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춘추 전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나라는 춘추 전국 시대에 존재했던 강력한 제후국으로, 전욱의 후손이 건국했다. 주나라의 세력이 약해지면서 세력을 확장하여 춘추 시대에는 춘추오패 중 하나인 초 장왕이 등장했고, 전국 시대에는 전국 칠웅의 하나로 성장했다. 굴원, 춘신군, 항우 등 다양한 인물들이 초나라와 관련되어 있으며,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발전시켰다. 기원전 223년 진나라에 멸망했으나, 이후 초한 쟁패기에 부활했지만 결국 한나라에 의해 완전히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초 (춘추 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국명 | 초(楚) |
다른 표기 | 형(荊) 형초(荊楚) |
국성 | 미성(羋姓) 웅씨(熊氏) |
위치 | 후베이성 |
존속 기간 | 기원전 1030년 ~ 기원전 223년 |
정치 | |
정치 체제 | 자작 (기원전 704년 이전) 왕국 (기원전 704년–223년) |
시조 | 웅역 |
주요 인물 | 육웅 (초대) 웅려 웅계 (말대) |
수도 | |
수도 | 단양 (기원전 1030년경 – 기원전 680년경) 영 (기원전 680년경 – 기원전 278년) 진 (기원전 278년–241년) 수춘 (기원전 241년–224년) 펑청 |
역사 | |
건국 | 웅역에 의해 건국 |
웅통의 왕 칭호 | 웅통이 왕을 칭하다 (기원전 706년 또는 703년) |
멸망 | 진에 의해 멸망 (기원전 223년) |
멸망 원인 | 초나라 정복 |
언어 및 종교 | |
공용어 | 초어, 상고 한어 |
종교 | 중국 민간 신앙 조상 숭배 |
화폐 | |
화폐 | 고대 중국 화폐 |
기타 | |
씨족 | 나이 미 염 웅 |
2. 역사
사마천의 사기 초세가에 따르면, 초나라는 삼황오제 중 한 명인 전욱 고양의 후손이 세운 나라이다. 주 문왕 때 계련의 후손 육웅이 초나라 웅씨들의 시조가 되었다.[44]
주 성왕은 주나라 건국 공신들의 후손들에게 논공행상을 하면서, 육웅의 증손자인 웅역에게 자작 작위를 수여하고 형만(荊蠻) 땅에 봉했다. 다만 그 봉지는 남작에 준하여 주었다.[44] 웅역은 초나라 도읍을 단양[45]으로 정했다.
서주 이왕 때 주나라 세력이 쇠약해지자, 웅거는 군사를 일으켜 용(庸)[46]과 양오(楊奧)[47]에서 악(鄂)[48]까지 정벌하여 영토를 넓혔다. 웅거는 잠시 왕을 자칭했으나, 서주 여왕 즉위 후 정벌이 두려워 칭왕을 그만두었다.
기원전 841년 서주 여왕이 국인폭동으로 쫓겨나자, 주나라는 공화기를 맞아 제후 통제력을 상실했다. 초나라는 이 혼란을 틈타 세력을 키웠다. 기원전 822년 웅순 즉위 후 내부 분쟁이 가라앉고 통합된 힘으로 빠르게 팽창했다. 이후 약오, 소오, 분모가 자작이 되면서 초나라는 크게 발전하여 수나라와 어깨를 겨루었다.
기원전 741년 웅통( 초 무왕)이 분모의 세자를 죽이고 자작이 되었다. 기원전 704년 웅통은 스스로 왕이라 칭하고 복[49] 땅을 개간하여 영토로 삼았다.
기원전 690년 초 문왕은 도성을 단양에서 영으로 옮기고, 기원전 638년 등(鄧)나라를 정벌하여 멸망시켰다.
기원전 637년 송 양공이 제후들을 우(盂)[50]에 소집하자 초 성왕은 군사를 매복하여 송 양공을 잡았다가 풀어주었다. 기원전 631년 기나라(夔)[51]를 멸망시켰으나, 같은 해 성복(城濮)에서 진나라에 대패하였다.[52] 기원전 626년 초 목왕이 즉위하였다.
