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맹은 춘추 시대 초나라의 인물이다. 장왕의 애마를 대부의 예로 장사 지내려 하자, 풍자와 해학을 통해 이를 비판하고 육축의 예로 장사 지낼 것을 제안하여 왕의 잘못을 깨닫게 했다. 또한, 손숙오의 아들을 돕고, 장왕이 자신을 재상으로 임명하려 하자 청렴한 삶을 살기 위해 거절했다. 우맹은 풍자와 해학을 통한 현실 비판, 청렴 사상을 보여주며, 손숙오의 아들을 통해 그 의리를 실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나라 (춘추 전국 시대) - 초 (춘추 전국)
초나라는 기원전 11세기부터 기원전 223년까지 존속한 춘추 전국 시대의 제후국으로, 장강 유역을 중심으로 강력한 국가로 성장하여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굴원, 춘신군, 항우 등의 역사적 인물을 배출했다. - 초나라 (춘추 전국 시대) - 초사
《초사》는 《시경》과 함께 중국 고전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시가집으로, 초나라 방언으로 쓰여졌으며 굴원의 시와 그를 추모하는 시들을 모아 편집되었고, 남방 문화와 무속 신앙의 특징, 공상적인 내용과 형식이 특징적이며, 굴원 이후 시가 작가명이 기록되기 시작하여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우맹 | |
|---|---|
| 우맹 | |
| 개요 | |
| 활동 시기 | 기원전 7세기 경 |
| 직업 | 연기자 |
| 역할 | 어릿광대 |
| 문화권 | 중국 |
| 인물 정보 | |
| 활동 | "우맹의 의관"優孟衣冠으로 유명 익살꾼과 비평가 역할 수행 |
| 일화 | 장왕의 총애를 받은 여인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그의 옷을 입고 모방 간접적인 간언을 통해 왕에게 경각심을 줌 풍자적인 연기를 통해 정치적 메시지 전달 |
| 영향 | |
| 문화적 영향 | 재치있는 간언의 대명사 중국 희극의 기원 극단 연행자 '화지' 화지의 선구자 후대 재담가들에게 큰 영향 |
| 기타 | |
| 역사 기록 | 사마천의 사기(史記) '골계열전(滑稽列傳)'에 기록됨 춘추전국시대의 인물 |
| 평론 | 우맹과 같은 익살꾼들의 이야기는 정치적 비평의 한 형태였다. 간접적인 비평은 "지식인"의 자기 인식 형성에 영향을 줌 |
2. 생애와 일화
우맹은 춘추시대 초나라의 배우였다. 그는 재치 있는 말솜씨와 뛰어난 연기력으로 이름이 높았다.
장왕이 아끼던 말이 죽자 대부의 예로 장사 지내려 하였다. 우맹은 이를 듣고 궁궐로 들어가 크게 울며, 말의 장례를 임금의 예로 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옥으로 관을 짜고, 여러 나무로 널을 만들며, 각 나라의 사신들을 불러 장례를 치르고, 사당을 세워 제사 지내고, 만 호의 읍으로 받들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제후들이 왕이 사람보다 말을 더 귀하게 여긴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하였다. 장왕은 우맹의 말을 듣고 잘못을 깨달았고, 우맹의 제안대로 말을 육축의 예로 장사 지내도록 하였다.[7]
우맹은 초나라 재상 손숙오와 친분이 있었다. 손숙오는 죽기 전 아들에게 자신이 죽은 후 가난해지면 우맹을 찾아가 도움을 청하라고 유언했다. 몇 년 후, 손숙오의 아들은 가난에 시달리다 우맹을 찾아갔다. 우맹은 손숙오의 아들을 돕기 위해 그의 모습과 행동을 흉내 내기 시작했다. 장왕은 우맹을 손숙오로 착각하고 재상으로 삼으려 했으나, 우맹은 아내와 상의 후 손숙오처럼 청렴하게 살다 가난하게 죽는 것보다 낫다는 이유를 들어 거절했다. 그는 노래를 통해 탐관오리가 되는 것과 청렴한 관리가 되는 것의 어려움을 토로했다.[1] 장왕은 우맹에게 사과하고 손숙오의 아들에게 침구(寢丘) 땅 4백 호를 봉읍으로 내려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1]
2. 1. 장왕의 애마 사건
장왕은 아끼는 애마가 한 필 있었는데, 비단옷을 입히고 화려한 집에서 기르며, 침대에서 재우고 대추와 마른고기를 먹였다. 말이 살찌는 병으로 죽자, 장왕은 신하들에게 상복을 입게 하고 대부의 예로써 장사 지내려 하였다. 신하들이 이를 앞다투어 말렸으나, 듣지 않았다.[7]우맹은 이를 듣고 궁문으로 들어가 크게 소리내어 울었다. 장왕이 그 까닭을 물으니, 우맹이 말하였다.
