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마라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마라어족은 페루 남부 해안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는 언어 어족으로, 아이마라어와 하카루어를 포함하여 두 개 또는 네 개의 언어로 분류된다. 아이마라어는 약 220만 명, 하카루어는 약 725명의 화자를 가지고 있으며, 카우키어는 2005년 기준으로 9명의 화자가 생존해 있었다. 아이마라어족 언어들은 3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가지며, 교착어적 특징을 보인다. 케추아어족과 어휘적 유사성이 있으며, 특히 숫자 어휘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마라어족 - 하카루어
    하카루어는 /a i u/ 세 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을 가지며, 네 개의 인칭 체계와 동사 활용, 문장 접미사를 통해 문법 정보를 전달하는 형태론적으로 복잡한 언어이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아이마라어족
언어 정보
이름아이마라어족
다른 이름자키어족, 아루어족
사용 지역남아메리카 중부, 안데스산맥
어족 색상아메리카
계통케추마라어족?
글롯토코드ayma1253
글롯토코드 참조아이마라어족
하위 언어아이마라어
하카루어
카우키어
아이마라어족 언어 분포
어족의 현재 범위(짙은 색) 및 이전 범위(지명학적 증거, 밝은 색)

2. 역사

아이마라어의 기원지는 페루 남부 해안, 특히 파라카스 문화와 후대의 나스카 문화 지역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 후 아이마라어 사용자들은 고지대로 이동하여 와리 제국에서 역할을 수행했다. 티와나쿠 제국의 붕괴와 잉카 제국의 부상 사이의 어느 시점에 일부 아이마라어 사용자들은 알티플라노를 침략했고, 다른 일부는 북서쪽으로 이동하여, 아마도 자카루의 조상이 되었고 케추아어 I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1586년의 관계 지리 보고서(Relaciones geográficas)에 따르면, 페루 남부 고지대(루카나스, 춤비빌카스, 콘데수요스 포함)에서 아이마라 방언이 기록되었으며, 19세기까지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1] 1600년경에는 볼리비아 동부와 남부 고지대가 여전히 주로 아이마라어를 사용했지만, 광산업 발전의 결과로 케추아어를 채택했을 가능성이 있다.[1]

3. 음운론

아이마라어족 언어는 모음 음소가 /a i u/ 3개뿐이며, 대부분의 아이마라어 방언과 하카루어에서는 길이에 따른 구분이 있다. 아이마라어에서는 트레마로, 하카루어에서는 발음 기호를 사용하여 모음의 길이를 표기한다.

아이마라어족 언어는 자음 목록에서 차이가 있지만,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아이마라어와 아카르어는 모두 , 치경, 경구개, 연구개, 구개수 조음 위치에서 파열음을 가지며, 파열음에는 방출음유기음 구분이 있다. 또한, 치경, 경구개, 연구개마찰음과 몇몇 중앙 및 측면 유사음을 포함한다.

아이마라어족은 케추아어족과 달리 동사와 명사 어근 모두 모음으로 끝나야 한다. 스페인어 차용어 ''habas''(콩)는 아이마라어로 ''hawasa'', 아야쿠초 아이마라어로는 ''háwaša''가 된다. 이는 다른 안데스 언어에는 없는 특징이다.[4]

아이마라어는 케추아어처럼 교착어적 성격을 띤다. 그러나 많은 교착 접미사가 선행 어근에서 모음 축약을 유발하는데, 예를 들어 ''apa''(잡다)는 ''ap-su''(꺼내다)가 될 때 마지막 모음이 소실된다.[4]

3. 1. 모음

아이마라어족 언어들은 /a i u/ 3개의 모음 위치를 구별하며, 대부분의 아이마라어와 하카루어 방언은 모음의 장단을 구분한다. 아이마라어에서 장모음은 보통 모음 글자 위에 트레마(¨)를 붙여 나타내고, 하카루어에서는 모음 뒤에 길이 부호(ː)를 붙여 나타낸다.

아이마라어족 언어는 세 개의 음소적 모음 /a i u/만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아이마라어 방언과 자카루어에서는 길이에 따라 구분된다. 길이는 일반적으로 아이마라어에서는 트레마, 하카라어에서는 발음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된다.

3. 2. 자음

아이마라어와 하카루어는 모두 양순, 치경, 경구개, 연구개, 구개수 위치의 자음 음소가 있다. 파열음은 무기음, 유기음, 방출음의 3가지 계열이 대립한다. 두 언어 모두 치경, 경구개, 연구개 마찰음 음소가 있으며 여러 중설설측 접근음 음소가 있다.

