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푸키나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키나어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이 지역의 공용어였으나, 아이마라어 사용 인구에 의해 여러 집단으로 분리되면서 멸종되었다. 푸키나어의 잔재는 케추아어, 스페인어, 칼라와야어 등에서 발견되며, 잉카 제국의 비밀 언어인 "카파크 시미"와 관련이 있다는 이론도 존재한다. 푸키나어는 언어 분류상으로는 미분류 언어로, 아라와칸어족과의 연관성이 제기되었으나, 결정적인 증거는 부족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메리카의 사어 - 고대 투피어
    고대 투피어는 16세기 브라질 해안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투피남바족 언어로, 포르투갈어의 영향으로 어순이 변화하고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며, 브라질 포르투갈어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 남아메리카의 사어 - 셀크남어
    셀크남어는 남부 촌어족에 속하며 하우쉬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가진 멸종 위기 언어로, OVS 어순을 사용하고 티에라델푸에고 제도의 셀크남족이 사용했으나 앙헬라 로이의 사망 후 멸종 위기에 놓여 현재 언어 부활 운동이 진행 중이며, /a, ɪ, ʊ/ 모음과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가진다.
  • 볼리비아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볼리비아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페루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페루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푸키나어
언어 정보
이름푸키나어
자기 이름Puquina
계통 색아메리카
지역남아메리카 티티카카 호수 주변
사멸 시기19세기 초
계통미분류 언어
ISO 639-1pq
ISO 639-2pqn
ISO 639-3puq
Glotto codepuqu1242
Glotto code 이름푸키나어
언어 계통
자녀 언어 1푸키나어†
자녀 언어 2레코어?
자녀 언어 3칼라와야어
자녀 언어 4카파크어? †

2. 역사

푸키나어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 지역의 공용어였으나, 빠르게 쇠퇴하여 멸종되었다. 푸키나어의 쇠퇴는 스페인 정복 이전부터 시작되었는데, 아이마라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푸키나어 사용 인구를 여러 작은 집단으로 나누었기 때문이다.[4]

단일 조상어였던 푸키나어의 잔재는 페루 남부, 특히 아레키파(Arequipa), 모케과(Moquegua), 타크나(Tacna)와 볼리비아에서 사용되는 케추아어와 스페인어에서 발견된다. 칼라와야어(Kallawaya language)에도 잔재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케추아어와 푸키나어로 이루어진 혼합어일 가능성이 있다. 테렌스 카우프만(Terrence Kaufman)은 1990년에 이 가설을 타당하다고 보았다.[5]

일부 이론에서는 잉카 제국의 귀족들이 사용하던 비밀 언어인 "카파크 시미(Qhapaq Simi)"가 푸키나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루나 시미(Runa Simi)"(케추아어)는 일반 백성들이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레코어(Leco language) 또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뮬리앙(Moulian) 외(2015)는 푸키나어가 잉카 제국이 일어나기 훨씬 전에 칠레 남부 지역의 마푸체어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6] 이러한 지역 언어적 영향은 기원후 1000년경 티와나쿠 제국의 붕괴로 인한 이주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6][7]

때때로 "푸키나어"라는 용어는 명확히 다른 우루어(Uru language)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2. 1. 스페인 식민지 이전

푸키나어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이 지역의 공용어였지만, 빠르게 쇠퇴하여 멸종되었다. 푸키나어의 쇠퇴는 스페인 정복 이전부터 시작되었는데, 아이마라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푸키나어 사용 인구를 여러 작은 집단으로 나누었기 때문이다.[4]

단일 조상어였던 푸키나어의 흔적은 페루 남부, 특히 아레키파(Arequipa), 모케과(Moquegua), 타크나(Tacna)와 볼리비아에서 사용되는 케추아어와 스페인어에서 발견된다. 칼라와야어(Kallawaya language)에도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케추아어와 푸키나어로 이루어진 혼합어일 가능성이 있다. 테렌스 카우프만(Terrence Kaufman)(1990)은 이 가설을 타당하다고 본다.[5]

일부 이론에서는 잉카 제국의 귀족들이 사용하던 비밀 언어인 "카파크 시미(Qhapaq Simi)"가 푸키나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루나 시미(Runa Simi)"(케추아어)는 일반 백성들이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레코어(Leco language) 또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뮬리앙(Moulian) 외(2015)는 푸키나어가 잉카 제국이 일어나기 훨씬 전에 칠레 남부 지역의 마푸체어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6] 이러한 지역 언어적 영향은 기원후 1000년경 티와나쿠 제국의 붕괴로 인한 이주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6][7]