"말은 왕께서 아끼시던 것입니다. 초나라처럼 위대한 나라에 기대면 무엇인들 구하지 못하겠습니까? 대부의 예로 장사 지내는 것은 박합니다. 원컨대 임금의 예로 장사 지내십시오."
왕이 그 방법을 물으니, 우맹은 말을 이었다.
"옥을 다듬어 관을 짜고, 무늬 있는 가래나무로 바깥 널을 만들고, 느릅나무·단풍나무·녹나무로 횡대를 만드십시오. 병사들을 동원하여 무덤을 파게 하고 늙은이들로 하여금 흙을 나르게 하며, 제나라·조나라의 사신을 앞쪽에 서게 하고, 한나라·위나라[7]의 사신이 그 뒤에서 호위하게 하십시오. 사당을 세워 태뢰로 제사 지내고, 만 호의 읍으로 받들도록 하십시오. 제후들이 이 소식을 들으면, 모두 대왕께서 사람을 천히 여기고 말을 귀히 여기심을 알게 될 것입니다."
장왕은 우맹의 말을 듣고는 뒤늦게 잘못을 깨달았고, 어떻게 하면 좋을지 우맹에게 물었다. 우맹이 답하였다.
"대왕을 위하여 육축[8]의 예로 장사 지내십시오. 부뚜막을 바깥 널로 삼고 구리솥을 속 널로 삼아, 생강과 대추를 섞어 목란을 때어 볏짚으로 제사 지내고 타오르는 불빛으로 옷을 입혀 사람의 창자 속에 장사 지내는 것입니다."
장왕은 말을 태관[9]에게 맡겨, 아무도 모르게 처리하였다.
2. 2. 손숙오를 기림
손숙오는 우맹이 어진 사람임을 알고 잘 대해 주었다. 손숙오가 병으로 죽으려 할 때 아들에게 "내가 죽으면 너는 필시 가난해질 것이다. 만일 우맹을 만나게 되거든, 네가 나의 아들임을 일러 주어라."라고 말했다.[1]몇 년 후, 과연 아들은 나무를 등에 지고 다닐 정도로 곤궁해졌다. 곧 우맹을 만나 손숙오의 유언을 말해 주니, 우맹은 그로 하여금 멀리 가는 일이 없도록 하고 그날로 손숙오의 의관을 걸치고 말과 행동을 흉내냈다. 한 해 남짓 지나, 우맹은 손숙오와 비슷해져 장왕의 신하들조차 분간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다.[1]
장왕이 주연을 베풀었을 때, 우맹이 앞으로 나아가 잔을 올리니 장왕은 깜짝 놀랐다. 그리고는 손숙오가 다시 살아온 것으로 여겨, 그를 재상으로 삼으려 하였다. 우맹은 아내와 상의할 수 있도록 사흘의 시간을 요구하였고, 장왕은 그렇게 하였다. 사흘 뒤 우맹이 돌아왔고, 왕이 어떻게 되었는지 묻자 우맹이 "아내는 저더러 '재상을 하지 마십시오. 초나라 재상은 할 만한 것이 못 됩니다. 손숙오 같은 분은 재상이 되어 충성을 다하고 청렴하게 초나라를 다스려 왕을 패자로 만드셨습니다. 그런데 그가 죽고, 그의 아들은 송곳 꽂을 땅조차 없을 정도로 가난하여 땔나무를 져서 스스로 먹을 것을 마련합니다. 손숙오처럼 될 바에야 차라리 목숨을 끊는 것이 낫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라고 대답했다.[1]
그러고는 노래를 불렀다.[1]
장왕은 우맹에게 사과하고, 손숙오의 아들을 불러 침구(寢丘) 땅 4백 호를 봉지로 주어 손숙오의 제사를 모시게 하였다. 제사는 10세까지 이어졌다.[1]
3. 사상과 영향
우맹은 청렴 사상을 강조했으며, 이는 그가 남긴 일화에 잘 나타난다. 우맹은 초나라 재상 손숙오를 존경하여 그를 흉내내기도 했다. 손숙오가 죽은 후 그의 아들이 가난하게 살자, 우맹은 손숙오의 옷을 입고 행동을 따라 하며 장왕에게 손숙오의 청렴함을 알리고자 했다.[1]
