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루치파야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루치파야어족은 우루어와 치파야어를 포함하는 언어 어족이다. 스타크(1972)는 마야어족, 우루치파야어족, 융가어를 연결하는 마야-융가-치파야 대어족 가설을 제안했다. Jolkesky (2016)는 우루치파야어족이 주변 언어들과의 언어 접촉을 통해 어휘적 유사성을 갖게 되었다고 보았다. 루코트카(1968)는 우루어와 치파야어의 기초 어휘를 비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과라니어
    과라니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투피어족 언어로, 파라과이의 공용어이며 볼리비아와 아르헨티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예수회 선교 활동과 호파라 현상, 라틴 문자 기반 표기, 비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 능-절격적인 특성을 지닌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우루치파야어족
개요
이름우루-치파야어족
다른 이름우루quilla
지역볼리비아의 티티카카호와 포오포호
민족우루족
어족 색상아메리카
어족세계의 주요 어족 중 하나
글롯토코드uruc1242
글롯토코드 참조우루-치파야
하위 언어치파야어
우루어 †
치무 우루어 †
무라토어 †
우루-치파야어 화자의 현재 분포
우루-치파야어 화자의 현재 분포
참고 문헌

2. 언어 현황

Uru-Chipayaur|우루-치파야어족은 현재 심각한 소멸 위기에 처해 있거나 이미 소멸된 것으로 추정된다.

3. 다른 언어와의 관계

스타크(1972)는 마야어족, 우루-치파야어, 융가어를 연결하는 마야-융가-치파야 대어족을 제안했다.[5]

3. 1. 마야-융가-치파야 대어족 가설

스타크(1972)는 마야어족, 우루-치파야어족, 융가어(모치카어)를 연결하는 마야-융가-치파야 대어족을 제안했다.[2][5]

3. 2. 언어 접촉

Jolkesky (2016)는 우루치파야어족이 쿤자어, 푸키나어, 파노어족, 아이마라어족, 케추아어족, 마푸체어, 모세텐치마네어 등 주변 언어들과 접촉하면서 어휘적 유사성을 갖게 되었다고 보았다.[8][3]

4. 어휘

로우코트카는 우루어와 치파야어의 기초 어휘를 비교했다.[7][1][4]

4. 1. 기초 어휘 비교

루코트카 (1968)는 우루어와 치파야어의 기초 어휘를 다음과 같이 비교하였다.[7][1][4]

우루치파야어족 기초 어휘 비교
우루어치파야어
하나sipishintal'a
pisk'ipishk
chepechep
머리áchaacha
눈[目]shukuichuki
kárshikxara
여자túkũtxuna
koásikuas
túñitúñi
옥수수turatara


5. 참고 문헌


  • 아길로, F. (1986). 《우루스족의 언어》. 센트로 포르탈레스.
  • 세론-팔로미노, R. (2011). 《치파야. 어휘 및 민족 분류》. 리마: PUCP.
  • 에스피노자 소리아노 (1991). 〈프로토-타카난어와 우루-치파야어: 유전적 관계 또는 고대 차용?〉. 《1991년 10월 28일~30일 안데스 지역의 언어, 공식 언어 정책 및 교육 정책에 관한 국제 회의에서 발표된 논문》. 뉴어크: 델라웨어 대학교.
  • 한스, K. (2008). 《우추마타쿠: 볼리비아 우루스족의 잃어버린 언어. 1894년에서 1952년 사이에 문서화된 언어의 문법적 설명》 (ILLA, 7). 라이덴: CNWS 간행물.
  • 니무엔다주, K. (1928-1929). 〈시파야 원주민 단어 목록〉. 《인류학》, *23*: 821-850, *24*: 863-896.
  • 스네트라게, E. (1932). 〈치파야 및 쿠루아야 단어〉. 《인류학》, *27*: 65-93.
  • 벨라드, J. A. (1949-1951). 〈우루 또는 코츠운스 인디언 연구에 대한 기여〉. 《프랑스 안데스 연구소 연구》, *1*: 145-209, *2*: 51-89, *3*: 3-39.

참조

[1] 서적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https://archive.org/[...] UCLA Latin American Center
[2] 논문 Maya-Yunga-Chipayan: A New Linguistic Alignment
[3] 학위논문 Estudo arqueo-ecolinguístico das terras tropicais sul-americanas http://www.etnolingu[...] University of Brasília 2016-01-01
[4] 서적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https://archive.org/[...] UCLA Latin American Center
[5] 논문 Maya-Yunga-Chipayan: A New Linguistic Alignment
[6] 학위논문 Estudo arqueo-ecolinguístico das terras tropicais sul-americanas http://www.etnolingu[...] University of Brasília 2016-01-01
[7] 서적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https://archive.org/[...] UCLA Latin American Center
[8] 학위논문 Estudo arqueo-ecolinguístico das terras tropicais sul-americanas http://www.etnolingu[...] University of Brasília 2016-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