기원전 614년 초 장왕이 즉위하여 춘추오패 중 한 명으로 맹위를 떨쳤다. 그러나 초나라는 부추 왕 때 기원전 223년 진나라 왕전(王翦)에게 대장군 항연(項燕)과 함께 사로잡히고, 남은 세력도 왕분과 몽염에게 항복하며 멸망했다. 초한쟁패기에 초 의제가 세워져 초나라가 재건되었으나, 의제가 항우에게 살해당하고 항우도 유방에게 패하면서 초나라는 완전히 멸망한다.
2. 1. 건국과 초기 발전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초나라는 삼황오제 중 한 명인 전욱 고양의 후손이 세운 나라이다. 주 문왕 때 계련의 후손 육웅이 초나라 웅씨들의 시조가 되었다.[44] 육웅의 증손자인 웅역 때 주 성왕으로부터 자작의 작위를 받고 형만(荊蠻) 땅에 봉해져 초나라의 기틀을 다졌다.[44] 서주 이왕 때 웅거는 스스로 왕을 칭하기도 했으나, 서주 여왕의 압박에 칭왕을 그만두었다.기원전 841년 서주 여왕이 국인폭동으로 쫓겨난 후, 초나라는 혼란을 틈타 세력을 확장했다. 기원전 822년 웅순이 자작이 되면서 내부 분쟁이 가라앉았고, 통합된 힘을 바탕으로 빠르게 세력이 팽창하기 시작했다. 이후 약오, 소오와 분모가 자작이 되면서 초나라는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당시 강대국이었던 수나라와 어깨를 겨루게 되었다.
2. 2. 춘추시대
기원전 741년 초 무왕이 즉위하여 스스로 왕이라 칭하고, 주변 국가들을 정복하며 영토를 확장했다. 초 문왕은 도성을 단양에서 영으로 옮기고, 기원전 638년 등나라를 멸망시켰다.[44][45]기원전 637년 초 성왕은 송 양공을 사로잡았다가 풀어주었고, 기원전 631년 기나라(夔)를 멸망시켰으나, 같은 해 성복 전투에서 진나라에 대패하였다.[52] 기원전 626년 초 목왕이 즉위하였다.
기원전 614년 초 장왕이 즉위하여 춘추오패 중 한 명으로 꼽힐 정도로 강성해졌으나, 기원전 597년 비 전투에서 진나라에 패배하며 잠시 주춤했다.
기원전 6세기 초, 진나라는 양쯔강 삼각주 부근의 오나라를 강화하여 초나라를 견제했다. 기원전 506년 오나라는 보주 전투에서 초나라를 격파하고 수도 영을 점령하여, 초 소왕이 피신하기도 했다. 초나라는 월나라를 지원하여 오나라를 견제했고, 결국 월나라가 오나라를 멸망시켰다.
2. 3. 전국시대
楚중국어나라는 기원전 479년 진(陳)나라를 병합하고, 기원전 447년에는 북쪽의 채(蔡)나라를 정복하며 세력을 회복했다. 기원전 390년대 후반, 초 도왕은 오기를 승상으로 임명하여 개혁을 단행했다. 오기는 관리들의 봉급을 낮추고 무능한 관리들을 제거하는 등 개혁을 통해 기원전 389년 초나라를 효율적이고 강력한 국가로 변모시켰다.[12] 오기의 개혁으로 초나라는 강성해져 위(魏)나라와 월(越)나라를 물리쳤다. 기원전 333년에는 월나라를 제(齊)나라와 분할하여 영토를 확장했다.[44] 그러나 기원전 381년 도왕의 장례식에서 오기가 암살당하면서 개혁은 중단되었다.[45]
오기는 저서 『오자』에서 초나라 군대의 약점을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 초나라 백성은 부드럽고 약하다. 그들의 땅은 넓고 넓게 펼쳐져 있지만 정부는 그 광활함을 효과적으로 통치할 수 없다. 그들의 군대는 지쳐 있으며, 그들의 진형은 정돈되어 있지만, 오랫동안 자리를 유지할 자원이 없다. 그들을 물리치려면 신속하고 예상치 못하게 공격하고 그들이 반격하기 전에 신속하게 후퇴해야 한다. 이것은 그들의 지친 병사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하고 전투 의지를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끈기만 있다면 그들의 군대는 패배할 것이다.