때때로 "푸키나어"라는 용어는 명확히 다른 우루어(Uru language)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스페인 식민지 시대 당시 이 지역의 공용어였음에도 불구하고, 푸키나어는 빠르게 쇠퇴하여 멸종되었다. 푸키나어의 쇠퇴는 스페인 정복 이전부터 시작되었는데, 아이마라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푸키나어 사용 인구를 여러 작은 집단으로 나누었기 때문이다.[4]

단일 조상어였던 푸키나어의 잔재는 페루 남부, 특히 아레키파(Arequipa), 모케과(Moquegua), 타크나(Tacna)와 볼리비아에서 사용되는 케추아어와 스페인어에서 발견된다. 칼라와야어(Kallawaya language)에도 잔재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케추아어와 푸키나어로 이루어진 혼합어일 가능성이 있다. (테렌스 카우프만(Terrence Kaufman)(1990)은 이 가설을 타당하다고 본다.[5])

일부 이론에서는 잉카 제국의 귀족들이 사용하던 비밀 언어인 "카파크 시미(Qhapaq Simi)"가 푸키나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루나 시미(Runa Simi)"(케추아어)는 일반 백성들이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레코어(Leco language) 또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뮬리앙(Moulian) 외(2015)는 푸키나어가 잉카 제국이 일어나기 훨씬 전에 칠레 남부 지역의 마푸체어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6] 이러한 지역 언어적 영향은 기원후 1000년경 티와나쿠 제국의 붕괴로 인한 이주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6][7]

때때로 "푸키나어"라는 용어는 명확히 다른 우루어(Uru language)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2. 3. 잉카 제국과의 관계

스페인 식민지 시대 당시 이 지역의 공용어였음에도 불구하고, 푸키나어는 빠르게 쇠퇴하여 멸종되었다. 푸키나어의 쇠퇴는 스페인 정복 이전부터 시작되었는데, 아이마라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푸키나어 사용 인구를 여러 작은 집단으로 나누었기 때문이다.[4]

일부 이론에서는 잉카 제국의 귀족들이 사용하던 비밀 언어인 "카파크 시미(Qhapaq Simi)"가 푸키나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루나 시미(Runa Simi)"(케추아어)는 일반 백성들이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레코어(Leco language) 또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2. 4. 마푸체어와의 관계

스페인 식민지 시대 당시 이 지역의 공용어였음에도 불구하고, 푸키나어는 빠르게 쇠퇴하여 멸종되었다. 푸키나어의 쇠퇴는 스페인 정복 이전부터 시작되었는데, 아이마라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푸키나어 사용 인구를 여러 작은 집단으로 나누었기 때문이다.[4]

단일 조상어였던 푸키나어의 잔재는 페루 남부, 특히 아레키파(Arequipa), 모케과(Moquegua), 타크나(Tacna)와 볼리비아에서 사용되는 케추아어와 스페인어에서 발견된다. 칼라와야어(Kallawaya language)에도 잔재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케추아어와 푸키나어로 이루어진 혼합어일 가능성이 있다. 테렌스 카우프만(Terrence Kaufman)(1990)은 이 가설을 타당하다고 본다.[5]

일부 이론에서는 잉카 제국의 귀족들이 사용하던 비밀 언어인 "카파크 시미(Qhapaq Simi)"가 푸키나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루나 시미(Runa Simi)"(케추아어)는 일반 백성들이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레코어(Leco language) 또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뮬리앙(Moulian) 외(2015)는 푸키나어가 잉카 제국이 일어나기 훨씬 전에 칠레 남부 지역의 마푸체어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6] 이러한 지역 언어적 영향은 기원후 1000년경 티와나쿠 제국의 붕괴로 인한 이주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6][7]

때때로 "푸키나어"라는 용어는 명확히 다른 우루어(Uru language)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3. 언어 분류

푸키나어는 안데스 지역의 다른 언어들과의 확실한 관련성이 증명되지 않아, 오랫동안 분류되지 않은 언어군으로 여겨졌다. 아라와칸어족과의 관계가 제기되기도 했지만, 결정적인 과학적 증거는 부족하다. 욜케스키(Jolkesky, 2016)는 푸키나어를 거대 아라와칸어족 언어로 분류한다.[8]