아이마라어족 언어들은 자음 체계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공통적인 특징을 몇 가지 가지고 있다. 아이마라어와 자카루어는 모두 순음, 치경, 경구개, 연구개, 그리고 구개수 조음 위치에서 음소적인 파열음을 포함한다. 파열음은 격음과 기음 특징으로 구분된다. 두 언어 모두 치경, 경구개, 그리고 연구개 마찰음과 여러 개의 중설과 측음 반모음을 포함한다.

3. 3. 형태음운론

아이마라어족 언어에서는 모든 동사·명사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야 한다. 이는 케추아어족과 다른 점이다. 차용어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스페인어 ‘habas’(콩들)은 아이마라어에서 ‘hawasa’가 되었고 하카루어에서는 ‘háwaša’가 되었다. 이런 특징은 다른 안데스 언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6]

케추아어족과 마찬가지로 아이마라어족 언어들은 교착성이 높다. 그러나 많은 교착 접미사들이 선행 어근의 모음 탈락을 일으킨다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apa’ (가져가다)의 마지막 모음은 ‘ap-su’ (가지고 나가다)가 될 때 탈락한다.[6][3][4]

4. 분류

아이마라어족에는 셈하기에 따라 두 개 또는 네 개의 언어가 속한다.



아이마라어 화자는 약 220만 명이다. 이 중 볼리비아에 170만 명이 살고, 페루에 35만 명이, 나머지는 칠레아르헨티나에 산다. 하카루어는 페루 중부에 약 725명의 화자가 있고, 카우키어는 2005년 기준으로 9명의 화자가 생존해 있었다. 카우키어에 대해 알려진 바는 별로 없지만 하카루어와 매우 가까운 관계임은 확실하다. 처음에 마사 하드먼은 매우 제한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카루어와 카우키어를 별개의 언어로 취급했지만, 이후의 모든 현장연구는 그 둘이 단일한 언어의 상호 의사 소통 가능한 두 방언임을 드러내고 있다.

5. 다른 언어와의 관계

아이마라어의 기원지는 페루 남부 해안, 특히 파라카스 문화와 후대의 나스카 문화 지역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 후 아이마라어 사용자들은 고지대로 이동하여 와리 제국에서 역할을 수행했다. 티와나쿠 제국의 붕괴와 잉카 제국의 부상 사이의 어느 시점에 일부 아이마라어 사용자들은 알티플라노를 침략했고, 다른 일부는 북서쪽으로 이동하여, 아마도 자카루의 조상이 되었고 케추아어 I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1586년의 관계 지리 보고서(Relaciones geográficas)에 따르면, 페루 남부 고지대(루카나스, 춤비빌카스, 콘데수요스 포함)에서 아이마라 방언이 기록되었으며, 19세기까지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1600년경에는 볼리비아 동부와 남부 고지대가 여전히 주로 아이마라어를 사용했지만, 광산업 발전의 결과로 케추아어를 채택했을 가능성이 있다.[1]

Jolkesky (2016)는 접촉으로 인해 케추아어, 쿤자어, 레코어, 우루-치파야어, 아라와크어, 및 푸키나어 어족과 어휘적 유사성이 있다고 언급한다.[2]

6. 어휘

원어케추아
원어
1mayamayamaya*maya*suk2payapahapaha*paha*işkay3(qimsa)(kimsa)H*kimsa4pusipuši*pusi*çusku5(phesqa)(pichqa)*-qallqo(?)*picqa6(sojhta)(suhta)*suqta7paqallqo(qançhisi)Qillay*pa-qallqo*qançis8(qimsaqallqo)(pusaqa)*pusaq9(llatunka)(isquña)*isqun10(tunka)(chuŋka)*çunka



아이마라어족과 케추아어족은 숫자 어휘가 많이 겹치는데, 괄호로 표시된 부분이 이에 해당한다.[5]

참조

[1] 서적 Chapter Languages of the Middle Andes in Areal-typological Perspective De Gruyter 2012
[2] Ph.D. dissertation Estudo arqueo-ecolinguístico das terras tropicais sul-americanas http://www.etnolingu[...] University of Brasília 2020-06-04
[3] 서적 The Languages of the And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6-10
[4] 서적 The Languages of the And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6-10
[5] 웹사이트 Andean Numerals in Aymaran languages (Rosenfelder's Metaverse) http://www.zompist.c[...]
[6] 서적 The Languages of the And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