전국시대 후기, 초나라는 서쪽의 진(秦)나라로부터 압력을 받았다. 기원전 241년, 초, 조(趙), 위, 연(燕), 한(韓) 5개국이 동맹을 맺어 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초 고열왕은 춘신군에게 패배의 책임을 물었고, 이후 초나라는 수도를 동쪽의 수춘으로 옮겼다.[46]
기원전 278년, 진나라 백기 장군에게 수도 영이 함락되자, 초나라 정부는 동쪽으로 이동하여 기원전 241년 수춘에 정착했다. 기원전 225년에는 진, 초, 연, 제만이 남았다. 기원전 224년 진시황은 왕전에게 60만 대군을 주어 초나라를 공격하게 했다. 항연이 이끄는 초나라 군대는 왕전에게 패배하고, 기원전 223년 진나라는 초나라 수도 수춘을 함락시켰다. 초 부추 왕은 사로잡혔고 초나라는 멸망했다.[47]

전국 시대 초나라는 인구 밀도가 낮은 광대한 영토에 왕족과 종족이 많고, 녹봉만 받는 관리가 많아 국가 통제가 약했다. 기원전 278년 백기에게 수도 영이 함락되고, 진으로 천도했다. 그 후 춘신군의 주도로 연합군이 진나라에 출병했지만 실패하고, 수춘으로 천도했다. 춘신군 사후, 기원전 223년 진나라 왕전 장군에게 항연(항우의 할아버지)이 패배하여 멸망했다.
2. 4. 진나라 멸망 이후
진나라에 정복당한 초나라 백성들은 진나라의 엄격한 통치를 공공연히 무시했다. 그들은 진나라의 혹독한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된 국가를 재건하기를 열망했다.[14] [15] 이러한 백성들의 열망은 "비록 초나라에 세 가문만 남았다 해도, 진나라는 반드시 초나라 손에 망할 것이다"(楚雖三戶|초수삼호중국어)라는 속담에 잘 나타나 있다.기원전 209년, 초나라 농민 진승은 대택향 봉기를 일으켜 자신을 "장초왕"(張楚王)이라고 선포했다. 이 봉기는 진압되었지만, 다른 반란들을 촉발시켰다. 반란 지도자 중 한 명인 경주는 자신을 새로운 초나라 왕으로 선포했으나, 항량에게 패배했다. 항량은 초나라 왕족의 후손인 웅심을 왕위에 올렸다.
기원전 206년, 진나라 멸망 후, 항량의 조카 항우는 자신을 "서초패왕"으로 선포하고 웅심을 "의제"(義帝)로 높였으나, 곧 의제를 암살했다. 이후 항우는 유방과 초한전쟁을 벌였으나 패배하고 자살했다. 유방은 한나라를 세우고, 초나라의 핵심 영토는 한신을 거쳐 유방의 형제 류교에게 초나라로 하사되었다.
3. 정치
모아(莫敖중국어)와 령윤(令尹중국어)은 초나라 최고 정부 관료였다. 사마는 초나라 군대의 군사령관이었다. 령윤, 모아, 사마는 초나라의 삼공(三公중국어)이었다.[29] 춘추 시대에는 령윤의 차관으로 좌윤(左尹중국어)과 우윤(右尹중국어)이, 사마(司馬중국어)는 좌사마(左司馬중국어)와 우사마(右司馬중국어)의 보좌를 받았다. 모아의 지위는 점차 낮아진 반면, 령윤과 사마는 초나라 조정에서 더욱 강력한 직책이 되었다.[29]
직책에 따라 기능이 다양한 장관들은 윤(尹중국어)이라고 불렸다. 예를 들어 령윤(재상), 공윤(공사), 진윤 등은 모두 "윤"이라는 접미사를 붙였다.[30] 심윤(沈尹중국어)은 초나라의 종교 의식 장관 또는 대제사장이었으며, 여러 좌전(左傳) 기록에서 점술가 역할이었음을 보여준다.[31] 역사에 기록된 다른 윤들은 우윤, 련윤, 교윤, 공기윤, 령윤, 환려지윤(궁궐 경비대장), 월윤(음악 장관) 등이 있다. 현(縣)과 군(郡)에서는 현윤으로도 알려진 공(公중국어)이 최고 행정관이었다.[32]
많은 경우 초나라 관료 제도의 직책은 미씨(芈) 왕족의 분가 구성원들이 세습적으로 보유했다. 초나라의 세 명의 재상 중 한 명인 모아는 굴씨(屈중국어)에서만 배출되었다. 초기 춘추 시대와 약아의 난 이전에는 령윤은 약아들, 즉 투(鬭중국어)와 성(成중국어)이 차지한 직책이었다.[33]
4. 문화
