenordnung)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16] 그는 또한 그곳에서 크리스티안 3세의 대관식을 거행했다.[17]

이로 인해 그는 나중에 "북방의 두 번째 사도"라는 별칭을 얻었다.[18] 그는 새로운 규칙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정착시키고 사람들이 따르도록 설득했다. 부겐하겐은 종교 의식, 학교 교육, 그리고 교회의 사회 문제에 대한 규칙과 규정을 만들었다. 1539년에 그는 작센 선제후국의 루터교회 감독관이 되었다.

또한 1539년에 부겐하겐은 포메라니아의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를 개혁하여 비텐베르크 대학교를 모델로 한 개신교 대학교로 "재건"했다.[19]

3. 1. 교회 제도 정비

요하네스 부겐하겐은 북독일스칸디나비아에서 일어난 개신교 종교 개혁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6] 그는 함부르크 (1528/29),[6][15] 뤼베크 (1530–1532),[6] 포메라니아 공국 (1534/5),[6] 동프리지아 (1534/5),[6] 슐레스비히-홀슈타인 (1542),[16] 브라운슈바이크 (1528),[6][15]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1543),[6] 힐데스하임 (1544),[6] 그리고 덴마크-노르웨이 (1537)의 새로운 ''교회 규정''(Kirchenordnung) 제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6] 덴마크-노르웨이에서는 크리스티안 3세의 대관식을 거행하기도 했다.[17] 이러한 공헌으로 인해 그는 "북방의 두 번째 사도"라는 별칭을 얻었다.[18]

부겐하겐은 새로운 교회 규칙을 제정했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이를 따르도록 설득하는 일에도 힘썼다. 그는 종교 의식, 학교 교육, 그리고 교회의 사회 문제에 대한 규칙과 규정을 만들었다. 1539년에는 작센 선제후국의 루터교회 감독관이 되었다. 같은 해, 부겐하겐은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를 비텐베르크 대학교를 모델로 한 개신교 대학교로 "재건"했다.[19]

3. 2. 성경 번역

3. 3. 교육 개혁

요하네스 부겐하겐은 북독일스칸디나비아에서 일어난 개신교 종교 개혁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6] 그는 함부르크 (1528/29),[6][15] 뤼베크 (1530–1532),[6] 포메라니아 공국 (1534/5),[6] 동프리지아 (1534/5),[6] 슐레스비히-홀슈타인 (1542),[16] 브라운슈바이크 (1528),[6][15]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1543),[6] 힐데스하임 (1544),[6] 그리고 덴마크-노르웨이 (1537)에서 새로운 ''교회 규정''(Kirchenordnung) 제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6] 그는 덴마크-노르웨이에서 크리스티안 3세의 대관식을 거행하기도 했다.[17]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그는 "북방의 두 번째 사도"라는 별칭을 얻었다.[18]

부겐하겐은 종교 의식, 학교 교육, 그리고 교회의 사회 문제에 대한 규칙과 규정을 만들었으며, 1539년에는 작센 선제후국의 루터교회 감독관이 되었다. 또한 같은 해, 부겐하겐은 포메라니아의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를 비텐베르크 대학교를 모델로 한 개신교 대학교로 "재건"했다.[19]

4. 평가

5. 가족

요하네스 부겐하겐의 딸 사라(1563년 사망)는 게오르크 크라코우와 결혼했다.

참조

[1] 서적 Kopitzsch & Brietzke 2001
[2] 서적 Steinwachs & Pietsch 2000
[3] 서적 Nieden 2006
[4] 서적 1488 Petri-Schwabe 1988: eine traditionsreiche Basler Offizin im Spiegel ihrer frühen Drucke https://books.google[...] Schwabe 1997
[5] 서적 Nieden 2006
[6] 서적 Kaufmann 1998
[7] 서적 Nieden 2006
[8] 서적 Hieronymus, Frank 1997
[9] 서적 Hieronymus, Frank 1997
[10] 서적 Hieronymus, Frank 1997
[11] 서적 Nieden 2006
[12] 서적 Selderhuis & Wriedt 2006
[13] 서적 Nieden 2006
[14] 서적 Selderhuis & Wriedt 2006
[15] 서적 Selderhuis & Wriedt 2006
[16] 서적 Lorentzen 2008
[17] 서적 Lockhart 2007
[18] 서적 Zietz 1834
[19] 서적 Schneider 2008
[20] 서적 Selderhuis & Wriedt 2006
[21] 서적 Kopitzsch & Brietzke 2001
[21] 웹사이트 요하네스 부겐하겐 https://www.luther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