장왕이 우맹을 손숙오로 착각하고 재상 자리를 제안하자, 우맹은 아내와 상의 후 손숙오처럼 청렴한 재상은 결국 가난을 면치 못한다며 재상 자리를 거절하는 노래를 불렀다. 이를 통해 탐관오리는 결국 멸망하지만, 청렴한 관리도 가난하게 살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풍자했다.[1]
장왕은 손숙오의 아들에게 봉토를 주어 제사를 지내게 했고, 이는 청렴의 중요성을 강조한 우맹의 사상이 반영된 결과였다.[1]
3. 1. 청렴 사상
손숙오는 재상으로 있으면서 우맹이 어진 사람이라 생각해 잘 대해주었다. 손숙오는 병으로 죽기 전 아들에게 자신이 죽은 후 우맹을 찾아가 아들이라 말하라고 유언을 남겼다.[1]몇 년 후, 손숙오의 아들은 가난하여 나무를 등에 지고 다닐 정도가 되자 우맹을 찾아가 손숙오의 유언을 전했다. 우맹은 손숙오의 아들이 멀리 가지 않도록 하고, 그날부터 손숙오의 의관을 착용하고 말과 행동을 흉내 냈다.[1]1년 정도 지나자 우맹은 손숙오와 매우 비슷해져 장왕의 신하들조차 구별하기 어려웠다. 장왕이 연회를 열었을 때 우맹이 앞으로 나아가 잔을 올리자, 장왕은 깜짝 놀라 손숙오가 살아 돌아왔다고 생각해 그를 재상으로 삼으려 했다. 우맹은 아내와 상의할 시간을 사흘 달라고 요청했고, 장왕은 허락했다.[1]
사흘 뒤 우맹이 돌아와 왕에게 아내의 말을 전했다. 아내는 "손숙오와 같이 청렴하게 재상직을 수행하여 왕을 패자로 만들었지만, 정작 본인은 죽은 후 아들이 송곳 꽂을 땅조차 없이 가난하게 살고 있으니, 재상을 하지 말라"고 했다는 것이다.[1]
그러면서 우맹은 노래를 불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탐욕스러운 관리는 재물을 남기고 치욕을 돌아보지 않지만, 결국 몸은 죽고 집안은 망하게 된다. 청렴한 관리가 되어 법을 받들고 나쁜 짓을 하지 않아야 하지만, 초나라 재상 손숙오는 평생 청렴했음에도 처자식은 가난하여 땔나무를 져서 먹고 사니 청렴한 관리도 할 것이 못 된다는 내용이었다.[1]
장왕은 우맹에게 사과하고 손숙오의 아들을 불러 침구 땅 4백 호를 봉지로 주어 손숙오의 제사를 모시게 했다. 제사는 10세까지 이어졌다.[1]
참조
[1]
서적
Fools Are Everywhere: The Court Jester Around the Worl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
서적
Chinese Theater: From Its Origins to the Present Day
University of Hawaii Press
[3]
서적
Encyclopedia of Humor Studies
SAGE Publications
[4]
서적
Text and Ritual in Early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5]
서적
Views from Within, Views from Beyond: Approaches to the ''Shiji'' as an Early Work of Historiography
Harrassowitz Verlag
[6]
일반
[7]
일반
[8]
일반
[9]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