서주 시대 초나라와 북쪽 중원 제후국들의 문화는 큰 차이가 없었다. 춘추 시대 후반부터 초나라 문화는 독자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는데, 이전 시기 சில 특징들을 보존하면서 새로운 현상들을 발전시키고 합병된 지역의 요소들을 흡수했다. 초나라 문화는 지역에 따라 다양성이 컸다.[16] 진, 연 등 중원 국가들은 초나라를 문화적으로 덜 발달했다고 여겼으나, 이는 초나라가 중원에 비해 늦게 발전했기 때문이며, 진(秦)나라 유교 학자들이 통치 체제를 비판하고 한나라에서 문화적 반대자들을 억제하기 위해 만들어낸 고정관념이었다.[17] 전한의 창업주가 초나라 출신이었기 때문에 초나라 문화는 진나라, 전국 시대 다른 제후국들의 문화와 함께 후한 문화의 기반이 되었다.[18]
초기 초나라 무덤에서는 주나라 양식의 청동기가 주로 발견되었다. 초나라 청동기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는데, 허난성 서천현(西川縣)에서 발굴된 초나라 무덤의 청동 진(제단)은 모양이 복잡하다. 기원전 6세기 중엽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 유물은 중국 본토에서 발견된 초기 분실 왁스 주조 유물 중 하나이다.[19] 전국 시대 후기 초나라 무덤에서는 다채로운 칠기, 철기, 비단 등 독특한 부장품이 등장했고, 청동기 제기는 줄어들었다.
초나라의 일반적인 모티프는 야생 동물, 신비로운 동물, 자연 이미지(예: 뱀, 용, 봉황, 호랑이, 자유롭게 흐르는 구름, 뱀 모양의 존재)를 생생하게 묘사한 것이었다. 일부 고고학자들은 초나라가 상나라와 문화적 연관성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하는데, 초나라가 사용한 많은 모티프가 뱀 꼬리를 가진 신과 같은 상나라 유적에서 더 일찍 나타났기 때문이다. 긴팔원숭이와 기가 많은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동물들을 숭배하는 것 또한 일반적인 초나라 사상이었다.[20]
후기 초나라 문화는 샤먼과의 친화력으로 알려져 있다. 초나라 문화와 정부는 도교[20]를 지원했고, 토착 샤머니즘은 주나라 의례에 대한 일부 유교적 해석을 보완했다. 초나라 사람들은 중국 신화의 불의 신 축융과 자신을 동일시했으며, 이러한 이유로 불을 숭배하고 붉은색을 사용했다.[21]
자연주의적이고 흐르는 듯한 예술, ''초사'', 역사 기록, 곽전 죽간과 같은 발굴된 대나무 문서 및 기타 유물은 초나라 문화에 대한 도교와 토착 민간 신앙의 강한 영향을 보여준다. 영적이고 쾌락적이며 타락한 생활 방식에 대한 성향과 초나라 영토의 규모에 대한 자신감은 법가 국가인 진(秦)나라에 의한 초나라 몰락으로 이어졌다. 진나라는 초나라의 방대한 천연 자원과 수로가 부족했지만, 유능한 장관 상앙 아래 생산량을 극대화하여 농업과 군사력에만 집중하는 실력주의를 설치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초나라 음악은 주나라와 다르게 기록되었다. 초나라 음악은 다른 연주단과 독특한 악기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나라에서는 瑟이 금보다 선호되었는데, 이는 북쪽 주나라 제후국에서 두 악기가 동등하게 선호되었던 것과 대조적이다.
초나라는 남쪽의 바, 월, 백월 등 다른 민족들과 자주 접촉했다. 바나라와 월나라 양식의 수많은 매장과 부장품이 초나라 영토 전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초나라 양식의 매장, 부장품과 함께 존재했다.
마왕퇴에서는 초나라의 일부 고고학적 기록이 발견되었다. 한나라 이후 일부 유교 학자들은 초나라 문화를 싫어하며 초나라 문화와 관련된 "음란한" 음악과 샤머니즘 의례를 비판했다.