3. 1. 아라와칸어족과의 관계

푸키나어는 안데스 지역의 다른 언어들과의 확실한 관련성이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분류되지 않은 언어군으로 간주되어 왔다. 소유격 어미 (1인칭 ''no-'', 2인칭 ''pi-'', 3인칭 ''ču-'')가 원시 아라와칸어 주어 형태 (1인칭 ''*nu-'', 2인칭 ''*pi-'', 3인칭 ''*tʰu-'')와 유사하다는 점을 근거로 아라와칸어족과의 관계가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다. Jolkesky (2016: 310–317)는 푸키나어와 아라와칸어족 사이에 추가적인 어휘적 공통어원을 제시하여 이 언어가 거대 아라와칸어족에 속하며 칸도시어와 무니치어와 함께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은 여전히 결정적인 과학적 증거가 부족하다.

이와 관련하여 Adelaar와 van de Kerke (2009: 126)는 푸키나어가 유전적으로 아라와칸어족과 관련이 있다면 이 언어족으로부터의 분리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일어났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자들은 그러한 경우 푸키나어 화자들의 위치를 아라와칸어족의 지리적 기원에 대한 논의에서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러한 고려 사항은 Jolkesky (op. cit., 611–616)가 거대 아라와칸어족의 다양화에 대한 고고생태언어학적 모델에서 다루었다. 이 저자에 따르면, 원시 거대 아라와칸어는 기원전 2천년대 초 우카얄리 강 중류 유역에서 사용되었으며, 화자들은 이 지역에서 발견되는 투티샤카이뇨 토기를 만들었다.

Jolkesky (2016)는 푸키나어를 거대 아라와칸어족 언어로 분류한다.[8]

3. 2. 기타 언어와의 관계

푸키나어는 안데스 지역의 다른 언어들과의 확실한 관련성이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분류되지 않은 언어군으로 간주되어 왔다. 소유격 어미 (1인칭 ''no-'', 2인칭 ''pi-'', 3인칭 ''ču-'')가 원시 아라와칸어 주어 형태 (1인칭 ''*nu-'', 2인칭 ''*pi-'', 3인칭 ''*tʰu-'')와 유사하다는 점을 근거로 아라와칸어족과의 관계가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다. 욜케스키(Jolkesky, 2016: 310–317)는 푸키나어와 아라와칸어족 사이에 추가적인 어휘적 공통어원을 제시하여 이 언어가 거대 아라와칸어족에 속하며 칸도시어와 무니치어와 함께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은 여전히 결정적인 과학적 증거가 부족하다.

이와 관련하여 아델라르(Adelaar)와 판 더 케르케(van de Kerke, 2009: 126)는 푸키나어가 유전적으로 아라와칸어족과 관련이 있다면 이 언어족으로부터의 분리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일어났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자들은 그러한 경우 푸키나어 화자들의 위치를 아라와칸어족의 지리적 기원에 대한 논의에서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러한 고려 사항은 욜케스키(Jolkesky, op. cit., 611–616)가 거대 아라와칸어족의 다양화에 대한 고고생태언어학적 모델에서 다루었다. 이 저자에 따르면, 원시 거대 아라와칸어는 기원전 2천년대 초 우카얄리 강 중류 유역에서 사용되었으며, 화자들은 이 지역에서 발견되는 투티샤카이뇨 토기를 만들었다.

욜케스키(Jolkesky, 2016)는 푸키나어를 거대 아라와칸어족 언어로 분류한다.[8] 욜케스키는 접촉으로 인해 아임라어족, 카후아파난어족, 케추아어족, 파노어족, 타카난어족, 우루-치파야어족과 어휘적 유사성이 있다고 언급한다.[9][4]

200개의 기본 어휘 목록에서 70%는 차용어가 아니었고, 14%는 아임라어에서, 2%는 우루-치파야어족에서 유래했으며, 나머지 14%는 명시되지 않았다.[4]

4. 어휘

푸키나어는 주변 언어와 어휘 유사성을 보인다. 특히 칼라와야어, 우루어, 케추아어, 아이마라어와 어휘 비교 자료가 있으며,[10] 체스트미르 루코트카는 푸키나어와 칼라와야어의 기본 어휘 목록을 제시했다.[11]