초나라의 장인 기술에는 색상, 특히 칠 목공예가 포함된다. 빨간색과 검은색 안료 칠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견직물 또한 높은 수준의 장인 정신을 보여주며, 흐르는 디자인의 가벼운 로브를 만들었다. 이러한 예시는 마왕퇴와 같이 칠이 시간이 지나도 벗겨지지 않은 물에 잠긴 무덤이나 석탄, 백토로 밀봉된 무덤에서 보존되었다.
초나라는 "새와 벌레" 양식이라고 불리는 서체를 사용했는데, 이는 오나라와 월나라에 의해 차용되었다. 이 서체는 동물, 뱀, 새, 곤충의 모티프로 문자를 장식하는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 세계와 그 활기찬 모습을 보여준다. 초나라는 오월 검과 비슷하지만 정교하지 않은 넓은 청동 검을 생산했다.
초나라는 마차로 보강된 배의 수운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는 영에 있는 초나라 수도와 연결되는 하천 시스템을 따라 무역에 관한 금 상감 청동 기록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춘추전국시대 초나라가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는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는 점이다. 춘추오패(春秋五覇)와 전국칠웅(戰國七雄) 중에서도 샤머니즘적인 요소를 지닌 초나라 무덤에서는 「인물용봉백화(人物龍鳳帛畫)」, 「인물어룡백화(人物御龍帛畫)」와 같은 백화(帛畫), 「진묘수(鎮墓獸)」와 같은 악귀를 막는 부장품 등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유물이 많이 발견되었다. 다른 나라에서도 동물 숭배가 행해졌지만, 초나라에서는 특히 동물 숭배가 성행했다. 또한 중원(中原) 양식의 건물과 매장품도 발견되어 중원의 영향을 받았고, 중국화(中國化)도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3년 영지(郢地)에서 발굴된 경문시 곽전 1호 초묘(荊門市郭店一号楚墓)에서는 초나라 고유 한자인 초문자(楚文字)로 쓰여진 죽간(竹簡)이 다량 발견되었다. 여러 차례 도굴을 당해 보존 상태가 좋은 청동제 제기(祭器)는 소수에 불과하여 분석이 어렵고 연대 확정이 어렵지만, 전국 시대 후기 초나라 무덤의 특징적인 부장품이 없는 점 등으로 보아 이 죽간들은 전국 시대 중기부터 후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죽간 발견 전까지 초나라는 사기(史記) 기록 등을 통해 도교(道敎)나 귀도(鬼道)가 성행한 미개한 나라로, 역사적 경위 등으로 보아 유교(儒敎)는 경시되었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태부(太傅)의 유물로 보이는 이 죽간들에서는 도가(道家)의 책은 노자(老子) 등 4편만 발견되었을 뿐, 대부분은 주례(周禮)를 비롯한 유가(儒家)의 책이었다. 이를 통해 귀족 자제의 교육은 중원(中原) 제국과 마찬가지였다고 추정된다.
5. 역대 군주
대수 | 칭호 | 성명 | 재위기간 |
---|---|---|---|
1 | 웅역 | ||
2 | 웅애 | ||
3 | 웅단 | ||
4 | 웅승 | ||
5 | 웅양 | ||
6 | 웅거 | ||
7 | 웅지홍 | ||
8 | 웅연 | ||
9 | 웅용 | 기원전 847년 ~ 기원전 838년 | |
10 | 웅엄 | 기원전 837년 ~ 기원전 828년 | |
11 | 웅상 | 기원전 827년 ~ 기원전 822년 | |
12 | 웅순 | 기원전 821년 ~ 기원전 800년 | |
13 | 웅악 | 기원전 799년 ~ 기원전 791년 | |
14 | 약오(若敖) | 웅의 | 기원전 790년 ~ 기원전 764년 |
15 | 소오(霄敖) | 웅감 | 기원전 763년 ~ 기원전 758년 |
16 | 분모(蚡冒) | 웅순 | 기원전 757년 ~ 기원전 741년 |
17 | 무왕(武王) | 웅철 | 기원전 740년 ~ 기원전 690년 |
18 | 문왕(文王) | 웅자 | 기원전 689년 ~ 기원전 675년 |
19 | 장오(莊敖) | 웅간 | 기원전 674년 ~ 기원전 672년 |
20 | 성왕(成王) | 웅운 | 기원전 671년 ~ 기원전 626년 |
21 | 목왕(穆王) | 웅상신 | 기원전 625년 ~ 기원전 614년 |
22 | 장왕(莊王) | 웅려 | 기원전 613년 ~ 기원전 591년 |
23 | 공왕(共王) | 웅심 | 기원전 590년 ~ 기원전 560년 |
24 | 강왕(康王) | 웅소 | 기원전 559년 ~ 기원전 545년 |
25 | 겹오(郟敖) | 웅균 | 기원전 544년 ~ 기원전 541년 |
26 | 영왕(靈王) | 웅건 | 기원전 540년 ~ 기원전 529년 |
27 | 자오(訾敖) | 웅비 | 기원전 529년 |
28 | 평왕(平王) | 웅거 | 기원전 528년 ~ 기원전 516년 |
29 | 소왕(昭王) | 웅임 | 기원전 515년 ~ 기원전 489년 |
30 | 혜왕(惠王) | 웅장 | 기원전 488년 ~ 기원전 432년 |
31 | 간왕(簡王) | 웅중 | 기원전 431년 ~ 기원전 408년 |
32 | 성왕(聲王) | 웅당 | 기원전 407년 ~ 기원전 402년 |
33 | 도왕(悼王) | 웅의 | 기원전 401년 ~ 기원전 381년 |
34 | 숙왕(肅王) | 웅장 | 기원전 380년 ~ 기원전 370년 |
35 | 선왕(宣王) | 웅량부 | 기원전 369년 ~ 기원전 340년 |
36 | 위왕(威王) | 웅상 | 기원전 339년 ~ 기원전 329년 |
37 | 회왕(懷王) | 웅괴 | 기원전 328년 ~ 기원전 299년 |
38 | 경양왕(頃襄王) | 웅횡 | 기원전 298년 ~ 기원전 263년 |
39 | 고열왕(考烈王) | 웅완 | 기원전 262년 ~ 기원전 238년 |
40 | 유왕(幽王) | 웅한 | 기원전 237년 ~ 기원전 228년 |
41 | 애왕(哀王) | 웅유 | 기원전 228년 |
42 | - | 웅부추 | 기원전 227년 ~ 기원전 223년 |
43 | 창평군(昌平君) | 웅계 | 기원전 223년 |
6. 주요 인물
7. 관련 국가
초나라는 원래 후베이성 지역의 다른 국가들을 흡수하여 세력을 강화한 후, 북쪽의 화북 평원으로 진출하였다. 기원전 648년 여름에는 황나라를 병합했다.[11]
초나라의 위협에 맞서 진의 지휘 아래 여러 북방 동맹이 결성되어 초나라를 견제했다. 초나라는 기원전 632년 성포 전투에서 대패를 당하기도 했다. 기원전 6세기 동안 진나라와 초나라는 중원의 패권을 놓고 수많은 전투를 벌였으며, 기원전 597년 비 전투에서 진나라가 패배하기도 했다. 초나라는 정나라를 대리자로 이용해 중원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했고, 진나라는 노나라, 위나라, 송나라와 동맹을 맺어 균형을 유지했다. 양국 간의 긴장은 기원전 579년 휴전 조약 체결 전까지 계속되었다.[33]
기원전 6세기 초, 진나라는 양쯔강 삼각주 부근의 오나라를 강화하여 초나라에 대항하게 했다. 오나라는 제나라를 패배시킨 후 기원전 506년 초나라를 침공, 보주 전투 이후 수도 영을 점령하여 조왕이 피신하기도 했다. 조왕은 결국 영으로 돌아왔지만, 기원전 504년 오나라의 공격 이후 수도를 약나라 영토로 옮겼다. 초나라는 절강성의 월나라를 강화하여 오나라에 대항하게 했다. 월나라는 처음에는 오나라 부차에게 정복당했지만, 구천이 풀려난 후 오나라를 멸망시켰다.
초나라는 기원전 479년 진나라를 병합하고, 기원전 447년에는 채나라를 정복했다. 기원전 5세기 말, 초나라 정부는 부패하고 비효율적이었으며, 국가 재정은 왕실 수행원의 급여에 주로 사용되었다. 군대는 규모는 컸지만 질이 낮았다.
기원전 390년대 후반, 도왕은 오기를 승상으로 임명하여 개혁을 단행했다. 오기는 관리들의 봉급을 낮추고 무능한 관리들을 제거했으며, 건축 규정을 제정했다. 오기의 개혁은 초나라를 강력하게 만들었지만, 기원전 381년 도왕의 장례식에서 암살당했다.