4. 1. 수사

숫자푸키나어칼라와야어우루어케추아어아이마라어
1pesqpuquksicawshiurehuk ~ shukqumayaay
2sosoopisqeiskaypaya
3qapaqapichcpkimsakimsa
4sperpilipakpiktawapusi
5taqpachismapaanuqopisqapisqa
6chichuntajwapachuysuqtasojta (qallqo)
7stukajsitohonqoqanchispa qallqo
8kinawasaqonqopusaqkimsa qallqo
9cheqanukisanqawisqunlla-tunqa
10sqarajochaqalochunkatunqa

[10]

4. 2. 인칭 대명사

영어푸키나어칼라와야어우루어케추아어아이마라어
ninisiwirilñuqanaya
너(단수)pichuuampqamjuma
그/그녀chu, hichuinintis, nispayjupa
우리(포함)nichnisiykuuchumiñuqaykujiwasa
우리(제외)señnisinchejwisnaqañuqanchiknanaka
너희들pichchuukunasampchuqaqamkunajumanaka
그들chuchchuininkunanisnaqapaykunajupanaka

[10]

4. 3. 기타 어휘

푸키나어와 주변 언어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10]

숫자푸키나어칼라와야어우루어케추아어아이마라어
1pesqpuquksicawshiurehuk ~ shukqumayaay
2sosoopisqeiskaypaya
3qapaqapichcpkimsakimsa
4sperpilipakpiktawapusi
5taqpachismapaanuqopisqapisqa
6chichuntajwapachuysuqtasojta (qallqo)
7stukajsitohonqoqanchispa qallqo
8kinawasaqonqopusaqkimsa qallqo
9cheqanukisanqawisqunlla-tunqa
10sqarajochaqalochunkatunqa



푸키나어와 주변 언어의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10]

영어푸키나어칼라와야어우루어케추아어아이마라어
ninisiwirilñuqanaya
너(단수)pichuuampqamjuma
그/그녀chu, hichuinintis, nispayjupa
우리(포함)nichnisiykuuchumiñuqaykujiwasa
우리(제외)señnisinchejwisnaqañuqanchiknanaka
너희들pichchuukunasampchuqaqamkunajumanaka
그들chuchchuininkunanisnaqapaykunajupanaka



체스트미르 루코트카(Čestmír Loukotka) (1968)는 푸키나어와 칼라와야어(그는 포헤나라고 부름)에 대한 기본 어휘 목록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11]

의미푸키나어칼라와야어
하나peskuxsi
sosuyo
kapakkxapi
머리kxutu
sekbipaxañi
kupisui
여자atagoatasi
unumimi


참조

[1] 웹사이트 The Puquina and Leko languages - Advances in Native South American Historical Linguistics https://web.archive.[...] 2014-12-23
[2] 웹사이트 The Much Debated History of Quechua http://cuzcoeats.com[...] 2014-01-18
[3] 서적 New Perspectives on Mixed Languages: From Core to Fringe De Gruyer Mouton
[4] 서적 The languages of the Andes https://archive.org/[...] Cambridge ;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1-01
[5] 웹사이트 The Puquina and Leko languages https://web.archive.[...] 2007-09-19
[6] 학술지 Afines quechua en el vocabulario mapuche de Luis de Valdivia https://scielo.conic[...] 2019-01-13
[7] 학술지 Cultivated wetlands and emerging complexity in south-central Chile and long distance effects of climate change http://www.dendrocro[...] 2007-01-01
[8] 논문 Estudo arqueo-ecolinguístico das terras tropicais sul-americanas https://repositorio.[...] Universidade de Brasília 2016-01-01
[9] Ph.D. dissertation Estudo arqueo-ecolinguístico das terras tropicais sul-americanas http://www.etnolingu[...] University of Brasília 2016-01-01
[10] 서적 El Idioma del Pueblo Puquina: Un enigma que va aclarándose Intercultural de las Nacionalidades Pueblos Indígenas/Fondo Ecuatoriano Populorum Progressio 2000-01-01
[11] 서적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https://archive.org/[...] UCLA Latin American Center
[12] 서적 New Perspectives on Mixed Languages: From Core to Fringe De Gruyer Mouton
[13] 웹인용 The Puquina and Leko languages https://web.archive.[...] 2007-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