전국시대 후기, 진나라의 압력이 거세지면서 초나라는 남쪽과 동쪽으로 확장했다. 기원전 241년, 초, 조, 위, 연, 한의 다섯 나라가 동맹을 맺어 진나라를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이후 초나라는 수도를 동쪽의 수춘으로 옮겼다.
진나라가 초나라 영토로 확장하면서 초나라는 남쪽과 동쪽으로 확장하며 지역 문화적 영향을 받아들였다. 기원전 223년 초나라는 노나라를 정복했지만, 잦은 침략으로 인해 결국 진나라에 멸망했다.
다음은 초나라에 의해 멸망한 국가들이다.
8. 언어
춘추 전국 시대 초나라의 청동기 명문은 당시 고대 중국어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22] 그러나 초나라에서 사용되던 방언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몽미엔어족, 크라다이어족, 티베트-버마어족 등 다양한 계통의 언어로부터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23][24]
초나라 방언의 계통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제기되었다.
- 북방 기원의 이례적인 초기 중국어 방언[25]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Norman & Mei 1976, Boltz 1999)
- 몽미엔어족 (Erkes 1930, Long & Ma 1983, Brooks 2001, Sagart et al. 2005)[26]
- 크라다이어족 (Liu Xingge 1988, 정장상방 2005)
- 티베트-버마어족 (Zhang Yongyan 1992, Zhou Jixu 2001)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몽미엔어족, 티베트-버마어족의 혼합 (Pullyblank 1983, Schuessler 2004 & 2007)
- 불명
Schuessler(2007)는 荆(징, Jīng)과 楚(초, Chǔ)가 모두 가시가 있는 꼭두서니나무(속명 Vitex)를 가리킨다는 점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비교 자료를 제시한다.[27]
- 楚(초, Chǔ) < 고대 중국어 *tshraʔ 은 원시 몬어 *jrlaaʔ "가시, 가시가 있는 대나무(가시가 있는 식물의 이름에 추가됨)", 크메르어 /cǝrlaʔ/, 세마이어 /jǝrlaaʔ/와 비교되며, 모두 원시 몬-크메르어 *ɟlaʔ "가시"에서 유래한다.[28]
- 荆(징, Jīng) < 고대 중국어 *kreŋ은 크메르어 ជ្រាំង(crĕəng) “곤두서다”와 ប្រែង(praeng) “곤두선 것”과 비교되며, 중국어 어두 *k-는 명사 형성 접두사일 가능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楚都丹陽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Chu
https://www.britanni[...]
2023-11-03
[3]
뉴스
河南库区发掘工作圆满结束,出土文物已通过验收
https://web.archive.[...]
合肥晚报
2011-01-25
[4]
뉴스
科大考古队觅宝千余件
https://web.archive.[...]
凤凰网
2011-01-25
[5]
웹사이트
The Regional State of Chu 楚
http://chinaknowledg[...]
2018
[6]
서적
A History Of Chu (Volume 1)
Enrich Professional Publishing
2019
[7]
웹사이트
楚世家 (House of Chu)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Yu Ding: Evidence of the Extermination of the State of E during the Western Zhou Dynasty (禹鼎:西周灭鄂国的见证)
https://archive.toda[...]
[9]
서적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1999
[10]
서적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1999
[11]
웹사이트
5.僖公 BOOK V. DUKE XI.
http://www2.iath.vir[...]
[12]
문서
Li and Zheng
[13]
웹사이트
The Warring States
http://book.sina.com[...]
[14]
문서
Traditionally taken to be the Qu (屈), Jing (景), and Zhao (昭).
[15]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16]
서적
Defining Chu : Image and Reality in Ancient Chin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9
[17]
서적
Defining Chu: Image and Reality in Ancient Chin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9
[18]
서적
Defining Chu : Image and Reality in Ancient Chin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9
[19]
서적
Metalworking in Bronze Age China: The Lost-Wax Process By Peng Peng
https://www.cambriap[...]
cambria Press
2020
[20]
웹사이트
Indigenous or Foreign? A Look at the Origins of the Monkey Hero Sun Wukong
https://sino-platoni[...]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98-09
[21]
서적
中國學術思想研究輯刊: 二編, Volume 6
2008
[22]
서적
Liăng-Zhōu jīnwén yùnwén he xiān-Qín 'Chŭ-yīn
http://gb.oversea.cn[...]
Journal of Chuxiong Teacher's College
1993
[23]
논문
Language Contact and Language Change in the History of the Sinitic Languages
2010-01-01
[24]
논문
Chuguo ji qi minzu (The country of Chu and its nationalities)
1989
[25]
문서
You Rujie 1992, Dong Kun 2006 etc.
[26]
논문
上古楚语中的南亚语成分 (Austroasiatic elements in ancient Chu dialect)
https://web.archive.[...]
2014
[27]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Old Chines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28]
서적
A Mon-Khmer Comparative Dictionary
2006
[29]
서적
中國早期國家性質
Zhishufang Press
2003
[30]
서적
《左传》研究文献辑刊(全二十二册)
National Library of China publishing house
2012
[31]
논문
從新出文字材料論楚沈尹氏之族屬源流
https://web.archive.[...]
2008-09
[32]
서적
财政史研究
中国财政经济出版社
2012
[33]
서적
春秋大事表
Zhonghua Book Company
1993
[34]
문서
Gongyang Zhuan, Duke Wen, 6th year of, Duke Xuan, 8th year of
[35]
웹사이트
清华简《楚居》解析
https://web.archive.[...]
jianbo.org
[36]
문서
Note: ''[[Shiji]]'' calls him Xiong Zhihong (熊摯紅), and says his younger Xiong Yan killed him and usurped the throne. However, ''[[Zuo Zhuan]]'' and ''[[Guoyu (book)|Guoyu]]'' both say that Xiong Zhi abdicated due to illness and was succeeded by brother Xiong Yan. ''Shiji'' also says he was the younger brother of Xiong Kang, but historians generally agree that he was the son of Xiong Kang.
[37]
웹사이트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http://aeea.nmns.edu[...]
2006-07-04
[38]
웹사이트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Capricornus
https://penelope.uch[...]
[39]
웹사이트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Ophiuchus
https://penelope.uch[...]
penelope.uchicago.edu
2015-10-23
[40]
웹사이트
http://aeea.nmns.edu[...]
2006-06-24
[41]
웹사이트
Megataxonomy of negative-sense RNA viruses
https://web.archive.[...]
2019-01-12
[42]
문서
[[代 (戦国)|代]]は[[趙 (戦国)|趙]]の亡命政権であり、[[秦]]に滅ぼされた。
[43]
서적
A History Of Chu (Volume 1)
Enrich Professional Publishing
2019
[44]
문서
이를 자남지전(子男之田)이라고 한다. 주나라가 이민족들을 제후국에 봉할 때 그들이 강성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자주 썼던 이민족들을 배척하는 방법이다.
[45]
문서
초 나라의 첫 번째 도읍지로써 지금의 [[후베이성]] 자귀현(秭歸縣) 동남쪽의 고을로써 장강의 강안(江岸) 도시로 [[쓰촨성]]과의 경계에 있다.
[46]
문서
지금의 [[후베이성]] 죽산현(竹山縣) 서남쪽에 있었던 제후국
[47]
문서
양우(楊雩) 혹은 양월(陽越)이라고도 한다. 지금의 [[후베이성]] 강릉현(江陵縣) 일대
[48]
문서
지금의 [[후베이성]] 악성현(鄂城縣) 부근
[49]
문서
지금의 [[후베이성]]을 가로 지르는 한수(漢水)의 하류 지방을 말한다.
[50]
문서
송나라 영지로써 지금의 하남성 수현(睢縣) 서북
[51]
문서
초 나라와 동성인 제후국으로 호북성 자귀현(秭歸縣) 동남에 있었던 군소 제후국
[52]
문서
성복대전(城濮大戰), [[기원전 636년]] 중원제후국을 대표하는 당진과 남쪽의 새로이 일어난 세력을 대표하는 초 나라가 지금의 산동성 견성현(鄄城縣) 서남 임복향(臨濮鄕)에 있었던 성복이라는 곳에서 벌어진 전투. 이 싸움의 결과 [[진 문공]]의 당진군이 초군을 대파하여 초 나라의 중원진출에 쐐기를 박고 향후 중원의 패권은 당진이 차지하게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